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상성 진균 Aspergillus nidulans에서 forkhead 유전자인 fkhF의 구조와 기능 분석

        박미혜,김현영,김종화,한갑훈,Park, Mi-Hye,Kim, Hyoun-Young,Kim, Jong-Hwa,Han, Kap-Hoon 한국미생물학회 2009 미생물학회지 Vol.45 No.4

        Genome analysis of a model filamentous fungus, Aspergillus nidulans, revealed that there are six putative forkhead genes. Among them, fkhF (AN8949.2) showed A. nidulans-specific. fkhF gene is located in chromosome VII and composed of 2,337 bp coding region for 778 amino acid. Since little is known about the involvement of the forkhead proteins i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filamentous fungi, including A. nidulans, we generated a deletion mutant of fkhF gene and analyzed. Deletion of fkhF resulted in less-dense conidiophore formation in a solid culture. However, the sexual developmental process or cleistothecia formation was normal. Furthermore, fkhF deletion mutant produced conidiophores and conidia under the submerged culture, suggesting that the fkhF gene is involved in repression of inappropriated induction and maturation of asexual developmental process but not in sexual development. 사상성 모델 진균인 Aspergillus nidulans에 존재하는 forkhead 유전자들의 구조와 기능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유전체 분석을 통해 forkhead 도메인을 가지고 있는 6개의 forkhead 유전자를 발견하였다. 이들 중 4개의 유전자들은 다른 진균에서 발견되는 forkhead 유전자들과 전반적인 유사성이 있었으나, 2개의 유전자들은 다른 종에서는 보존되어있지 않은 A. nidulans 특이적인 유전자들이었다. A. nidulans 특이적 forkhead 유전자들 중 하나인 fkhF(AN8949.2) 유전자는 염색체 7번에 위치하고 있고, ORF는 2,337 bp로 구성되어 있으며 778개의 아미노산을 암호화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예상되는 FkhF 단백질의 N-말단 부위에 보존된 forkhead 도메인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 유전자의 기능을 분석하기 위해 유전자제거 돌연변이 균주를 제조하였다. fkhF 유전자 결손돌연변이주는 유성분화 유도 조건 등을 포함한 여러 고체배지 배양 조건에서 유성분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무성포자병(conidiophore)의 생성 밀도와 성숙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관찰되었고, 야생형과 달리 진탕배양시에 무성포자병을 형성함이 관찰되었다. 이는 fkhF 유전자가 A. nidulans의 부적절한 무성분화를 억제하고 정상적인 무성포자 성숙과정에 관여하는 유전자라는 것을 보여준다.

      • KCI등재
      • KCI등재

        단일 융모막성 다태임신에서의 선택적 중절술에 관한 고찰

        박미혜 ( Mi Hye Park ) 대한주산의학회 2009 Perinatology Vol.20 No.4

        Monochorionic pregnancies have placental anastomoses that to varying degree create a common circulation. This presents unique challenges for the performance of selective termination in cases of acardiac twin, twin to twin transfusion syndrome, or discordant twin abnormalities. Multiple methods of interrupting the affected twin`s circulation have been attempted with variable success.

      • KCI등재

        소비자의 지속가능한 소비생활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박미혜 ( Park Mi Hye ) 한국소비자학회 2017 소비자학연구 Vol.2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한 소비생활 경험에 대해 광범위한 시각의 심층탐구를 하여 근거이론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소비자들의 지속가능한 소비양식과 소비문화에 대한 실현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지속가능한 소비생활을 하는 20대에서 50대까지의 소비자 21명으로서 개별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질적연구인 근거이론 방법을 사용하여 소비자들의 지속가능한 소비 실천의 중심현상은 무엇이며 어떠한 인과적, 맥락적, 중재적 조건과 상호작용 전략 과정을 거쳐서 최종적인 결과에 이르렀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속가능한 소비생활의 패러다임 모형의 과정은 `지속가능성의 문제인식`, `건강과 안전에 대한 관심`이라는 인과적 조건에 의해 동기화되어 `개인의 환경`, `사회적인 이슈와 트랜드`라는 맥락적 조건을 통해 `지속가능한 구매와 후원`, `지속가능한 사용과 처분`, `비구매와 반소비`의 중심현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과정에서 `실천의 촉진노력`, `실천의 갈등요인`이라는 중재적 조건이 `네트워크와 관계활용`, `내적갈등에 대처`라는 작용/상호작용 전략의 대처에 영향을 주며 `삶의 한부분이 됨`, `더 큰 만족`, `의식과 실천의 진화`라는 결과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가능한 소비생활 경험과정의 핵심범주는 `지속가능성에 대한 문제인식에서 출발하여 다양한 여건과 계기, 활동과 대처전략을 통해 개인의 일상적 실천으로 정착되고 개인적 웰빙을 넘어 사회적 관점으로 확대됨`으로 규정하였다. 소비자유형은 소비생활 경험의 하위범주에 대한 연관성 정도를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생태적 삶 지향형`, `건강과 안전추구형`, `자원절약형`, `트랜드 지향형`, `사회참여형`의 5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지속가능한 소비가 정착되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밝힌 다양한 맥락적 요인을 강화하고 실천을 촉진하는 중재적 조건 및 상호작용전략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지속가능한 사회로 가기 위한 정부의 정책과 기업문화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정부, 기업, 소비자단체와 소비자 등에게 지속가능한 소비문화를 정착하기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sustainable consumption and the contextual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grounded theory through an intensive investigation into the experiences of sustainable consumption with a broader perspective, and to find ways to realize consumers` sustainable consumption style and consumer culture.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wenty-one consumers, ranging in age from the 20s to the 50s, who reside in Seoul and Gyeonggi-do. This study analyzed the main phenomenon in the practice of consumers` sustainable consumption by us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of qualitative research, and a final consequence reached through causal, contextual, intervening conditions and interactive strategy process. Open coding has categorized participants` sustainable consumption experiences into similar concepts. Based on the data obtain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248 concepts were extracted as a result of continuous questioning and comparative analysis, which were classified into 31 subcategories and 14 upper categories. Based on the results from open coding, we performed the axial coding process of combining the data in a new way by associating the subcategories. A paradigm model was constructed by structuring these categories in the order of causal condition, main phenomenon, contextual condition, intervening condition, action/interaction strategy, and consequence. As a result of analysis, sustainable consumption life is motivated by causal conditions of “recognizing sustainability issue”, “concern about health and safety”, and the main phenomenon of “sustainable purchasing and support”, “sustainable use and disposal”, “no buying and anti- consumption” showed through the contextual conditions such as “individual circumstances”, “social issues and trend” in the paradigm model of sustainable consumer life. In this process, the intervening conditions such as “making an effort to promote the practice”, “conflicting factor in practicing” affected the coping of action/interaction strategy such as “network and relationship utilization”, “coping with internal conflict”, and the consequence such as “becoming a part of life”, “more satisfaction”, “evolution of consciousness and practice” are showed. The core category and consumer types are classified through the selective coding, which is the final step of analysis of grounded theory. The core category in the synthesis of sustainable consumption was identified as expanding into social perspective beyond individual well-being, starting from the recognition of sustainability and settling into the practice of daily life through various conditions and motivation as well as activity and coping strategies. Consumer type was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such as “ecological life oriented”, “seeking health and safety”, “saving resources”, “trend oriented”, and “participating in social issues” by compar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associations to the subcategories of consumer experiences.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various phenomena and the conditions affecting such work together in the process of sustainable consumption. Consequential factors justified the practice of sustainable consumption, providing implications as to what conditions influence the practice of sustainable consumption. In order for the practice of sustainable consumption to be settled, we will need to reinforce various contextual factors, utilize the intervening conditions, and action/ interaction strategies which promote the practice. Considering both facilitating and mitigating factors, it is necessary to reflect on various education and policies and reduce the problems of the structural factors in addition to strengthening the promotion factors. Moreover, government policies and corporate culture should be backed up towards a sustainable socie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were made to government, business, consumer groups and consumers to promote sustainable consump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crutinizes sustainable consumption from a comprehensive and integrated perspective, different from the study on sustainable consumption that focused on the individual items or consumption factors such as purchase or disposal. It is also important to set up a theoretical foundation by constructing a paradigm model based on grounded theory analysis of consumers`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s, and develop guidelines for the practice through various factors tha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ractice. The empirically grounded theory of sustainable consumption can supplement a theory and empirical data of consumer science as well as contribute to reinforcing academic content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cornerstone for future research, and any limitations not clarified through this study are expected to resolve through subsequent stud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현대여가소비문화의 비판적 고찰과 대안모색

        박미혜(Park Mi Hye) 한국소비문화학회 2006 소비문화연구 Vol.9 No.2

          최근 우리사회는 주5일근무제 실시를 계기로 일 중심사회에서 여가중심사회로의 변화를 꾀하고 있으며 여가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다. 그러나 아직 우리사회의 여가의 모습은 수동적 여가에 머물거나 현대사회에서의 여가경험은 소비문화 속에서 성취되는 어떠한 것이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점차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여가부문에서도 예외없이 적용되고 있는 상품적 소비문화에 대한 소비윤리적인 관점을 가지고 접근을 함으로써 진정한 삶의 질 추구로서의 여가란 무엇인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서 그간의 연구논문들과 서적, 신문기사 등의 2차 자료들을 토대로 현대여가소비문화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여가에 대한 고찰과 현대여가소비문화의 현상 파악을 중심으로 하여, 현대여가소비문화에 대한 비판과 대안모색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는 여가소비문화의 현상을 문화상품소비, 웰빙형 여가, 놀이, 매니아적 여가, 관광으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여가소비문화에 대한 비판으로서 지나친 쾌락추구, 강제된 여가, 과시와 구별짓기로서의 여가, 여가소외 문제 등을 언급하였다. 상업화되고 왜곡된 여가문화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줄여나가기 위한 대안으로서는 소비자의 의식전환과 여가교육, 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자발적인 주체성을 근원으로 한 삶의 태도인 미학적 여가로의 회복, 생태형여가, 여가 콘텐츠의 질과 다양성을 높이기 위한 여가교육과 여가소외를 해결하기 위한 여가정책 등이 필요할 것이다. 앞으로 현대 소비문화 속에서의 여가의 방향은 어떻게 가야 하는지에 대한 학계의 꾸준한 연구와 논의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s a 5-day work week was recently introduced in our society, we are changing from a work-oriented society to a leisure-centered society, with an increasing interest in the leisure culture. The leisure activities in our society remained passive, like taking a nap, watching TV, etc. But new and various leisure experiences have been gradually realized through increased leisure consumption expenditure. This study dealt with the phenomena appearing in a leisure consumption culture, its critical view, its alternatives to a negative consumption culture and how it helps individuals pursue a higher quality of life.   This study approached the analysis of a leisure consumption culture through the examination of relative papers, books, and some articles in newspapers In this study, the conceptual meanings of leisure were reviewed, and the phenomena in the leisure consumption culture were investigated, and its critical perspectives and alternatives were suggested.   The phenomena appearing in a culture of leisure consumption were classified into the cultural product consumption, leisure activities promoting a healthful lifestyle, play, maniac leisure and tours. In addition excessive pleasure-centered leisure, enforced leisure, leisure involving conspicuous consumption, alienation issues from leisure, etc., were also discussed. Also, the consumer’s changing view of leisure, and leisure education, as well as establishing its policy were indicated as alternatives to solve distorted, and commercialized leisure issues.   The aesthetic or ecological leisure activities should be encouraged, and leisure education is necessary to enhance the quality and variety of leisure contents. Policies and its policy should be reconsidered to solve the issues concerning alienation in leisure activities. In conclusion, further study and discussion about a desirable course of leisure activity in a contemporary culture of consumption are required.

      • KCI등재
      • KCI등재

        윤리적소비와 관련한 소비자의 감정경험

        박미혜 ( Mi Hye Park ) 한국소비자학회 2015 소비자학연구 Vol.26 No.3

        본 연구는 소비자가 윤리적소비와 관련하여 경험한 감정의 본질은 무엇인지 이해하고 그 함의를 도출하고자 함이 주된 목적이다. 이를 위해 현상학적 질적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15명의 윤리적소비의 경험과 관심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분석의 결과 윤리적소비에 대한 감정경험은 총6개의 범주와 18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범주화는 ‘책임감: 알아야 되고 알게된 것에 대한 의무’, ‘정의감: 동행하는 삶을 위한 옳은 길’, ‘만족감: 뿌듯하고 기분 좋은 행복’, ‘유대감: 나와 너가 아닌 우리’, ‘자존감: 가치있는 의미를 추구하는 자부심’, ‘불편한 감정: 나와 인간, 구조를 바라보는 아쉬움’의 6가지로 요약되었다. 이러한 감정들은 서로 관련되었고 소비의 동기와 결과로 작용하였으며 소비행동 전반에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감정경험을 포괄하는 본질은 “지구공동체에 대한 책임과 사랑으로 행복한 공존을 위해 불편도 감수하는 떳떳한 충족감”이라고 볼 수 있었다. 각 범주를 구성하는 주제를 살펴보면, 책임감은 ‘생산과정의 이면’, ‘소비의 지속가능성’, ‘전파하는 소비윤리’가 추출되었다. 정의감은 ‘약자를 배려하는 공정성’, ‘동물과의 조화로운 공존’, ‘화폐투표는 소비자주권’이 발견되었다. 만족감은 ‘안전과 신뢰’, ‘수용가능한 합리성’, ‘지구환경을 생각’, ‘더 행복한 나눔’, ‘시장거래보다는 관계’였다. 유대감의 주제는 ‘소비자에서 동반자로’, ‘마음이 통하는 사람’으로 나타났다. 자존감의 주제는 ‘인격과 수준의 표현’, ‘양심과 떳떳함’이 추출되었다. 불편한 감정은 ‘신념과 행동의 불일치’ ‘다른 생각과 관점’, ‘구조와 한계’로 요약되었다. 참여자들은 윤리적소비를 통해서 개인적 만족뿐만 아니라 이를 넘어서 다음세대의 환경과 현세대의 인간과 동물의 복지를 고려하는 다양한 감정을 경험하고 있었다. 공공선을 지향하는 윤리적소비는 결국 자신의 행복을 위한 길이라고도 볼 수 있으며 행복한 공동체를 만들어 내는 근본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따라서 윤리적소비의 동기화를 위해서는 개인의 만족과 공공의 이익을 위한 통합된 인격으로서의 덕의 함양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통해 소비자와 기업, 정책측면에 다양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emotional experiences which consumers experience in ethical consumption, and to draw its implicit meanings. To do this,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15 ethical consumers who reside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conducted. A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interviews, 6 categories and 18 themes are extracted. The categories of emotional experiences in ethical consumption are summarized as ‘sense of responsibility’, ‘sense of justice’, ‘feeling of satisfaction’, ‘connectedness’, ‘self-esteem’, and ‘discomfortable feeling’. These emotions were closely interrelated with each other, and were acted as the motive and outcome of consumption, and influenced on consumer behavior. The nature of these emotional experiences could be considered as “consumer``s self-fulfillment who endures their inconvenience in order to happily coexist with responsibility and love toward the earth community”. As the themes of ‘sense of responsibility’, ‘the hidden side of production process’, ‘sustainability of consumption’ and ‘spreading of consumption ethic’ are extracted. ‘Fairness of being considerate for the weak’, ‘harmonious coexistence with animal’, ‘money voting is consumer sovereignty’ are extracted as the themes of ‘sense of justice``. As the themes of ‘feeling of satisfaction’, ‘safety and reliance’, ‘acceptable rationalization’, ‘thinking about the earth environment’, ‘happier sharing’ and ‘relationship rather than market trading’ are extracted. ‘From consumer to partner’ and ‘those who are compatible each other’ are named as the themes of ‘Connectedness’. As self-esteem on ethical consumption, ‘expression of their characters and level of consciousness’, ‘conscience and pride’ are extracted. ‘Different thinking and viewpoint’, ‘inconsistency between belief and behavior’ and ‘structure and limitation’ are extracted as the themes of ‘discomfortable feeling’. Participants have not only experienced individual satisfaction through ethical consumption, but also experienced a various emotion which is considerate for the environment of next generation, and the welfare of human and animal. Ethical consumers are awakened consumers who listen to the internal voice of conscience, citizen leaders focused on attaining the common good for society through the responsible practice. Consumer``s emotional factors experienced in ethical consumption are covered with deontology, utilitarianism, and virtue theory in moral philosophy, but individual virtue should be cultivated to motivate ethical consumption. Common good-oriented ethical consumption is ultimately the way to their own happiness, and the fundamental way to making a happy community. Through the study result, the implicit meanings in the aspects of consumer, company and policy are drawn.

      • KCI등재

        지속가능소비의 개념화와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 환경.사회.경제의 지속가능성을 중심으로

        박미혜(Park, Mi Hye) 한국소비문화학회 2022 소비문화연구 Vol.25 No.1

        지속가능소비는 그 중요성에 비해 일관적인 개념정립과 타당한 척도개발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관점에서 사용되어 온 지속가능소비의 개념을 정립하고 객관적이고 총체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지속가능소비 척도를 개발하는데 있다. 지속가능발전 패러다임의 세 가지 요소를 도입하여 지속가능소비의 개념을 환경, 사회, 경제의 지속가능성을 고려해서 소비하는 행동으로 규정하고 소비자가 그들의 소비활동에서 이를 수용하는 정도로 지속가능소비를 측정하였다. 이론적 개관을 통해 지속가능소비에 대한 개념화를 하고 여러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척도문항의 구성요소와 내용의 틀을 만든 후 예비문항을 도출하였다. 최초 생성한 예비문항에 대해 전문가의 내용타당도검증과 소비자 사전조사를 하여 최종 85개의 예비문항을 만들었다. 소비자 조사를 통한 통계적 검증을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연령, 성별, 거주지를 중심으로 할당표집을 하였다. 수집한 704명의 자료에 대해 SPSS 25.0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측정모델분석, 신뢰도 및 타당도검증 등의 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58문항으로 정제되었고 환경, 사회, 경제 영역별 2개씩의 하위요인으로 나타나 총 6개의 하위요인이 추출되었으며 각 하위요인의 신뢰도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모형의 적합도가 기준치에 부합할 때까지 분석하는 과정을 거쳐 38문항으로 정제되었으며 이후 요인들의 단일차원성을 검증하는 측정모델분석을 시행한 결과 최종 33문항이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구성개념타당성인 집중타당성과 판별타당성을 검증하여 최종 척도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항삭제를 통해 정보가 손실되더라도 타당성 확보에 더 중점을 두어 최종문항들은 초기문항들에 비해 많이 축소되었지만 비교적 핵심적인 내용들을 담고 있으며 신뢰할 수 있고 타당한 척도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성의 환경, 사회, 경제의 세 가지 영역을 고려한 지속가능소비 척도를 개발한 초기연구로서 의의를 가지며 지속가능소비의 개념과 척도의 준거점을 제공하고 다양한 변수를 적용한 양적연구를 위한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sustainable consumption, consistent conceptualization and development of valid scale were hardly ma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sustainable consumption that has been used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to develop a sustainable consumption scale that can be measured objectively and holistically. By introducing the triple bottom line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paradigm, the concept of sustainable consumption is defined as consumption behavior in a way that considers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 sustainability. Sustainable consumption was measured to the extent that consumers accept it in their consumption activities. After conceptualizing sustainable consumption through a theoretical overview, and creating a framework for the components and content of scale based on previous studies, 105 preliminary items were derived. The final eighty-five preliminary items were created through experts’ content validation and consumers’ advance survey. For statistical verification through consumer surve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nd nation-wide quota sampling was performed centered on age, gender, and place of residence. Data was collected from 704 participants. Statistical analysis, includ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easurement model analysis, reliability and validity, was performed using SPSS 25.0 and AMOS 22.0 program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scale was refined into fifty-eight items, and there were two sub-factors for each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 domain. A total of six sub-factors were extracted, and the reliability of each sub-factor was relatively high. Seco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and the scale was refined into thirty-eighty items through the analysis process until the model fit met the criteria. After the measurement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unidimensionality of the factors, the final thirty-three items were extracted. Finally,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which are construct validity, were verified to develop the final scale. In this study, more emphasis is placed on securing validity, even if information is lost by deleting the items, and although the final items are greatly reduced compared to the initial items, they contain relatively core contents and can be considered as reliable and valid measure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an initial study to develop a sustainable consumption scale considering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 sustainabilit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serve as a foundation for empirical study with various variables and provides a reference point for the concept and scale of sustainable consump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