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1세기 근로복지정책의 방향과 과제

        방하남(Ha Nam Phang) 한국사회정책학회 2003 한국사회정책 Vol.10 No.1

        한국은 지난 40여 년간의 성장위주의 개발경제시대를 지나 이제 경제사회 및 복지시스템에 있어서 성장과 분배 사이의 균형발전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세워야할 시점에 와있다. 이에 따라 한국의 21세기 근로복지제도는 `생산적 복지`의 패러다임 하에서 공공복지로서의 사회보장제도의 내용과 형식의 선진화 및 효율화 그리고 민간복지의 틀로서 기업복지시스템의 다양한 발전을 추구해야 하는 정책과제를 안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목표를 이루기 위해 필요한 정책과제를 구체화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노동-복지 연계정책의 설정 방향과 실천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근로자의 삶의 질 향상을 최종 목표로 하는 근로복지 정책은 고용안정 및 정적한 일자리의 보장이라는 노동시장정책과 함께 추구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노동시장의 취약계층(여성, 고령자, 장애자, 저학력자)에 대한 적극적 정책들이 실천되어야 한다. 아울러 21세기 근로복지체제는 공공 및 민간복지의 역할분담, 제도간의 유기적인 연계, 튼튼한 복지인프라에 기초한 제도의 효율적인 운영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Korean society, after 40 years of rapid economic development, now has come to the point beyond which a new paradigm for social welfare should be developed in the way that growth and distribution could be efficiently balanced. To the end Korean labor welfare system should pursue a goal of `productive welfare`, under which social security programs should be more efficiently extended and effectively enriched in its coverage and benefit. At the same time, flexible and diverse employee benefit programs should also be developed to supplement public programs. This paper elaborates policy initiatives to make the 21st century vision of labor welfare come true, the policy initiatives based on the concept of work-centered welfare system.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working life, the ultimate goal of labor welfare, could not be properly achieved without stable and decent job opportunities in the labor market. Positive policy interventions are needed to protect especially the vulnerable group of work force such as women, the old, the disabled, and the low-educated.

      • KCI등재
      • KCI등재

        노동과 복지의 연계를 위한 정책설계 및 실천방안: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자활사업을 중심으로

        방하남 ( Ha Nam Phang ),황덕순 ( Deokwoon Hwang ) 한국사회보장학회 2002 사회보장연구 Vol.18 No.2

        In the context of the globalization of economy, structural reform of labor market, and paradigm shift in welfare policy, Korea has introduced, in October, 2000, a new program,`National Basic Livelihood Protection(NBLP),based on welfare-to-work policy, replacing the old program limited to poverty protection. This paper aims to suggest needed policy directions and measures that should supplement the NBLP program for the intended `welfare-to-work` principles to be productively realized in the application process. In particular, we suggest and describe work-inducive income tax credit system, drawing on the EITC(U.S.) and WFTC(U.K.), that need to be attached to the benefit scheme of the NBLP. And we further detail how it could be linked to the unemployment benefit scheme as part of active labor market program. In this paper, citing policy experiences in the advanced countries, we also point out that, for a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welfare-to-work policy, first, an effective PES(public employment service) and activation program are appropriately settled and, second, decent work opportunities should be provided to the target group so that they could be on their own by working and earning by themselves.

      • KCI등재

        고용보험의 사각지대와 정책과제에 관한 연구: 실업급여를 중심으로

        방하남 ( Ha Nam Phang ),남재욱 ( Jae Wook Nahm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6 사회복지정책 Vol.43 No.1

        본 연구는 한국의 고용보험의 사각지대 문제를 포괄적ㆍ입체적으로 살펴보고, 실업급여의 사각지대와 관련한 정책과제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고용보험의 사각지대를 제도 적용상의 문제, 급여수급 요건 문제, 수급기간 문제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적용상의 사각지대는 전체 임금근로자의 약36%, 전체 취업자의 절반 이상이 고용보험의 적용을 받지 못하는데, 그 대다수가 실업 위험이 높은 비정규직, 저임금근로자, 영세자영자 등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피보험단위기간 및 이직사유 제한 등 급여수급요건으로 인한 사각지대가 상존하며, 이들 또한 고용불안정이 높은 비정규직, 임시.일용직, 저임금 근로자로 나타났다. 또한 실업급여의 평균 수급기간이 114.6일에 불과하고, 소진율이 65%로 높아, 실질적 급여수혜의 사각지대는 더욱 넓다. 결과적으로 실업급여 수혜율은 40% 안팎에 불과해 제도가 원래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상당한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은 사각지대의 원인에는 한국 고용보험의 규정의 관대성 문제도 있지만, 노동시장의 문제나 사회보험 제도 자체의 한계도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자영자 비중이 높고 노동시장 분절이 심각한 한국의 상황을 고려할 때 이의 따라서 사각지대 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위해서는 기존 제도의 모수적 확대보다는 뿐 아니라 구조적 확대전략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제도 외부의 근로자를 위한 부조 방식의 제도를 도입하고 적극적 고용서비스를 강화하여, 노동시장의 유연안정성(flexicurity)을 확보하기 위한 ``한국형 실업부조``의 도입이 필요하다. In this article we critically review Korean unemployment insurance scheme to evaluate its coverage and adequacy in terms of social protection. In particular we focus on the degree and extent of dead zone in terms of (a)its substantive coverage and take-up rate determined by qualification conditions and of (b)the duration adequacy of its benefit period. In its formal application mandate Korean unemployment insurance is supposed to cover almost all ‘workers’ regardless of the firm size and employment type. But we find that many workers in the secondary labor market, especially those under fixed-term, part-time, or daily employment contract stay in the dead zone of its substantive protection (about 36% of all wage workers). Much of the protection dead zone is due to its strict qualification condition for benefit (i.e., minimum contribution period and/or involuntary termination of employment contract) in the context of Korean labor market. Another source of protection dead zone is its relatively short benefit period (now 90-240 days depending on insuree’s contribution period and age-category). About 65% of the beneficiaries are found to be exhausting their respective benefit period before they get re-employed or exit the labor force. We suggest that, given its dual structure of labor market and large self-employed sector, Korea needs some type of unemployment assistance scheme which could cover the protection dead zone left by her formal unemployment insurance scheme.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Attributes of a 'Good Job': Construct Formation and Validation in South Korea

        김상욱,방하남,Kim, Sang-Wook,Phang, Ha-Nam The Population Association of Korea 2007 한국인구학 Vol.30 No.2

        이 연구는 이른바 '좋은 일자리(good job)'를 측정하기 위한 양질의 지수(index)를 구성해내고 이를 다각도에서 평가하고 검증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좋은 일자리'의 개념이 지니는 학술적, 실용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그 핵심적 구성지표들이 과연 무엇이며 좋은 일자리의 취득(attainment)을 추동하는 원인 및 취득의 결과는 과연 어떤 것인지에 대한 이론적, 경험적 공백이 여전하다. 이러한 공백이 존재하는 이유로는 그간 국내외 학계에서 측정속성이 우수하고 유용성 또한 높은 지수를 구성해보려는 진지한 성찰이 결여되어 있었다는 점 이외에도 일부 그러한 노력의 경우 각종 이론적, 분석적 한계를 피할 수 없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이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이론적으로 취약하고 경험적으로 파편화된 연구결과들이 무성할 뿐, 이론적 정교성 및 실증적 엄정성을 두루 겸비한 양질의 지수는 좀처럼 찾아보기가 어려웠다. 이 연구에서는 사회학, 경제학, 심리학 등에서 좋은 일자리를 규정할 때 사용하는 소수의 핵심적 지표들을 바탕으로 이론적 토대가 굳건한 지수를 구성하고 이 지수의 타당도를 대표성 높은 전국표집 자료를 동원해서 여러 측면에서 동시에 평가해보았다. 국내 여러 사업장의 다양한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공변량구조분석(LISREL) 방식을 통한 실증분석을 시도한 결과 임금, 직업위세, 권위, 고용안정성 등이 핵심적 지표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 지표들을 복합적으로 합성한 지수는 그 구성지표 원인, 결과 등과 관련해서 수렴 판별타당도 및 구성타당도를 구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시사하는 바의 제반 논제들과 관련된 학술적 실천적 함의를 마지막으로 논의하였다. The research reported in this paper suggests an index of a 'good job' and validates it in several different ways. Not much is known yet, it is emphasized, about what the defining characteristics of a good job are and what the causes and major consequences are resulting from the attainment of such job. This is not merely because relatively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construct a usable index, but also because a few studies, if any, were often plagued with several limitations, some theoretical and other analytical. As a consequence, fragmented speculations and research findings tended to flourish in the shortage of an overarching conceptualization and rigorous empirical assessment. In particular, a comprehensive index that encompasses a few critical job characteristics based on some solid theoretical underpinnings was in thirsty want. To relieve this want, the current study tries to formulate such index and validate it. A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of representative national sample survey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data in South Korea indicates that wage, occupational prestige, authority and job security are the defining characteristics of a good job and that the index consisting of these characteristics is generally valid with respect to its constituent attributes, antecedents and a consequence, thereby supporting its discriminant-convergent and construct validities. The findings are interpreted with providing a few substantive implications stemming from them.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