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립공원 아고산대 독립훼손지 복원식생 분포특성 및 관리방안

        김종엽(Jong-Yup Kim),윤주웅(Ju-Ung Yun),한봉호(Bong-Ho Han),곽정인(Jeong-In Kwak),박석철(Seok-Cheol Park),박수영(Su Young Park),정원옥(Won-Ok Jeong) 국립공원연구원 2022 국립공원연구지 Vol.13 No.1

        본 연구는 독립훼손지 중 아고산대에 위치한 지리산국립공원 세석평전과 노고단 복원식생지를 대상으로 현존식생 분석 및 식생분포 특성을 파악하여 중장기적인 모니터링 및 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현존식생 조사범위는 훼손지 일대 유역권분포 현황을 고려하여 설정하였으며, 세석평전 조사면적은 55,037㎡, 노고단 조사면적은 166,599㎡ 이었다. 세석평전은 초본층에 의한 식생피복도는 90% 이상 수준으로서 나지노출이 없었고, 관목층의 피복도가 60% 이상으로 안정화되어 있었다. 주요 출현수종은 구상나무, 사스래나무, 쇠물푸레나무, 철쭉, 털진달래, 붉은병꽃나무 등 식재수종과 자연적으로 이입한 자생수종이 생육하고 있었다. 노고단은 신갈나무, 호랑버들, 철쭉, 털진달래, 미역줄나무 등이 우점하는 관목식생지가 52%로 가장 넓게 분포하고 있었고, 전반적으로 식생활착 상태가 양호하였다. 노고단의 원식생은 신갈나무군락으로 추정되었고, 군부대철거지에는 귀화식물이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장기적으로 주변 자연식생과 조화로운 식생경관으로 발달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향후 훼손지 복원모델은 인근 지역의 원식생을 고려하여 설정해야 할 것이지만, 복원 달성 목표는 실현가능한 수준의 목표를 설정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mid-to long-term monitoring and establishment of management plans by analyzing the existing vegetation and identifying the vegetation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for the restored vegetation in Nogodan and Seseokpyeongjeon in Jirisan National Park located in the subalpine zone among the independent damaged areas. Actual vegetation survey range was established in consideration of the distribution of the watershed around the damaged area. The surveyed area of Seseokpyeongjeon was 55,037㎡, and the surveyed area of Nogodan was 166,599㎡. In Seseokpyeongjeon, the vegetation coverage by the herbaceous layer was almost 90% or more, there was no bare exposure, and the coverage of the shrub layer was stabilized at 60% or more. The main emerging tree species were planted species such as Abies koreana, Betula ermanii, Fraxinus sieboldiana,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Rhododendron mucronulatum var. ciliatum, and Weigela florida as well as natively migrated native species. In Nogodan, the shrub vegetation dominated by Quercus mongolica, Salix caprea,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Rhododendron mucronulatum var. ciliatum, and Tripterygium regelii was the most widely distributed with 52% of the area, and the overall diet was good. The native vegetation of Nogodan was presumed to be a cypress colony. Naturalized plants were distributed in the military base demolition site, so active management was required. The study site was predicted to develop into a vegetation landscape in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natural vegetation in the long term. In the future, the restoration model for damaged areas should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native vegetation of the nearby area, but the goal to achieve restoration should be set at a feasible level.

      • KCI등재

        선별 시스템 기반 표지 유전자를 포함한 난소암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 분류

        박수영,정채영,Park, Su-Young,Jung, Chai-Yeou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11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5 No.3

        마이크로어레이 분류는 전형적으로 분류기 디자인과 에러 추정이 현저하게 작은 샘플에 기반한다는 것과 교차 검증 에러 추정이 대다수의 논문에 사용된다는 주목할 만한 두 가지 특징을 소유한다. 마이크로어레이 난소 암 데이터는 수 만개의 유전자 발현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정보를 동시에 분석하기 위한 어떤 체계적인 절차도 없다. 본 논문에서는, 통계에 따라 유전자의 우선순위를 정함으로써 표지유전자를 선택하였고, 널리 보급되어 있는 분류 규칙인 선형 분류 분석, 3-nearest-neighbor와 결정 트리 알고리즘은 표지 유전자를 선택한 데이터와 선택하지 않는 데이터의 분류 정확도 비교를 위해 사용되어졌다. ANOVA를 이용하여 선택된 표지 유전자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 셋에 선영 분류분석 규칙을 적용한 결과 97.78%의 가장 높은 분류 정확도와 가장 낮은 예측 에러 추정치를 나타내었다. Microarray classification typically possesses two striking attributes: (1) classifier design and error estimation are based on remarkably small samples and (2) cross-validation error estimation is employed in the majority of the papers. A Microarray data of ovarian cancer consists of the expressions of thens of thousands of genes, and there is no systematic procedure to analyze this information instantaneously. In this paper, gene markers are selected by ranking genes according to statistics, popular classification rules -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k-nearest-neighbor and decision trees - has been performed comparing classification accuracy of data selecting gene markers and not selecting gene markers. The Result that apply linear classification analysis at Microarray data set including marker gene that are selected using ANOVA method represent the highest classification accuracy of 97.78% and the lowest prediction error estimate.

      • KCI등재

        폐쇄성수면무호흡 의심환자에서 무호흡-저호흡 지수와 연관이 있는 두개골 계측 변수 : 예비연구

        박수영,황희영,김응엽,강승걸,김선태,박기형,Park, Suyoung,Hwang, Hee Young,Kim, Eung Yeop,Kang, Seung-Gul,Kim, Seon Tae,Park, Kee Hyung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15 생물정신의학 Vol.22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cephalometric variables which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apnea-hypopnea index (AHI) in suspected Korean obstructive sleep apnea (OSA) patients. Methods We examined lateral cephalogram and attended-full night laboratory polysomnography of the 40 participants who complained of OSA symptoms.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the cephalometric variables which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AHI. Results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higher AHI was associated with the longer distance between hyoid and mandibular plane (p = 0.023), the longer distance between C3 and hyoid (p = 0.014), the longer tongue length (p = 0.003), the larger inferior tongue area (p = 0.008), the larger anterior displacement of the hyoid bone (p = 0.024), the longer distance between posterior nasal spine and the tip of the soft palate (p = 0.021), and the larger cross-sectional area of soft palate (p = 0.001) of cephalogram in erect position. The higher AHI was correlated with the longer distance between hyoid and mandibular plane (p = 0.008), the longer tongue length (p = 0.037), the larger inferior tongue area (p = 0.013), the thicker uvula (p = 0.004), the longer distance between retrognathion and hyoid (p = 0.025), and larger cross-sectional area of soft palate (p = 0.001) of cephalogram in supine position. Conclusions The present preliminary results showed the candidate measurements of cephalogram which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AHI in suspected OSA.

      • KCI등재

        정보력 있는 유전자 선택 방법 조합을 이용한 마이크로어레이 분류 시스템 구현

        박수영,정채영,Park, Su-Young,Jung, Chai-Yeou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08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2 No.2

        오늘날 인간 genome프로젝트와 같은 종합적인 연구의 궁극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이들 연구로부터 획득한 대량의 관련 데이터에 대해 새로운 현실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유전자 발현 분석 시스템과 염기 서열 분석 시스템의 구축이 포스트 genome 시대를 맞이하여 새롭게 주복을 받고 있다. 최근에는 종양의 특정 부 클래스가 특정 염색체와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마이크로어레이는 유전자 발현 정보를 기반으로 암의 분류와 예측을 통한 진단 분야에도 활용되기 시작했다. 본 논문에서는 암에 걸린 흰쥐 외피 기간 세포 분화 실험에서 얻어진 3840 유전자의 마이크로어레이 cDNA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정규화를 거쳐 정보력 있는 유전자 목록을 별도로 추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고안하고 보다 정보력 있는 유전자를 선택하기 위해 조합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제안한 시스템과 방법론의 가능성을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그 결과 PC-ED 조합이 98.74%의 정확도와 0.04%의 MSE를 보여 단일 유사성 척도를 사용하여 유전자 목록을 생성하고 실험을 수행한 경우보다 분류 성능이 향상되었다. Nowadays, a lot of related data obtained from these research could be given a new present meaning to accomplish the original purpose of the whole research as a human genome project. In such a thread, construction of gene expression analysis system and a basis rank analysis system is being watched newly. Recently, being identified fact that particular sub-class of tumor be related with particular chromosome, microarray started to be used in diagnosis field by doing cancer classification and predication based on gene expression information. In this thesis, we used cDNA microarrays of 3840 genes obtained from neuronal differentiation experiment of cortical stem cells on white mouse with cancer, created system that can extract informative gene list through normalization separately and proposed combination method for selecting more significant genes. And possibility of proposed system and method is verified through experiment. That result is that PC-ED combination represent 98.74% accurate and 0.04% MSE, which show that it improve classification performance than case to experiment after generating gene list using single similarity scale.

      • KCI등재

        마이크로어레이 발현 데이터 분류를 위한 베이지안 검증 기법

        박수영,정종필,정채영,Park, Su-Young,Jung, Jong-Pil,Jung, Chai-Yeou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06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0 No.11

        Since the bio-information now even exceeds the capability of human brain, the techniques of data mining and artificial intelligent are needed to deal with the information in this field. There are many researches about using DNA microarray technique which can obtain information from thousands of genes at once, for developing new methods of analyzing and predicting of diseases. Discovering the mechanisms of unknown genes by using these new method is expecting to develop the new drugs and new curing methods. In this Paper, We tested accuracy on classification of microarray in Bayesian method to compare normalization method's Performance after dividing data in two class that is a feature abstraction method through a normalization process which reduce or remove noise generating in microarray experiment by various factors. And We represented that it improve classification performance in 95.89% after Lowess normalization. 생물정보는 사람의 능력을 넘어 섰으며 데이터 마이닝과 같은 인공지능기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한번에 수천 개의 유전자 발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DNA마이크로어레이 기술은 대량의 생물정보를 가진 대표적인 신기술로 질병의 진단 및 예측에 있어 새로운 분석방법들과 연계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러한 새로운 기술들을 이용하여 유전자의 메 커니즘을 규명하는 것은 질병의 치료 및 신약의 개발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 된다. 본 논문에서는 마이크로어레이 실험에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줄이 거나 제거하는 과정인 표준화과정을 거쳐 표준화 방법들의 성능 비교를 위해 특징 추출방법 인 베이지안(Bayesian) 방법을 이용하여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의 분류 정확도를 비교 평가하여 Lowess 표준화 후 95.89%로 분류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

      • KCI등재

        PKI를 이용한 인스턴트 메신저에서의 인증 시스템 설계

        박수영,최광미,정채영,Park Su-Young,Choi Gwang-Mi,Jung Chai-Yeou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06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0 No.1

        컴퓨터와 네트워크의 보급이 일반화되면서 인터넷을 통한 정보 전달이 일상생활처럼 되고 있다. 기존에는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이 주로 전자메일에 한정되어 있던 것에 반해, 요즘은 좀 더 즉각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해주는 인스턴트 메신저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인스턴트 메신저는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국내에서도 사용자가 많이 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는 인터넷상에서 많은 부분이 노출되지만 클라이언트는 이를 느끼지 못한 채 사용하고 있다. 이는 마치 전화도청과 같다고 할 수 있다. PKI를 사용한 암호화 기술은 인테넷에서 접근 통제, 인증, 기밀성, 무결성, 부인거절 등의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는 공개키 기반 구조를 발달시켜 왔다. 본 논문에서는 인스턴트 메신저의 안전한 통신을 위해 PKI(공개키 기반구조)를 이용한 인스턴트 메신저에서의 인증 프로토콜에 대해 설계하였다. As computers and networks become popular, distributing information on the Internet is common in our daily life. In the past, e-mail has been the primary choice of exchanging information, but instant messengers are gaining popularity abroad and domestically because of their nature of getting immediate reponses. However a instant messenger services have the exposure of data on internet but clients use them without recognizing their exposure. It's like phone tapping. The coding technology using Public Key Cryptosystem has developed the public key infrastructure to be able to do the services of Access-control, Authentication, Confidentiality, Integrity. and Non-repudiation with internet. It is a thesis that suggests the certification protocol in a instant messenger using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for secure communication.

      • KCI등재

        화재시 비차열 유리의 허용면적비에 관한 연구

        박수영,서희원,왕남웅,김대회,여인환,최동호,Park. Soo Young,Seo. Hee Won,Wang. Nam Woong,Kim. Dae Hoi,Yeo. In Hwan,Choi. Dong Ho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4 No.2

        국외에서는 용도 및 창의 크기를 제한하여 방화구획에 비차열 방화유리의 사용을 허용하는데 반해 국내에는 그 사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국내의 비차열 방화유리의 내화성능을 확인하고, 화재안전성을 평가해 볼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차열 방화유리에 대하여 면적별로 4가지 실험체를 구성하여 내화실험을 실시하고, 측정된 복사열유량 및 온도를 적용하여 화재안전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화재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사용이 가능한 면적비를 제안하였다. In foreign countries, a non-insulated fire glazed window is permitted in fire compartment restricting the use and size, but on the domestic side, not permitted. So, there is a need to confirm the fire resistance of the domestic non-insulated fire glazed window and to evaluate the fire safety of that. In this study, the fire resistance tests of 4 types of windows were conducted depending on window area, and the measured radiant heat fluxes and temperatures were evaluated in fire safety. As a result, we suggested the window/wall area ratio secured the fire saf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