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미술교육담론과 시각문화교육

        박정애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07 미술과 교육 Vol.8 No.2

        In this paper the rationale for introduction and implementation of visual culture education is explored under the assumption that art education is cultural education. Art is defined as meaning making, text, intertextuality and interpretation, and thus is also an open concept, which can be conceptualized as visual culture. Visual culture education in art education implies for the purpose and methods, because the concept of culture plays key role in visual culture education. Culture's interpretative characteristics which direct toward meaning making indicates that the study of visual culture takes into account the centrality of vision in everyday experience and the production of meaning. Therefore, sociological and anthropological studies in art provide some foundations for the current focus on visual culture education. Sociological and anthropological study of art is an analysis of cultural forms and social processes which is produced in a certain period by a specific group of people. Therefore in order to introduce and implement visual culture education in the art classroom, the definitions and content of art should be revised in the curriculum to meet current discourses in contemporary art world. 이 글에서는 미술교육이 문화교육이라는 전제에 기초하여 시각문화교육의 학교 교육과정에의 도입과 실행을 검토하였다. 미술은 의미 만들기, 텍스트, 텍스트 상호교류성, 그리고 해석으로 정의되기 때문에 미술은 열린 개념이다. 열린 개념으로서의 미술은 또한 시각문화로 재개념화가 가능하다. 시각문화교육에서 핵심 역할을 하는 것이 문화의 개념이므로 미술교육에서 시각문화교육은 교육목표와 방법을 시사한다. 의미 만들기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문화의 해석적 성격은 시각문화의 학습이 매밀 매일의 경험과 의미의 생산에서 시각성의 핵심을 설명해야 한다는 점을 상기시킨다. 그러므로 미술에서의 사회학적, 인류학적 학습은 시각문화교육으로의 전환점에서 중요한 초석을 제공한다. 미술의 사회학적, 인류학적 학습은 특정한 시대에 특정한 사함들에 의해 생산된 문화적 형태와 사회적 과정을 분석한다. 그러므로 미술 수업에서 시각문화교육을 도입하고 실행하기 위해서는 미술의 정의와 내용이 현대 미술계에서 구체화된 담론들을 담은 교육과정으로 개정될 때 가능한 것임을 파악하게 된다.

      • KCI등재

        일본군‘위안부’ 문제의 강제동원과 성노예 ─ 공창제 정쟁과 역사적 상상력의 빈곤

        박정애 한국여성연구소 2019 페미니즘 연구 Vol.19 No.2

        It has been 30 years since the victims of ‘comfort women’ by Japanese Military have come forward to speak about their experiences and demanded the war and colonialization responsibilities and compensations. The Japanese government has admitted that the ‘comfort women’ victims have suffered ‘damages against their will’ and promised to take follow-up measures for historical lessons. With the ‘comfort women issue,’ the global society has expanded the concept of human rights and war-time sexual assault and has emphasized the victim-centric issue resolution. The attack of historical revisionists who deny the responsibility of the damages regarding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ssue has persisted as well. They tenaciously attack the ‘enforcement’ issue around the ‘comfort women’ and claim that there have been no forcefully mobilized sex slaves. Every time that happens, Kousyousei (公娼制) is cited. The claim is that ‘comfort women’ were Kousyou (公娼) and voluntarily engaged in commercial activity, and the Japanese government have no responsibility. Those who ask for the responsibility of the Japanese government attempted to respond to these provocations directly. They claimed that ‘comfort women’ were not Kousyou, and concentrated on finding the evidential documents for enforced mobilization that the historical revisionists demanded. The issue, however, is not with the ‘lack of evidence’ but with the poverty of historical imagination surrounding ‘comfort women’ damages. Following the opinion of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e Korean government also emphasizes the victim-centric approach, but the awareness of ‘comfort women’ issue in Korean society is still not the perspective of feminism. Also, without the understanding of historical reality and characteristics of Kousyousei, they consider the distinction between Kousyou and ‘comfort women’ to be important.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women of Asia-Pacific region in early 20th century were guaranteed independence to consider ‘voluntariness.’ The women of colonial Joseon were not subjects who had competency as an autonomous being in the private or public community and could negotiate with the others at an equal level for a better life. What is needed to resolve the ‘comfort women’ issue is to ask the question whether ‘comfort women’ and Kousyou were the same. A productive discussion can begin when we understand the political effect and the background of such a question and check whether we currently have the historical imagination to talk about the ‘comfort women’ damages. 일본군‘위안부’ 피해자가 직접 자신의 경험을 말하고 전쟁과 식민지 책임을 요구한지 30년이 되어간다. 일본정부는 정부조사를 통해 ‘위안부’ 피해자가 ‘본인의 의사에 반한 피해’를 입었음을 인정하고 역사적 교훈을 위한 후속조치를 취할 것을 약속했다. 국제사회에서는 ‘위안부’ 문제를 계기로 인권 및 전시 성폭력의 개념이 확장되고 피해자 중심 접근의 문제해결을 강조하고 있다.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대한 가해책임을 부정하는 역사부정론자들의 공세도 계속됐다. 이들은 ‘위안부’를 둘러싼 ‘강제성’ 문제를 집요하게 공격하면서 강제동원된 성노예는 없다고 했다. 그 때마다 공창제가 소환됐다. ‘위안부’는 공창이라서 자발적으로 상행위를 했으므로 일본정부는 책임이 없다고 주장했다. 여기에 반대하는 세력은 이 도발에 직접적으로 대응하려고 했다. ‘위안부’는 공창이 아니라고 주장했으며, 역사부정론자들이 요구하는 강제연행의 증거문서를 찾는 데 집중했다. 그러나 문제는 ‘증거의 결핍’이 아니라 ‘위안부’ 피해를 둘러싼 역사적 상상력의 빈곤함에 있다. 국제기구의 의견을 좇아 한국정부 또한 피해자 중심적 접근을 강조하고 있지만, 한국사회의 ‘위안부’ 문제 인식은 여전히 여성주의 관점이 아니다. 또한 공창제의 역사적 실태와 성격에 대한 이해 없이 애써 공창과 ‘위안부’를 구분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20세기 전반기를 살았던 여성들이 ‘자발성’을 논할 수 있을 정도로 주체적인 존재였는지 의문이다. 식민지 조선의 여성은 사적, 공적 공동체 안에서 자율적인 존재로서 경쟁력을 갖고 더 나은 삶을 위해 주변과 대등하게 협상할 수 있는 주체가 아니었다.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것은 ‘위안부’와 공창의 관계를 묻는 질문을 질문하는 것이다. 여성폭력, 성폭력에 대해 무지한 지식사회 안에서 제대로 된 토론은 불가능하다. 자료 등 역사적 정보에 대한 섭렵, 여성주의 관점, 평화와 인권중심의 미래지향적 전망 속에서 ‘위안부’ 문제에 대한 역사적 상상력이 가능해진다. 현재 우리가 ‘위안부’ 피해를 이야기할만한 역사적 상상력을 갖추었는지 점검하는 것에서부터 생산적인 논쟁을 시작할 수 있을 것이다.

      • 그림책을 활용한 만2세 영아 생활안전 교육프로그램 개발

        박정애,양연숙 대전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인문사회과학논문집 Vol.1 No.2

        The purpose of the program is to develop safe lifestyles and problem-solving skills for 2-year-old infants in their daily lives. The program consists of preventing safety accidents that may occur in daily life, using playgrounds in safe situations, and playing safely with friends. It consisted of annual activities to find out and practice the contents of safety accidents that may occur in daily life and actions to prevent safety accidents using picture books. In addition, home correspondence and activity papers were delivered to the home so that life safety education was conducted in connection with the home.

      • KCI등재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위키 기반 독서토론학습 시스템 개발 및 적용

        박정애,박선주,Park, Jeong-Ae,Park, Sun-Ju 한국정보교육학회 2009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3 No.2

        Reading discussion system based on a Web is a new teaching method which employs a Web as a space for discussion. It enables learners to exchange their opinions to enhance understanding and expand thinking. It is highly required to promote attitude of respecting other's opinions, reasonable thinking, and ability to express thinking in discussion learning based on a Web for interaction. In this study, I developed a reading discussion system, applying the Wiki program, for learners' interaction and tested its usefulness. Through this, it will be possible not to have existing vertical discussion which makes replies on a Web board but to have multidimensional discussion.

      • KCI등재
      • KCI등재

        조선 후기 名勝과 名勝圖 향유 양상― 《韓中名勝圖帖》을 중심으로

        박정애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2 大東文化硏究 Vol.119 No.-

        The literati (intellectuals) of East Asia in the pre-modern era engaged in diverse intellectual explorations and literary activities that focused on scenic spots. Particularly in and after the seventeenth century, scholar-officials of the Joseon Dynasty took sightseeing trips to such scenic spots and practiced the creation and appreciation of poems, prose, calligraphy, and paintings related to the sites. This allows us a glimpse into the collective intelligence and artistic pursuits of the society of the time. This is also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behind Album of Paintings of Scenic Spots of Korea and China in the collection of the British Library. The album’s unusual compilation features a poem at the beginning and ten real-scenery landscape paintings of scenic sites in Korea and China. It includes some of the eight Korean scenic sites around Gwanseo in Pyeongan-do Province and Yeongbojeong Pavilion in Boryeong, Chungcheong-do Province, as well as historic scenic spots in the Jiangnan region of China, such as Yueyang Pavilion, Huanghe Pavilion, and the Sanxia Gorges. When the album was remounted, a poem was added. The signature following the poem includes the name of Yi Don-jung whose family was connected by marriage to the family of Seo Myeong-eung. Seo’s career record indicates that he served as an official both in Chungcheong-do and Pyeongan-do Provinces. Accordingly, it seems highly probable that the families of Yi Don-jung and Seo Myeong-eung might have been involved in the production and transmission of Album of Paintings of Scenic Spots of Korea and China. The composition and depictions of details in this album’s paintings correspond to styles popular in the late eighteenth century. This artwork thus provides a notable historical source for studying the late-Joseon practice of appreciating scenic spots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China. 전근대기 동아시아 문인지식인들은 名勝을 매개로 한 지적 탐구와 문예활동을 다채롭게 전개하였다. 특히 17세기 이후 조선의 관료문인들이 주도한 명승지 유람과 詩文書畵의 창작 및 향유 양상은 당대 사회의 집단지성과 예술적 지향을 가늠하게 해준다. 영국국립도서관 소장 《韓中名勝圖帖》은 그와 같은 사회문화적 배경 아래 제작된 작품이다. 서두의 詩 한 편 외에 한국과 중국의 명승 경관을 담은 실경산수화 10폭이 실린 이례적 구성의 화첩이다. 그림의 畵題는 ‘關西八景’으로 일컬어지는 평안도 명승들과 충청도 보령 永保亭 같은 국내 명승, 그리고 岳陽樓와 黃鶴樓, 三峽 등 유서 깊은 중국 강남지방의 명승들이다. 한편 화첩을 개장하면서 추가한 詩의 款識에 등장하는 李敦中 집안과 혼맥으로 연결된 徐命膺의 官歷이 충청도와 평안도 양 지역에 걸쳐 있음이 확인된다. 따라서 이돈중과 서명응 집안이 화첩의 제작과 전승에 관여했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명승도의 구도와 세부 표현법에 나타나는 특징은 18세기 후반에 유행한 화풍과 상통한다. 요컨대 《한중명승도첩》은 국내뿐 아니라 중국의 명승까지 포괄했던 조선 후기 명승문화를 연구하는 데 있어 주목을 끄는 繪畵史料라 하겠다.

      • KCI등재

        18-19세기 지방 이해와 도시경관의 시각적 이미지

        박정애 미술사학연구회 2017 美術史學報 Vol.- No.49

        The Joseon Dynasty worked hard to expand its knowledge of provincial geography in order to establish a system of centralized control. From the 18th century onward, rural intellectuals took part in the compilation of geography books and production of maps, while literary works also made greater use of geographical information. In fact, the royal family and ruling class's view of the provinces as subordinate to the capital influenced both the items included in geography books and the form and content of visual materials. The trend for visualizing so-called cityscapes can be witnessed in the form of capital paintings (都城圖), which include pictorial maps (繪畵式 地圖) and true-view landscape paintings (眞景山水畵) reflecting increased population and densely built houses. In the late 18th century, paintings showing complete views of Seoul (城市圖) and realistically depicting the elegance of the capital, were produced. In the provinces, a notable trend for visualizing key towns and cities emerged. But, as paintings of Pyeongyang (平壤圖) show, these only went as far as depicting public buildings and facilities and densely built private houses, and made little effort to portray the commercial spaces that would have showed other aspects of city life. This was also the case with other provincial towns, depictions of which imitated the iconographic practice of emphasizing governmental spaces. This was because paintings of provincial cities originated as part of efforts by the royal family and ruling class to acquire information for the purposes of government, and because these paintings were largely produced by the same type of client and artist. From the mid-19th century onwards, the mood among artists of a step away from reality and the failure of scholar-officials to effect a change in consciousness in accordance with rapidly chang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circumstances, were also likely to have had an effect. In short, the imagery in paintings of provincial cityscapes (城邑景觀) shows that while literary works presenting geographical information reacted sensitively to changing social conditions, visual materials failed to spontaneously take in elements of urban scenery. 조선은 중앙집권적 통치체제를 확립하기 위해 지방 지리정보의 확충에 힘을 쏟았다. 18세기 이후에는 향촌 지식인들까지 지리지 편찬과 지도 제작에 동참하였고 지리정보를 활용한 문예활동도 확산되었다. 사실상 중앙과 지방을 종속관계로 이해했던 왕실과 지배층의 인식은 지리지 항목은 물론 시각자료의 형식과 내용에 영향을 미쳤다. 이른바 도시경관의 시각화 흐름은 ‘도성도(都城圖)’에서 잘 드러나는데, 인구 증가와 가옥의 밀집 현상을 반영한 회화식 지도와 진경산수화가 제작되었다. 특히 18세기말에는 한양의 도시 풍정을 사실적으로 재현한 ‘성시도(城市圖)’가 그려졌다. 지방의 경우 주요 거점 도시를 시각화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그런데 ‘평양도(平壤圖)’에서 확인되듯이 공공 시설물과 빽빽한 민가를 재현하는 데 그쳤고 도시적 면모를 나타내는 상업공간의 묘사에는 소극적이었다. 여타 지방도시의 사정도 마찬가지여서 통치공간의 재현에 중점을 둔 도상(圖像)이 답습되었다. 그 요인은 지방 성읍도의 출발이 왕실과 지배층의 통치자료 확보에 있었고, 제작을 주도한 인적 구성원이 크게 달라지지 않았던 점에서 찾을 수 있다. 또한 19세기 중반 이후 현실과 거리를 두는 방향으로 기운 화단의 분위기와 문인관료들이 급변하는 대내외 정세에 발맞춰 인식의 전환을 꾀하지 못한 한계도 작용했을 것이다. 요컨대 지방 성읍경관의 시각적 이미지는 지리정보를 원용한 문예활동이 세태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한 반면 시각자료는 도시적 경관 요소를 즉각적으로 수렴하지 못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후보

        여성작가의 전쟁 체험 장편소설에 나타난 ‘모녀관계’와 ‘딸의 성장’ 연구― 박경리의 시장과 전장과 박완서의 나목을 중심으로 ―

        박정애 한국여성문학학회 2005 여성문학연구 Vol.13 No.-

        A Study on the Aspects of 'Mother-daughter Relationship' and 'Growth of Daughter' in Fair and Battlefield of Park Gyeong-Lee and Bared Trees of Park Wan-Seo From the point of a matrilineal literature in which a principal stem of narration is mother and daughter relationship and formation of subjectivity of daughter, the warfare novels of Park Gyeong-Lee and Park wanseo can be contrasted with the postwar novels of male authors able to be named generically as a patrilineal literature of hometown-loss time. While patrilineal literature tends to pursue mythical motherhood or motherly utopia, Fair and Battlefield of Park Gyeongnee and Bared Trees of Park Wan-Seo demythologize motherhood by concreting the motherhood which includes an insanity, untruth, deception and desire to possess as well as motherly devotion. The mother, Ms. Yun in Fair and Battlefield with only identity as mother as the fostering protector of children wants to fasten the daughter to the fostered place eternally. The daughter can not mature herself as a subject of her own life because of sense of guilt caused from not requiting appropriately the sacrifice and devotion of the mother. Differently, the mother of heroine Lee Gyeong in Bared Trees is restricted to the patriarchal identity as 'mother of son'. Mother who are only 'mother of son' cause the daughter to a kind of spiritual disease which is a sense of guilt about her being. Korean war and the loss of patriarch exposes the contradiction of mother- daughter relationship and becomes a dramatic occasion which forces the relationship to reform. The more the suffering caused by warfare is serious, the stronger Jiyeong, heroine of Fair and Battlefield, trust the force of life and display strong motherhood to her young children. The death of her mother in the while paradoxically completes daughter's journey of becoming mother. Meanwhile, the mother in Bared Trees negates her actuality and lives in the impulse of thanatos. Inside motherhood-child scenario of the mother, there is only a place for patriarch and son, not a place for daughter. After the mother dies, Lee Gyeong calls dead mother and les rites de passage of youth through covert pain of mind by the means of writing. consequently, the body of the mother who exists in her daughter's inner pain gets the woman writer to write, substituting the symbolic father and her male lovers (writing phallus). 모녀관계와 딸의 주체 구성이 서사의 주된 줄기를 형성하는 모계 문학이라는 점에서 박경리와 박완서의 작품은 ‘고향 상실 시대의 부계문학’으로 범박하게 총칭할 수 있는 남성 작가의 전후소설에 대비되는 바 있다. 부계문학이 신화적 모성 혹은 모성적 유토피아를 추구하는 경향을 보인다면, 『시장과 전장』과 『나목』은 모성적 헌신과 아울러 허위와 기만, 소유욕과 광기를 포함한 모성의 실체를 소설화함으로써 모성을 탈신화화한다. 『시장과 전장』에서 어머니 윤씨는 자식의 양육자 ․ 보호자로서의 어머니라는 정체성으로밖에 자기를 재현할 수 없기에 딸을 영원히 피양육자의 자리에 묶어두려 한다. 딸은 어머니의 희생과 헌신에 대하여 적절히 보답하지 못하고 있다는 죄의식에 묶여 자기 인생의 주체로 성숙하지 못한다. 윤씨의 경우와 달리 『나목』에서 이경의 어머니는 ‘아들의 어머니’로서의 가부장제적인 제한된 정체성에 집착하는 인물이다. ‘아들의 어머니’이기만 한 어머니로부터 상처받은 딸은 살아 있음에 대한 죄의식이라는 일종의 정신적 질병에 걸린다. 한국전쟁과 남성 가장의 죽음이라는 사건은 가부장제하에서 제도화된 모녀관계에 은폐되어 있던 모순을 노출시키고 새로운 형태의 관계 정립을 강제하는 극적 계기가 된다. 전쟁으로 인한 수난상황이 심각해질수록 지영은 생명의 힘을 신뢰하게 되고 어린 자식들에 대하여 강한 모성애를 발휘한다. 그 와중에 일어난 어머니의 죽음은 역설적으로 딸의 어머니 되기의 여정을 완성시킨다. 한편 『나목』의 어머니는 현실과 삶을 부정하고 환상과 죽음 충동 속에서 목숨을 이어간다. 어머니의 모성애 시나리오 안에는 가부장과 아들의 자리만 있고 딸의 자리가 없다. 마침내 어머니가 죽자, 이경은 어머니의 죽음이 자기 때문이라는 가상 시나리오를 만들어 보지만, 곧 ‘아들의 어머니’에 집착하는 모성애이거나 무한히 이타적이고 희생적인 모성애이거나 간에 이데올로기적 허상 내지는 거짓말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고가(古家)의 해체를 통해 한 번 더 이루어진 어머니의 죽음을 바라보면서 이경은 낡은 주체를 허물고 새로운 주체를 구성하기 위한 제의적 고통을 느낀다. 어머니가 죽은 이후에야 이경은 내면의 은밀한 통증을 기제로 글쓰기라는 도구를 통해 죽은 어머니와 청춘의 통과제의를 호출한다. 자기 안의 통증으로 존재하는 어머니의 몸이, 상징적 아버지와 남성 연인들이라는 ‘글쓰기 팰러스(writing phallus)’를 대체하고 작가로 하여금 글쓰기에 이르도록 한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