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재생에너지 수용용량 증대를 위한 능동배전망용 통신 네트워크

        손예지,양준혁,윤성국 한국통신학회 2020 정보와 통신 Vol.37 No.11

        우리나라의 배전망 운용시스템은 배전자동화, 배전지능화를 거쳐 능동배전망으로 발전하고 있다. 능동배전망에서는 배전선로 기기의 원격 제어 기능 및 선로운전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있다. 최근 최대 초당 120회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D-PMU(Distribution Phasor Measurement Unit)의 도입으로 인해 기존보다 빠른 전송속도와 높은 신뢰성을 지닌 통신 네트워크의 배전망 적용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LTE, 5G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및 유선 네트워크의 고장 복구 기법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능동배전망 적용 가능성을 검토한다.

      • 나일론66/탄소섬유 복합체의 물성 및 흐름성에 미치는 분산제와 흐름성 개선제의 영향

        손예지,김준석,서동균,김연철 한국공업화학회 2019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9 No.1

        높은 전자파 차폐 성능을 위한 고 함량의 탄소섬유 첨가로 인해 나일론/탄소섬유 복합체의 용융흐름특성이 열세하여 고분자가공시 성형 불량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나일론/탄소섬유 복합체의 흐름특성과 물성에 대한 가공조제 및 분산제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탄소섬유로는 6mm 니켈코팅 탄소섬유(Ni-CF)를 사용하였으며, 분산제로는 acid 계열의 분산제 2종(BYK-P 4101, BYK-P 4102)을 사용하였으며, 흐름성 개선제로는 아민 계열인 2,2,6,6-tetramethyl-4-piperidinyl(BIS)을 사용하였다. 나일론66/탄소섬유 복합체는 이축압출기(twin screw extruder)를 이용하여 분산제/흐름성 개선제의 함량을 다르게 하여 다이온도 기준으로 280°C에서 제조하였다. 나일론/탄소섬유 복합체의 기계적 물성은 만능시험기(UTM)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전기적 특성은 표면저항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의 표면 특성은 주사전자편미경(SEM)을 이용하여 관측하였다. 흐름성 개선정도 확인에는 용융지수와 복소점도를 이용하였다.

      • KCI등재

        2-butoxyethanol 첨가에 따른 고분자 구조가 분리막 구조에 미치는 영향

        손예지,김노원 한국막학회 2011 멤브레인 Vol.21 No.4

        침지법을 이용한 상전이 공정으로 polysulfone (PSF), polyethersulfone (PES) and polyphenylsulfone (PPS)의 정밀여과 평막을 제조하였다. 용매로는 dimethyl formamide (DMF)를, 습윤제 고분자로는 polyvinylpyrrolidone (PVP)를 사용하였으며 pore 형성 촉매로 2-butoxyethanol (BE)을 사용하였다. 얻어진 분리막들은 SEM과 micro permporometer를 이용하여 morphology를 분석하였으며 순수투과도를 측정하여 분리막의 투과성능을 측정하였다. BE의 첨가를 통하여 분리막의 기공을 성장시킬 수 있었으며 고분자 구조에 따라 분리막의 morphology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PSF, PES, PPS 분리막의 평균기공의 크기는 각각 0.282, 0.330, 0.308mum이었으며 공극률은 68.5, 66.1, 66.4%로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PPS 분리막의 경우 PSF, PES 분리막에 비해 높은 기공 밀도와 좁은 기공 분포를 관찰할 수 있었다. 그 결과 PPS 분리막의 순수 투과 유량은 357L/㎡ hr으로 PSF (196L/㎡ hr)나 PES membrane (214L/㎡ hr) 분리막에 비해 훨씬 증가함을 보였다. Flat sheet microfiltration membranes were prepared with polysulfone (PSF), polyethersulfone (PES), and polyphenylsulfone (PPS) by an immersion precipitation phase inversion method. In this method, dimethyl formamide (DMF) and polyvinylpyrrolidone (PVP) were used as a solvent and a wetting polymer additive, respectively. 2-butoxyethanol (BE) was used as a nonsolvent additive catalyst to form pore. The morphology of membranes was investigat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micropermporometer. The permeability of the membranes was evaluated with the flux of pure water. When the BE was added, the pore size of membranes became larger than blank membranes. The changes in the morphology of membrane due to the BE addition depend on polymer structure. All membranes have similar mean pore size and porosity. The mean pore sizes of PSF, PES, and PPS membranes were 0.282, 0.330 0.308mum, respectively. The porosities of PSF, PES and PPS membranes were 68.5, 66.1, 66.4%, respectively. However, the PPS membrane showed higher pore density on surface and narrower pore size distribution than PSF or PES membrane does. As a result, the pure water flux of PPS membrane (357L/㎡ hr) was higher than that of PSF (196L/㎡ hr) or PES membrane (214L/㎡ hr).

      • 1P-125 Controlling Vapor Permeation Behavior of Polyelectrolyte Membranes via Cross-linking Polyelectrolyte and Inserting Additives

        손예지,김소정,전병일,정경혜 한국공업화학회 2017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7 No.1

        Permeation behavior of membranes takes a big role in terms of gas separation and chemical protection. Due to the ionic groups in polyelectrolytes, they may have a high water permeability and the ability to block harmful chemicals. Poly (2-acrylamido-2-methyl-1-propanesulfonic acid) (PAMPS) was synthesized, and crosslinked to prevent its dissolution in water using cross-linkers containing dimethacrylate. Ethylene glycol, Tr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and poly(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were employed as cross-linkers. PAMPS membranes with different cross-linking degrees were also prepar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ross-linking on vapor permeabilities for water and dimethyl methylphosphonate, which is the simulant of Sarin (GB). During membrane drying, electrospun nylon nanofibers were inserted into the membrane. The effect of the additive on the physical properties and permeability was also examined.

      • KCI등재

        대학 튜터링 지원 챗봇 설계를 위한 튜터의 어려움 탐색

        손예지,이정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1

        목적 본 연구는 국내 대학의 튜터링 프로그램에서 튜터들이 경험하는 어려움에 대해 탐색하고, 튜터 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생성형AI 챗봇 설계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자료 다각화(data-triangulation) 방법을 활용하였다. 이에 따라 서울 소재의 A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튜터9인을 대상으로 튜터링 프로그램 운영 과정에서 시기별로 경험한 어려움을 중심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또한 튜터링 녹화 영상을수집하고 튜터들이 경험하는 어려움에 대한 선행연구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Creswell이 제시한 질적연구 분석을기반으로 인터뷰 자료를 범주화하였고, 이를 튜터링 녹화 영상과 선행연구 분석 결과와 비교하여 타당화 하고자 하였다. 결과 튜터들은 튜터링 시작, 튜터링 프로그램 운영의 시기에 어려움을 경험하며, 튜터링 프로그램 운영은 튜터링 준비-튜터링 활동-튜터링 성찰의 시기로 구분되어 각기 다른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첫째, 튜터링을 시작하는 시기에 튜터의 교수적 역할 중 특히 학습과정 안내자로서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둘째, 튜터링 준비 과정에서 튜터들은 교수적 역할을 수행하면서 어려움을 경험하였으며, 셋째로 튜터링 활동의 과정에서는 교수적 역할 중 학습과정 안내자로서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또한 사회적 역할과 관리적 역할의학습 관리자로서 난점을 겪었다. 마지막으로 튜터링 성찰의 과정에서 튜터들은 조직 관리자로서의 관리적 역할에서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튜터 지원을 위한 챗봇을 설계할 때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튜터가 경험하는 어려움을 튜터링 프로그램의 시기와 튜터의 역할에 따라 구분한 결과를 바탕으로. 튜터의 어려움 해결을 지원하기 위한 챗봇 설계를 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challenges faced by tutors in a tutoring program and provide insights for the development of chatbots intended to assist tutors. Methods This study employed the data-triangulation method. 9 tutors from College of Education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interviewed about the difficulties they encountered at various stages of the tutoring program. In addition, video recordings of tutoring sessions and previous research on the challenges tutors face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interview data in this study were categorized using Creswell's qualitative research analysis and were validated by comparing the analysis of the tutoring videos and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Tutors encountered various challenges both when at the beginning and during the tutoring program which can be divided into three phases: preparation, activity, and reflection. Initially, tutors faced challenges in their instructional role, particularly as learning process guides. Sencond, tutors also encountered difficulties in their instructional role during preparation. Third, during activity procession tutors also experienced challenges in instructional role. Furthermore, they have problem with social role and administrative role as learning manager. Finally, during reflection, tutors encountered difficulty in their administrative role as organizational manager.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tutor support chatbot design. Conclusions This study categorized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utors based on the time process of the tutoring program and role of the tutor.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designing a chatbot to assis tutors in resolving their challenges.

      • Preparation of Cross-linke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and Their Vapor Permeation Behavior

        손예지,김소정,전병일,황창민,정경혜 한국공업화학회 2018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8 No.0

        Polyelectrolyte is a polymer having an ionic group such as sulfonic acid or carboxylic acid. It is also electrically conductive and hydrophilic. Permeation behavior of membranes takes a big role in terms of gas separation and chemical protection. Due to the ionic groups in polyelectrolytes, they may have a high water permeability and the ability to block harmful chemicals. Poly (2-acrylamido-2-methyl-1-propanesulfonic acid) (PAMPS) was synthesized, and crosslinked to prevent its dissolution in water using cross-linkers containing dimethacrylate. Vapor permeability was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a crosslinker length. PAMPS membranes with different cross-linking degrees were also prepared to investigate its effect on vapor permeabilities. Also, electrospun nylon nanofibers were inserted into the membrane and it was clearly seen that the addition of nanofibers decreases vapor permeability.

      • KCI등재

        배전계통의 태양광 수용용량 증대를 위한 지원금 기반 프로슈머 자가소비 최적화 기법

        손예지(Ye-Ji Son),임세헌(Se-Heon Lim),윤성국(Sung-Guk Yoon) 대한전기학회 2021 전기학회논문지 Vol.70 No.4

        In the power industry, renewable energy has been adopting into the power system to reduce global warming. However, renewable energy expansion such as solar photovoltaic (PV) raises a voltage stability issue for distribution systems. This work proposes a prosumers’ self-consumption optimization scheme through subsidy to increase the hosting capacity of solar PV in distribution systems. Therefore, it reduces cost and increases the utilization of solar PV. We investigate a case study using the IEEE 15 bus test model. The case study confirms that the overvoltage problem is solved by changing the prosumers’ power consumption pattern due to the subsidy. Therefore, the hosting capacity increases without system reinforcement and curtail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