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홀로 된 고령 여성의 친밀한 관계의 재구축과 가족갈등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박순란,이진숙 한국가족학회 2019 가족과 문화 Vol.31 No.1

        The study aimed to explore how reconstructing intimate relationships of single elderly women has been perceived in families. With the research question, “What were the experiences of family conflict caused by rebuilding intimate relationship of older women ?”, this study examined the family conflict patterns of five research articipants who experienced heterosexual practices and analyzed them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data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family conflict between elderly women and their families, all started when their children figured out that their mothers has been restructuring intimate relationship and their children objected to the heterosexual practice of older mothers for economic reasons and emotional rejection. Older women who became single were experiencing family conflicts caused by heterosexual practice, such as discontinuation of their children's travel, discontinuation of economic support, independence of single children, and responding to family conflicts by ignoring them, seeing each other through their eyes, and reconstructing family relationships. Despite the conflict with their children, the participants did not regret the rebuilding intimate relationship they chose for their own volition and maintained a satisfactory their relationship. Based 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firstly that the overall social change in the perception of restructuring intimate relationship of single aged women. Secondly, social supports for the formation of single elderly women's leisure programs and strengthening the counseling services on family conflicts will be needed. Key words: single elderly woman, rebuilding intimate relationship, heterosexual 이 연구는 홀로 된 고령 여성의 친밀한 관계의 재구축과 가족갈등 경험의 양상을 심층적으로 파악하고, 친밀한 관계의 재구축(intimate relationships)중에서 이성애적 실천 경험과 그로 인한 가족갈등의 본질적 의미를 도출해 봄으로써 이들의 이성애적 실천이 가족에게 어떻게 인식되는가를 탐색해 보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홀로 된 고령 여성의 이성애적 실천으로 인한 가족갈등경험은 어떠한가’ 라는 연구 질문을 가지고, 이성애적 실천으로 인한 가족갈등을 경험하고 있는 연구 참여자 5명을 대상으로 가족갈등 양상을 조사하고, Giorgi의 현상학적 자료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홀로 된 고령여성들의 가족갈등은 자녀들이 어머니의 이성애적 실천 사실을 알게 되면서 시작되었다. 자녀들은 경제적 이유, 정서적 거부감 등의 이유로 고령 어머니의 이성애적 실천을 반대하였다. 홀로 된 고령 여성들은 이성애적 실천으로 인한 가족갈등으로 자녀왕래단절과 경제적 지원중단, 미혼자녀의 독립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무시하기, 눈치 보며 만남 갖기, 가족관계 재구성하기 등의 현상으로 가족갈등에 대응하고 있었다. 자녀들과의 갈등에도 불구하고 연구 참여자들은 본인의 의지로 선택한 이성애적 실천에 대해 후회하지 않고 있으며 만족스런 이성애적 실천을 유지하고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자는 홀로 된 고령 여성의 가족복지를 위해 첫째, 홀로 된 고령 여성의 이성애적 실천에 대한 사회 전반의 인식변화와 다양한 가족형태에 대한 수용성 향상과 둘째, 홀로 된 고령자들의 여가지원 프로그램과 사회적 관계 형성의 지원과 셋째, 가족갈등에 대한 상담서비스의 강화 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19세기 천주교 목판본 교리서에 나타난 표기의 특징과 의미- 『신명초힝』을 중심으로 -

        박순란 한국문화융합학회 2019 문화와 융합 Vol.41 No.4

        This paper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19th-century Catholic notation of Korean and its meaning as displayed in the Shinmyeongchohaeng(신명초), a 19th-century Catholic woodcut catechism. The Korean Catholic Church published 13 woodblock catechisms in 1864-1865. The Shinmyeongchohaeng used in this paper is one of the catechisms published at that time. We examine four orthographic aspects of the Shinmyeongchohaeng. First, in the Shinmyeongchohaeng root morphemes were written consistently in the same shape. The use of irregular forms and vowel alternations represented the real pronunciation. Second, initial reinforced(glottalized) sounds were written as compound writing of the same letters(各字竝書), not according to the convention that compound writing of different letter(合用竝書) be written historically. There are earlier examples of 各字竝書 used for reinforced(glottalized) sounds, but such use was limited. However, the Shinmyeongchohaeng used 各字竝書 for all initial reinforced(glottalized) sounds, and this notation was followed in printed Catholic books. Third, the ㆍ vowel and diphthongs writings in the Shinmyeongchohaeng almost match the conventions of Middle Korean writings. The notation whereby ㅡ changed to ㆍ under central consonants is largely followed only in 18th century Choseon Dynasty literature. Fourth, Sino-Korean readings were written based on the 『전운옥편』. In the Shinmyeongchohaeng, the Sino-Koreanㆍvowel, diphthongs, and palatal consonants are written based on the Sino-Korean readings of the 『전운옥편』, but the Sino-Korean readings of ㄹ and ㄴ were written to indicate the contemporary pronunciation. Examination of the Shinmyeongchohaeng shows that there was a certain orthographic standard that was strictly maintained in almost all instances, suggesting that there was an established, normative notation in the late 19th century among Catholic writers. During times of persecution the catechism, which is crucial in maintaining the faith of believers and teaching doctrine, required normative notation.

      • KCI등재

        표기와 음운현상을 통해 본 『셩경직히광익』 이본 간 선후 관계

        박순란 ( Soon Ran Park ) 반교어문학회 2013 泮橋語文硏究 Vol.0 No.35

        본고에서는 『셩경직히광익』 이본 5종의 표기와 음운현상을 비교하여, 이들이본의 계통과 이본 간 선후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한국 교회사연구소에 소장된 필사본 4종과 인쇄본 1종을 연구 대상으로 삼고, 필사본은 그 분권(分券)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각각 20권으로 분권된 필사본은 A본, 19권으로 분권된 필사본은 B본, 14권으로 분권된 필사본은 C본, 16권으로 분권된 필사본은 D본으로 지칭하였다. 가톨릭의 절기를 기준으로 분권되는 상태로는 A본, B본, D본이 동일한 기준으로 분권되었으므로 같은 계통이며 C본은 분권의 상태가 다른 이본들과 다르므로 다른 계통인 것으로 보았다. 표기의 특징으로는 D본이 유일하게 부분적으로나마 ‘ㅂ’계 합용병서를 사용하고 있고, 용언의 명사형에서 전혀 분철되지 않았다. 이본들에서 경음을 표기 할 때 대체로 합용병서를 사용하는데 B본은 각자병서가 나타나고 있어, 경음을 표기하는 데 전면적으로 각자병서를 사용하고 있는 인쇄본과 유사하였다. 대부분 이본에서 ‘ㄹ’을 어간으로 가진 용언에서 연철되는 경향이 많은데, B본과 인쇄본은 분철을 하고 있어 이 두 본의 영향 관계를 볼 수 있었다. 또한 대부분 이본에서 ‘ㄹ’을 가진 한자음이 어두에 오거나, 앞 음절이 종성으로 끝나는 경우 ‘ㄹ’이 ‘ㄴ’으로 바뀌지 않고 ‘ㄹ’표기가 유지되는 경우가 많았다. 음운현상의 경우에는 대부분 이본들에서 한자음의 경우는 구개음화되지 않은 형태들을 유지하는 경향이 많았다. 그러나 일반 한자어일 경우는 이본마다 그 양상이 조금씩 차이가 있고, 특히 B본은 구개음화된 형태가 많이 나타났다. 그러나 종교용어 한자어의 경우는 5종의 이본들이 구개음화되지 않은 형태를 사용하여 일반 한자어의 경우와 차이가 있었다. ‘ㆍ’의 변화에 관해서는 이전시기 ‘ㆍ’를 가지고 있던 어휘가 ‘ㅏ’로의 변화된 상태가 이본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었는데, D본은 이전 시기의 ‘ㆍ’를 그대로 나타나는 경향이 많았고, B본은 ‘ㅏ’로 변화된 형태가 많았다. 5종의 이본들은 1856년 도입된 축일이 포함되어 있음으로, 필사시기가 1856년을 앞서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각 이본들의 표기와 음운론적 특징을 비교해 보면, 각 이본들을 필사할 때 사용한 저본들의 시간적 상태에서 차이가 있는 것을 추론할 수 있어, 본고에서는 5종의 이본들의 선후 관계를 “D → A → C → B → 인쇄본”의 순서로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orthographic and phonological features of the five variants of ‘Sungkyuncikhaykwangik’ and to explore the origins and the sequential relationship among the variants. Materials for the study are four transcribed versions and one print version from Korean Church History Research Institute. The transcribed versions are classified by the state of division; A is divided into twenty volumes, B is divided into nineteen volumes, C is divided into fourteen volumes and D is divided into sixteen volumes. Structure of the variants suggests that those of A, B and D origin from the same resources as they are divided into equivalent standards; the Catholic Church liturgical cycle. While C shows different structures among other variants. Orthographic features represent that D employs the p-initial consonant clusters in parts exclusively; it does not separate the nominalization of the verbs. The variants use initial consonant-cluster to describe fortis consonants, but the B adopts germination-cluster representing fortis in print version. The variants generally shows strong tendency of liaison spelling, when verb has ‘ㄹ’ in the verbal stem. The version B and the print version, however, apply syllabication spelling which we can assume that both have mutual influence. Additionally when Sino-Korean ‘ㄹ’ comes at the word-initial or ends with syllable-final consonant, the ‘ㄹ’ does not change its form to ‘ㄴ’ in general. Phonological phenomenon, the majority of Sino-Korean is not palatalized its forms but maintains its own in the variants. Chinese characters, on the other hands, demonstrate slight difference among the volumes; they are palatalized especially in B. Yet the difference is that the religious terms of Chinese character do not use the palatalized forms in most of the variants. In regard of the change in the former-times “.” to ‘ㅏ’ in vocabularies, it shows slight difference in each version: D mainly employs the former-times ‘.’, while B generally reflects the altered ‘ㅏ’ in its use. Since the five variants record a festive day of the introduction of 1852, it is assumed that the transcription would not precede the year of its made. However based on the comparisons of the transcribed variants, it is suggested that the source materials would have temporal difference. Thus it is concluded that those five variants have “D → A → C → B → print version” sequential relationship

      • KCI등재

        천주교 교리서 『회죄직지』에 나타난 한글 표기의 기준과 그 영향

        박순란(Park Soon-ra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3

        This article attempts to present the Native Korean and the Shino-Korean based on the manuscript, block book, and printed book Hoejoejikji(회죄직지).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the spelling system of the letter “ᆞ” and palatal sound, which each person expressed arbitrarily in the discord and confusion between the spelling and actual pronunciation. In the block book prints of Hoejoejikji(회죄직지)(1864), the proper spelling is consistent with the historical spelling. The Shino-Korean consonant spelling uses the Shino-Korean consonants suggested in the Jeonunokpyeon(전운옥편) rather than the actual pronunciation with palatalization. In two types of Hoejoejikji(회죄직지)(1882,1900) in the printed book, the proper spelling for “차자, 가음” was modified to the historical inscription “자, 음” in the block book, “침노, 범남, 념녀” liquidated Shino-Korean, which are more closely related to the pronunciation of reality, are all corrected in the printed book by rotating the Shino-Korean of “침로, 범람, 념려”. In the printed book of the Hoejoejikji(회죄직지), the written version of the Native Korean and the Shino-Korean were inherited as they were in the block book, and the standard was applied strictly. In three types of the Hoejoejikji(회죄직지) manuscript, standard spelling were used in the writing of Shino-Korean and Native Korean. Each manuscript has a slightly different form of writing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s stated. Manuscript A appears to be almost identical to that of a block book or a printed book. Although Manuscript B has many typographical errors and factual pronunciations, it was written in the form of the letter “ᆞ” and “palatal” related expressions in consideration of the standard of expression. Manuscript C shows a spelling state that is closer to the spelling standard than Manuscript B. Through spelling state of manuscript, it can be inferred that the standard of spelling acted as the reference framework in man writing a manuscript. In the early Roman Catholic Church, there was a thought that “a unified spelling system was needed for the preaching of the doctrine and the teaching of members.”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criteria for writing were set and the book was published accordingly, and that the standard for writing had even affected the manuscript. 본고에서는 『회죄직지』 목판본·활판본·필사본의 고유어와 한자음의 표기 양상을 통해 초기 천주교회에서 세워진 표기의 기준이 활판본 교리서에 계승되고 필사본 교리서에까지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밝혀보고자 했다. 『회죄직지』(1864) 목판본에서 고유어 표기는 ‘ᆞ’의 비음운화를 반영하지 않고 역사적 표기로 일관하고 있어 고유어 표기 기준이 역사적인 형태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자음의 표기는 『전운옥편』에 제시된 한자음을 표기 기준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 현실 발음과 달리 구개음화가 적용되지 않은 표기를 사용하고 있다. 2종의 『회죄직지』(1882,1900) 활판본에서 고유어 표기는 목판본에서 ‘차자, 가음’으로 표기되었던 단어를 역사적 표기인 ‘자, 음’으로 수정하였다. 한자음 표기는 ‘침로, 범람, 념려’와 같이 모두 자전 한자음으로 모두 수정하였다. 『회죄직지』 활판본에서는 목판본에서의 고유어와 한자음 표기 기준을 그대로 계승하고 더욱 그 기준을 엄격히 적용하여 표기하였다. 3종의 『회죄직지』 필사본에서 한자음 표기는 3종의 필사본이 어두에서는 거의 예외 없이 한자음 표기 기준을 지켜 표기하고 있으나 비어두의 유음 한자음의 경우는 현실 발음을 반영한 표기가 조금 나타났다. 고유어 표기는 필사본마다 표기의 기준을 지켜 표기하는 상태가 조금씩 차이가 있는데 필사A본은 목판본이나 활판본의 표기와 거의 동일한 표기로 나타나 필사자가 표기에 대한 분명한 규범의식을 갖고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필사B본은 표기 오류가 많고 현실 발음이 많이 반영되는 특징이 있지만 ‘ᆞ’와 구개음 관련 표기에서는 표기의 기준을 의식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필사C본은 필사A본 만큼 정확하게 표기 기준을 따르지 않지만 필사B본보다 더 표기 기준에 가까운 표기 상태를 보여준다. 초기 천주교회 안에서 교리 전파와 교인 교육을 위해 통일된 표기 기준이 필요하다는 의식 아래 표기 기준을 정하며 그것을 지켜 책을 간행하고 그 표기 기준이 필사본에까지 영향을 미쳤던 것을 알 수 있었다. 『회죄직지』 목판본, 활판본, 필사본 교리서의 고유어와 한자음의 표기에서 표기 기준이 지켜지고 있는 것을 통해 초기 천주교회에서 전교와 교리 교육을 위해 한글 표기의 표준화가 필요함을 깨닫고 한글 표기를 표준화하는 시도를 했다는 것을 추측해 볼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경상북도 공립학교의 교가・교훈에 대한 성인지적 연구

        김은혜,박은미,박순란,박효영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23 여성연구 Vol.117 No.2

        This study aims to analyze gender-discriminatory factors in school songs and precepts and improve them in the viewpoint of gender equality. For this purpose, we delved into all public schools’ school songs and precepts in Gyeongsangbuk-do. The context and content of the school songs and precepts were analyzed, with focus on gender role stereotypes and gender-discriminatory expressions. Then they were analyzed by level and type of school includi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by year of school found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the survey found male-designated expressions such as ‘geona(virile son)’ and ‘hwarang(male soldeir in Silla Dynasty)’ in all levels of schools. Secondly, gender role stereotypes and gender-discriminatory expressions were found in the school songs in female schools. Lastly, gender role stereotypes and gender-discriminatory expressions appeared in greater frequency in schools established before 2000, compared with those established after 2000. As the resulf of this study, we propose four recommendations to improve the gender-discriminatory elements in the school songs and precepts. Firstly, the Education Office of Gyeongsangbuk-do needs to revise its Gender Equality Ordinance as a way of providing institutional support. Secondly, it is necessary for the Education Office of Gyeongsangbuk-do to provide budget for correcting the gender-discriminatory factors in school songs and precepts. It requires a comprehensive program supported by the Education Office to improve the gender-discriminatory content in the school songs and precepts in this province. Thirdly, it is needed to hold meetings, talk concerts, and exhibits so as to share common grounds of school songs and precepts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 equality among the students, graduates, school employees, and parents. Fourthly, it is necessary to draw up guidelines for eliminating gender-discriminatory and human rights-violating factors in school songs and precept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include the opinions of students, who are the main members of schools, in the improvement of school songs and precepts from a gender equality perspective. Through follow-up research, we intend to propose ways to eliminate gender discrimination elements in Gyeongsangbuk-do public school songs and precepts based on the perspectives of the students. 본 연구는 경상북도 753개 공립학교 교가・교훈의 성차별적 요소를 발견하고 양성평등한 관점으로 개선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22년 경상북도교육청 소속 753개 공립학교를 전수조사하여 교가・교훈 속 성역할 고정관념 및 성차별적 언어표현을 기준으로 맥락분석 및 내용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학교급에서는 ‘건아, 화랑’과 같은 남성 지칭 표현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학교유형별 성역할 고정관념 및 성차별적 언어표현은 여학교 교가・교훈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설립연도에 따른 성역할 고정관념 및 성차별적 언어표현은 주로 2000년대 이전에 설립된 학교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상북도 교가・교훈의 성차별적 요소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가・교훈 개선을 위한 교육청의 양성평등 조례 개정을 통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교가・교훈개선을 위한 교육청의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 경상북도 공립학교 교가・교훈의 성차별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경상북도교육청 지원을 통한 일괄적 사업 운영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셋째, 재학생, 동문회, 교직원, 학부모회 등의 합의 도출을 위한 학교별 교가・교훈 성차별적 요소 개선 사업이 필요하다. 넷째, 성차별적 요소와 인권침해 요소를 포함한 교가・교훈 수정 가이드라인 마련이 필요하다. 특히, 양성평등한 교가・교훈 개선을 위해서는 학교 주 구성원인 학생들의 관점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후속 연구를 통해 학생들의 관점을 반영한 경상북도 교가・교훈의 성차별적 요소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炭素纖維시트로 補强된 鐵筋콘크리트 보의 휨補强孝果에 關한 實驗硏究

        이정희,김연동,이용택,박순란 大田産業大學校 1999 한밭대학교 논문집 Vol.16 No.1

        This study is about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Carbon Fiber sheet(CFS), a kind of high strength fiber, for repair and reinforcement method of concrete structures. The experimental program included tests of beams different in wrapping method and amount of CFS. The beams were subjected to monotonic loading. In order to practically apply the repair and reinforcement method, further research is needed for the distrtbution, amount, and bond of CFS. In this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R/C beams reinforced with CFS, for various wrapping method and amounts of CFS.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e wrapping method increasing the bond area and amount of CFS layer caused the increase in the strength of the be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