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Study on Hydraulic Experiment of Capture Efficiency for Drainage Reduction Facilities in Mountain and Urban Areas

        Song. Youngseok,Lee. Jungho,Joo. Jingul,Park. Moojong 한국방재학회 2017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7 No.3

        배수로 월류에 따른 토양의 함수량 증가는 토사재해의 가능성을 증가시켜 이러한 피해를 대비하기 위한 배수로 저감시설이나 설계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러나, 국내외의 배수로 퇴적을 저감하는 연구나 시설은 미미한 실정으로 배수로 월류에 따른 재해 발생가능성을 저감하기 위한 저감시설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리실험을 통해 배수로의 저감시 설별 유송잡물의 포착효율을 산정하고 산지지역 및 도시지역의 설계유량에 따른 목표 포착효율별 저감시설 설치방안을 제안하였다. An increase in soil moisture content due to drainage overflow raises the possibility of sediment disaster. Thus, it is necessary to build reduction facilities for drainage or to establish design criteria to prevent such damage. However, it is a fact that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facilities to reduce the probability of disaster caused by drainage overflow because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r facility to reduce domestic and international drainage sediments. This study proposed a method for setting up reduction facilities for each target capture efficiency according to design flow in mountain and urban areas by calculating the debris capture efficiency for each reduction facility for drainage by hydraulic experiment.

      • KCI등재

        태양광 발전시설의 강우 투영단면적 비율에 따른 홍수량 변동특성 연구

        송영석(Song Youngseok),이희섭(Lee Heesup),이정호(Lee Jungho),박무종(Park Moojong)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6

        With growing global environmental concerns, attention is focused on renewable energy. Photovoltaic facilities provide infinite solar and clean energy, and are utilized in various ways. Installation of a photovoltaic facility above a certain scale should be preceded by a flood risk assessment. Recent installations of photovoltaic facilities have been utilizing piling-type construction for minimal environmental damage. In previous flood risk assessments the total area of the photovoltaic facility was classified as impervious when the anticipated flood volumes were calculated. This study analyzed variations in flooding volumes according to projected cross-sectional areas where rain falls on the installation of the photovoltaic facility. Three cases were analyzed: CASE 1 takes into account the total area of the photovoltaic facility, CASE 2 the area considering the panel installation angle, and CASE 3 the area of the circular piles. The anticipated flood volumes were calculated as 97.59 ㎥/s for CASE 1, 97.57 ㎥/s for CASE 2, and 97.26 ㎥/s for CASE 3, a difference of less than 1%. Therefore, it is acceptable to consider the total area as impervious in a flood risk assessment when installing a photovoltaic facility. 전 세계적으로 환경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신재생에너지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 중 태양광 발전시설은 무한한 태양광에너지이며 청정에너지로서 최근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이 되고 있다. 일정규모이상의 태양광 발전시설의 설치는 사전재해영향성 평가가 수행되어야 한다. 최근 태양광 발전시설의 설치는 최소한의 자연훼손을 위해 말뚝형식으로 시공이 되고 있다. 과거 수행된 사전재해영향성 평가에서는 설계홍수량 산정시 태양광 발전시설의 전체 면적을 불투수 면적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태양광 발전시설의 설치시 강우가 접하는 투영단면적에 따른 홍수량 변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조건은 강우 투영단면적에 따라 CASE 1은 발전시설의 전체면적, CASE 2은 설치 각도를 고려한 면적, CASE 3는 원형말뚝의 면적이다. CASE별 설계홍수량은 CASE 1이 97.59 ㎥/s, CASE 2가 97.57 ㎥/s, CASE 3가 97.26 ㎥/s으로 1% 미만의 차이가 분석되었다. 따라서, 태양광 발전시설의 설치시 재해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체면적을 불투수면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라 판단된다.

      • KCI등재

        표준점수법을 활용한 가뭄발생 추정식 개발 : 아시아를 대상으로

        송영석(Song, Youngseok),이희섭(Lee, Heesup),정동휘(Jung, Donghwi),유도근(Yoo, Doguen),박무종(Park, Moojong) 한국방재학회 2019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9 No.7

        본 연구에서는 과거 아시아에서 발생한 가뭄피해 데이터를 활용하여 가뭄발생 추정식을 개발하였다. 가뭄발생 추정식을 산정하기 위해 아시아 가뭄을 연도별 피해에 따라 표준점수로 환산하였다. 가뭄발생 표준점수는 1900년부터 2018년까지 아시아에서 발생한 가뭄피해 데이터를 활용하여 정규분포상의 무차원 지수를 분석하였다. 아시아의 가뭄발생 표준점수는 7 등급으로 분류되었으며 표준점수의 지수산정뿐만 아니라 가뭄발생 횟수의 정량적인 지표도 제시하였다. 또한, 기후변화의 영향을 고려한 가뭄피해 예측위해 아시아 지역의 가뭄발생 추정식을 산정하였다. 아시아 지역의 가뭄전망은 2018년 대비 2040년에는 중앙아시아와 서아시아는 현재와 비슷할 전망이며,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남아시아는 가뭄발생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In this study, a regression equation for drought occurrence is developed using past drought damage data from Asia. To estimate the regression equation for drought occurrence, Asian droughts are converted into standard scores according to yearly damage. Standard scores of drought occurrence are analyzed using the drought damage data for Asia from 1900 to 2018 to utilize the dimensionless index of normal distribution. Standard scores of drought occurrence in Asia are classified into seven grades. Quantitative indicators of the number of drought occurrences as well as the standard scores of tributaries are presented. Also, the regression equation for drought occurrence in Asia is calculated to predict drought damage considering the climate change effect. The drought outlook for the continent is expected to be the same in Central and Western Asia in 2040 compared with 2018, while the occurrence of drought in East Asia, Southeast Asia, and South Asia is increasing.

      • KCI등재

        22Cr-9Mo-3Fe-4Nb 니켈기 초내열합금의 저주기 피로에 따른 미세조직변화

        송영석 ( Youngseok Song ),석진익 ( Jinik Suk ),강정윤 ( Chung Yun Kang ) 대한금속재료학회(구 대한금속학회) 2017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55 No.9

        Abstract: A new Ni based superalloy with high fatigue resistance and fine grain was considered as a material for high-pressure buckets in fossil fuel power plants. Since such buckets are usually exposed to extreme operating conditions, low cycle fatigue test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microstructure evolution of the material during cyclic fatigue under total strains of 0.8, 0.9, 1.0 and 1.2%, and temperatures of 566, 593, 621, 649 and 700 ℃. Microstructural analysis of fractured specimens was conducted using TEM, SEM and OM to observe changes in the γ″ morphology, carbides, and fracture mode. Based on the observations of microstructural changes and low cycle fatigue properties, it can be concluded that grain size had the dominant effect on low cycle fatigue properties,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transformed carbides and precipitates in these alloy systems. (Received March 7, 2017; Accepted June 7, 2017)

      • KCI등재

        도시특성을 고려한 홍수취약성 평가기법 개발 :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송영석(Song, Youngseok),박종표(Park, Jongpyo),김하룡(Kim, Hayong),정상만(Jeong, Sangman),박무종(Park, Moojong) 한국방재학회 2020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0 No.6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도시지역의 홍수취약성 평가기법을 개발하고 홍수피해에 대한 저감대책을 제공하고자한다. 홍수취약성 평가를 위한 대리변수는 기존의 선행연구와 부처에서 제공하는 DB 등을 고려하여 도시지역에 적합한대리변수를 선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 중요도를 나타내는 지역중요성 지수(RSI)와 홍수피해 자료에 대한피해가능성 지수(DPI)를 이용하여 도시지역의 홍수취약성 지수(FVI)를 제시하였다. 지역중요성 지수(RSI)는 인적요소에 인구밀도와 취약인구 비율, 물적요소에 자산밀도와 주요시설물 면적으로 4개의 대리변수를 선정하였다. 피해가능성 지수(DPI)는지형요소에 저지대 면적비와 불투수 면적비, 재해요소에 내수재해위험지구 후보지 현황과 풍수해 이력 발생 현황으로 4개의대리변수를 선정하였다. 선별된 8개의 대리변수는 승법형 효용함수를 이용하여 종합적인 도시지역의 홍수취약성 지수를산정하였다. 산정결과 대구광역시의 홍수취약성 지수는 도시 중심지역과 하천인근 지역에서 높게 평가되었다. 본 연구결과는도시지역의 홍수취약성 평가 및 저감대책수립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ntends to develop a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method and flood damage reduction measures in urban areas for Daegu Metropolitan City. The proxy variables for the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were calculated using the previously investigated proxy variables for urban areas. The Flood Vulnerability Index (FVI) of the urban area was proposed using the Regional Significance Index (RSI), which indicates the importance of each region, and the Damage Possibility Index (DPI) for flood damage data. The RSI selected four proxy variables: population density, vulnerable population ratio, property density, and area ratio of major facilities. The DPI also selected four proxy variables: area ratio of low land, the impervious area ratio, status of domestic disaster risk district, and flood occurrence record. Eight proxy variables were selected and the FVI of urban areas calculated using multiplicative utility functions. As a result of the calculation, the FVI of Daegu Metropolitan City was found to be high in the central urban areas and by the stre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for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s in urban areas and establishing flood damage reduction measures.

      • KCI등재

        강우특성을 고려한 배수로 유지관리 방안 연구

        송영석(Song, Youngseok),전환돈(Jun, Hwandon),김상단(Kim, Sangdan),박무종(Park, Moojong) 한국방재학회 2017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7 No.3

        Climate change has increased rainfall events and, consequently, the sedimentation of soil and debris in drainage. The decrease of discharge cross-section can cause sediment disaster due to drainage overflowing. Moreover, it can create inundation damage due to the inflow of soil and debris into sewerage. Therefore, a maintenance plan is required to treat the soil and debris in order to secure the function of drainage. However, there are not enough design standards.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rainfall characteristics and the sedimentation of soil and debris flowing into drainage by monitoring an experimental basin. Monitoring results showed that drainage maintenance were required when total rainfall was equal to or larger than 30 mm or maximum rainfall intensity was equal to or higher than 9 mm/hr. In addition, a formula for estimating the amount of debris sedimentation according to total rainfall is suggested.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발생의 증가는 토사 및 유송잡물의 배수로 퇴적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러한 배수로의 통수단면적 감소는 배수로 월류에 따른 토사재해가 발생하고 토사 및 유송잡물의 하수관거 유입으로 내수침수피해를 발생시킨다. 배수로의 기능을 확보하기 위한 토사 및 유송잡물을 처리하는 유지관리방안이 필요하나 설계기준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유역의 모니터링을 통해 강우특성에 따라 배수로에 유입되는 토사와 유송잡물이 퇴적되는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강우량이 30 mm 이상이거나 최대 강우강도가 9 mm/hr 이상 발생할 때 배수로의 유지관리가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또한, 총강우량에 따른 유송잡물 퇴적량 산정식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재해연보와 풍수해 저감종합계획을 활용한 재난관리 방안 연구: 경상남도를 대상으로

        송영석(Song, Youngseok),이희섭(Lee, Heesup),박무종(Park, Moojong)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5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은 태풍, 호우 등의 자연재난에 발생빈도를 증가시켜 복합적인 피해를 유발하고 있다. 자연재난은 국가의 인명, 재산, 시설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막대한 피해를 발생시켜 재난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자연재난은 발생빈도, 재난의 크기, 피해규모 등의 예측이 어려워 현재까지도 다양한 분야에서 재난관리를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해연보’의 2006년부터 2017년까지의 피해현황과 시군구별 풍수해 저감종합계획의 재해위험지구를 고려한 경상남도의 재난관리 방안 연구를 수행하였다. 경상남도의 재난관리 방안으로는 과거 자연재난의 재난유형별 피해현황과 재난발생으로 유발되는 재해유형별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또한, 풍수해 저감종합계획의 재해위험지구와 재해유형별 가중치를 고려한 경상남도의 재해유형별 재난관리 예산비율 산정식을 제안하였다. Recent climate change has increased the frequency of natural disasters, including typhoons and heavy rains. These disasters have resulted in complex damage. Natural disasters enormously affect a variety of critical areas (e.g., human life, property, and facilities), thus increasing the importance of disaster management. However,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frequency, size, and scale of such natural disasters and the resulting damage. Many disaster management studies are therefore being conducted in a variety of areas. This study examined a disaster management plan in Gyeongsangnum-do by considering damage status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in the disaster yearbook from 2006 to 2017 in addition to a comprehensive si/gun/gu disaster plan designed to reduce storm and flood damage. Past natural disaster statuses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disaster type in the Gyeongsangnum-do disaster management plan. This study also proposes equations for calculating a budget ratio for disaster management in Gyeongsangnum-do by considering the disaster risk area and the weight of the disaster type according to the comprehensive plan to reduce storm and flood damage.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농업가뭄의 재해예측을 위한 가뭄지수 설정 연구

        송영석(Song, Youngseok),주진걸(Joo, Jingul),김하룡(Kim, Hayong),정상만(Jeong, Sangman),박무종(Park, Moojong) 한국방재학회 2020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0 No.6

        본 연구에서는 1965년부터 2018년까지 농업가뭄피해가 가장 많이 발생한 경상남도를 대상으로 재해예측을 위한 가뭄지수를설정하고자 한다. 가뭄지수는 SPI를 대상으로 지속기간(3, 6, 9, 12개월)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농업가뭄이 발생한 지속기간의피해특성을 산정하였다. 경상남도의 농업가뭄 피해기간에 대한 지속시간별 SPI는 최소 -2.0 이하, 최대 -1.0 이상으로 약한가뭄과보통가뭄이 분석되었다. 그러나 장마기간의 호우영향으로 SPI12는 평균 -1.06이며 농업가뭄의 피해영향은 미미하였다. 농업가뭄의 피해기간과 지속기간별 SPI의 상관관계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피해발생을 판단하기에는 지속기간별 SPI의 차이가크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가뭄의 재해예측을 위한 기준을 과거 농업가뭄의 피해발생기간에 지속기간별 SPI의 최소가뭄지수를 연도별 대표 가뭄지수로 산정하였다. 재해예측을 위한 가뭄지수의 기준은 과거 피해가 발생한 연도의 지속기간별SPI의 평균인 -1.64로 설정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drought index for disaster prediction in Gyeongsangnam-do, where the most agricultural drought damage occurred from 1965 to 2018. The drought index was analyzed for each duration (3, 6, 9, 12 months) targeting the SPI. Damage characteristics of the duration of agricultural drought were calculated. SPI for each duration of agricultural drought damage period in Gyeongsangnam-do was at least -2.0 or less, and the maximum was -1.0 or more, and weak and moderate drought were analyzed. However, due to the heavy rain effect during the rainy season, the average SPI12 was -1.06, and the impact of agricultural drought was negligible. It was analyze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amage period of agricultural drought and the SPI by duration was high. However, there is not much difference in SPI for each duration to determine the occurrence of damage. In this study, the criterion for disaster prediction of agricultural drought was calculated as representative drought index by year as the minimum drought index of SPI for each duration of damage occurrence period of past agricultural drought. The Standard of drought index for disaster prediction was set to -1.64, the average of the SPI for each duration of year in which damage occurred in the pa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