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장애아통합어린이집의 초등학교 전이지원 과정 실행 현황과 중요성에 대한 통합교사의 인식

        배성현,손가화,이병인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3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situation of implementation and importance of transitional support process to elementary school for childcare teachers in inclusive settings.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by 195 inclusive childcare center teachers in Seoul and Kyeonggi area. Analysis on the situation of implementation and importance of transitional support process to elementary school which consist of family needs and support plan, educational support and follow-up after the transitional support process was conduct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the background variables which affected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of inclusive childcare center teachers resulted in significant differences. Specifically, family needs, support plan and the work experience as inclusive childcare center teachers, educational support according to the number of inclusive classes and follow-up after the transitional support process according to the teachers in charge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taken into account in this study. Second, in the situation of implementation and importance of transitional support process to elementary school and subdomains skill for inclusive childcare center teacher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ll domains of family needs and support plan, educational support and follow-up after the transitional support process. By analyzing the perception of inclusive childcare center teachers for the situation of implementation and importance of transitional support process to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provided the efficient and desirable direction of transitional support process fo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이 연구는 장애아통합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통합교사의 초등학교 전이지원 과정에 대한 실행 현황과 중요성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에 있는 195명의 통합교사를 대상으로 가족의 요구 및 지원계획, 교육전반에 대한 지원, 추후지도 및 평가지원의 단계로 이루어져 있는 초등학교 전이지원 과정에 대해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첫째, 통합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초등학교 전이지원 과정에 대한 실행 현황은 통합교사 경력에 따른 가족의 요구 및 지원계획, 통합반 수에 따른 교육전반에 대한 지원, 현재 담임반에 따른 추후지도 및 평가지원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합교사의 초등학교 전이지원 과정과 하위영역별 기술에 대한 실행 현황과 중요성 인식의 차이는 모든 영역인 가족의 요구 및 지원계획, 교육전반에 대한 지원, 추후지도 및 평가지원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는 장애아통합어린이집에서의 초등학교 전이지원 과정의 실행 현황과 중요성에 대한 통합교사의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취학 전 장애유아의 효율적이고 바람직한 전이과정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조직 구성원의 비윤리적 행동의 선행변수와 조직몰입

        배성현,김미선 한국경영교육학회 2006 경영교육연구 Vol.42 No.-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antecedents of employees' unethical behavio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explanatory variables for unethical behavior are classified as either personal characteristics or organizational factors.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include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tenure and self-efficacy. Organizational factors include corporate ethical value, code of ethics and ethics education, ethics officers and organization, and whistleblowing. The sample consists of 519 employees of 39 firm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nethical behavior between opposite gender. Age and tenure are not significant in explaining unethical behavior. Self-efficacy is not significant in explaining unethical behavior either.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do not explain unethical behavior at all. The corporate ethical value i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employee's unethical behavior. The corporate ethical value helps increas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code of ethics and ethics education play the most important roles in explaining both unethical behavio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doption of code of ethics and ethics education contribute to decrease unethical behavior and to increase organizational commitment. Ethics officers, organization and whistleblowing do not explain unethical behavio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s that organizational factors have stronger influence on unethical behavior than personal characteristics do. The results of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corporate managers when they undertake corporate ethics program. 본 연구는 조직 구성원의 비윤리적 행동의 선행변수와 비윤리적 행동 및 조직몰입과의 관계를 규명하려 하였다. 비윤리적 행동의 설명변수로는 인적특성 요인과 조직적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적특성 요인으로 자기유능감과 성별, 연령, 근무년수 등과 같은 인구통계적 변수를 채택하였다. 조직적 요인으로는 기업의 윤리가치, 윤리헌장 및 윤리교육, 윤리담당임원 및 조직, 내부고발 등으로 변수를 구성하였다. 29개의 기업 519명을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인구통계적 변수 가운데 성별에 따른 비윤리적 행동의 차이는 없었다. 연령과 근무년수도 비윤리적 행동을 설명하는 유의한 변수가 되지 못했다. 기업의 윤리가치는 구성원의 비윤리적 행동에 유의한 부(-)의 설명력을 보여주었다. 기업 윤리가치는 조직몰입도 함께 증가시켜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윤리헌장 및 교육변수는 구성원의 비윤리적 행동과는 선행변수 중 비윤리적 행동을 가장 잘 설명해주는 변수로 나타났다. 조직몰입에도 가장 중요한 설명변수이었다. 이 같은 결과에서 윤리헌장의 제정과 구성원에 대한 윤리교육은 비윤리적 행동을 제어할 수 있고 동시에 조직몰입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윤리담당임원 및 조직변수와 내부고발 변수는 각각 구성원의 비윤리적 행동과 조직몰입에 유의한 설명력이 없었다. 자기유능감 변수도 비윤리적 행동을 전혀 설명해주지 못했다. 비윤리적 행동이 인적요인 때문인가 아니면 조직적 요인 때문인가에 대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조직적 요인이 보다 더 영향력이 컸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기업윤리 실천에 중요한 의미를 가져다준다.

      • 九星氣學의 「운명개조」 방위학이란

        배성현 한국정신과학학회 1999 한국정신과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10 No.-

        기학 (氣學)은 움직이는 동 (動)이다. 이 세상에 태어날 때, 처음 받아마시는 공기 대기 (大氣)와 당시 하늘의 음양기력 천간 (天干), 땅의 음양 기력 지지 (地支), 음양이 없는 주어진 태어난 해의 「자신의 기력」 삼위일체 (三位一體) 기력과 현재 발생하는 대 자연의 기력이 어떻게 적응하고, 혼돈(渾沌) 「믹사」 시켜 나가는 요령 여하에 따라 살아가는 문제는 달라진다. 때문에 사람의 운영은 숙명척인 한계로 보지않고, 방위학과 기상학을 유익하게 활용하면, 얼마든지 자신의 운영개조는 이루어 질 수 있는 것이다. 하늘이 만들어 놓은 방도 (方道)와 우주만산의 요체는 음양이 기준되므로, 음양 없는 사람의 기성이 어느 방향에 부디쳐나가는 가에 따라 사람의 길흉의 운명이 달라지는 것으로 본다. 하늘과 땅 사이의 공간은무색, 무체형태로 사람으로 비하면 「혼」 「정신」 기력으로 이루어져 있고 우 ( 추 ) 라고 부르며 주 (宙) 는 「체」 「시간」 으로 보아, 체는 만물을 식별할 수 있는 기능은 있지만, 시간은 몸체를 잡아먹는다. 즉, 사랑은 정신 (혼)과 체(육체)가 동거하는 존재로, 종종 발생하는 뇌사, 식물 인간들의 말을 드러 이해하리라 생각된다. 한 몸속에 육체와 정신 (혼)은 별개 차원에서 두 핵의 요소가 활동하고 있으며, 이러한 활동능력을 사람들은 「생활」 이라 부른다. 불교에서는 육체를 색법이라 부르고, 혼은 심법이라 부르며 법 (法)은 글자 그대로 (?) 변은 물 흐름에 따라 (去) 가 사라지는 원리를 따라 물맥은 있어도 시대 따라 변천한다. 음양오행 「밤과 낮」 「행과 불행」 「건강과 질병」 「부자와 빈곤」 「아비와 자식」 등등 찾아보면 많은 대립관계를 찾아 볼 수 있다. 또한 어느 한편이 없으면, 형태가 불가능해지고, 음양 표이일체가 부다침으로 동력이 생긴다. 나무 역시, 나무뿌리 근 (根), 가지 지 (技), 잎 엽 (棄), 삼위일체가 형성되므로, 나무의 생명, 성장이 가능해지고, 잎은 바람의 진동에 의하여 성장이 가능하다. 이러한 현상을 음양으로 분리해보면, 나무가지, 잎의 진동, 분화작용으로 성장이 가능한데, 어디까지나 태양의 열 양기가 있으므로 식물체 의 생명이 유지되며 근원적인 읍기는 땅속의 나무뿌리에 있는 것이다. 한마디로 봄철에 아름다운 꽃봉오리는 탐스러운 열매를 얻기 위한 「인내와 시간」이 필요하고, 그 근원에는 음기의 뿌리가 있으며, 탐스러운 열매를 얻기 위한 양기의 자양열이 없으면 불가능하다.

      • KCI등재

        산업용 상지 웨어러블 로봇에 대한 정성적 사용성 평가 가이드라인 연구

        배성현(Sung Hyun Bae),신종규(Jong Gyu Shin),허인석(In Seok Huh),김상호(Sang Ho Kim) 대한인간공학회 2020 大韓人間工學會誌 Vol.39 No.2

        Objective: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mponents and qualitative criteria for assessing the usability of wearable robots in industrial use. Background: Wearable robot technology is a state-of-the-art application of humanrobot interaction (HRI) but research on its usability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is insufficient. It is necessary for the wearable robot industry to establish safety standards and usability assessment system for deploying the technology on a commercial scale. Method: Sets of user requirements were identified from previous researches regarding with analogous products including walking aids, assistive and wearable devices. Qualitative assessment criteria were developed on the basis of user requirements classified by usability components and the structure of wearable robots. Results: The usability of wearable robots needs to be evaluated by 6 components: wearability, effectiveness, learnability, efficiency, utility, and safety. Qualitative assessment criteria consisted of 38 questionnaires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user requirements that belong to each component. Conclusion: The 6 components with 38 assessment criteria would be utilized as the basis for further development of the usability assessment standard. Application The assessment criteria provide ideas and checklists for designing wearable robots with good usability.

      • KCI등재

        인지·정서·행동 치료(REBT)를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장애유아 통합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배성현,박주연,이병인 한국미술치료학회 2014 美術治療硏究 Vol.21 No.6

        This research explored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combined with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REBT) on improving job stress and resilience of teach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sample of 24 teachers was randomly placed in two groups, including one experimental group and one control group. This was followed by group art therapy combined with REBT while teac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conducted for 10 sessions over 1-2 times a week, and there was no treatment for the control group over time. The participants in both groups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10 sessions. Modified job stress & resilience scale was measured pre-and post-test. To verify the change of the work shown in the experimental group, it was analysed by comparing the art work and change of teachers on interview record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every session. The gathered data were analysed using homogeneity check about pre-test, ANOVA(Analysis of Variance) with repeated measures through the SPSS Package. The result was as follows. Job stress of the experimental group decreased more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resilience of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more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roup art therapy combined with REBT was effective on job stress and resilience of teach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이 연구는 인지·정서·행동 치료(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이하 REBT)를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장애유아 통합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S시의 국공립 장애아 통합어린이집에서 장애유아를 담당하고 있는 장애유아 통합교사 24명을 선정하였고 각각 12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 대해 주 1∼2회 90∼100분씩 총 10회기로 구성된 REBT를 적용한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해 직무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 척도를 사용해 사전, 사후로 측정하였다. 본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 프로그램의 적절성과 효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예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은 반복측정 변량분석으로 하였다. 또한 실험집단의 작품과 활동 후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비교․분석하고 매 회기 작품에 나타난 변화와 장애유아 통합교사의 변화를 검증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직무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 사전 수준에 대한 동질성을 확인한 후 반복측정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집단미술치료에 REBT를 적용한 집단은 직무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즉,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직무스트레스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회복탄력성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향상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REBT를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장애유아 통합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회복탄력성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긍정적 행동지원이 통합된 장애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배성현,이병인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4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ositive behaviorsupport(PBS) intervention on challenging behaviors a young child with disabilitiesin inclusive setting. This study design used multiple baseline across conditions,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observed activities in the classroom. PBSintervention conducted with setting events and antecedent events, alternativebehaviors, consequences, supports for long-term. The challenging behaviors weremeasured during 10 minutes in using partial interval recording. Maintenance wasobserved after 3 weeks the withdrawal of intervention. The result, the challengingbehaviors of a young child with disabilities was decreased by PBS. The effect ofPBS maintained after the withdrawal of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demonstrated that PBS was effective in decreasingthe challenging behaviors of a young child with disabilities in all activity settings. 이 연구는 긍정적 행동지원이 장애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장애아통합어린이집의 장애유아 1명으로 선정하였고, 상황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이용하여 대상유아의 기능평가에 기초한 중다요소 중재를 실시하였다. 중재는 이야기나누기활동, 자유선택활동, 영어활동 시간에 배경 및 선행사건 중재,대체기술 교수 중재, 후속결과 중재, 장기적 지원 중재를 포함하는 긍정적 행동지원을 실시하였고, 기초선과 중재는 대상유아의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교실에서 관찰하였다. 중재충실도와 사회적 타당도를 측정하였으며 중재가 끝난 3주 후 유지효과를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를 통하여 장애유아의 문제행동이 감소하였고,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효과가 유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긍정적 행동지원이 통합교육 현장에서 장애유아의 문제행동 지도에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함을 보여주었다는데 그의의가 있다.

      • KCI등재

        장애유아 개별화교육계획(IEP) 관련 연구 동향분석: 국내 전문 학술지를 중심으로

        배성현(Bae, Sung hyun),이병인(Lee, Byoung in) 한국웰니스학회 2021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6 No.4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실시되고 있는 장애유아의 개별화교육계획(IEP) 연구 동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2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을 검색하고 선정하여 연구 기준에 적합한 총 28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논문은 발표학술지 등의 발표 연도 및 발표학술지, 연구비 지원별 동향, 연구 대상, 연구 주제, 연구 유형, 결론 및 제언 등의 분석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장애유아 개별화교육계획(IEP) 관련 논문은 2002년부터 꾸준히 게재되었으나, 학술지 분야가 협소한 경향을 보였다. 연구수행은 단독연구와 공동연구가 비슷한 수준으로 이루어졌으나 연구비는 대부분 비지원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교사와 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관리자와 치료사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주제는 IEP 지원팀 인식 및 참여, IEP 운영 실태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고,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내용분석이 비슷한 수준으로 수행되었다. 결론 및 제언 부분에서는 교육진단과 IEP 운영, IEP 질적 평가, 협력적 교사교육 등의 다양한 내용이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국내 장애유아 개별화교육계획(IEP) 관련 연구의 활성화 및 유아특수 교육 현장에서 다양한 발달적 특성을 보이는 장애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지원을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of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IEP)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28 papers suitable for research standards were selected by searching and selecting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rom 2002 to 2021. The final selected articles were analyzed for the publication year and journal, research funding support, research subjects, research topics, research types, conclusions and suggestion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articles related to the IEP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have been published continuously since 2002, but the field of academic journals tends to be short. The research performance was carried out at a similar level between the independent research and the joint research, but most of the research funds were carried out without supports. The research subjects were conducted for teachers and parents, and it was found that studies on managers and therapists were insufficient. As for research topics, many studies were conducted on the perception and participation of the IEP support team, and the status of the IEP implementation. In the conclusion and suggestion, various contents such as education assessment, the IEP implementation, the IEP qualitative evaluation, and collaborative teacher education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earch trend in the field of research on the IEP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Korea through research results, it should be possible to provide appropriate support for development to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show variou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in the educational field.

      • 企業 環境 適應戰略으로서 評價센터法 硏究

        裵聖鉉 嶺南大學校 環境問題硏究所 1984 環境硏究 Vol.4 No.1

        The concept of assessment centers often has been researched as a potential evaluation techique not only in the academic field of human resources management, but in industry since 1950's. More organizations are beginning to recognize it as a useful evaluation method because of extensive research findings indicating the validity of the technique in the predicting managerial success. Here, I suggest that the technique be used among the Korean enterprises as an evaluation strategy to survive their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