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생물기후를 이용한 위해우려종(양서류)의 국립공원 서식 가능성 예측

        박민규(Minkyu Park) 국립공원연구원 2021 국립공원연구지 Vol.11 No.1

        환경부는 외래생물의 유입을 사전 예방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위해우려종을 지정하고 관리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연구는 위해우려종 중 생물기후에 민감한 양서류를 대상으로 종분포모형을 활용하여 현재 및 미래 기후의 국립공원 서식 가능성을 예측하였다. 연구 대상종은 6개 종이며, 현재 및 RCP4.5, RCP8.5 기후 조건의 서식 가능성을 7개 Case로 구분하였다. 예측 결과 위해우려종의 자생지 위도(latitude) 범위가 한반도의 위도 범위와 유사한 Japanese common toad, Japanese brown frog는 대부분이 국립공원에서 서식 가능할 것으로 예측되었고 Marsh frog, Pool frog, African clawed frog는 기후의 극한지수 차이로 국립공원의 서식 가능성이 낮았다. The Ministry of Environment has designated potential risk species to prevent and effectively manage the alien species. This study predicted the potential habitat possibilities of the Korea national park for amphibians sensitive to climate change, present and future climate and used species distribution models for prediction. There are six amphibians for predicting habitat potential, and seven cas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climate change scenarios (present, RCP 4.5, RCP 8.5). According to the prediction results, Japanese common toad and Japanese brown frog were predicted to be inhabitable in most national parks. The reason may be that the bio-climate was also similar, because their latitude of native distributions area were similar to that of the Korean Peninsula. On the other hand, Marsh frog, Pool frog and African clawed frog are less habitat possibilities, due to differences in the extreme bio-climate between the native distributions area and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지역별 재난관리를 위한 위험인자의 공간분포 해석: 2. 취약성

        박민규,박무종,Park. Min-Kyu,Park. Moo-Jong 한국방재학회 2011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1 No.4

        본 연구에서는 전국 59개 지점의 최근까지의 관측강우량을 이용하여 확률강우량 및 가능최대강수량의 분포특성을 평가함으로써 지역별 재난관리를 위한 취약성 요인을 살펴보았다.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지속기간별 연최대치 계열이 가지는 지역별 특성을 고찰하고, 확률강우량과 가능최대강수량이 가지는 빈도계수를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지역별로 볼 때 가능최대강수량의 빈도계수가 낮은 지역에서 앞으로 큰 취약성을 보일 여지가 많다고 평가되었다. 이러한 취약성을 저감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재현기간을 다른 지역에 비해 높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재현기간의 조정이 설계강우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으며 국내 재현기간별 확률강우량값이 서로 가지는 관계를 제시하였다. The observed rainfall data at 59 stations over the Korean peninsula are analyzed for the assesment of the vulnerability for the regional disaster management. The rainfall with return periods and the PMP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were evaluated for their spatial distribution. Annual maximum rainfall series were spatially analyzed also. The frequency factor of the rainfall with 100 year return periods and PMP was reviewed together. These comparison shows more vulnerable area which the frequency factor of PMP is relatively bigger than other area. Adjustment of the return periods has been a commonly used measure to reduce the vulnerability. The influence of the adjustment into the variations of the rainfall depth was examin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return period conditions.

      • KCI등재

        능동 특징점 모델을 이용한 스테레오 영상 기반의 실시간 객체 추적

        박민규,장종환,Park, Min-Gyu,Jang, Jong-Wha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6 No.2

        본 논문에서는 스테레오 영상 기반에서 능동 특징점 모델(active feature model)과 광류(optical flow)를 이용한 객체 추적 기술을 제안한다. 스테레오의 기하학적 정보와 변위를 이용하여 관심 객체와 특징점의 2.5차원 이동 정보(translation information)를 계산한다. 이 정보를 이용하여 폐색 객체의 특징점의 이동 정보를 예측하여 추적 성능을 개선하였다. 정형(rigid) 및 비정형(non-rigid) 객체에 실험을 하였다. 실험 결과 복잡한 배경 속에서의 실시간 객체 추적이 가능하였다. 또한 정형, 비정형 객체에 관계없이 추적이 가능 하였으며 폐색 상황에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In this thesis, an object tracking method based on the active feature model and the optical flow in stereo images is proposed. We acquired the translation information of object of interest and the features of object by utilizing the geometric information and depth of stereo images. Tracking performance is improved for the occlude object with this information by predicting the movement information of features of the occlude object. Rigid and non-rigid objects are experimented. From the result of experiment, the OOI can be real-time tracked from complicate back ground. Besides, we got the improved result of object tracking in any occlusion state, no matter what it is rigid or non-rigid object.

      • KCI등재

        수해취약성인자를 이용한 고위험 도시침수지역의 평가기법에 대한 연구

        박민규,송영석,김상단,박무종,Park. Minkyu,Song. Youngseok,Kim. Sangdan,Park. Moojong 한국방재학회 201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2 No.2

        도시지역의 인구밀집과 불투수면적의 증가, 주요기반시설의 낙후,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강도의 증가 등으로 인하여 도시지역의 수해피해에 대한 위험성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책마련을 위해서는 도시지역에서 발생하는 침수피해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침수지역과 수해취약성인자의 비교를 통하여 수해에 취약한 고위험지역을 배수분구단위로 평가하는 방법론이 제안된다. 도시침수지역은 침수피해자료를 이용하여 침수면적과 침수횟수로 구분하여 분석되며, 도시지역에서 자료수집이 용이한 저지대지역, 통수능력부족관거, 불투수지역, 유출곡선지수가 수해취약성인자로 선정된다. 방법론의 적용으로, 중랑천 수계를 대상으로 침수피해에 취약한 고위험 배수분구가 식별된다. Due to urban population growth and increase of impervious ratio, backwardness of major infrastructure, increased rainfall intensity in climate change, and so on, the risk of flood damage in urban areas is increasing. In order to establish measures for this, quantitative analysis for flood damage that occurs in urban areas is needed. In this study, a methodology assessing high-risk areas vulnerable to flooding in units of drainage catchments by comparing the city`s flood zone and flood vulnerability factors is proposed. Using flood damage data, the city`s flood zone is delimited by inundation area and inundation frequency to be analyzed. Taking into account the ease of date collection, lowland areas, lack of sewer discharge capacity, imperviousness, and runoff curve number are selected as the flood vulnerability factors. As an application, high-risk drainage catchments vulnerable to flooding in Juanang stream watershed are identified.

      • KCI등재

        용매 극성도의 이론적 예측 연구

        박민규,조수경,Park, Min-Kyu,Cho, Soo-Gyeong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08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11 No.3

        We investigated molecular polarity by using theoretical means and comparing empirical solvent polarity. Our approach employed electrostatic potentials at the molecular surface calculated by density functional methods. A number of molecular descriptors related to molecular polarities were computed from molecular surface electrostatic potentials. Among computed molecular descriptors, the most positive electrostatic potential provided the best correlation with the empirical solvent polarities. A regression equation was developed in order to predict molecular polarities of molecules whose experimental solvent polarities were unknown. The new regression equations were utilized in estimating solvent polarities of cubane derivatives which are considered important precusors of high-energy density meterials.

      • KCI등재

        스네이크 기반 객체 추출을 위한 새로운 에지 기반 스테레오 일치화 방법

        박민규,장종환,Park, Min-Gyu,Alattar, Ashraf,Jang, Jong-Wha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5 No.4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stereo correspondence method for generating excellent external energy for snake-based object segmentation methods in stereo images. Our method first generates an edge-based disparity map by performing stereo correspondence between multi-level edge maps of the stereo image pair. Only edges of similar strength are considered for matching. To filter the disparity map for edges of the object of interest, the method estimates the object's disparity value by matching the pattern of edges of the region of interest in the left image against candidate patterns in the right image. The filtered edge map is then used to generate external energy for the snake. The proposed method has been tested on two snake models and results show a noticeable enhancement on performance of the snake when compared with other methods. 본 논문에서는 스테레오 영상(stereo image)을 이용하여 스네이크 기반 객체 추출 방법들이 강력한 외부 에너지(external energy)를 생성할 수 있도록 새로운 스테레오 일치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의 첫 번째 단계로 한 쌍의 스테레오 영상에서 다중 레벨 에지 지도를 만들고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에지 기반의 변위 지도(disparity map)를 만든다. 이때 비슷한 세기를 가진 에지를 정합(matching)에 이용한다. 이 후 영상 내에서 추출하고자 하는 객체의 에지 지도를 얻기 위하여 다음의 과정을 거친다. 왼쪽 영상에서의 관심 영역의 에지 패턴을 얻고 다시 오른쪽에서도 똑같이 패턴을 얻어낸 후 두 패턴을 정합하여 객체의 변위(disparity)를 얻어낸다. 이렇게 얻어진 에지 지도를 이용하여 스네이크에서 사용될 외부 에너지를 만든다. 제안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두 종류의 스네이크 모델에서 테스트를 한 결과 기존의 방법에 비해 더 나은 결과를 얻게 되었다.

      • KCI등재

        국내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연구 현황 분석

        박민규,한규정,신수범,Park, Mingyu,Han, Kyujung,Sin, Subeom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5 No.5

        본 연구는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연구 동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2016년 이후 최근까지 발간된 '인공지능 교육'과 관련한 국내학술지논문 164건을 분석하였다. 논문 분석을 위한 준거는 연도별 논문수, 학술지명, 연구 주제, 연구 유형, 자료수집 방법, 연구 대상, 교과로 하였으며 주요 연구 분야와 추후 연구가 필요한 분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선정한 논문에 대해 주제와 요약을 중심으로 분석하되 불분명한 경우 본문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과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연구는 2017년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최근 들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분석결과 연구 주제에서는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과 콘텐츠 개발, 인공지능의 인식과 이미지에 대한 연구가 많은 편이었다. 연구의 유형에서는 양적연구가 많았고 자료수집 방법으로는 개발 연구 방식이 많이 사용되었다. 연구 대상에서는 초등학교가 비중이 높았으며 교과목에서는 인공지능 내용을 다루는 실과/기술 교과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o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We analyzed 164 domestic journal papers related to AI education published since 2016. The criteria for papers analysis are number of publications by year, journal name, research topic, research type, data collection method, research subject, and subject. The main research areas and areas that require further research are reviewed. The method of the study was analyzed based on the topic and summary of the selected papers, but the text was checked if it was unclear. As a result of the study, research o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started in earnest after 2017, and has been rapidly increasing in recent yea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ere many studies o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s and content development, and artificial intelligence perception and image. As for the type of research, there were many quantitative studies, and the development research method was used a lot as a data collection method. In the study subjects, elementary school had a high proportion, and in subjec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many practicial subject(technology) dealing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contents.

      • KCI등재

        가강수량 특성을 이용한 극치호우의 기후변화 예측

        박민규,박무종,김상단,주진걸,Park,Minkyu,Park,Moojong,Kim,Sangdan,Joo,Jingul 한국방재학회 201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3 No.1

        본 연구에서는 RCP 8.5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고려하여 극치호우로서 가능최대강수량의 변화를 예측하였다. 기존의 기후변화에 따른 극치호우 예측은 평균적인 모델링 결과를 기초로 하고 있어 극한값의 재현이나 거동 예측과 관련하여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어왔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시나리오에서 가장 신뢰도가 높은 기온의 변화와 물리적으로 상관성이 높은 가강수량 추정방법을 이용하여 가능최대강수량의 규모를 직접 추정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국내 가능최대강수량의 규모가 향후 100년 이후 약 40% 정도까지 증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확률강우량의 변동폭 등과 관련해서도 간접적인 참고수치로 이용가능 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change was predicted using RCP 8.5 IPCC climate change scenario as extreme storm change. The modelling results based on average have the restriction on extreme rainfall value representation and future behavior prediction. To overcome these problems, this study uses air temperature change and precipitable water relationship in order to calculate the magnitude of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The results showed about 40% increase in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These were expected to use as reference of extreme storm increase such as IDF changes.

      • KCI등재

        호우사상의 크기순서에 대한 고찰

        박민규,박무종,김형수,Park. Min-Kyu,Park. Moo-Jong,Kim. Hung-Soo 한국방재학회 2011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1 No.5

        본 연구에서는 이변량 빈도해석을 이용하여 호우사상에 재현기간을 부여할 때 나타나는 특성을 고찰하였다. 호우사상은 서로 상반된 성격의 구성요소들을 가지고 있어 다른 호우사상과 규모를 비교하는 것이 쉽지 않다. 이는 호우사상의 분석결과를 수문학적 설계에서 활용하는데 어려움을 주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변량 빈도해석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나 대상변량 및 결합재현기간의 선택에 따라 그 해석결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이변량 빈도해석 결과에 따라 실제 관측된 호우사상을 크기순서대로 나열할 때 나타나는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지속기간이나 조건부재현기간을 적용하는 것은 호우사상의 재현기간 규모를 판단하는데 왜곡된 결과를 줄 수 있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평균강우강도만이 강조되어 크기순위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바람직한 적용방법은 대상변량으로 총강우량과 평균강우강도를 선택하고 결합재현기간을 적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the return periods of storm event is investigated using bivariate frequency analysis. Ranking storm events is known to be very ambiguous due to contradictory characteristics of storm events components. This make it difficult to use storm event analysis in the hydrologic design. Bivariate frequency analysis of storm events is helpful to deal with ranking storm events, the caution is needed to select bivariate variables and choice appropriate joint return periods. Storm duration or conditional joint return periods adversely affect the decision of magnitude order for storm events. Only mean rainfall intensity is major factor in this case. It is useful for a appropriate ranking of storm events to select total depth and mean intensity of storm events and to use AND joint return peri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