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위암환자의 치료 후 식사 경험 및 후미각 변화의 정성적 탐색

        윤나라,배정현,송기범,권선향,김미영,홍재희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23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Vol.38 No.4

        To develop customized food products for gastric cancer patients, it is crucial to understand their dietary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their perception of smell and taste due to their condition.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and administered olfactory and gustatory tests on 20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A control group of 20 healthy, gender and age matched individuals, was included for comparison. Patients reported difficulties in sustaining their appetite, particularly during chemotherapy. This could be attributed to gastrointestinal discomfort and an altered perception of smell and taste. The olfactory test revealed that cancer patients were significantly less sensitive than the control group. Also, a smaller number of participants in the cancer group were reported to have a normal taste function, which enabled them to perceive umami, one of the five basic taste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ese findings demonstrated that gastric cancer patients experience post-surgical digestive issues, chemotherapy-induced changes in smell and taste, and appetite los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se patients and the efficacy of the treatmen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not only their nutritional requirements but also other factors such as appetite loss and discomfort when developing meals specifically for them.

      • KCI등재

        국소 스테로이드 주사 후 발생한 Nocardia brasiliensis에 의한 파종성 노카르디아증 1예

        윤나라,이희정,홍수진,이준,김동민,장숙진,홍란 대한감염학회 2011 Infection and Chemotherapy Vol.43 No.4

        Nocardiosis in the immunocompromised host is a rare but life-threatening infection. Nocardia farcinica and N. asteroides have been reported as the most common causative pathogens of disseminated nocardiosis. It is well known that infection of N. brasiliensis can cause cutaneous nocardiosis mainly, but is rarely known to cause disseminated nocardiosis. We report a case of disseminated nocardiosis by N. brasiliensis . A 68-year-old male subject with no underlying disease developed painful swelling on both lower legs, as well as dyspnea. He was diagnosed with intramuscular abscess, pneumonia and brain abscess by N. brasiliensis . He underwent incision and drainage for intramuscular abscess, as well as antibiotic therapy, and was successfully treated.

      • KCI우수등재

        콘텐츠 창작과 AI 리터러시: LLM의 패러프레이징을 중심으로

        윤나라 인문콘텐츠학회 2024 인문콘텐츠 Vol.- No.72

        AI 리터러시는 인공지능이 편재하는 오늘날을 살아가는 인류에게 가장 필요한 역량 중 하나다. AI 리터러시 함양을 위해서는 의인화나 시각적 유비에 기댄 피 상적 접근이 아니라 인공지능의 내적 구조와 원리에 관한 객관적이고 직접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패러프레이징은 주어진 내용과 맥락을 다른 말로 바꾸어 표현 하는 행위를 일컫는 용어로, LLM 기반 생성 인공지능의 가장 주요한 특징 중 하 나다. 통상 인간의 패러프레이징이 앎과 사유에 관련하는 반면, LLM의 패러프레 이징은 그것에 전혀 무관하다. LLM의 핵심은 확률적 상관관계에 따라 가장 그럴 듯한 다음 단어를 늘어놓는 일종의 자동완성 알고리즘이다. 생성 인공지능을 활 용하는 경우에도 ‘사유하기’는 작가에게 중요한 역량이다. 작품활동은 인공지능 이 아니라 사람이 인공지능‘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스티븐 마쉬 (Stephen Marche)가 2023년 초에 발표한 중편 소설 어떤 작가의 죽음(Death of an Author)을 사례 삼아 작품활동과 AI 리터러시의 상호작용을 살펴본다. 마쉬는 여러 LLM 들의 특성과 원리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일종의 “사유 엔진”처럼 활용함으로써 소설 속 문장의 95% 이상을 LLM으로 생성한 다음 이 를 다듬어 소설을 완성했다. 마쉬의 접근은 콘텐츠 생성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작 품활동의 맥락에서 체계적 감독, 선별적 조직, 총괄적 지휘 등 작가의 제작자적 면모가 점차 더 중요해지고 있음을 예증한다. Making artwork and content creation using contemporary generative AI requires many aspects such as systematic supervision, comprehensive coordination, precise orchestration as well as AI literacy. AI literacy consists of precise and accurate understandings of an AI's internal structure and system, rather than anthropomorphic metaphors or superficial analogies. Paraphrasing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LLMs like ChatGPT. Since humanity has long been relating one's paraphrasing capabilities to intellectual abilities such as reasoning and/or thinking, users of LLMs sometimes unconsciously regard them as being able to "really" think, or even to reason. However, LLMs are nothing more than highly advanced auto-completion algorithms, which simply generate plausible sentences at high speed by putting subsequent words according to probabilistic correlations. Although LLMs do not and cannot reason, such features and performance allow artists and content creators to leverage LLMs as a “reasoning engine”.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potential benefits of taking advantage of contemporary generative AIs in artwork making and/or content creation, particularly on contemporary LLMs such as chatGPT.

      • KCI우수등재

        프롬프트 엔지니어링과 인간의 역할 : 콘텐츠 생성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윤나라 인문콘텐츠학회 2023 인문콘텐츠 Vol.- No.70

        레이턴트 디퓨전은 우리 시대 대부분의 생성 인공지능의 기반을 구성하는 핵심 원리 중 하나다. 레이턴트 디퓨전은 노이즈를 결과물 생성 단계뿐만 아니라학습 및 훈련 단계에서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이 방식에 근거한 동시대 생성인공지능은 사용자가 입력한 프롬프트에 부합하는 결과물을 완전 노이즈로부터생성해낸다. 동시대 생성 인공지능은 마치 사용자가 무엇을 원하는지 행간까지파악한 다음 깜짝 놀랄 만큼 높은 수준의 결과물들을 통상의 인간이라면 불가능에 가까울 만큼 빠른 속도로 쏟아내는 듯 보인다. 그러나 모든 인공지능은 소프트웨어고, 어떤 소프트웨어도 사용자가 작동시키기 전에 먼저 알아서 작동하지않는다. 즉 생성 인공지능을 활용한 문화예술 콘텐츠 작품활동은 인공지능의 독자적 활동이 아니라 생성 인공지능이라는 또 하나의 새로운 창·제작 도구를 손에쥔 아티스트와 인공지능의 협업으로 보는 편이 더 타당하다. 동시대 생성 인공지능을 보다 더 적확한 방식으로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은 결과물 위주 피상적관찰이 아니라 과정과 원리를 중심으로 한 논리적·체계적 사유 역량이다. 이를위해, 본 연구는 인공지능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문화예술 콘텐츠 사례를 하나 선정하여 결과물의 특성을 작업 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아울러 그 과정에서 활용된 인공지능의 구조 및 작동 원리도 함께 분석한다. Generative AI undoubtedly constitutes an important technological advance, particularly from the point of view of artistic creation. It appears to produce highly sophisticated and faithful results at a speed that would be practically impossible for a human artist. Sometimes it even seems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a given input or prompt. However, generative AI is not a magic wand but a new creative tool. Despite such incredible features and performance, the results are arguably not “of” AI but “by” AI, because all AI is software. And no software can operate automatically, autonomously and/or independently, without the intervention as well as the operation of its user. To understand contemporary generative AI more accurately, it is more recommended to understand the internal principle and process rather than superficial observation. Latent diffusion is one of the fundamental models of most contemporary generative AI, and noise is one of the key elements of the latent diffusion model. Contemporary generative AI uses noise not only in the learning and training process, but also in the production phase.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principles of contemporary generative AI, as well as to ponder the attitude of the artist as its user or, at the very least, its collaborator.

      • KCI우수등재

        콘텐츠 생성 인공지능에 관한 이해 : ‘진부함’과 ‘진부하지 않음’을 중심으로

        윤나라 인문콘텐츠학회 2023 인문콘텐츠 Vol.- No.68

        This article aims to diagnose the particularities of the current situation looming around contemporary generative AIs and the results they generate. Contemporary generative AIs have unprecedented black-box characteristics, not only because they are trained using data and databases beyond the scale of human imagination, but also they are based on very large-scale multi-layer deep artificial neural networks. Traditional and conventional approaches of epistemology have never been recommendable for understanding an AI as a black-box, and they are becoming increasingly inappropriate as the black-box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I grow stronger. The concept of triviality(Trivialität) and non-triviality(Nichttrivialität) of Heinz von Förster could provide us with a starting point not only to better understand contemporary generative AI, but also to embrace it as an other or ‘another’ creative entity. 대규모 심층 인공 신경망에 기반을 둔 동시대 인공지능은 오늘날의 정보기술과 이 기술이 구축하는 고도의 기술환경을 대변한다. 이른바 알파고 이후 다양한 유형과 수준의 인공지능들이 불식간에 우리의 일상 도처에 편재하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인공지능에 관한 신화적 오해는 여전하다. 인공지능이 학습하는 데이터는 이미 이번 세기 초에 양적·질적 측면 모두에서 통상의 인간이 가늠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섰으며, 구조와 원리 또한 기존의 전통적이고 관습적인 인과론만으로는 충분히 설명하기 어려운 수준까지 고도화되었다. 이러한 비관습적(Unconventional) 특성은 결과물에도 가감없이 반영되며, 문화예술 콘텐츠와 관련한 경우 특히 강하게 드러난다. 이러한 현상들을 보다 근본적인 층위에서 이해하고 포용하기 위해서는 그에 어울리는 동시대적 관점을 함양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하인츠 폰 푀르스터(Heinz von Förster)의 진부함(Trivialität)과 진부하지 않음(Nichttrivialität)의 관점에서 동시대 콘텐츠 생성 인공지능을 활용한 문화예술 콘텐츠 작품활동의 사례를 살펴보고, 그렇게 함으로써 오늘날의 인공지능을 우리 시대 기술환경으로부터 창발하는 또 하나(Another)의 지성과 창의로 인정하고 포용하는 인식의 전환점을 모색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