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새로운 학부 의공학 교육과정의 일환으로 의공학 실험과목의 제안

        박현진,지영준,서종범,Park, Hyun-Jin,Chee, Young-Joon,Seo, Jong-Bum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11 의공학회지 Vol.32 No.4

        Laboratory class is an integral part of biomedical engineering education. Current biomedical engineering curriculum in Korea mostly includes mandatory laboratory classes. Most of the Korean biomedical laboratory classes focus on electrical engineering aspects, while molecular/biological engineering aspects are neglected. Many leading universities in U.S.A. offer a more balanced laboratory class where both electrical engineering aspects and molecular/biological engineering aspects are considered. As a part of an effort to enhance undergraduate biomedical engineering education, a new biomedical engineering laboratory class is proposed to offer a more balanced laboratory learning experience.

      • KCI등재후보

        국방기술이전 성과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박현진,이정동,정경인,이춘주,Park, Hyun-Jin,Lee, Jeong-Dong,Jung, Kyeong-In,Lee, Chun-Ju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 2006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Vol.32 No.1

        본 연구는 전문가 설문기법으로 한국 군사기술의 상용이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들을 조사 분석하였다. 국방연구개발 투자의 효과로서 필요한 군사과학기술 개발과 더불어 군에서 민간부문으로의 기술이전을 통한 상용기술개발을 촉진하는 역할도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군사선진국들은 국방기술개발에 대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투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자국의 특성을 고려하여 국가수준에서 연구개발투자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최적의 기술이전 메커니즘을 적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기술이전 메커니즘은 국가마다 다양하며 한국에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기술이전을 위한 영향요인은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전문가 면담과 문헌연구를 통하여 고려대상 영향요인 19개를 식별하였으며 이중 11개가 기술이전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적 함의로서 목표 지향적 투자, 기술이전 관련 규정의 검토, 그리고 기술이전 전문가 양성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key factors affecting the activity of defense technology transfer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in Korea. Defense R&D investment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the commercial technology development as well as the targeted defense sector through the spin-off mechanism as shown in many countrie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effective and efficient investment in defense technology development, the advanced countries in defense technology are trying to establish optimal technology transfer mechanism to maximize the effect of the invested R&D at the national level considering the idiosyncratic features of their own countries. Because the technology transfer mechanisms are very distinct from country to country, it is natural to question "what are the determinants of the effective and efficient technology transfer in Korea?" We tested 19 potential factors and identified 11 factors that are significantly important as the determinants of technology transfer. From the empirical findings, we discuss some policy implications to promote the technology transfer.

      • KCI등재

        개선된 학부 의공학 소프트웨어 교육과정을 위한 새로운 과목의 제안

        박현진,Park, Hyun-Jin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11 의공학회지 Vol.32 No.4

        Biomedical engineering is a discipline where engineering principles and techniques are applied to the medical field. Biomedical engineering lies between traditional engineering and medicine and is an inter-disciplinary field in its nature. Current Korean undergraduate biomedical engineering curriculum is a simple list of traditional engineering courses combined with basic medical/life science courses. There have been efforts to improve biomedical engineering education to reflect its inter-disciplinary nature. Enhanced software course for biomedical engineering is proposed as a part of effort to overhaul the undergraduate biomedical engineering curriculum. In this newly proposed course, students will learn MATLAB and LabVIEW, which are the most widely used software tools in biomedical engineering.

      • SCOPUSKCI등재

        조립화된 분말식품의 인스탄트성질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박현진,이철,Park, Hyun-Jin,Rhee, Chul 한국식품과학회 1986 한국식품과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는 유동층 조립기로 조립시킨 보리 미숫가루 입자들의 인스탄트 성질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조사하였다. 조립에 사용된 바인더는 맥아당, 포도당, 젤라틴의 수용액과 물 이었으며 조립입자의 인스탄트 효과는 입자의 습윤성, 침강성, 분산성 및 용해성을 측정하여 결정하였다. 바인더의 종류별로 조립된 시료의 인스탄트 성질의 개선에 대한 기여도는 낮은 바인더 수용액에서 5%젤라틴수용액>5%맥아당수용액>5%포도당수용액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물은 가장 낮은 인스탄트효과를 보였다. 바인더 용액의 농도증가에 따른 조립입자의 인스탄트성질은 포도당, 맥아당과 같은 당류의 경우 증가되었으나 젤라틴의 경우에는 이와 반대경향을 나타내었다. 조립입자의 크기가 인스탄트성질에 미치는 영향은 현저하였으며 입자의 크기가 $0.1{\sim}0.3mm$일 때, 시료의 인스탄트효과가 가장 좋았다. 조립입자의 건조온도($60^{\circ}C,\;70^{\circ}C,\;80^{\circ}C$)는 입자의 인스탄트효과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바인더용액을 사용하여 조립한 미숫가루입자의 흡습속도는 각각의 상대습도(42%, 67%, 92%)에서 5%젤라틴수용액>5%맥아당수용액>5%포도당수용액의 순으로 빠르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바인더 종류가 인스탄트 성질에 미치는 효과와 동일한 순서로 일치함을 보여주었다. Influencing factors on the instant properties of agglomerated parched barley powder prepared by fluidized bed agglomerator were investigated. Instant effect was measured by the determination of wettability, sinkability, dispersibility and solubility of agglomerated particles. Instant effect of agglomerated particle was influenced by sorts of binding materials, concentration of aqueous binder solution and agglomerated particle diameter. The binding materials for agglomerated process were water and aqueous solution of glucose, maltose and gelatin. Instant effect of agglomerated particles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aqueous sugar solution increased. However, the effect of aqueous solution of gelatin on instant effect wa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concentration. The size of agglomerated particle had an outstanding effect on instant properties and the diameter of agglomerated particle ranging from 0.1 mm - 0.3 mm showed the excellent instant effect.

      • KCI등재

        국내 유통 중인 혼합채소샐러드 및 신선·냉동과일의 미생물 오염실태 조사

        박현진,이정은,김솔아,심원보,Park, Hyun-Jin,Lee, Jeong-Eun,Kim, Sol-A,Shim, Won-Bo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21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6 No.4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혼합채소샐러드류, 신선과일 및 냉동과일에 대해 미생물 오염 도를 식품군별, 지역별, 분기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식품군 별로 일반세균수는 혼합채소샐러드에서 가장 높은 6.48 log CFU/g, 신선과일은 5.07 log CFU/g, 냉동과일은3.78 log CFU/g 수준으로 나타났다. 분기별 일반세균수를 비교 분석한 결과에서는 1분기 오염도는 5.12 log CFU/g, 2분기는 6.26 log CFU/g, 3분기는 5.73 log CFU/g, 4분기는 4.42 log CFU/g으로 확인되어 외부온도가 높은 2,3분기에서 조금 더 높은 일반 세균수가 관찰되었다. 지역별 일반세균수의 오염은 5.26-5.47 log CFU/g으로 수준으로 지역별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대장균군의 경우 1.98-3.93 log CFU/g으로 나타났고, E. coli의 경우 혼합채소샐러드 27점 중 3점에서 평균 1.38 log CFU/g으로 검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할 때 혼합채소샐러드와 신선과일은 Solberg 등이 제시한 비가열 식품의 일반세균 기준치(3 log CFU/g)를 초과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3점의 신선과일 시료에서 대장균이 검출되어 샐러드류 및 신선과일의 원료의 안전성과 제조 및 유통 단계에서의 위생관리가 보다 철저히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the microbial levels on mixed vegetable salads, fresh fruits, and frozen fruits distributed in Korea were comparatively analyzed by food group, region, and quarte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big markets in large cities from 2018 to 2019 and used for microbiological analysis. The levels of aerobic bacteria for mixed vegetable salads, fresh fruits, and frozen fruits were 6.48, 5.07, and 3.78 log CFU/g, respective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quarterly contamination levels of aerobic bacteria, the first quarter contamination level was 5.12 log CFU/g while the second quarter showed 6.26 log CFU/g, the third quarter 5.73 log CFU/g, and the fourth quarter 4.42 log CFU/g. A higher number of aerobic bacteria was observed in the second and third quarters when the temperature was high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number of bacteria by region. The levels of the coliform group were 1.98 - 3.93 log CFU/g in all samples, and Escherichia coli was detected at 1.38 log CFU/g in 3 out of 27 mixed vegetable salads. Since the mixed vegetable salad and fresh fruit used in this study exceeded the standard (3 log CFU/g) for unheated foods and E. coli was detected in three fresh fruits, stricter hygiene management in the manufacturing stage of salads and fresh fruit is required.

      • KCI등재

        다차원 척도법(MDS)을 사용한 새로운 형태 정량화 기법

        박현진,윤의중,서종범,Park, Hyun-Jin,Yoon, Uei-Joong,Seo, Jong-Bum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10 의공학회지 Vol.31 No.2

        Readily available high resolution brain MRI scans allow detailed visualization of the brain structures. Researchers have focused on developing methods to quantify shape differences specific to diseased scans. We have developed a novel method to quantify shape information for a specific population based on Multidimensional scaling(MDS). MDS is a well known tool in statistics and here we apply this classical tool to quantify shape change. Distance measures are required in MDS which are computed from pair-wise image registrations of the training set. Registration step establishes spatial correspondence among scans so that they can be compared in the same spatial framework. One benefit of our method is that it is quite robust to errors in registrations. Applying our method to 13 brain MRI showed clear separation between normal and diseased (Cushing's syndrome). Intentionally perturbing the image registration result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separability of two clusters. We have developed a novel method to quantify shape based on MDS, which is robust to image mis-registration.

      • KCI등재

        반복적인 모세기관지염, 과반응 기관지염을 보인 영유아의 임상양상, 치료와 자연경과

        박현진,김주현,전윤홍,이수영,김상용,강진한,Park, Hyoun Jin,Kim, Joo Hyun,Chun, Yoon Hong,Lee, Soo Young,Kim, Sang Yong,Kang, Jin Han 대한소아감염학회 2014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21 No.1

        목적: 영유아기 두 번 이상 반복된 모세기관지염, 즉 과반응 기관지염(RAD)을 보인 환아의 임상양상, 치료와 5년 후 자연경과를 조사하고자 연구를 계획하였다. 방법: 2007년 1월부터 12월까지 연구병원 소아청소년과에 모세기관지염으로 2회 이상 입원한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고, 추가로 5년 후 2013년 현재의 의학적 상태를 보호자와 전화면담을 시행하여 문의하였다. 결과: 2007년 1년간 총 63명의 영유아들이 2회 이상 모세기관지염으로 입원하였다. 연구대상의 평균연령은 8.1개월이었고, 이들 중 남아는 44명(69.8%)이었다. 입원 중 흡입 스테로이드 치료를 받은 환아는 62명(98.4%), 기관지확장제 치료 53명(84.1%) 항생제 치료 40명(63.5%)이었다. 대상 환아 63명 중 45명과 전화면담이 가능하였고, 이들 중, 2013년 현재 38명(84.4%)은 더 이상 호흡장애가 없었고, 5명(11.1%)은 알레르기 비염, 2명(4.4%)은 천식으로 치료 중이었다. 결론: 영유아기 반복적인 쌕쌕거림을 보였던 RAD 환아들의 대부분은, 호흡기가 성숙된 5년 후에는 더 이상 호흡장애를 보이지 않았다. 모세기관지염에 대한 국내 치료지침이 제안되어야 할 것이고 RAD의 자연경과에 대한 좀더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manifestations and 5-year natural course of recurrent bronchiolitis or reactive airways disease (RAD) in infants.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infants with recurrent bronchiolitis from January 2007 to December 2007 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t. Mary's Hospital in Incheon, South Korea. Additionally, we telephoned their parents to confirm their present medical statuses. Results: Sixty-three subjects with recurrent bronchiolitis were identified. The mean age at admission was 8.1 months and the number of males was 44 (69.8%). Of the 63 infants with recurrent bronchiolitis, inhaled corticosteroids, bronchodilators, and antibiotics were given to 62 (98.4%), 53 (84.1%), and 40 (63.5%), respectively. Among the total 63 subjects, we were able to contact the parents of 45 children by telephone. None of these children had been hospitalized during the previous one year period due to respiratory infections or for other medical reasons. Of the 45 subjects we were able to contact, 38 (84.4%) had not experienced any further respiratory difficulties at all. Five (11.1%) had been diagnosed with allergic rhinitis while two (4.4%) were being managed for asthma. Conclusion: Most children who presented with recurrent episodes of bronchiolitis in infancy did not show any further respiratory difficulties after five years of age.

      • KCI등재

        근린주거환경의 아동 놀이공간 유형 및 이동경로 특성에 관한 기초연구

        박현진(Park, Hyun-Jin),박진희(Park, Jin-Hee),박소현(Park, So-Hyun) 대한건축학회 2016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2 No.2

        Over time, children’s outdoor activities and opportunities for children to play, have continually declined. Such problems have led to increased interest in providing better physical environments for children’s active free play in residential neighborhoods. Previous research studies have generally focused on specific places (i.e. playgrounds and schoolyards) or types of buildings (i.e. apartment complexes). The primary goal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neighborhood environments that are associated with play behavior by analyzing the types of children’s play spaces and their routes. Based on a week’s travel log and GPS data from 25 students who are in grades 1-3 in elementary school, this empirical study of Buk-chon, Seoul, demonstrates that children have used for their recreational use both ‘formal play spaces’, spaces specifically designed for recreational activities, and ‘informal play spaces’, spaces not intentionally designed for recreational activities. The results of analyzing children’s play behaviors and space conditions indicate certai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Formal spaces include the following: 1) quality parks that are easily accessible, 2) schoolyards and small parks that are spacious yet close to residential areas, and 3) play spaces that are well connected with residential streets. Informal spaces include the following: 1) commercial facilities, bus-stop and alleys surrounding schools, 2) alleys near residences, and 3) streets(and their networks) within neighborhoods. Even without formal spaces, alleys around homes and schools and neighborhood streets have become ‘play routes’ for children in Buk-chon.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compare other residential areas, as well as the different types of buildings that exist in such areas, and identify the challenges between creating outdoor play spaces and maintaining residential neighborhoods’ characteristics.

      • 제네바협약 추가의정서 40년과 민간인 보호의 실효성

        박현진(Hyun-jin Park) 대한적십자사 인도법연구소 2017 人道法論叢 Vol.- No.37

        제2차 세계대전을 통해 홀로코스트 등 미증유의 참상과 참혹성을 경험한 인류(호모 사피엔스)는 뉘른베르크 국제군사재판소 설립 (런던)헌장과 극동국제군사재판소 헌장에서 ‘인도에 반한 죄’와 ‘전쟁범죄’를 처벌함으로써 무력충돌 시 민간인 보호의 법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어 1949년 4개 제네바협약과 1977년 2개 추가의정서(1977) 채택으로 국제인도법은 ‘전쟁법’을 통합·성문화하여 무력충돌 시 민간인 보호의 현대화·강화를 위한 중요한 이정표를 세웠다. 그럼에도 민족·영토·종교·이념 등을 둘러싼 무력충돌 시 반인도적 범죄는 그치지 않고 있다. 제네바협약 추가 의정서 채택 40주년을 맞이하는 시점에서 인도법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 국내 법원에 무력충돌 시 집단살해·집단성폭력과 고문 등 반인도적 범죄에 대한 보편적 관할권을 인정하고, 국제형사재판소(ICC)는 광범위하고 중대한 반인도적 범죄에 대한 보충적 관할권을 행사하는 것이 효과적 접근법이다. 무력사용을 수반하는 ‘인도적 개입’은 원칙적으로 국제연합헌장 규정에 따라 국제연합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의 무력사용 승인 결의를 거쳐 집행하는 것이 적법하다. 안보리는 무력사용을 수반하는 합법적 인도적 개입을 승인할 수 있는 ‘전쟁 행성’(‘Planet war’)의 유일한 기관이다. 소말리아에 대한 안보리의 인도적 군사개입은 실패로 끝났지만, 인도적 개입의 적법성을 인정한 법적 선례로 기억될 것이다. 또 안보리가 상임이사국 간 대립, 거부권 행사 등으로 인해 국제평화·안전의 유지에 대한 제1차적 기능과 임무(국제연합헌장 제24조)를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 예외적으로 ‘인도적 재앙’을 회피할 수 있도록 총회·북대서양조약기구(NATO) 등에 필요성·급박성·비례성의 원칙과 인도주의 원칙의 준수 등을 요건으로 인도적 개입을 위임·허용하는 방안도 검토되어야 한다(국제사회의 ‘보호책임’). 안보리가 캄보디아, 시에라리온, 르완다, 소말리아, 보스니아, 코소보, 동티모르와 수단 다르푸르에서와 같은 인도적 참사를 무기력하게 방임하는 것은 비인도적이며, 헌장상 의무책임한 행동이다. 1999년 코소보에 대한 NATO의 공습 역시 인도적 재앙을 회피하기 위한 정당한(legitimate)한 조치로 평가된다. 다만 향후 무력사용을 수반하는 인도적 개입의 법적 요건을 보다 명확하게 구체화·규제하는 노력이 안보리 결의 및 국제·중재재판소의 판결·판정 등을 통하여 폭넓게 이루어져야 함은 물론이다. 또 각종 군사활동과 심지어 적대행위에 종사하는 비국가적 행위자 민간군사기업(PMC)의 활동 역시 국제사회에서 ‘법의 지배’의 원칙과 ‘공공양심의 명령’에 따라 적절히 규제하여, 그 활동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제고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1859년 솔페리노 전투의 참상을 목도한 앙리 뒤낭이 시작한 초기 인도법의 정신--리버 훈령(1863)과 1899년 마르텐스 조항의 정신--으로 돌아가는 길이기도 할 것이다. 궁극적으로 중대한 반인도적 범죄에 대한 국내법원의 보편적 관할권을 확립하여 그러한 범인이 지구상 어디에 있든 처벌된다는 확신을 심어주고 이를 교육하는 것이 긴요하다. 그것은 ‘전쟁 행성’의 오명을 씻고 ‘평화행성’(Planet peace)으로 다시 태어나는 첫걸음일 것이다. The 1949 Geneva Conventions and the two 1977 Additional Protocols, despite their common commitments undertaken to further humanize and modernize the law of war and to better protect the civilian population, have unfortunately been plagued with grave breaches thereof. Rampant and widespread have been crimes against humanity (e.g. genocide, torture and rape) in time of armed conflicts, as witnessed in Sierra Leon, Cambodia, Rwanda, Somalia, Bosnia, Kosovo and East Timor. These incidences of crimes against humanity have only testified that the principle of discrimination between military targets and civilians in armed conflicts has not always been strictly complied with, empirically speaking at least. The protection of civilians from unnecessary sufferings and sacrifices in armed conflicts therefore has posed a major challenge to the 1977 Geneva Protocols in particular which marked the 40th anniversary of adoption this year. Even on this ‘Planet war’(Foreign Policy, Feb., 2010), nevertheless, the duty of states not to commit or condone crimes against humanity constitutes an obligation erga omnes, the breach of which seriously affects or infringes upon the common legal interest of international society (peremptory norms; ICJ’s Advisory Opinion 1951 on the Reservations to the Genocide Convention). Such a duty would be the very basis of any civilized community of nations and states. To help avoid humanitarian disasters an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international community should consider introducing the universality principle allowing national courts to exercise universal jurisdiction over such crimes. Again, the 1948 Genocide Convention which has adopted the territorial principle(Art.VI) may have to be revised to incorporate the “prosecute or extradite” formula embedded in the 1984 Anti-Torture Convention(Arts.4~8). On the other hand,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ICC) would exercise,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jurisdiction over the grave crime of genocide or widespread crimes against humanity (cf. ICC Statute, Arts.6~7). This may also be justified by the number of states parties thereto(some 124 states only). Humanitarian intervention poses another challenge to the effective administration of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as was the case, for example, with the Kosovo situation. Indeed, if the Security Council charged with the primary task of the maintenance of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UN Charter, Arts.24, 42 & 51) were unable or failed to discharge its obligation, it would mean a humanitarian catastrophe for the innocent, but at the same time helpless civilian population. In such circumstances, the first and foremost task would certainly be to address and put an end to the disaster as quickly as possible. To help avoid the massacre, it would thus be not only desirable but legitimate that failing the UN Security Council’s authorization, the UN General Assembly or a regional security organization like NATO may be endorsed or pardoned to intervene. Such endorsement should of course be subject to the stringent requirements that “the necessity is evident, that the humanitarian intention is clear”(O. Schachter, 1991) and that the rules and principles of humanitarian law are strictly observed. As the dominant body within the UN, the Council is, in cooperation with international courts and tribunals, thus tasked to develop, articulate and elaborate on specific rules and standards governing humanitarian intervention(“responsibility to protect”). State practice, as exemplified in NATO’s aerial attacks in Kosovo, is already developing in that direction, thus helping to “bridge the gap between legality and legitimacy, and between strict legal positivism and a common sense of moral justice”(T.M. Franck, 2003). Such practices would also be in accord with the 1863 Lieber Code and the 1899 Martens clause(preamble to the 1899 Hague Convent

      • KCI등재

        獨島 領有權과 地圖ㆍ海圖의 證據能力ㆍ證明力

        朴玄鎭(Hyun-jin Park) 대한국제법학회 2007 國際法學會論叢 Vol.52 No.1

        현행 국제법상 영유권 관련 증거문제를 규율하는 조약이나 관습법 규칙은 존재하지 않으며, 판결과 학설 등 법규칙의 증거(법규결정의 보조수단)로만 존재한다. 국제ㆍ중재재판소 등의 국제판결과 학설을 종합해 보면, 지도는 증거로서의 적합성ㆍ타당성(증거능력)과 그 신빙성ㆍ비중(증명력)에 따라 크게 인증지도ㆍ예시/참조지도와 단독지도 등 3가지 종류로 분류된다고 해석된다. 특히 국제사법재판소는 1949년 콜퓨 해협사건에서 처음으로 간접ㆍ정황증거의 증거능력을 인정함으로써, 1928년 팔마스섬 중재사건에서 후버 재판관이 공식 문서에 부속된 지도의 증거능력만을 인정한 古典的 입장에서 탈피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변화하는 법규칙의 증거를 독도문제에 적용해 본다면, 1877년 일본에서 제작되어 정부 공식문서의 본문에 편입된 인증지도인 ‘기죽도약도’는 당시 일본 최고행정기관인 태정관이 조선의 독도 영유권을 인정한 직접ㆍ1차적 증거로 평가된다. 또 기죽도약도는 일본 島根(시마네)縣이 1905년 독도를 일본령으로 ‘편입’하기 전 독도가 한국령이라는 사실을 인식ㆍ인정했음을 입증ㆍ증명하는 최선의 증거이다. 또 이 지도는 일본이 독도에 대한 원시적 권원을 확립했다고 주장하는 17세기 중반부터 1877년까지 적어도 약 200년간 조선의 독도 영유권 주장을 묵인한 증거가 된다. 더욱이 정부 고위관리의 자국에 ‘불리한’ 성명ㆍ진술ㆍ사실인정에 특별한 증명력을 부여한 국제사법재판소의 판례(니카라과 사건과 망끼에ㆍ에끄레오 사건)에 비추어, 이 지도는 당시 일본이 조선의 독도 영유권을 인정한 사실을 증명하는 결정적 증거이다. 한편 1531년 조선시대에 간행된 八道總圖는 官撰지리지인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첨부된 예시지도로서 현재의 울릉도와 독도의 위치를 바꾸어 표시한 오류 내지 부정확성이 있다. 그러나 이는 당시의 항해술과 측량술에 비추어 불가피한, 용인할 만한 수준의 것으로서, 법률상 당시 조선의 독도 영유의사(팔마스섬 중재사건)를 입증하는 직접ㆍ2차적 증거로서의 증거능력과 증명력을 결정적으로 훼손하는 정도에 이르는 것은 아니다. 중요한 점은 이 지도가 조선의 독도 영유의사를 명백히 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 현재의 기준으로 평가할 경우 거의 모든 고지도는 ‘치명적 오류’를 내재하고 있다. 공인ㆍ비공인 단독지도는 모두 증거능력을 가질 수 있으나, 증거가치(증명력) 면에서 2차적 증거로 간주된다. 지도의 증거능력과 증명력은 공인ㆍ비공인 여부보다는 지도의 정확성, 제작주체의 공정ㆍ중립성(팔마스섬 중재사건)과 일관성 등 3가지 요소에 의하여 좌우된다. 따라서 공인ㆍ비공인 단독지도여부는 그 증거능력과 증명력 판단의 결정적 요소가 되지 않는다. 다만 공인지도는 일반적으로 지도 제작국가의 공식 의사표시로 간주되며 따라서 당사국을 구속한다는 점에서 증거능력 면에서 비공인 단독지도에 우선한다. 그러나 비공인 단독지도는 공인지도 부재 등으로 인해 일단 증거능력이 인정되는 경우 그 증명력 면에서는 공인 단독지도에 못지않은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다(부르키나 파소/말리 간 국경분쟁사건). 특히 자국에 ‘불리한’ 정보를 표시한 객관성ㆍ중립성을 가진 도쿠가와 막부공인단독지도인 총회도와 일본변계약도 역시 특별한 증명력을 인정받을 수 있다. 조선시대에 간행된 많은 지도들(여지도, 해좌전도, 대한여지도 및 대한 전도)은 대부분 공인 단독지도로서, 한국의 독도 영유권에 대한 2차적 증거로 판단된다. 일본해군성과 육군참모본부가 1930-40년대 간행한 각종 수로지 부속해도 역시 대부분 ‘국가의 명(지시)에 의하여 그리고 국가의 감독ㆍ관리하에’ 제작된 국가(기관)의 의사가 반영된 지도라는 점에서, 군사지도/해도도 간접ㆍ2차적 증거로서 평가될 수 있다(벨기에/네덜란드 국경분쟁사건).연합국이 점령지 일본의 통치목적으로 작성한 부속지도들은 간접(정황)ㆍ2차적 증거를 구성하나, 당사국의 의사를 정확하게 반영한 것으로 평가되기 어렵다는 점에서 그 증명력은 제한적이라고 본다. 다만 그 객관성과 중립성을 입증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 증명력을 과소평가할 수 없을 것이다. In the celebrated Island of Palmas arbitration of 1928, Judge Max Huber, identifying the function of a map with an ‘indirect indication’ at best, decided that a map, except when annexed to a legal instrument, had not the value of such an instrument, involving recognition or abandonment of rights. As a natural corollary, a map per se could not override an attribution accorded by official records, documents or boundary treaties. Admissibility as evidence was effectively ruled out for independently produced maps, whether official or unofficial. This landmark award rendered in the otherwise murky area of international law had instantly set up Mr Huber as the skeptical starting point for international jurisprudence on map evidence. The decision had left almost no room for a map to be taken as conclusive, or for any indirect evidence to be accepted as admissible in international boundary or territorial adjudication. It was not until 1949 that the ICJ in the Corfu Channel case was compelled or disposed to recognize a chain of circumstantial evidence as admissible or to presume it to be as such. The Huber thesis was taken up by Prof. Hyde in 1933 to negative the admissibility of unofficial maps, while Dr. Sandifer‘s works from the 1930s to the 1970s were no less than further elaboration and variations on Huber's theme. Now, does Huber’s proposition still put up a valid pronouncement of international law of map evidence? Or is it no longer so? And if not, to what extent does it define contemporary international map jurisprudence and what legal significance and effect can be attributed to maps and charts in a boundary or territorial question? In the absence of binding treaties or customary law of general applicability governing the admission and appreciation of maps as direct/indirect and primary/ secondary evidence, resort may be had to general principles of law (supplementary source of international law) relating to evidence. One need also take stock of select judicial decisions, arbitral awards and academic teachings(la doctrine) on territorial/frontier disputes as subsidiary means for determining rules of law applicable to maps[Art. 38(1), 1945 ICJ Statute]. Taking our cue from Learned Huber, this paper has been able to pick up an increasingly crucial, and sometimes decisive, role of map evidence and to identify three classes of maps in contemporary international jurisprudence. Certified/authenticated maps refer to those annexed to, incorporated into and identified in official records, documents or boundary treaties to become an integral part thereof. Illustrative/reference maps are those attached to and mentioned in the official text, while official/unofficial independent maps are published without any association with such records or documents. Applying this classification to a dazzling array of Dokdo-related maps and charts, a recently released Japanese chart of Kijukdo-Yakdo[磯竹島略圖: Ullungdo (Dagelet) Chart], drawn in 1877 by the Office of the Japanese Prime Minister, may easily be picked up as the best evidence recognizing Korean title to Dokdo. This map may well be classified as a certified map, since it was incorporated into an official document and identified in its text to become an integral part thereof. As such, this official chart constitutes conclusive evidence on Dokdo sovereignty and evidences official Japanese recognition of and acquiescence in Korean title to Dokdo. Furthermore, the document text incorporating the chart reportedly carried a directive, addressed to the Japanese Minister of the Interior, that Ullungdo and Dokdo were outside Japanese territories. It is important to note in this context that oral or written statements of a high-ranking official are??of particular probative force when they acknowledge facts or conduct unfavourable to the State represented by the person who made them??(ICJ's 1953 Minquiers/Echrehos and 1986 Nicaragua cases). For such acknowledgement amounts t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