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델파이 분석을 통한 무용 교수자가 인식한 즉흥무용 수업의 창의적 학습전이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손지민,박혜진,김영미 한국무용학회 2024 한국무용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는 즉흥수업 전문가들에게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즉흥수업의 창의적 학습전이에 대한 의견을 듣고, 전문가들의 합의된 내용을 도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전문가 패널 10명을 대상으로 총 3차를 걸쳐 조사가 진행되었으며, 1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개방형 설문 형태로 의견을 수렴하여 그 결과를 통해 15개 영역이 선정되었다. 2차 및 3차 결과에서는 내용타당도 비율 .8 이하의 값들을 삭제 및 수정 과정을 거쳐 최종 11개 영역에서 54개의 문항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교육 현장에서 즉흥수업을 통해 창의적 학습전이를 하여 무용교육이 보다 더 효과적이고 창의적인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즉흥수업의 창의적 학습전이 관련 연구를 확장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해 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duct a Delphi survey with improvisation class experts to hear their opinions on creative learning transfer in improvisation classes and to derive the experts consensus. A total of three surveys were conducted targeting a panel of 10 experts. In the first Delphi survey, opinions were collected in the form of an open-ended questionnaire, and 15 areas were selected based on the results. In the second and third results, values with a content validity ratio of .8 or lower were deleted and modified, and a final set of 54 questions in 11 areas was derived. Therefore, dance education should move in a more effective and creative direction through creative learning transfer through improvisation classes in the educational field. It is expected that these research results will provide basic data to expand research on creative learning transfer in improvisation classes in the future.

      • KCI등재

        모노하(もの派)의 방법론은 모노(もの)의 존재를 예술로서 관철할 수 있는가? —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을 중심으로

        손지민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人文論叢 Vol.77 No.2

        The name “Mono-ha” was given at the beginning of the 1970s by demeaning critics to the Japanese artists who formed a loose constellation around the theory of Mono, the latter term designating a specific understanding of the being of an immediate, literal thing or object. Their working method, expounded predominantly by Lee Ufan and Kishio Suga through texts and works, became a fast-spreading phenomenon in the Japanese and international art world. While most of these artists continue to work and exhibit independently to this day, the necessary philosophical research on the sole artistic motive of the constellation, namely the theory of Mono, remains largely insufficient. To address this issue, this article focuses on the role played by the phenomenology of Maurice Merleau-Ponty to which Lee turned to clarify the above method shared commonly by the artists. Merleau-Ponty’s phenomenology of perception not only brings to the fore the process by which the artists’ inquiry into Mono develops into their individual method, but also renders possible an ontology of Mono at the very core of their practice and philosophy. “모노하”(もの派)는 일본에서 1970년을 전후로 모노(もの), 즉 사물의즉자적, 상황적 존재에 관한 이론을 중심으로 매우 느슨하게 결집된 작가들의 작업들에 비평가들이 붙인 이름이다. 모노하의 예술적 방법론은이우환과 스가 키시오가 1970년대 초반부터 발표한 글들을 기점으로 일본에서 매우 빠르게 파급되었고 이들의 작업은 일본의 현대미술사에서가장 두드러지는 족적을 남겼다. 세계 곳곳에서 아직도 생존하는 모노하작가들이 나름의 방법론을 통해 작업, 전시하고 있지만, 이들의 예술 활동의 시발점이 된 모노 이론에 대한 예술철학적 연구는 반세기가 지난지금까지도 미비한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본 논문은 모노하 작가들의작업에서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방법론을 설명하기 위해 이우환이 동원한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의 역할에 주목한다. 그의 지각현상학은 모노에대한 탐구가 실제 작업을 위한 실천적 방법론까지 전개되는 과정을 명료화함은 물론, 이들 작업이 공통적으로 관철하고자 하는 궁극적 도달점인 모노의 존재론의 예술철학을 가능케 한다.

      • 추출방법에 따른 케나프 잎의 항산화 활성 및 유용성분의 비교

        손지민,조동하,Md Obyedul Kalam Azad,강위수,박철호,신명환 한국약용작물학회 2018 한국약용작물학술대회 발표집 Vol.2018 No.10

        Background : The Kenaf (Hibiscus cannabinus L.) is an annual plant of African and Indian origin. and there are a lot of flavonoids in the leaves. To determine the most suitable method for extracting of Kenaf cosmetic ingredients, the data of changes in polyphenol, flavonoid conten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analyzed, based on concentration of Extraction Methods. Methods and Results : 200 ㎖ of distilled water (100% ethanol in the case of ethanol extraction) was added to 20 g of the leaves of Kenaf; G-1 from Israel were collected in 2016 and the collected leaves were dried and pulverized, and five extraction methods were performed. The extraction method and conditions are as follows: pressurized high temperature extraction (AE: autoclave, 121 degrees, 15 minutes), ultrasonic extraction (UE: ultrasonic bath, 60 degree hot water, 1 hour), Hot water extraction (SE: spidulina mayina. 100 degrees 6 hours), Ethanol Extraction (EE: ethanol, spidulina mayina, 80 degrees 6 hours), room temperature stirring extraction (WSE: wise stirring, room temperature 250rpm 24 hours). After extraction, the mixture was filtered using a filter paper, and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t 40℃ for lyophilization. And diluted to 1,000 ppm with 80% ethanol. Conclusion : Based on the test results, EE method showed the highest results. In the case of using water as the solvent, the SE method showed the highest result. However, the results of the SE and AE methods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if the extraction conditions of AE method are adjusted, the result of AE method will be higher than that of the SE method.

      • KCI등재

        모노(もの)는 어떻게 예술적일 수 있는가? — 장-마리 셰퍼의 미적 경험 이론을 통해 본 모노하

        손지민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人文論叢 Vol.78 No.4

        This article has as its double objective a clarification of art-philosophical problems as dealt with by the theory of Mono, introduced by the late 1960’s Japanese movement Mono-ha, and an examination of the validity of its theory. Lying at the kernel of the above set of problems is the inquiry into the possibility of continuation of aesthetic experience through the means of unworked things. Here, aesthetic experience is referred to by the artists as “ecstasy”, “disparity”, “encounter” and “thrill”. As this article will try to show, all of Mono-ha’s endeavor is noticeably focused on arguing for this continuation and putting it into practice. For this argument to be justified, it is required first that aesthetic experience is distinguished— as opposed to isolated—from the totality of experience that includes it, and that we discuss whether the realization of the above theory based on aesthetic experience can be artistic, despite the irreducibility of the experienced into a work of art. Despite being central to their theory and relevant practice, Mono-ha’s reliance on the notion of aesthetic experience has hitherto been examined as being part of the former rather than culminating in the labor of the latter. This article will attempt to carry out the above tasks by introducing the cognitive psychological research of Jean-Marie Schaeffer into the contexts of the artists’ own words. 본 논고는 일본에서 1960년대 후반 등장한 모노하(もの派)의 모노이론과 그것이 다루는 예술철학적 쟁점들을 명료화하고 해당 이론의 정당성을 검토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이 쟁점들은 ‘차용된 모노를 통한 특별한 경험의 지속’으로 추려질 수 있다. 작가들의글과 좌담회 기록이 보여주듯이, 모노하 작가들의 모든 활동과 작업은 이 ‘지속’을 작품으로 실천하고 글과 대담 등을 통해 설명하기 위함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모노하 작가들은 자신들의 작품에서 느껴지는 미적 경험을 ‘황홀감’, ‘오싹함’, ‘어긋남’, ‘만남’, ‘짜릿함’ 등의 단어로 묘사한다. 또한 그들은 이 미적 경험의 특별함을 예술의 가능 조건 탐색의 시발점으로 삼으려 한다. 이 지속이 예술적실천으로서 정당화되기 위해서는 먼저 미적 경험을 그것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감각적 공동 경험과 구분할 수 있는 근거를찾는 일이 수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 근거를 통해 경험과 예술작품의 비즉각적인, 환원 불가한 관계에도 불구하고 예술의 가능성을 긍정할 수 있는지를 논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위 작가들이 예술의 가능성을 이 특별한 경험에서 찾는데도 불구하고 이 특별함의 근거, 즉미적 경험에 불가피하게 결부되는 주의력, 감정, 대상과의 지향적 관계의 문제들은 그들의 글, 대담 기록과 작품에서 인지과학, 생물학에근거하여 명확히 설명되지 않는다. 이러한 과학적 근거의 부족이 모노하의 예술철학에 대한 비판론들의 근원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점들을 들어 위 작가들이 말하는 특별한 경험의 특별함의 근거를 모노하 작가들의 전언과 장-마리 셰퍼의 인지심리학적 연구를 교차시키며 이해하고 검토해보려 한다.

      • KCI등재

        팬데믹 시대의 분위기 공유로서의 예술: 작가 최선의 <코로나 위장 - 모바일 커넥터>

        손지민 한국미학예술학회 2022 美學·藝術學硏究 Vol.66 No.-

        Starting in August 2020, Sun Choi exhibited a series of works called Corona Camouflage. According to the artist, the work consists in combining a personally conceived symbolic image standing for the current pandemic with that for his memories from his time in high school recalled by the present situation of COVID-19. The image is combined and applied to various media such as a white canvas, white slicker, white cloth, his car and a plastic sheet. This process is called “visualization of atmosphere” by the artist. This term designates his transition from his experience of a particular atmosphere, or what this article will call “aesthetic experience,” to its concrete expression through practice. As he asks himself, “Is it possible to make a painting that allows the viewers to recall the COVID-19 situation of 2020?” His deliberated response is negative, having accepted the irreducible gap of understanding with the viewer. The cause for this gap of understanding is visibly sought out in his various experiments. This article will attempt to delve into Choi’s oeuvre to understand why, despite the above limits, he “came to think about the feelings of isolation, fear and disgust, as if in wartime, caused by disrupted everyday life, and about how to visualize them.” In attempting to provide the answer, this article will first clarify how Choi’s position regarding subjective sensibility and atmosphere, then refer to cognitive psychological and neuroscientific explanations of the aesthetic experience of the atmosphere of the pandemic, which will provide concrete grounds for his intention, thought process and method. 작가 최선은 2020년 8월부터 <코로나 위장> 연작을 전시하기 시작한다. 그는 팬데믹 시대가 연상시킨 과거에 경험된 분위기들을 상징하는 문양들을 결합하여 ‘코로나 위장’ 문양을 제작하고, 이 문양을 빨간색으로 하얀 캔버스, 하얀 우의, 천, 자신의 자가용, 플라스틱 연질필름과 같은 바탕에 삽입하였다. 최선은 이 작업 전반을 ‘분위기의 시각화’라 칭한다. 여기서 ‘시각화’는 그가 체험한 미적 경험에서 실천으로서의 표현으로 이행하는 구체화 과정을 가리키며, “2020년 코로나 사태를 떠올리게 할 수 있는 그림을 그릴 수 있는가?”라는 그의 질문에서 비롯된다. 그는 이것이 불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리게 되는데, 그 이유는 그가 자신이 관객과 갖는 이해의 간극을 ‘한 시대를 사는 사람’이 갖는 보편적 한계로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최선은 관객과 자신이 갖는 이해의 간극의 근원에 대한 물음들을 제기하게 되고, 이 물음들은 그의 예술적 실천의 뿌리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작가가 위 작업의 목적에 대해 “일상의 움직임들이 멈춰버리자 그것으로 인한 전쟁 속 같은 고립감과 두려움, 그리고 혐오감 등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것을 어떻게 시각화 할 수 있을지 고민했다”고 말하는 데에는 어떤 이유가 있을까? 본 논고는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우선 작가가 말하는 분위기와 그의 작품세계를 관통하는 의도를 명료화하고, 그가 주관적, 감성적으로 분위기를 어떻게 구체화하는가에 대한 인지심리학, 신경과학적 근거 제시를 시도함으로써 팬데믹의 분위기를 작품을 통해 관객과 공유하려는 최선의 의도와 사유 과정, 방법론을 실증적으로 뒷받침하고자 한다.

      • KCI등재

        순수 휨 하중을 받는 비조밀 플랜지 H형 스텝보의 비탄성 횡-비틀림 좌굴강도

        손지민,박종섭 한국방재학회 201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2 No.1

        This paper investigates inelastic lateral-torsional buckling of doubly and singly stepped beams with noncompact flange subjected to pure bending. A three-dimensional finite-element program ABAQUS(2007) and a regression program MINITAB(2006)were used to analytically develop new design equation. Ratios of flange thicknesses, flange widths, and stepped lengths of the beam based on a typical section of W14×90 were considered as analytical parameters. Two groups of 27 and 36 cases for doubly and singly stepped beam, respectively, with a total of 252 case, were analyzed in the inelastic buckling range. The combined effects of residual stresses and geometrical imperfection on inelastic lateral-torsional buckling of beams are considered. The new proposed equation will definitely improve the current design methods for the inelastic lateral-torsional buckling problem and will increase the efficiency in building and bridge design. The solution can be easily used to develop new design equations for inelastic lateral-torsional buckling resistance of stepped beams subject to general loading condition such as a concentrated load, a series of concentrated loads or uniformly distributed load. 본 논문에서는 비조밀 플랜지가 사용된 H형강 휨부재에 양단 또는 일단 플랜지 보강된 스텝보에 순수 휨 하중을 받는 경우의 비탄성 횡-비틀림 좌굴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3차원 유한요소 해석 프로그램 ABAQUS(2007)가 사용되었으며, 회귀분석 프로그램 MINITAB(2006)을 이용해 휨강도를 평가하기 위한 간편 설계식을 제안하였다. 해석에 사용된 비조밀 단면은W14×90 단면을 기본으로 하였으며, 양단 또는 일단 스텝보 계수는 길이방향비, 플랜지 너비방향비 및 두께비로 나타내었다. 양단 스텝보의 매개변수는 27개, 일단 스텝보는 36개의 매개변수와 비탄성 범위내 4가지 비지지 길이를 고려하여 총 252개의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하였다. 하중 조건으로는 양단에 균일모멘트가 작용하는 것을 고려하였으며, 비선형 해석을 위해 잔류응력및 초기변형을 고려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안된 휨강도 산정식은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설계에 쉽게 적용 가능할 것이며, 다양한 하중조건을 가지는 양단 또는 일단 계단식 단면 변화보의 비탄성 횡-비틀림 좌굴 강도 설계식 개발에 적극 활용 될 수있을 것이다.

      • KCI등재

        주요국의 의료기기 품목 분류체계 조사분석을 통한 국내 의료기기 품목 신설 및 세분화 연구

        손지민,유강현,김유림,권경민,이희성,장원석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23 의공학회지 Vol.44 No.1

        With the international change in the medical device market owing to the development of innovative med- ical engineering and the use of various raw materials, a systematic and rational medical device classification system is needed to safely manage newly developed medical devices.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domestic medical device classification system by proposing product establishment and segmentation. It is based on medical device products from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that are only available in foreign systems and are more subdivided than domestic products. This study analyzes and compares the domestic and foreign medical device classification systems by examining laws, guidelines, and analysis reports in Korea,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In accordance with prod- uct establishment and segmentation criteria, products subject to improvement are presented. This study contributes to safely managing medical devices that do not fit with the current classification system and to solving the confusion caused by the lack of international harmony in product classification systems.

      • KCI등재

        Le retour à l’expérience esthétique face au coefficient d’art - la cause du refus de Marcel Duchamp -

        손지민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022 프랑스문화예술연구 Vol.79 No.-

        Cet article a pour but d’apporter un éclairage différent sur l’art de Marcel Duchamp à l’aune de la théorie récente de l’expérience esthétique du philosophe analytique Jean-Marie Schaeffer. La problématique centrale dans cet éclairage est de comprendre les visées de l’art de Duchamp comme un prolongement de son art qu’il s’est constamment efforcé de refuser et de critiquer. D’un côté, l’objet de son refus est toute activité artistique, y compris la sienne, influencée par toute tradition esthétique se basant sur les croyances et les notions subjectives. De l’autre côté, ses visées artistiques consistent à faire de la béance indélébile entre son expérience esthétique et sa continuation en œuvres son sujet principal de réflexion et de pratique. Tandis que l’esthétique philosophique occidentale moderne depuis Kant a toujours tendu à formuler le beau à partir des données des sens pour arriver ultimement à un jugement esthétique, la théorie de l’expérience esthétique a pour but l’interrogation neurophysiologique sur des facteurs internes qui rendent ‘spéciale’ lesdites données avant tout jugement. Le terme «esthétique» ici désigne le caractère de toute expérience conative qui permet à l’artiste l’usage atypique de l’attention et la sensibilité. Une étude plus minutieuse sur ce caractère fait manifester une homologie – démontrable à travers les méthodes de la science cognitive psychologique – entre l’expérience et l’œuvre qui la véhicule en matériau. Cet article porte un regard inédit sur le rôle de l’expérience esthétique dans l’art de Duchamp, mis en évidence dans ses œuvres aussi bien que ses entretiens et textes.

      • KCI등재

        반복의 역사로서의 예술의 역사? — 티에리 다빌라의 반복 이론

        손지민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人文論叢 Vol.76 No.3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examine and show the importance of a thesis put forward by the Swiss philosopher and art-historian Thierry Davila, which views the history of art as history of repetition. Davila’s constant reference to the Duchampian concept of “inframince” and Deleuze, especially his Difference and Repetition, is channelled towards his eventual argument: repetition is always a return with and towards difference and that difference is both essential and generic in the forming of the work of art. While the scope of his theory of repetition remains within Deleuze’s framework, it omits the discussion on the notion of force and intensity and the three levels of repetition — superficial, profound and ultimate — crucial in Deleuze’s philosophy of difference. This omission coincides with the self-contradictory use of the term repetition to describe those such as imitation and mimesis, where the latter in Deleuze’s philosophy enters in a dialectical entanglement with repetitions occurring at a deeper ontological level. At the same time, the importance of Davila’s work can be found in his advocacy of the principle of selection or casuistic method placing differentiating repetition at the very core of the ontology of the work of art and art-historical research. 본 논문의 일차적 목적은 “예술의 역사는 반복의 역사”라는 티에리다빌라(Thierry Davila)의 테제를 분석, 검증하는 데 있다. 다빌라는 마르셀 뒤샹의 앙프라망스(inframince) 개념과 들뢰즈, 특히 그의 차이와반복 을 인용해 반복을 차이를 동반하는, 차이를 위한 회귀로 정의하고, 이 차이가 예술작품의 형성을 본질적, 속성적으로 특이하게 만드는근거라 말한다. 다빌라는 들뢰즈를 따라 예술작품의 존재를 규정된 하나의 동일성으로 보는 시각을 비판한다. 그러나 들뢰즈의 차이의 철학에 의존하는 다빌라의 반복 이론은 ‘차이의 철학’ 개진에 매우 중추적역할을 하는 힘과 강도에 대한 논의, 그리고 이 논의를 통해서만 개진될 수 있는 반복의 세 가지 수준, 즉 표면적, 심층적, 궁극적 수준들에대한 논의를 우회한다. 이는 가장 하층적 수준에서부터 표면적 층위까지의 반복이 만들어내는 효과들, 즉 모방, 재현, 미메시스 등의 차이를 허상으로 드러내는 반복과 혼용하는 결과를 낳는다. 동시에 다빌라의연구가 어떻게 기존 예술 연구에 기여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그것을 비판하는가를 살펴본다. 그는 미술사 연구의 본질을 선별적 경우 연구(casuistique)로 규정하며 예술작업과 그에 대한 연구가 그 기원부터 이미 존재하는 것들을 선택하여 가장 미세한 차이를 도출하는 일이라 주장한다.

      • KCI등재

        Le pari de Duchamp - La beauté de l’échec et la nulle la plus idéale -

        손지민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019 프랑스문화예술연구 Vol.68 No.-

        Marcel Duchamp (1887-1968), joueur invétéré du jeu d’échecs, se voue corps et âme aux beautés comme aux affres du jeu à tel point que son art se redéfinit par la mise en doute de son propre concept. Cet investissement atteignant un point culminant vers 1912 fut non sans des frictions considérables de son processus artistique profondément expérimental dont les résultats se voyaient refusés ou mal compris. À compter du milieu des années 1920, Duchamp perd intérêt dans le processus de l’art ainsi que le milieu artistique en France et aux États-Unis qui entend présenter une oeuvre estampillée de quelconque qualificatif et attirer toute sorte de jugement. Son déploiement échiquéen et ses activités artistiques s’acheminaient vers un but qui peut être résumé ainsi : la liberté par rapport à tout jugement et à l’illusion de la certitude. Pour lui, préétablir un objectif engendre une «répétition neurasthénique» de la croyance, du jugement et de la consommation. Ce qui lui importe absolument, c’est la vérité imprégnée dans la situation sur l’échiquier qui s’anime d’une série de mouvements inventés et conçus par décision logique. Cette dernière est prise sur le spectre intégral et oppositionnel s’étendant entre la logique pure et le pari. Les mouvements vectoriels de la pensée occupent une place centrale dans la notion duchampienne de beau, mais portent le nom d’échecs. Étrangement, il s’efforce, à partir de son indifférence envers la victoire ou la valeur, d’aboutir à une nullité, indifférence qu’il qualifie de «presque utopique». Cette nullité est cependant un objectif ultime de son art et de sa vi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