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인도네시아의 산림 파트너십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 기대와 도전 - 롬복 산림 파트너십 사례를 중심으로 -

        배재수 ( Jae Soo Bae ) 한국임학회 2016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5 No.3

        인도네시아의 산림 파트너십 제도는 지방 산림관리소(KPH)를 포함한 허가·권리 보유자와 지역주민 간 계약체결을 통해 산림을 관리하고 수익을 배분하는 제도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산림 파트너십 제도를 도입한 초기에 인도네시아의 롬복 산림 파트너십에 참여한 지역주민의 인식을 바탕으로 본 제도가 직면한 도전 과제를 도출하는 데있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산림관리소(KPH)와 지역주민이 체결한 인도네시아 최초의 롬복 산림 파트너십에 참여한 지역주민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롬복의 지역주민은 산림 파트너십에 대한 정보를 전적으로 KPH와 NGO로부터 획득하고 있다. 롬복의 지역주민은 소득 증진을 기대하고 산림 파트너십에 참여하였으며 목재 생산을 가장중요하고 성공 가능성이 높은 소득증진 사업으로 인식하였다. 이런 측면에서 관할 지역의 특별산림을 지역주민이 이용할 수 있도록 허가해 주고 이로부터 발생하는 수익을 지역주민과 나누고자 하는 KPH의 리더십은 산림 파트너십성공의 핵심 요소이다. 또한 지역주민의 소득 증진 사업을 개발하고 이행할 수 있도록 KPH의 능력을 배양하는 것은 산림 파트너십이 당면한 도전 과제이다. 롬복 산림 파트너십에 참여한 지역주민은 수익배분 비율이 매우 높음에도 불구하고 만족도는 평균에 그쳤다. 또한 조합은 조합원에게 산림 면적 및 위치를 할당하는 민감한 사안을 다루어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 지역주민 조합이 형평성과 투명성의 원칙을 지키며 전 조합원의 참여와 합의를 이끌어내는 것은 산림 파트너십의 도전 과제가 될 것이다. The “Forest Partnership” mechanism in Indonesia allows those with authority to manage forests, including Forest Management Units (KPH) and concession holders, to partner with local communities for forest management and profit sharing.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llenges that this new mechanism is facing and develop practical policy recommendations for its successful implementation.「Lombok Forest Partnership」is the first of its kind in Indonesia between Forest Management Unit (KPH) and a local community. The local community members participating in this partnership were surveyed for their expected outcomes, degree of their satisfaction about the process and profits sharing, as well as other factors affecting their participation.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have obtained the information on Forest Partnership completely from KPH and NGO. Local peoples participated in Lombok Forest Partnership to improve their incomes, and recognized timber production as the most important income source with high possibility of success. However, timber production will require sizable initial capital investment for establishing nursery and other supporting activities, which cannot come from local communities lacking economic means. Thus, Forest Partnership would be difficult to succeed if KPH does not take the initiative to permit and promote local community to use special area and generate profits in their jurisdiction. KPH, in turn, can share the profits with local peoples. In this regard, KPH’s leadership is the key factor in the success of Forest Partnership. However, KPH will need to cultivate their capacity to develop and implement income-generating business with local community. Although profit sharing ratio of timber and non-timber forest products among local community who participated in Lombok Forest Partnership was very high at 75%, and 90%,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profit sharing ratio was only average. The cooperative organized by the local community is also dealing with sensitive nature of allocating forest area internally among their members. Thus, keeping the principle of fairness, equity and transparency is the key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Forest Partnership mechanism. This first case of Forest Partnership can serve as a model for the future cases and provide the early lesson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미륵리 봉산석표에 관한 연구 - ' 문경읍 봉산 ' 및 조령봉산과 관련하여 -

        배재수(Jae Soo Bae) 한국산림과학회 1999 한국산림과학회지 Vol.88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Miruk-ri Bongsan Stone Landmark` found in 1997 and `Moonkyung County Bonsan` and Choryung Bongsan. Relevant literature was analyzed and the spots were investigated as well. Data used are geography book, maps, town chronicles and the Annals of the Chosun Dynasty in the late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 (1)`Miruk-ri Bongsan Stone Landmark` is inferred as Stone Landmark of Choryung Bongsan. (2)Choryung Bongsan was designated to protect a strategic forest lands established around the Choryung Pass for the defence of Chungju which is the door of Capital city, Hanyang, and connected to South Han River. (3)`Miruk-ri Bongsan Stone Landmark` seems to be erected at Miruk-ri because it was a spot of traffic importance, which connects among Choryung, Moonkyung County and Chungju County in notifying the importance of Bongsan to travelers.

      • KCI등재

        논문 : 식민지기 조선의 목재수급 추이 및 특성

        배재수 ( Jae Soo Bae ) 경제사학회 2005 經濟史學 Vol.38 No.-

        식민지기 조선에서 생산된 목재 생산량은 입목재적으로 연평균 약 14백만㎥~17백만㎥였으며, 이 중 연료재가 약 80%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1930년대 이후 만주개발수요의 증가, 공업화의 진전, 戰時資材의 확대 공급 등으로 산업용재 생산이 점차 증가하여 1940년대는 총 목재 생산량의 30% 이상을 차지하였다. 산업용재는 압록강, 두만강유역의 북부 국유림지대에서 주로 생산되었으며, 민유림에서 생산된 산업용재에 비해 질적으로 우량하였다. 1927년 대비 1941년 임목축적은 약 18% 감소하였으며 특히 북부지역의 임목축적은 같은 기간 29%가 감소되었다. 즉, 식민지기 목재 생산으로 인한 임목축적의 양적 감소는 연료재 생산이, 질적 감소는 국유림에서의 산업용재 생산이 큰 영향을 미쳤다. 식민지기 조선과 일본의 목재 무역량을 비교하면, 일본의 여러 식민지에서 이입된 총 목재 중 朝鮮産 목재가 차지하는 비중은 3.1%로, 이는 일본의 총 목재 소비량의 0.16%에 불과하였다 Annual average timber production of Korea was about 14-17 million ㎥ in the colonial period, about 80% of that was fuelwood. However, industrial timber production noticeably increased more than 30% of total timber production due to increase of demand for Manchuria development, advance of industrialization, and enlargement of timber production for wars, and particularly after 1930s. Most of industrial timber was produced from the northen area of national forests. Timber produced in this area was obviously superior to that of other areas. Timber resources of the national forests in Korea were exploited for the Government-General's financial purpose. The growing stock of the northern provinces located in the Amnok river and the Dooman river area dramatically decreased by 35-45% during 1927-1941. As the result, the dramatic decrease of growing stock by timber production was generated from both fuelwood production in the aspect of quantity and industrial timber production in the aspect of quality in the northern national forests. Korean timber exported to Japan was less than 3.1 percent of the Japanese imports from other colonial countries during 1910-1945.

      • KCI등재

        일제강점기 조선의 목재수급과 산림자원의 변화 : 빈약한 산림자원, 과도한 용재생산

        배재수(Bae, Jae Soo),김태현(Kim, Tae-hyun)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21 亞細亞硏究 Vol.64 No.1

        이 논문의 목적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목재수급 정책의 특성과 용재생산이 조선 산림의 지속성에 미친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제강점기 행정통계를 바탕으로 목재수급(1910~1945)과 산림자원(1924~1943) 자료를 구축하였다. 1927~1943년 동안 조선의 임야면적은 1.2%, 임목축적은 23%가 감소하였다. 같은 기간 임목의 연간 생장량 대비 134%의 벌채가 이루어져 산림의 지속성은 훼손되었다. 예외적으로 입목지 면적은 1927~1935년간 증가하였으나 1935년 이후는 유지 또는 낮은 비율의 감소 추세로 전환하였다. 일제강점기 조선의 목재 자급률은 90% 수준이었으며, 목재무역 수지는 1933~1934년을 제외하면 적자였다. 수이입 목재가 수이출 목재보다 2.7배 많았는데, 1936년까지는 중국과, 1937년 이후는 일본과의 목재무역이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조선총독부는 조선의 빈약한 산림자원을 알고 있었지만 조선임정계획(1926)을 수립하고 국유림에서 벌채량을 늘려 산림세입을 확대하였다. 그 결과 일제강점기 내내 압록강, 두만강 유역의 우량한 천연림은 베어졌고 국가 수준에서 조선 산림의 지속성은 훼손되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timber supply-and-demand policy of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nd its influence in timber production and sustainability in Joseon forests. Based on the administration statistics of Japanese occupation era, the data of timber supply-and-demand and forest resources, available for 1910-1945 and 1927-1943 respectively, were tabulated. The data revealed that total forest land area and growing stock decreased by 1.2%, and 23% respectively. Within the same timeframe, the rate of timber logged reached 134% in relation to the annual growth of all standing trees, damaging their sustainability. The area of stocking land increased between 1927 and 1935, which is an exceptional case. Since 1935, however, it had either remained the saame or dwindled. Joseon in Japanese occupation era was able to self-supply 90% of the nation’s wood demand, and excluding 1933-1934, its trade balance was in the red. The timber import was 2.7 times larger than the export, the majority of which originated from China prior to 1937, and Japan thereafter. Knowing Joseon forest’s meager state, Governor-General proceeded with Joseon Forest Policy Plan (1926) and increased the timber production from national forests, increasing forest revenues. Consequently, lush natural forests near Yalu and Tuman River basins were actively logged during the occupational period, crippling Joseon forest’s sustainability at the national level.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