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식당에 대한 중국인 관광객의 지각된 위험에 따른 위험감소 전략 차이 분석

        서선희 한국관광학회 2014 관광학연구 Vol.38 No.8

        Previous research recognized the tourists perceived high food related risk in destinations because the unique culinary culture that tourists experience at the overseas travel is new experience. However, limited research has been devoted to expand th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the risk of local f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key components of risk perception regarding local food restaurant, especially Korean food restaurant for Chinese tourists in this study. A total of 259 Chinese tourists who visited Korea participat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und eight risk factors regarding Korean local food restaurants: Cultural risk, food risk, service risk, opportunity loss risk, financial risk, physical health risk, time loss risk, and social risk. Three clusters were found based on cluster analysis. All Chinese tourists perceived high cultural risk among eight risk factors. Cluster 2 showed the highest perceived risk in Korean food restaurant, while cluster 3 perceived lower risk in Korean food restaurant than two cluste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isk perception and risk reduction strategies among three clusters. The manageri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관광지에서 경험하게 되는 음식은 새로운 경험이기 때문에 한식당 선택시 외국인 관광객들은 위험을 높게 지각하게 될 것이다. 외국인 관광객이 지각하는 위험요인들이 한식당을 방문 결정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한식당에 대한 외국인 관광객의 위험 지각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외국인 관광객의 한식당 선택시 지각된 위험을 파악하고 지각된 위험 수준에 따라 세분화된 집단에서 위험 감소 전략 차이를 비교하였다. 한국에 방문한 중국인 관광객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59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한식당에 대해 지각된 위험에 대한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서비스 위험, 사회적 위험, 음식 위험, 재정적 위험, 기회 손실 위험, 문화적 위험, 신체적 건강 위험, 시간 손실 위험의 8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다. 한식당에 대해 지각된 위험 요인을 이용하여 군집 분석을 실시한 결과 3개의 군집으로 세분화하였다. 중국인 관광객은 한식당에서 문화적 위험을 가장 높게 지각하고 있었으며, 군집별 지각된 위험요인과 위험 감소전략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군집 2는 한식당에 대해 지각된 위험 8개 요인 모두 높게 인식하고 있는 반면에 군집 3은 다른 두 군집에 비해 위험 지각이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 KCI등재

        Source Process Model을 기반으로 한 관광객의 음식점 결정을 위한 정보 원천과 음식점 선택속성 중요도

        서선희 한국관광학회 2012 관광학연구 Vol.36 No.3

        When considering the frequency of tourists' restaurant dinning experiences and related expenditure during travel periods, selecting where and what to eat can be one of the most critical part in traveler’s information search behavior. Thus, restaurant choices during travel period need to be understood and traveler’s restaurant information search behavior should be explored. As suc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compare traveler’s restaurant information sources and perceived importance of restaurant selection attributes among their daily life, before travel, and during travel period. A total of 345 persons who had travelled in the last 6 months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T-test and repeated measures ANOVA were us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the usage of information sources and importance of restaurant selection attributes among their daily life, before travel, and during travel period. Total participants responded they used past visiting experience when they visit restaurants for daily life, whereas they mentioned friends/family were highly used information source during travel. They also considered sanitation/cleanliness as the most important attributes to choose restaurants both daily life and during travel period. 전체 여행 경비 중 외식으로 지출되는 비용과 외식활동은 중요한 관광 요인임을 고려할 때 음식점 선택은 여행객의 정보탐색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이므로 관광객의 음식점 결정을 위한 정보 탐색과 음식점 선택 행동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여행 출발 전과 여행 기간 중 이용하는 음식점 정보 정보원천과 그 중요도를 파악하고 여행 중 방문할 음식점에 대한 계획을 여행 전에 미리 수립하는 관광객 집단과 계획 없이 음식점을 방문하는 관광객 집단 간에 음식점 선택 속성 중요도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최근 6개월 동안 여행을 경험한 개별관광객을 연구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온라인 설문을 이용하여 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345명이 참여하였다. 설문 문항으로는 일상생활 중 이용하는 음식점과 여행 결정전과 여행기간 중 이용하는 음식점 탐색을 위한 정보원천 중요도, 일상생활 중 이용하는 음식점과 여행기간 중 이용하는 음식점 선택속성 중요도, 여행 관련 특성 등이 포함되었다. 일상생활 중 이용하는 음식점과 여행 기간 중 이용한 음식점 결정을 위한 정보 원천 이용도와 음식점 선택속성 중요도간의 차이와 여행 출발 전과 여행기간 중 음식점 결정을 위한 정보 원천 이용도와 음식점 선택속성 중요도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여행 전 방문할 음식점을 미리 계획하는 관광객 집단의 평상시, 여행 출발 전, 여행 중 음식점 정보원천 이용도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Repeated measures ANOVA를 실시하였다. 전체 응답자 중 여행 전 방문할 음식점을 미리 계획하는 관광객은 총 85명이고 여행 전 방문할 음식점을 미리 계획하지 않는 관광객은 총 260명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들이 평상시에 이용하는 음식점 정보 원천은 ‘과거 음식점 방문 경험’ 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여행 중에 이용하는 음식점 정보 원천으로 ‘친구/친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평상시와 여행중 모두 음식점 선택시 ‘음식점의 위생/청결 상태’ 를 가장 중요한 속성으로 응답하였다. 선계획 관광객 집단의 평상시, 여행 전, 여행 중 이용하는 음식점 정보 원천 차이를 보면 평상시에는 과거 음식점 방문 경험을 이용하지만 여행 전에는 신문/잡지와 관광책자를 이용하여 정보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계획 관광객 집단은 선계획 관광객 집단보다 주차 용이성을 더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나 미리 음식점을 계획하지 않은 관광객들은 여행 중 주차가 용이한 음식점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었다. 선계획 관광객 집단과 무계획 관광객 집단의 음식점 정보 원천 이용도에서 유의적 차이를 분석한 결과, ‘친구/친지’, ‘현지주민’, 과거 음식점 방문 경험’, ‘TV/라디오’는 무계획 관광객 집단 보다 선계획 관광객 집단이 유의적으로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간판’은 선계획 관광객 집단보다 무계획 관광객 집단에서 유의적으로 더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계획 관광객 집단과 무계획 관광객 집단 모두 특별한 음식을 즐기기 위하여 여행 중 음식점을 선택하는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 이는 계획 유무에 상관없이 관광객들은 관광지에서만 맛 볼 수 있는 특별한 음식을 먹고자 하는 욕구가 강한 것으로 해석된다.

      • KCI등재

        대만 현지인의 한식 레스토랑에 대한규범적 기대와 예측적 기대

        서선희,윤나라,서해나,吳紀美 한국관광학회 2012 관광학연구 Vol.3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만인의 한식 레스토랑에 대한 기대 수준을 규범적 기대와 예측적 기대로 나누어 한식 레스토랑에 대한 기대 수준을 비교하고 기대를 형성하는 요인들의 영향력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최근 1년간 한식 레스토랑을 방문한 경험이 있는 대만인들을 대상으로 총 5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이 중 397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고 불성실하게 응답한 표본을 제외한 298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규범적 기대와 예측적 기대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고,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기대 형성 요인들의 규범적 기대와 예측적 기대에 대한 영향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 대만인이 한식 레스토랑에서 반드시 받아야 하는 서비스의 기대 수준인 규범적 기대는 음식과 관련된 품질보다 서비스와 관련된 품질 항목에서 높았다. 소속감지향성 가치와 즐거움지향성 가치가 높을수록, 과거경험이 긍정적일수록 규범적 기대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hould and will expectation to Korean foods restaurants for Taiwanese consumers and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past experience, price, tangibles, image, word-of-mouth, third parties, and value on should expectation and will expectation to Korean foods restaurants. A total of 298 Taiwanese who have experienced Korean foods restaurants in last 12 month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test was us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should expectation and will expectation to Korean foo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influences of past experience, price, tangibles, image, word-of-mouth, third parties, and value on should and will expectation to Korean foods restauran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aiwanese will expectation to Korean foods restaura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should expectation to Korean foods restaurants and that value and past experiences had a strong influence towards should expectation to Korean foods restaurants. And especially, sense of belonging value and entertainment value strongly influenced should expectation and will expectation. The manageri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1970년대 이래의 한국 가족의 변화와 앞으로의 변화 방향

        서선희 한국가족관계학회 1999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4 No.1

        Many studies have argued that the Korean family has been widely changed since the 1970's. But the family change from the '70's to the '90's should not to be approached as the same in its quality. It is because the change before the middle of the 90's includes 'modern' characteristics while the change after the time shows 'post-modern' characteristics. The first change did not challenge the importance of the family in human life and the existing idea of what the family was despite of the rapid changes. In contrast to this, the later change tends to challenge the value of the family and the marriage. Arguing that the present is the time for reflecting the family change since the 1970's and exploring new orientation of the change for the future Korean family, this study proposes several guides for the future change: 1) the family should continue to be preserved as a necessary institution for human life; 2) the family which is based on the marriage, child, and parenthood is to be a general type of the family; 3) the tradition of the Korean family such as treasuring family, relative relationships, filial piety, and the strong solidarity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s to be conserved; 4) the present Korean family is to be changed more equally in terms of relative relationships, sexual division of labor, husband-wife relationships; 5) family policie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he family is to be more actively developed and practiced.

      • 광주 여성의 생산활동 : 1950 년대 중반부터 1990 년 말을 중심으로 From the Middle of 1950`s to the End of 1990`s

        서선희 한국가정과학회 2001 한국가정과학회지 Vol.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oth to describe and to explain the shapes and the changes of Kwangju women's productive activities from the middle of 1950's to the end of 1990's. Productive activities in this study include wage labors as well as economic activities in informal labor sector and domestic labor. Three factors - economic structure, the family, and women's consciousness - are drawn to explain women's work in Kwangju. The period from the middle of 1950's to the end of 1990's has been divided into 5 stag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women's work at each stage are as follows : Kwangju women during 1950's worked hard and contributed to the family economy not only inside but also outside the family: during the second stage from 1960's to 1970's, they accomplished not only the traditional women's role but also industrial wage worker: the third period of the first half of 1980's was the time for the development of social consciousness: the fourth period from the end of 1980's to the beginning of 1990's was the time when women tried to solve their problems by themselves: during the last period from the middle of 1990's to the end of 1990's. Kwangju women wanted to establish their identities in the independent area from their families.

      • KCI우수등재

        레스토랑 관련 행동 모방 연구 - ‘맛집’ 검색과 방문을 중심으로 -

        서선희,유은주 한국관광학회 2018 관광학연구 Vol.42 No.9

        다른 소비자의 행동을 모방하는 경우는 레스토랑 선택 의사결정 과정에서도 다양하게 발생한다. 맛집 검색과 방문은 모방 행동의 전형적인 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식산업에서 맛집 검색에 내재된 고객의 모방 행동에 대한 관심은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레스토랑 이용 시 나타나는 모방 행동을 탐구하고자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20대 8명, 30대 6명, 40대 5명, 50대 8명의 남녀가 (남성 9명, 여성 18명) 연구에 참여하였다. 레스토랑 이용 시 타인을 모방하는 행동의 일환으로 맛집 검색의 본질적 의미를 분석한 결과, 103개의 주요 진술과 13개의 구성된 의미, 4개의 주제군 [인증된 맛을 찾아, 기회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정성스러운 대접 차원에서, 최신의 다채로운 문화체험을 위해서]이 도출되었으며 최종적으로는 <가성비를 고려한 밥을 찾아서>로 정리되었다. 본 연구는 외식산업의 규모가 나날이 커지는 상황에서 소비자의 소비 패턴의 변화와 함께 레스토랑 이용 시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며,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는 전략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When mimicking the behavior of other consumers, there are a variety of choices in the restaurant selection decision process. The restaurant search is a typical example of mimicking psychology and mimic purchase behavior, and the psychology of visiting restaurants depending on the reputation of people is included in mimic behavior. Nevertheless, there is a lack of interest in customers’ mimicking psychology and behavioral research inherent in restaurant searches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This study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iew to understand mimicking psychology and mimic behavior in restaurants. Nine males and 18 females aged from their 20s to 50s participated in the focus group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ased on Colaizzi’s six steps method deriving 103 significant statements, 13 formulated meaning, and four themes: to find authentic taste, to reduce opportunity cost, to get gracious hospitality, and to experience the latest culture. Ultimately, these were integrated as “searching for value for money.” The results will help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decision making in restaurants as well as changes in consumer consumption patterns, and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trategies to meet the diverse needs of custom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