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주방용오물분쇄기 도입 타당성 연구: 서울시 시범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성진 ( Sung Jin Bae ),박재람 ( Jae Ram Park ),함근용 ( Geun Yong Ham ),곽예봉 ( Ruifeng Guo ),최선봉 ( Sun Bong Choi ),서동천 ( Dong Cheon Seo ),이동훈 ( Dong Hoon Lee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7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7 No.-

        음식물류폐기물은 배출, 수거 및 처리단계에서 여러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배출 및 수거 단계에서는 보관용기 주변에서 발생되는 악취 및 해충 등 위생상의 문제점, 처리 단계에서는 음식폐기물 재활용 산물의 낮은 품질로 인한 유통상의 문제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서울연구원에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가정 생활폐 기물을 배출하는 데 있어서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것이 음식폐기물의 배출(50.7%)이라고 응답하였고 주방용오물분쇄기(이하 디스포저) 사용이 허용된다면 사용할 의사가 있다는 응답이 매우 높았다(82.8%). 이에 따라 서울시에서는 디스포저 도입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2009년과 2010년 및 2015년에 배수전처리, 정화조병합, 고액분리 등 총 3가지의 전처리시스템에 대한 시범사업을 실시하였다. 모니터링 항목에는 음식폐기물발생원단위, 디스포저 오수 발생량 및 오염부하량, 디스포저 사용 전후 오수의 성상 변화, 및 주민설문조사 등이 포함되었다. 시범사업의 모니터링 결과, 음식물류폐기물 발생원단위는 0.12~0.15kg/cap·dayfh 측정되었는데, 이는 환경부통계 자료의 30~50% 수준이었다. 주방오수발생량원단위는 29.9L/cap·day, 분쇄오수발생량원단위는 4.1L/cap·day로 측정되었으며, 이는 일본의 국토교통성에서 제시한 자료(30L/cap·day, 5L/cap·day)와 거의 일치하였다. 디스포저 사용 후 배수전처리시설과 정화조병합처리시설 및 고형물회수시설 후단에서 측정된 각각의 BOD는 20.9, 67.8 및 129.0mg/L, SS는 63.7, 47.5 및 63.0mg/L, n-Hexane 추출물질은 18.8, 27.5 및 54.0mg/L를 나타내었다. 시범사업을 통해 전처리시설을 설치하고 디스포저를 사용하는 경우에 공공하수도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사용 주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현재 법으로 금지되어 있는 디스포저 사용이 허용될 경우 90% 이상의 주민이 사용할 의향이 있다고 조사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항암제에 의해 내성이 유도된 골종양세포 Saos-2의 유전자 발현변화

        민재(Min Jae Bae),송인환(In Hwan Song),김성용(Seong Yong Kim) 대한해부학회 2007 Anatomy & Cell Biology Vol.40 No.4

        사람 악성 골종양세포주 Saos-2에 내성을 유도하여 항암제에 내성을 가진 세포를 제작하여 내성과정에서 변화된 유전자의 발현을 조사하고, Saos-2에 항암제를 투여하였을 때의 유전자 발현변화와 비교하여 이들 유전자들 간의 관련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Adriamycin, cisplatin, vincristine 각각의 항암제에 내성을 유도하여 각각 10-7M 농도에 내성을 가진 사람 악성 골종양 세포주(Saos-2AdR, Saos-2CpR, Saos-2VcR)들을 제작하였다. Saos-2와 항암제 내성세포들에게서 RNA를 추출하여 유전자의 발현변화를 cDNA microarray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GeneChip에 있는 전체 54,675개 유전자 중에서 ‘P (present)’로 판정된 유전자는 Saos-2의 경우 18,215개 (33.3%)였으며 Saos-2AdR은 19,434개 (35.5%), Saos-2CpR은 20,831개 (38.1%), Saos-2VcR은 19,637개(35.9%)이었다.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 (DEG)는 평균 강도가 Saos-2에 비하여 2.5배 이상 발현차이가 나는 유전자들을 선정한 결과 Saos-2와 Saos-2AdR사이에는 417개의 유전자가 발현변화를 보였으며, Saos-2와 Saos-2CpR사이에는 2,536개, Saos-2와 Saos-2VcR사이에는 225개의 유전자가 발현변화를 보였다. Saos-2에 비하여 Saos-2AdR, Saos-2CpR, Saos-2VcR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발현변화를 보이는 유전자는 87개였다. Saos-2에 24시간동안 adriamycin을 처리하여 세포사 과정에서 발현이 0.5배 이하로 감소한 46개 유전자 중에서 내성획득과정 중 2배 이상의 발현 증가를 보인 유전자는 Saos-2AdR에서는 3개 Saos-2CpR에서는 5개 Saos-2VcR에서는 1개였으며, 세포사 과정에서 2배 이상 변화한 유전자 86개 유전자 중에서 내성획득 과정 중 Saos-2AdR에서는 1개 Saos-2CpR에서는 4개 Saos-2VcR에서는 1개 유전자가 0.5배 이하로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Saos-2 세포에서 세포사 과정뿐 아니라 항암제 내성 생성과정 중에도 단백질 folding, 세포골격, 세포부착, 운반, 전사조절, 세포주기조절, 혈관형성 등에 관여하는 많은 유전자들의 발현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많은 변화들이 암세포의 항암제에 대한 내성획득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여함을 알 수 있다. During the treatment of cancers, especially with anticancer drugs, the recurrence of cancer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survival rate. The most common cause of the recurrence is the resistance of cells to anticancer drugs. To explore and analyze the changes of gene expression during the induction of resistance by anticancer drugs in human osteogenic cancer cell line Saos-2. The drug resistance was induced with adriamycin, cisplatin or vincristine at 10-7 M concentration of each and cDNA microarray was performed. Total RNA was purified from Saos-2, adriamycin-resistant (Saos-2AdR), cisplatin-resistant (Saos-2CpR) and vincristine-resistant (Saos-2VcR) and expressed genes were investigated with a Affymetrix Human HG-U133Plus2.0 GeneChipTM. The genes of anticancer drug resistant cells that showed more than 2.5 fold expression change than Saos-2 were selected for differential expression. Four hundred seventeen genes were selected for Saos-2 vs Saos-2AdR. Two thousand five hundred thirty six genes were selected for Saos-2 vs Saos-2CpR. Two hundred twenty five genes were selected for Saos-2 vs Saos-2VcR. Eighty seven genes were selected for common differential expression. The results showed that many genes were changed in expression during the acquiring of resistance to anticancer drugs but most of genes were not in common among the three anticancer durg-resistant Saos-2. This means the different anticancer drug takes the different mechanism for acquiring resistance to anticancer drug even we use same cells.

      • KCI등재

        인도네시아의 산림 파트너십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 기대와 도전 - 롬복 산림 파트너십 사례를 중심으로 -

        재수 ( Jae Soo Bae ) 한국임학회 2016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5 No.3

        인도네시아의 산림 파트너십 제도는 지방 산림관리소(KPH)를 포함한 허가·권리 보유자와 지역주민 간 계약체결을 통해 산림을 관리하고 수익을 배분하는 제도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산림 파트너십 제도를 도입한 초기에 인도네시아의 롬복 산림 파트너십에 참여한 지역주민의 인식을 바탕으로 본 제도가 직면한 도전 과제를 도출하는 데있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산림관리소(KPH)와 지역주민이 체결한 인도네시아 최초의 롬복 산림 파트너십에 참여한 지역주민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롬복의 지역주민은 산림 파트너십에 대한 정보를 전적으로 KPH와 NGO로부터 획득하고 있다. 롬복의 지역주민은 소득 증진을 기대하고 산림 파트너십에 참여하였으며 목재 생산을 가장중요하고 성공 가능성이 높은 소득증진 사업으로 인식하였다. 이런 측면에서 관할 지역의 특별산림을 지역주민이 이용할 수 있도록 허가해 주고 이로부터 발생하는 수익을 지역주민과 나누고자 하는 KPH의 리더십은 산림 파트너십성공의 핵심 요소이다. 또한 지역주민의 소득 증진 사업을 개발하고 이행할 수 있도록 KPH의 능력을 배양하는 것은 산림 파트너십이 당면한 도전 과제이다. 롬복 산림 파트너십에 참여한 지역주민은 수익배분 비율이 매우 높음에도 불구하고 만족도는 평균에 그쳤다. 또한 조합은 조합원에게 산림 면적 및 위치를 할당하는 민감한 사안을 다루어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 지역주민 조합이 형평성과 투명성의 원칙을 지키며 전 조합원의 참여와 합의를 이끌어내는 것은 산림 파트너십의 도전 과제가 될 것이다. The “Forest Partnership” mechanism in Indonesia allows those with authority to manage forests, including Forest Management Units (KPH) and concession holders, to partner with local communities for forest management and profit sharing.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llenges that this new mechanism is facing and develop practical policy recommendations for its successful implementation.「Lombok Forest Partnership」is the first of its kind in Indonesia between Forest Management Unit (KPH) and a local community. The local community members participating in this partnership were surveyed for their expected outcomes, degree of their satisfaction about the process and profits sharing, as well as other factors affecting their participation.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have obtained the information on Forest Partnership completely from KPH and NGO. Local peoples participated in Lombok Forest Partnership to improve their incomes, and recognized timber production as the most important income source with high possibility of success. However, timber production will require sizable initial capital investment for establishing nursery and other supporting activities, which cannot come from local communities lacking economic means. Thus, Forest Partnership would be difficult to succeed if KPH does not take the initiative to permit and promote local community to use special area and generate profits in their jurisdiction. KPH, in turn, can share the profits with local peoples. In this regard, KPH’s leadership is the key factor in the success of Forest Partnership. However, KPH will need to cultivate their capacity to develop and implement income-generating business with local community. Although profit sharing ratio of timber and non-timber forest products among local community who participated in Lombok Forest Partnership was very high at 75%, and 90%,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profit sharing ratio was only average. The cooperative organized by the local community is also dealing with sensitive nature of allocating forest area internally among their members. Thus, keeping the principle of fairness, equity and transparency is the key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Forest Partnership mechanism. This first case of Forest Partnership can serve as a model for the future cases and provide the early lessons.

      • KCI등재

        서양어 문헌 목록으로 살펴본 19세기 후반∼20세기 초 한국에 관한 지식의 생산ㆍ축적 현황

        민재(Bae, Min-jae) 한국사학회 2021 史學硏究 Vol.- No.141

        본 연구에서는 서양어 문헌 목록에 수록된 한국 관련 저술을 바탕으로, 19세기 후반 이후 한국 관련 서양어 저술의 생산ㆍ축적에서 나타난 변화들을 추적하였다. 19세기 후반은 한국과 서양의 접촉이 본격화된 시기였던 만큼, 한국에 관한 다양한 서양어 저술이 출간되기 시작하였다. 한국의 연구자들이 개항기 서양인의 한국 인식에 주목하기 시작한 것은 약 반세기 이상의 시간이 흐른 이후였다. 개항 이후에 출간된 한국 관련 서양어 저술이나, 재한 서양인의 정기간행물들이 그동안 많은 연구자의 주목을 받아왔지만, 그러한 활동과 그 결과물이 한국에 관한 지식의 지형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였으며, 해당 시기 지식이 생산, 유통되는 방식과는 또 어떠한 관련이 있었는지는 조명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9세기 후반의 정치ㆍ사회적 변동을 계기적으로 인식하되 접촉 지대가 형성되었다는 점에 주목하여, 한국에 관한 지식이 생산되는 구체적인 맥락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서양어 문헌목록을 토대로 한국 관련 저술이 생산ㆍ축적되어온 흐름을 파악, 19세기 후반∼20세기 초 지식 생산의 주체가 현지 사회와 접촉하는 밀도의 변화와 그에 따른 지식 분화의 양상도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로써 해당 시기 한국에 관한 서양의 지식이 어떠한 근거와 맥락 속에서 생산되고 있었는지를 밝히고, 추후 장기지속적인 흐름에서 그 변화를 추적하는 연구의 출발점으로 삼고자 한다. This study tracked changes in the production and accumulation of Korean-related western writings since the late 19th century, based on the bibliographical works on Korea. In the late 19th century, various western writings on Korea started to get published, as the contact between Korea and the West began in earnest. It was after more than half a century that Korean researchers began to pay attention to the western perceptions of Korea during the opening period. Although many studies have been showed interest in western literature on Korea that was produced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 it was not revealed what role those writings have played in the western knowledge on Korea and how the knowledge was produced or distributed at the time. This study tries to examine the specific context in which knowledge about Korea was produced, noting that the political and social changes in the late 19th century were recognized instrumentally, but that contact areas were formed. Based on several bibliography lists, this study identifies the trend of western knowledge of Korea, and also explains the changes in density of the producing agents and Korean society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The main purpose is to reveal the basis and context of western knowledge of Korea at the time, and use it as a starting point for research to track changes in the long-term continuous flow.

      • KCI등재
      • KCI등재

        1930년대 한국 관련 서양어 문헌 목록의 편찬 경위와 분류체계 분석

        민재 ( Bae Min-jae )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한국학논총 Vol.55 No.-

        This study analyzes the background, purpose, and implications of the bibliography of western literature on Korea published in Transactions vol.20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in 1931, based on the trends of Korean-related writing activities. In the list of corresponding texts allegedly written by Horace Horton Underwood, a second-generation of a missionary to Korea, more than 2,800 works of western literature on Korea are categorized and placed under 14 sections, 24 divisions, and three subcategories. This list of texts has drawn the attention of Korean history researchers since the 1970s, but it did not shed light on how and what the list of texts was compiled intellectually. This work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cognition of the main agent who compiled the bibliography through the classification system, and the academic discourse, and also the social space in which the collection and classification of knowledge was produced. A bibliography is a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Westerners' perception of Korea in the early 20th century, given that knowledge is a means of providing a holistic understanding of the world. Various writings on Korea produced by Westerners in Korea have been served as a prior conception, and was consumed as information and knowledge by the Western world, based on their close observation and experience. Analyzing the deeds of the Westerners studying Korea and collecting, classifying literature about it, will be a starting point to shed light on the superimposition and reciprocity of the Western perception on Kore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