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조부흥‘운동’ 전후, 사설시조의 행방—가람 이병기의 경우

        조해숙 한국현대문학회 2023 한국현대문학연구 Vol.- No.71

        이 글은 1910년 이후 식민지 상황과 매체의 이동이라는 문학장의 변화 내에서, 전통 시가인 시조가 문학 양식으로 정착하며 시대적 대응을 모색해 나가는 과정을 살피는 작업의 하나이다. 특히 고시조 연구와 현대시조 창작에 탁월했던 가람 이병기의 경우를 중심으로, 고시조 변모의 중요한 분기점이 된 1920년대 시조부흥론과 그 전후 시조 관련 쟁점을 재점검하면서, 그간 조명을 받지 못한 가람의 사설시조 작품을 고찰했다. 시조는 한국 근대문학 형성 과정에서 자연스러운 변모와 자생적 대응을 보여왔다. 시조부흥 논의 이전 1910년대 시조는, 비록 양적 열세인 데다 저항성이 쇠퇴하고 계몽성을 부각하면서 잡지 중심으로 수록되긴 했으나, 시사물보다 문예물의 성격을 띠며 형식 면에서 이전 신문 수록 시조보다 자유롭고 구호적·반복적 리듬을 벗어나는 등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이렇게 이어지던 시조는 1920년대 중반 시조부흥의 기치 아래 일종의 ‘운동’의 대상으로 소환되어 문학 노선 논쟁을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활용되면서 커다란 굴절을 경험한다. 반대론자들은 시조가 소극적·퇴영적인 양반 계급문학이어서 시효가 지난 갈래라고 단정했고, 시조 부흥론자들은 계급을 초월한 민족 문학의 정수로 시조를 부각하며 의의를 부여했으나 사실에 근거한 반론 준비에는 미흡했다. 시조부흥을 둘러싼 논란 과정에서 가람 이병기(1891~1968)가 나아간 방식은 독특하다. 그의 시조 인식은 최남선의 ‘조선주의’와는 차이가 있고, 다른 부흥론자들이 주장을 넓혀가는 방식과도 다른 길을 열었다. 이병기는 시조의 당위성을 제창하는 대신 부정적이거나 유보적인 견해에 귀 기울이고, 고시조 비평과 시조 이론을 정립함으로써 문제점 해결과 문학적 대응에 힘썼으며, 시조 고유의 속성 탐구로부터 현실에서 시조를 되살릴 방안을 찾았다. 시조부흥 논의를 통해 얻은 것과 잃은 것에 대해서는 객관적으로 평가할 부분이 남아있으나, 이것이 시조를 대중에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된 점만은 분명하다. 다만 시조부흥 문제가 제기된 후, 시조사에서 1910년대까지도 활발했던 사설시조의 창작이 배제된 것이나 관련 논의가 사라진 점, 이후 연구사도 이를 소홀히 했던 점은 주목할 지점이다. 여기서는 가람 이병기가 남긴 사설시조 작품을 고찰하면서 관련 논의와 의미를 점검했다. 『가람문선』 수록 작품 총 167편 중 사설시조로 뚜렷한 작품은 4수이다. 범속한 삶의 반영과 수평적 시선의 견지, 관찰자로서의 객관적 응시를 통한 대상 재현이라는 사설시조 고유의 특성을 담으면서도, 세계와 자아가 어긋난 순간의 시적 태도나 문제 해결방식은 새롭다. 기존 사설시조에서 인간 욕망의 집요함과 곤경이 빚어낸 풍경을 끌어안는 해학적·풍자적 태도가 흔하다면, 이병기의 사설시조 주인공이 처한 어려움은 사회적 현실 조건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사설시조의 인물형이 ‘욕망의 주체’로 전형화되는 반면, 가람 사설시조는 ‘나’가 형상화하는 개인적 형상과 태도가 도드라지는 것이다. 또 서술형 어미와 종장 첫 구의 선택 변화 등도 나타나, 가람 사설시조는 노래로부터 온전히 개인 서정시로 전환함으로써 현대시조다운 성취를 보였다. 『가람문선』 외 잡지 발표 사설시조 4편은 상황 인식과 내면 표출이 한층 선명해, 현실 세계를 향한 작가의 날카로운 시선과 현실의식을 드러낸다. 이병기의 경우를 통 ...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evolution of Sijo, a traditional Korean poetic form, within the context of changes in the literary landscape due to colonial situations and shifts in media since 1910. Particularly shedded light upon is the overlooked works of Garam Lee Byeong-gi, who excelled in the study of classical Sijo and the creation of modern Sijo. This paper reexamined his undervalued Sijo revival theory in the 1920s which provoked transformation in ancient Sijo, and the issues of the time surrounding Sijo. Sijo has demonstrated a natural transformation and adaptive response in the process of shaping modern Korean literature. Sijo in the 1910s, which was before the discussions on the Sijo revival, while facing quantitative disadvantages and a decline in resistance and eventually retreating to be included in few journals, showed positive changes-breaking away from the repetitive and chant-like rhythms of earlier Sijo in newspapers and becoming more of a literature than of a think piece. Sijo then underwent a significant transformation in the mid-1920s, summoned as a target of a kind of ‘movement’ under the banner of Sijo revival. It became a significant tool in literary debates. Opponents asserted that Sijo was a passive and obsolete aristocratic-class literature, declaring it as a thing of the past. On the other hand, advocates of the Sijo revival emphasized its essence as a national literature transcending social classes, attributing significance to Sijo. However, their counterarguments lacked sufficient grounding in reality. During the controversy surrounding the Sijo revival, Lee Byeong-gi’s approach stands out. His perception of Sijo was unlike other revivalists and also differed from the ‘Chosun-centric’ approach of Choi Nam-sun. Instead of asserting the intrinsic value of Sijo, Lee Byeong-gi took negative or conservative views seriously, focused on classical Sijo criticism and established Sijo theory to address issues and find literary responses. Through these approaches, he explored Sijo’s unique attributes and sought ways to revive Sijo in reality. While there still are rooms for objective evaluations regarding gains and losses from the Sijo revival discussions, it is clear that this period became a catalyst for widespread awareness of Sijo. However, it is noteworthy that after the Sijo revival discussions, the creation of Saseol-Sijo, which was active until the 1910s, was suspended and excluded from Sijo studies or related discussions. The study delves into the works of Lee Byeong-gi, particularly his Saseol-Sijo, as part of the broader discussion on the Sijo revival and its significance. Out of a total of 167 works in “Garam Moonseon,” only four can distinctly be categorized as Saseol-Sijo. While embody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Saseol-Sijo, such as reflecting the breadth of ordinary life, adopting a horizontal perspective, and reproducing subjects through objective observation, Lee Byeong-gi’s Saseol-Sijo demonstrates a novel poetic attitude and problem-solving approach in moments of discord between the world and the self. In contrast to the prevalent sarcastic or satirical attitudes towards human desires and difficulties in traditional Saseol-Sijo, Lee Byeong-gi’s characters in Saseol-Sijo are connected to social conditions in real life. Therefore, while the character type in traditional Saseol-Sijo is often a ‘subject of desire,’ the individual’s distinctive form and attitude, which is embodied by the ‘self,’ stands out in Garam’s Saseol-Sijo, Moreover, changes in narrative endings and the choice of the first sentence of the last verse also appear, indicating that Garam’s Saseol-Sijo demonstrated itself to be a modern Sijo, by achieving full transition from song to personal lyric poetry. four Saseol-Sijo published in several magazines including “Garam Moonseon,” have a clearer perception of situations and inner expressions, revealing the author’s sharp...

      • KCI등재

        시조 한역의 사적 전개양상과 그 시조사적 의미

        조해숙 한국시가학회 2004 韓國 詩歌硏究 Vol.15 No.-

        이 논문은 조선후기 시조 한역의 양상을 고찰하여, 시기별 특징과 그 시조사적 의미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시조의 한역은 단순히 국문시가에 대한 폄하 의도에서나, 일시적이고 단편적인 흥밋거리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그 전개 과정 자체가 문학사적 전환과 대응 양상을 뚜렷하게 보이는 지속적이고도 중요한 문학사적 사건이다. 고찰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6세기 후반에서 17세기 초기 시조 한역은 실험적이고도 단편적인 작업이었다. 한문화권에 속한 사대부가 5언고시 양식을 택해 국문시가에 관심을 보였으나, 시조의 정감과 표현을 수용하기는 어려웠다.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초 시조 한역은 여러 작가에 의해 일반화하는 경향을 보인다. 한역의 방식도 시조를 재현하는 것과, 주제를 자기화하여 시화하는 방식 등이 모두 시도되고, 다양한 시형식을 양식화하려는 모색도 나타난다. 18세기 중?후반의 한역 작가들은 국문시가의 역할을 긍정하고 이를 한시와 시조 양쪽에 활력을 주는 계기로 삼으려는 의욕을 보인다. 개성적인 표현이 가능한 장단구 형식을 활용하고 시조의 생동감과 정서를 핍진하게 전달하려는 노력이 두드러진다. 19세기 이후 시조 한역을 양적으로는 팽창하였으나 바로 이전 시기까지의 경향과는 다른 양상을 띤다. 이행기다운 발랄함과 생동감에서는 멀어진 채 7언절구 형식을 고착화하면서 시조보다는 한시에 비중을 두고 향유 자체에 탐닉하게 된다. 이 같은 시조 한역의 전개과정을 살필 때, 그것이 이전 것의 극복과 대안으로서 끊임없이 자기 모습을 달리하면서 역동적인 문학사의 한 축을 감당하고 있음을 발견한다. 더불어 시조 작가의 확정이나, 사설시조의 발생 및 담당층의 문제, 시조의 구비 전승기 모습, 가집 편찬 이전 전승자로서의 사대부의 역할 등 시조사적인 여러 쟁점들에 대한 의미 있는 해답의 실마리를 그로부터 풀어나가는 것이 가능하다. 이런 점에서 시조 한역 논의는 조선후기를 읽는 또 하나의 코드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grasp each stage's characteristic of a classical Chinese translation of Sijo in late Chosun(조선) and its meaning in Sijo-history by examining their aspects. The classical Chinese translation of Sijo is not made by a purpose disparaging classical Korean poetry, nor for temporary taste. The unfolding process itself is a continuant and important occurrence that shows aspects of literary-historical turn and response for that.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A classical Chinese translation from late 16th century to early 17th century is experimental and fragmentary. Sadaebu(사대부), belonged to Confucian cultural boundary, chose 5word-Gosi(5언고시) and are concerned about classical Korean poetry. But they ar difficult to accept an emotion and an expression of Sijo. A classical Chinese translation from late 17th century to early 18th century is generalized by many authors. They try to represent Sijo and to converse its theme to their own interests. Also, they attempt to stylize various poetic forms. Translation authors in middle and late 18th century affirm a role of classical Korean poetry and utilize it positively. They utilize Jangdangu(장단구) which makes individual expression possible, and transfer realistically the feeling and the atmosphere of Sijo. A classical Chinese translation after 19th century expands quantitatively, but its trend is different with early stage's. It falls away from the Ihaenggi(이행기)-like liveliness and vitality, regards Hansi(한시) more important than Sijo with sticking to the form of 7word-Jeolgu(7언절구), and comes to indulge in a possession itself. By examining these unfolding process, we can find a meaningful clue to answer about the disputed point of Sijo-history: such as ascertaining authors of Sijo, origination and charging group of Saseol-Sijo, the figure of oral-tradition stage's Sijo, the role of Sadaebu as transmitter before editing Gajib(가집). In this point, a discussion of classical Chinese translation of Sijo is another code to read late Chosun.

      • KCI등재후보

        17세기 시조 한역의 성격과 의미

        조해숙 배달말학회 2003 배달말 Vol.33 No.-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aspect of a Classical Chinese translation of Sijo in the 17th century and its literary-historical mean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are two methods of Classical Chinese translation in the late 17th century. The one is to transform Sijo into Sino-Korean poetry privately, and the other is to convey Sijo just as like that in accordance with the surroundings of a performance. The former is to take over the aspect of a Classical Chinese translation until the 16th century, while, the latter is to show a new trend that takes a serious view of Sijo music and is eager to record Sijo. The early stage of Classical Chinese Translation of Sijo is an experimental and fragmentary work which is not only customary but also regarded as an expediency. Arriving around the late 17th century and the early 18th century, it shows a trend of generalization by many authors. Two methods of Classical Chinese translation, a 'representation' for 'record' and a 'conversion-to-poem' by 'conversion-to-self, can be understood as a transitional figure in the history of Classical Chinese translation of Sijo. The process of Classical Chinese translation of Sijo puts a series of repetitional process into its own body. With studying such Classical Chinese translation of Sijo, we'll be able to step up to literary-historical facts of late Chosun more concretely and precisely.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