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전체 연관 연구에서의 검정력 및 연구대상수 계산 고찰

        박애경,김호,Park, Ae-Kyung,Kim, Ho 대한예방의학회 2007 예방의학회지 Vol.40 No.2

        Power and sample size estimation is one of the crucially important steps in planning a genetic association study to achieve the ultimate goal, identifying candidate genes for disease susceptibility, by designing the study in such a way as to maximize the success possibility and minimize the cost. Here we review the optimal two-stage genotyping designs for 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 recently investigated by Wang et al(2006). We review two mathematical frameworks most commonly used to compute power in genetic association studies prior to the main study: Monte-Carlo and non-central chi-square estimates. Statistical powers are computed by these two approaches for case-control genotypic tests under one-stage direct association study design. Then we discuss how the linkage-disequilibrium strength affects power and sample size, and how to use empirically-derived distributions of important parameters for power calculations. We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publicly available softwares developed to compute power and sample size for various study designs.

      • KCI등재

        부분응답 신호대잡음비를 이용한 PRML 검출 방법

        박애경,이재진,Park Ae-Kyung,Lee Jae-Jin 한국통신학회 2006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1 No.9C

        This paper presents a partial response maximum likelihood (PRML) detection method using partial response signal-to-noise ratio (PRSNR) that evaluates the signal quality of asymmetric optical recording channel. It is confirmed that the equalizer maximizing the PRSNR value can be most properly adapted to the asymmetric optical recording channel. The proposed PRML detection using this result has 1.8dB SNR gain at $8.5{\times}10-5$ bit error rate compared to PRML detection using typical adaptive equalizer. 본 논문은 광기록 채널에서 신호의 질을 평가하는 부분 응답 신호대잡음비(PRSNR) 방법을 신호 검출에 응용한 부분 응답 최대 유사도(PRML)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비선형적인 요소가 많은 고밀도 광기록 채널을 적절히 적응 등화하기 위해서는 최대 PRSNR 값을 갖는 등화기를 선택하여야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안한 PRML 검출 방법은 기존의 적응 등화기를 사용한 PRML 검출 방법과 비교하여 $8.5{\times}10-5$ 오류율에서 1.8dB의 성능 이득을 보인다.

      • KCI등재

        적산성 잡음에서 참고 관측량을 쓰는 간단한 구조의 비모수 확률 신호 검파기

        박애경,송익호,배진수,Park, Ae-Kyung,Song, Iick-Ho,Bae, Jin-Soo 한국통신학회 2003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28 No.4

        정규 관측량은 물론 참고 관측량을 쓰는 비모수 검파기의 검정 통계량은 정규 관측량만을 쓰는 비모수 검파기보다 더 간단하다. 부호 통계량 대신에 참고 통계량을 사용함으로써 적산성 잡음에 숨겨져 있는 확률 신호를 위한 간단한 검파기 구조를 얻을 수 있다. A simpler nonparametric detector test statistic based on reference observation in addition to the rank statistics of regular observations is suggested in this letter. Using reference observations instead of sign statistics helps us a simpler detector structure especially for random signals buried in multiplicative noise.

      • KCI등재
      • KCI등재

        주제 조선후기 서울지역의 문학과 도시문화사 서도소리의 서울 유입과 도시문화로의 전환

        박애경 ( Ae Kyung Park ) 한국고전문학회 2009 古典文學硏究 Vol.35 No.-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quire into the process and path of converting the Seodo Sori(Songs of Northern Western Area) to urban culture in Seoul. The main messengers of Seodo Sori could be catergorized as two parts; Kisaeng as the official entertainers group and Naltangpae, who has had great role in the process of introduce their local songs to the whole country. As a result of the changement around the system of Kisaeng, Kisaeng in Northern Western Area started to come up to capital and work systematically. In addition, The scope of activity of Naltangpae who had been rooted in the Northern Western Area covered the whole country. The invasion of Seodo Sori in the 19th century shows the aspect of negotiating between the culture of the center and local culture as well as the relation of court culture and ethnic culture. In the early 20th century, Seodo Sori became the mainstream of urban culture in Seoul. Especially, the Kisaeng played an active role in diffusing the popularity. As a consequence, in the 1930`s when the urban culture was well constructed, the Kisaeng from Northern Western Area and their local songs were welcomed by the public of Seoul. The main reasons of popularity are as follows; The pubic of Seoul loved the `familiar and strange` feeling of local songs. In addition the skilled entertainers group might call up the cheer of the public.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제국신문』 소재 시가 연구 -“시사논평형” 시가의 게재양상과 기능을 중심으로-

        박애경 ( Ae Kyung Park ) 한국시가학회 2015 韓國 詩歌硏究 Vol.39 No.-

        이 연구는 여러 기관에 산재된 『제국신문』 원 자료를 수집하여, 신문에 실린 시가 자료를 일차적으로 정리하고, 『제국신문』 소재 시가의 자료적 가치를 해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제국신문』 소재 시가는 그동안 다른 매체 소재 시가에 비해 연구자의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그 이유는 상당 부분 일차 자료 확보의 어려움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제국신문』이 근대 초기 계몽언론 중 가장 오랜 발행 실적을 가진 한글 신문이며, 한글을 통한 다양한 언어·문화적 실천을 시도해왔다는 점에 주목하고, 여기 수록된 시가가 공적 담론의 장에서 활용되는 방식을 해명하고자 한다. 『제국신문』 소재 시가는 전통적 악장의 전통을 지키고 있는 의전용 가사에서부터 시사단평 류의 가사, 시조창 형식을 유지하고 있시조와 창가, 언문풍월, 민요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가 양식을 게재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시사논평형’ 시가를 중심으로 『제국신문』 소재 시가의 의미를 탐색하였다. ‘시사논평형’ 시가를 주목한 이유는, 『대한매일신보』의 ‘사회등 가사’ 이전에 시가가 근대 공론의 장에 시가가 어떤 방식으로 진입했는지, 그 자취를 밝히는 데 유효한 방식이라 보았기 때문이다. 나아가 ‘시사논평형’ 시가의 게재 경위와 담화전략 분석을 통해 『제국신문』 소재 시가의 특이성과 매체와의 관련성을 해명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해 볼 수 있다. 『제국신문』 소재 시가는 가창의 전통이라는 기반 위에 감정의 노출을 통해 상대를 설득하는 설득의 기술을 구사하거나 독자들의 집단적, 정감적 반응을 이끌어내는 구어를 활용하고 있다. ‘시사논평형 시가’의 이러한 담화 전략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제국신문』 뿐 아니라 저널리즘 소재 시가에서 시의적 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시도되었던 담화 방식이라 할 수 있다. 구어의 효과를 살린 ‘시사논평형’ 시가의 담화 전략은 두말할 나위 없이 근대담론에 의해 전근대적, 정념적, 비합리적, 비주류적인 것으로 폄하되었던 덕목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가창의 전통을 일정 부분 계승하면서 한글 중심, 구술언어 중심으로 이루어진 『제국신문』 소재 시가의 분석을 통해 근대를 향한 다양한 통로를 확인하는 한편, 지식인 중심, 서구 중심, 활자 매체 중심으로 근대를 이해하던 방식에 의문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source materials of the Jekuk Sinmun (The Empire Newspaper)distributed in various organs, classify the material works of classical poetry shown in the news papers and explain the value as material of this media in cultural historical perspective. The poetry appeared in the “Jekuk Sinmun (The Empire Newspaper) haven`t drawn attention from the researchers compared with other media materials. The reason for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difficulty to obtain the primary source in large part. In this study, I`d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Jekuk Sinmun (The Empire Newspaper)” had been representative Hangeul newspaper with the longest published results in the early modern era and had attempted diverse cultural.linguistic practice with Hangeul and tried to explain how the poerty appeared in this newspaper had been being utilized in the field of public discourses. From the majestic poetry used in the court ritual to the vulgar songs sung on the civil street, diverse forms of poetry was seen on the page of the “Jekuk Sinmun (The Empire Newspaper)” In this study, I`d specially inquired into the meaning of the poetry in the “Jekuk Sinmun (The Empire Newspaper)” with a focus on the poetry on the current issue. The poetry on the current issues have showed efficiently how the poetry had been combined with the journalism prior to the launching of “Daehanmaeilsinbo (The Korean daily newspaper)” and entered the modern public sphere. In addition, I`ve expected the specificity of the poetry appeared in the “Jekuk Sinmun (The Empire Newspaper)” could be found through this study.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poetry on the current issues had drawn the collective reaction by utilizing the spoken language.

      • KCI등재
      • KCI등재

        유아교육 전공 교과 수업에 2019 개정 누리과정을 반영하는 교수의 경험

        박애경(Ae-kyung Park),서혜정(Hye-jeong Su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1

        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육 전공 교과 수업에 2019 개정 누리과정을 반영하는 교수의 경험에 관한 탐구이다. 방법 이를 위해 D 대학 유아교육과 교수 1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2020년 7월 15일부터 2021년 1월 26일까지 심층 면담을 통해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개방적 코딩 방법을 통해 세그멘팅, 초기 코드의 발견, 심층 코드의 생성 과정을 통해 귀납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예비교사교육에 개정 누리과정을 반영하는 어려움은 1) 개정 누리과정 방향에 대한 교수자의 경험 부재, 2) 주도적인 놀이 경험이 없는 학습자, 3) 비대면 수업상황에서 소통 부재이다.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교수자는 1) 현장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수용 정도에 발맞추기, 2) 놀이 사례로 접근하기, 3) 놀이하기 및 놀이를 지원하는 교사 역할로 체험하기를 예비교사교육에 반영하였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K 교수는 1) 교수가 놀이 지원하는 유아교사 모델링 제시하기, 2) 다양한 집단 유형에서 놀이하기, 3) 동시에 다양한 매체로 놀이하기, 4) 활동과 놀이 병행하기, 5) 놀이 의미를 체험하는 기회 갖기가 필요함을 깨달았다. 결론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따른 예비교사 교육자의 책무성과 그에 따른 다양한 노력이 뒤따라야 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is study is a narrative inquiry about experience of professors reflecting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Curriculum Class. Methods For this study, one professor from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D University was target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from July 15, 2020 to January 26, 2021.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ductively through the process of segmenting, discovery of initial coding, and in-depth coding generation through an open coding methodology.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ifficulties in reflecting the revised Nuri course in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re the instructor's lack of experience in the direction of the revised Nuri course, the learner without leading play experience, and the lack of communication in non-face-to-face classes. In spite of these difficulties, the instructor reflected 1) keeping up with the acceptance level of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in the field, 2) approaching it as a play case, 3) playing and experiencing the role of a teacher who supports play in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In the reuslts of these studies, Professor K found that 1) presenting an early childhood teacher modeling that the professor supports to play, 2) playing in various group types, 3) playing with various media at the same time, 4) combining activities and play, 5) it is necessary to have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the meaning of play.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responsibilities of pre-service teacher educators and various efforts should be followed in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