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성영조,김군수,김을식,민병길,송승현,한영숙 경기연구원 2016 정책연구 Vol.- No.-
공유경제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소유하기 보다는 필요에 의해 서로 공유하는 활동을 의미하는 것으로, 주로 유휴 자원을 여럿이 함께 공유해서 사용하는 협력적 소비경제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2008년 세계 경제위기로 저성장, 취업난, 소득저하 등 사회문제가 심각해지자 과소비를 줄이고 합리적 소비생활을 지향하는 인식이 등장하면서 공유경제는 확산되기 시작했다. 인터넷,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모바일 등 IT 기술의 발전은 개인과 개인 간의 거래를 편리하게 만들어 공유경제의 활성화를 가능하게 하였다. 최근 차량공유서비스 우버와 숙박공유서비스 에어비앤비가 대표적인 글로벌공유경제 플랫폼으로 언급되기도 하지만, 공유경제의 본질은 유형과 무형의 자원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동서비스, 공간의 임대, 물품의 거래, 금융서비스, 정보 · 지식 서비스 등 협력적 공유를 통해 상호 윈윈하는 상생의 경제라 볼 수 있다. 공유를 통한 합리적 소비는 생산량을 감소시켜 과잉생산과 과잉소비로 인한 잉여물을 없애며 환경에도 이바지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경기도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공유경제를 추진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며 이를 통해 도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절한 계획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공유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경기도형 공유사업의 추진, 공유경제 주체들 간의 협업 및 네트워크 강화, 효율성과 공공성을 충족하는 사업 발굴, 적절한 거버넌스 구성과 홍보 강화 등을 제안하였다. 경기도형 공유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특성과 연령, 직업 등을 고려하여 지속가능한 모델을 바탕으로 사업을 구상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즈니스경기도는 공유경제의 주요 구성 주체인 중앙정부, 공유기업, 시 · 군 등과 협업 및 네트워크를 강화해야 하며, 공유재 공급자와 플랫폼 운영자에 대한 합리적인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자원을 적게 투자하면서 효과가 높은 공유사업을 발굴하여 효율성과 공공성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노력이 필요하다. 공유경제는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하여 서로의 자원을 공유하는 것에서 시작된 것이다. 따라서 공유경제 사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합리적인 거버넌스 구성이 전제되어야 하며 공유경제 이용자들을 위한 다양한 홍보가 병행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경기도 공유경제는 더욱 효과적이고 지속가능한 경제 모델의 한 축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Sharing economy refers to activities that are shared by necessity rather than owning a product or service, and it is emerging as a form of collaborative consumption in which many people share common idle resources each other. Since the global economic crisis in 2008, the sharing economy has begun to spread as an alternative method of reducing excessive consumption and searching for collaborative consumption. The evolution of IT such as mobile and social network service (SNS) facilitates the transaction between individuals, and enables the activation of sharing economy. It is known that collaborative consumption through sharing can reduce overproduction and overconsumption, and contribute to the environment. Therefore, we need to discuss how to promote the sharing economy in Gyeonggi-Do. As a way to promote sharing economy in Gyeonggi-Do, we propose some Gyeonggi-do type sharing businesses, collaboration and network enhancement between sharing economy actors, proper governance structure, and strengthening PR. In order to promote the Gyeonggi-do type sharing businesses, it is important to envision them based on the sustainable sharing model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ies, age and occupation. It is also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ollaboration and network with central government, sharing economy companies, cities and counties, which are major actors in sharing economy. In addition, a lot of efforts should be made to find ways to meet efficiency and publicity simultaneously by investing fewer resources and finding more effective sharing businesses.
창업기업의 크라우드펀딩 활용실태분석 및 경기도 지원 방안
성영조,송승현 경기연구원 2021 정책연구 Vol.- No.-
Crowdfunding is a method in which a startup company raises necessary funds from a large number of public investors online. It also performs product promotion and marketing functions.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nformation sharing has become easier, and communication methods are diversifying. In line with this, the method of corporate investment is also expanding from offline to online, from the professional investors to the general public. Due to changes in the technological environment, crowdfunding is now being established as a natural investment attra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compensation method, crowdfunding is mainly divided into ‘equity type’, ‘reward-based type’, ‘peer-to-peer type’, and ‘donation-based type’. There are two types of crowdfunding we are interested in: the equity type which provides stocks to fund providers, and the reward-based type which provides non-monetary benefits to fund providers as funding compensation. As a result of a survey conducted on companies registered on the "Gyeonggi-do Startup Platform", 32% of 100 companies that responded had experience in crowdfunding, and the success rate was 65.6%. Regarding the effect of crowdfunding, 68.8% of the respondents thought positively, and 25% answered that it was "very effective". As for the preferred types of crowdfunding, reward-based type was the highest at 57%, followed by equity type at 33%. In the present study, a database was built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equity-type crowdfunding,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based on this database, and a strategic plan for increasing the recruitment rate and funding success rate was presented. In addition, the appropriate size of the support project was calculated by considering the total amount of nationwide crowdfunding, the proportion of Gyeonggi-do corporate participation, and the proportion of equity-type funding. It is necessary to support follow-up programs for crowdfunding companies supported by Gyeonggi-do. It was found that companies most wanted "support for commercialization" and "support for attracting VC investment" as follow-up project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support measures so that startups that have succeeded in crowdfunding supported by Gyeonggi-do can enter the global crowdfunding market.
성영조,배영임,송승현 경기연구원 2019 정책연구 Vol.- No.-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rive the support items and functions of Gyeonggi-Do in order to help startups and innovative companies to enter and grow overseas. In addition, Gyeonggi-Do is now required to implement these programs in Pangyo Techno Valley. Gyeonggi-do needs to create an innovative ecosystem in Pangyo Techno Valley to help companies to start, grow and go global. In designing support functions for a global busines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linkages with ongoing projects and cooperation with global support agencies. In the present study, the steps of globalization of startup and innovative companies were defined as four stages, and detailed programs were derived for each stage. The first one is Tapping Stage. At this stage, companies have no experience in entering global markets, but is planning to enter global markets. Companies at this stage need market information, networks and local community information which they are planning to enter. The second one is Entry Stage. At this stage, companies launch their localized products or services, and is currently promoting businesses in their goal market. Companies at this stage need to select business partners or attract local investment. The third one is Localizing Stage. In this stage, companies will carry out local business in earnest by establishing local corporations or branches. And the last one is Expanding Stage. At this stage, companies continues to grow, expand its global business. They expands to other regions, or launches new products and services. The Global Business Center should make a role of global business platform for startups and innovative companies, and its functions should be focused on the planning and networking among the participants. The Global Business Center should directly carry out basic programs for the creation of innovative ecosystem such as planning, networking and promotion of global support programs. The Global Business Center should aim for a platform that provides adequately both public support services and private business services. To do this, it is important to plan comprehensively from the establishment stage.
성영조,김점산,송승현,김서정 경기연구원 2018 정책연구 Vol.-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Sharing Economy" of Gyeonggi-Do and to suggest a method to designate Sharing Economy Companies and Organizations. According to a survey in this study, while the perception rate of "Sharing Economy" slightly increased compared to 2016, the percentage of people who experienced it more than doubled. It means that a lot of Gyeonggi-Do residents have been experiencing "Sharing Economy" and that government"s active policies are needed to activate it. When designating Gyeonggi-Do "Sharing Economy" Companies and Organizations, it is important to choose organizations or companies that have a lot of "Sharing Economy" experience and that have good shared model and shared value. Gyeonggi provincial government need to give the right to use "Sharing Economy" BI(Brand Identity) of Gyeonggi-Do to designated companies and organizations to promote "Sharing Economy" activities. It should support them to use the publicity channel of Gyeonggi-Do"s "Sharing Economy" website or related organizations. It should also provide the opportunity to cooperate with the related departments in local or provincial government when designated companies and organizations need support. The "Sharing Economy" policy of Gyeonggi-Do should be approached as a way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field rather than one way support. The strategies for revitalizing "Sharing Economy" in Gyeonggi-Do should b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build and operate a "Sharing Economy" platform. Second, Gyeonggi provincial government should continuously promote projects to find and raise "Sharing Economy" organizations and companies. Third, it should provide support and incentives to those wh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Sharing Economy". Finally, to build a "Sharing Economy" ecosystem in Gyeonggi-Do should be the goal of the government policies.
성영조,김군수,송승현,한영숙 경기연구원 2016 정책연구 Vol.- No.-
기계산업은 기술인력 의존도가 높은, 대표적인 양질의 일자리 창출 산업으로 2014년 기준 한국 제조업 중에서 사업체 및 종사자 비중이 13.9%, 10.9%로 각각 2위, 3위를 차지하는 고용 친화적 산업이다. 또한 타 산업과 달리 수직계열화가 되어 있지 않아 대기업 의존도가 낮으며, 중견기업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산업분야이다. 기계산업의 국산화율은 제조업 평균 수치보다 높은 수준으로 수입 의존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제조업 전체의 국산화율은 전국 68.3%, 경기도 70.4%인 반면, 기계산업의 국산화율은 전국 83.7%, 경기도 84.3%로 나타나 국내 산업과의 연관관계가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경기도 차원에서 기계산업 활성화를 위한 검토가 필요하다. 특히 국내 기계산업 분야 기업협의체인 한국기계공업협동조합연합회가 안성시에 조성되는 산업단지에 이전을 추진하고 있어, 더욱 기계산업에 대한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기계산업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경기도내 기계산업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기초조사를 시작으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국내 기계산업의 현황, 시장동향 및 전망 등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기계클러스터 조성 후보지 분석 및 활성화 전략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유력 후보지들 중 안성시 기계클러스터가 기계산업의 집적도, 부지의 위치 및 조성원가 등 입지결정요인 면에서 매우 적합한 환경을 보유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향후 기계클러스터의 조성에 따라 이 지역 산업이 활성화될 수 있을 것으로 검토되었다. 기계산업 클러스터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대안을 제시한다. 첫 번째로 클러스터가 조성되는 산업단지에 혁신센터를 건립, 운영하는 방법이다. 혁신센터는 공동 연구시설을 제공하고 입주기업들에게 경영, 교육, 기술개발 등을 지원할 수 있는 플랫폼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교육을 통해서는 전문인력 수급 및 맞춤형 일자리를 제공할 수 있는 이차적인 효과도 있다. 두 번째로는 입주기업을 위한 다양한 지원방안을 마련해 제공하는 것이다. 기업유치지원금 지원, 대출금 이자보전 등의 재정적 지원과 더불어 입주 근로자들을 위한 복지지원 및 커뮤니티 센터 등 공공시설 제공 등을 통해 기계산업 기업들의 이전을 유도하고 이를 통한 클러스터 효과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세 번째로는 각 참여주체들 간 네트워킹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여러 혁신기업들과 지역대학들이 다양한 아이디어를 교류하고 연구ㆍ협력할 수 있도록 하며 정기적인 프로그램을 통해 협업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주어야 한다. 특히 공공의 벤처지원 기관과 사업화에 참여할 수 있는 기업들과의 연계 등 다양한 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구체적 지원이 필요하다. 네트워킹 지원에는 앞서 언급한 정기적인 이벤트나 행사, 프로그램뿐 아니라 협력기관의 유치, 교류장소 지원 등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클러스터 내에 시험평가인증 전문기관의 확보가 필요하다. 시험평가인증 전문기관의 근거리 입지는 검사 소요시간이 절감되는 등 제품의 생산과 납품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데 큰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시험기관의 전문성, 신뢰성 등을 고려할 때 기계클러스터 내에 전문기관의 분원을 유치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외에도 경기도 자체적으로 입주기업에 대한 다양한 인센티브를 적극적으로 개발, 지원할 경우 기계산업클러스터 조성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The machinery industry is a representative high-quality job creation industry with a high dependence on technology personnel. It is also an employment-friendly industry which takes a large portion of business and employment in Korean manufacturing sector. In addition, the industry is a core business sector where the reliance of large corporations is low, and medium-sized companies play important roles.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revitalization of the machinery industry in Gyeonggi Province. In particular, the Korean Federation of Machinery Industry Cooperatives, which is a business association in the domestic machinery industry, is planning to move it’s location to an industrial complex in Anseong City, Gyeonggi Province. Therefore, the present study starts to review basic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machinery cluster in Gyeonggi province, and suggests several policy implications. We firstly analyze the status of the domestic machinery industry, market trends and prospects, and then review the candidate sites for the machinery industry clusters. It is analyzed that Anseong city has a suitable environment for the machinery industry cluster in terms of industry integration, location, rent. It is expected that the machinery industry in this region will be activated upon the composition of machinery cluster in the future. The following alternatives are suggested as a way to activate the machinery industry cluster. First, it is a way to build and operate an innovation center in the cluster industrial complex. The center can be a platform of research facility, education, management, and technology development. In particular, the innovation center can provide professional workforce and customized jobs through education. Second, it is a way to give various supports for tenant companies. Financial support such as tenant fund or loan compensation can be an example, and support programs for tenants’ welfare, community center, public amenities are also necessary. Third, networking between major participants is also important in constructing machinery cluster.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support programs or events through which local universities, research institutes and companies can have strong relationship each other. Last, it is important to host a certification institute for machinery companies. In addition, a variety of incentives should be developed actively for tenant companies in order to form an early successful cluster.
성영조 경기연구원 2015 정책연구 Vol.- No.-
실리콘밸리 지역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최첨단 기업의 집적지 또는 인류의 삶을 바꾸는 혁신기술의 요람 등으로 각인되어 왔다. 실리콘밸리가 이렇게 될 수 있었던 것은 수십 년 이상 오랜 기간 지역 혁신 주체들이 치열하게 경쟁을 하면서도 한편으론 상호 유기적으로 협력하는 문화가 바탕이 되었기 때문이다. 실리콘밸리는 초창기 특별한 산업 기반이 없는 평범한 농경지대였으나 스탠포드 대학의 설립, 프레드릭 터먼 교수의 기업가 정신, 휴렛 패커드의 창업, 쇼클리 반도체의 설립등 일련의 과정을 통해 성장의 토대를 마련하게 되었고 현재에 이르러서는 구글, 애플, 페이스북, 이베이 등과 같은 최첨단 기술로 무장한 기업들의 등장으로 전세계 IT 기술과 첨단산업의 트렌드를 좌지우지하는 막강한 지위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실리콘밸리의 1호 벤처기업으로 알려진 휴렛패커드는 스탠포드대학교 동문인 윌리엄 휴렛과 데이비드 패커드가 1939년 창업한 기업이며 이때부터 벤처기업에 대한 틀이 잡혀가기 시작했다. 벨연구소에서 트랜지스터를 개발하여 노벨상을 수상한 바 있는 윌리엄 쇼클리는 동부에서부터 실리콘밸리로 이전하여 쇼클리반도체를 1956년에 설립한다. 이 회사의 창업멤버들은 추후 패어차일드반도체를 설립하였고 패어차일드반도체의 직원들은 또다시 활발하게 창업에 나서면서 수십 년간 실리콘밸리에 많은 회사를 분사시켰다. 대표적인 회사로는 무어의 법칙으로 유명한 고든 무어의 인텔, 제리 샌더스의 AMD 등이 있다. 1990년대 들어서는 야후, 시스코 등 검색 및 네트워크 업체가 등장하면서 인터넷과 네트워크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형성되었다. 2000년대 들어서면서 스마트폰 산업은 애플의 iOS, 구글의 안드로이드 등과 같은 모바일 플랫폼이 등장하면서 모바일 기술의 눈부신 발전과 함께 급속도로 성장하게 되었고 우리들의 일상생활은 완전히 새로운 패러다임을 맞이하게 되었다. 스마트폰의 발전에 따라 무수히 많은 부가서비스 수요가 생겨나고 이로 인해 새로운 비즈니스가 끊임없이 발생하는 선순환의 모바일 생태계가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가 대중화되고 발전함에 따라 위치기반 서비스가 가능해지고 유사한 생각과 관심을 갖는 소비자들의 연대가 강화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페이스북 등과 같은 SNS 기업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게 되었으며 위치와 소셜을 기반으로 하는 산업은 향후 인류에 큰 변화를 가져올 분야가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일련의 발전이 대부분 실리콘밸리에서 발생했으며 현재도 끊임없이 새로운 기술과 비즈니스가 이 지역에서 탄생하고 있다. 실리콘밸리의 기업들은 이와 같이 도전정신을 바탕으로 꾸준히 발전하고 있으며 이들의 발전에는 어느 정도 패턴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첫째, 혁신적인 기술을 갖고 있는 다른 기업을 인수하여 자신이 갖고 있는 기술과 접목함으로써 더욱 혁신적인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둘째, 기존의 기술과 산업 구조 속에서 진보된 기술을 개발하여 시장에서 경쟁하는 것이 아니라, 전혀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이를 구현할 수 있는 기술과 플랫폼을 구축하여 그들만의 새로운 블루오션을 만든다. 셋째, 혁신적인 기술을 갖고 있는 기업이 다른 기업에 자신의 기업을 적정가격 이상으로 매각함으로써 더 큰 새로운 비즈니스에 도전할 수 있는 시드머니(seed money)를 확보하기도 한다. 실리콘밸리 기업의 이러한 발전 패턴을 통해 그들이 어떻게 진화하고 급변하는 시장에 적응하는 지 파악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 나아가 진정한 혁신기업은 시장에 적응하는 것이 아니라 시장을 선도하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기업이며 이것이 우리가 궁극적으로 가야할 방향이라 할 수 있다.
성영조,빈미영,송승현,김영돈,임덕순,지병용 경기연구원 2018 정책연구 Vol.- No.-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propose platform strategies for Pangyo Techno Valley, which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Gyeonggi-Do dur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Pangyo Techno Valley is a set of representative innovation clusters in Gyeonggi-Do that pursues global advanced technology. Pangyo 1st Techno Valley is a cluster of convergence technologies such as IT, CT, and BT, which was initially planned and promoted by Gyeonggi-Do since 2005. Pangyo 2nd Techno Valley is another major innovation technology cluster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is being developed by Gyeonggi-Do and central government since 2015. The innovation platform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business model, and Pangyo Techno Valley can be regarded as "Mediator Type". The present study suggests platform strategies for Pangyo Techno Valley cluster in four aspects: demand, supply, platform service, governance. First, in terms of demand, it is necessary to attract early startups in the beginning stage of the cluster, and in the future, it should attract overseas startups and global startups. In terms of supply side, it is necessary to attract successful companies, investors and business service companies, and R&D projects. In terms of platform services, public agencies should initially provide business services and startup consulting, etc but gradually encourage the market to provide those services. Finally, in terms of governance, it is desirable to establish an integrated management organization for Pangyo Techno Valley in the near future. The present study also suggests platform strategies for the Autonomous Driving Control Center in Pangyo 2nd Techno Valley. The platform strategy for the Center can be presented as two alternatives according to the center`s operational objective. The first alternative is to set the objective as an "Autonomous vehicle test bed", and the second one is as a "Smart mobility test bed". Finally, we suggest several ways for promoting and marketing the Pangyo Techno Valley for global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