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완부위 최소통증 채혈을 위한 진공 자동 채혈기법

        박미숙,박경순,김경아,전명희,김태임,이태수,차은종,Park Mi Sook,Park Kyung Soon,Kim Kyung Ah,Jun Myung Hee,Kim Tae Im,Lee Tae Soo,Cha Eun Jong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04 의공학회지 Vol.25 No.6

        A new vacuum assisted auto-lancing technique is proposed to minimize pain. Specially designed lancing device was introduced, which applied -100mmHg right after skin puncture on the forearm. Sampled blood volumes were measured in 58 normal females. Mean volume of 464 samples was approximately 2.6$\muL$ and the frequency of more than 0.5$\muL$ was 86%. Thus the success rate of blood sugar test should also be the same when using modern glucose meters capable of testing with only 0.3~0.5$\muL$ of capillary blood. When pain scores were quantitatively evaluated by the visual pain measure, only 23% pain of the traditional finger sampling was experienced, demonstrating that capillary blood sampling was performed on the forearm with almost no pain. The present technique reduced pain to a great degree, though resampling might be unavoidable due to 14% of test failure rate estimated for modern glucose meters. However, minimized pain makes the present technique of great convenience for diabetic patients who need blood sampling a few times a day. 당뇨병 환자의 혈당검사시 통증을 최소화하는 새로운 진공 자동 채혈기법을 개발하였다. 특별히 고안, 제작된 채혈기구를 사용하여 전완부위에서 채혈침으로 피부를 관통한 직후 자동적으로 -100mmHg의 진공압력이 가해짐으로써 모세혈액이 흡입되는 자동화된 진공 채혈기법을 구현하였다. 진공 자동 채혈기법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전완부위에서의 채혈용적을 측정하였다. 58명의 정상인을 대상으로 464회의 채혈을 시행한 결과 평균 채혈용적은 약 2.6$\muL$이었고 0.5$\muL$이상의 채혈빈도가 약 86%이었다. 최근 개발되고 있는 혈당계들은 0.3~0.5$\muL$의 모세혈액으로 혈당검사가 가능하므로 검사성공률 역시 약 86%로 추정되었다. 채혈통증 감소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손가락 및 전완부위 채혈 후 시각상사 통증척도를 사용하여 통증지수를 측정하였다. 전완부위 채혈시 통증은 손가락 채혈의 약 23%에 불과하였으며 거의 무통증 채혈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전완부위 진공 자동채혈기법은 전통적인 손가락 채혈에 비해 채혈통증이 25% 이하로 현저하게 감소하지만 검사실패율이 14%로써 경우에 따라 재채혈이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매일 수 차례 채혈해야 하는 만성 당뇨환자의 경우 검사기피를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으로 생각된다.

      • 데이터센터 폐열의 지역난방 이용에 대한 경제성 평가

        박미숙 ( Mi-sook Park ),김세훈 ( Seo-hun Kim ),김다연 ( Da-yeon Kim ),양수진 ( Soo-jin Yang ),황용우 ( Yong-woo Hwang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21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

        탄소중립이 전 지구적 해결과제로 부상하고 있는 시점에서 2020년 7월 14일 우리 정부는 한국판 뉴딜정책을 발표했으며, 10대 과제 중 하나로 ‘데이터 댐’을 제시한 바 있다. 향후 데이터 댐을 통해 데이터 경제가 가속화되고 빅데이터 플랫폼이 확대 되면 데이터센터의 전력 소비량은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이터센터의 전력소비량 중 절반가량은 IT 장비를 식히기 위해 소비되고 있다. 데이터센터에서 장비를 식힐 때 공랭식과 수냉식의 두 가지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공랭식 위주인 우리나라와 달리, 국외에서는 수냉식 냉각방식을 활용하여 그 과정에서 회수한 데이터센터 폐열(waste heat)을 지역난방에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데이터센터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비추어볼 때, 우리나라에서도 데이터센터 폐열 활용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그간 우리나라에서도 데이터센터 폐열을 회수하여 지역난방에 활용하기 위한 시도 혹은 정책적 제언을 하는 연구는 있었지만, 지역난방으로의 이용에 대한 경제성 평가는 이루어지지 않았기에,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센터 폐열의 지역난방 이용에 대한 경제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데이터센터의 폐열을 회수하여 지역난방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수냉식으로 열을 식힌 후 이를 회수하여 지역난방 시설로 보내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공랭식 냉각 장치가 설치된 데이터센터에 수냉식 냉각 시스템을 설치하고 지역난방으로 연결할 때 발생하게 될 초기 공사비, 에너지 절감 비용 등을 고려하여 초기 투자비 회수기간 등을 산정하였다. 향후, 국내에서 데이터센터 폐열 회수를 이용한 지역난방이 실현되면, 보다 현실적인 초기비용을 산정하여 지역난방 뿐 아니라 수영장, 스마트팜 등 난방이 필요한 다양한 편익시설에 대해서도 경제적 평가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지역 관광개발을 위한 역사문화 테마파크 비교분석

        박미숙(Mi-Sook Park) 한국농어촌관광학회 2012 농어촌관광연구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 scheme to more utilize regional authenticity in historical and cultural theme parks(HCTPs) through derivation of entertainment factors more applicable to domestic tour sites comparing with foreign cases. Suggested is that modern style buildings in appearance should be completely excluded from the HCTPs. Also, everything in HCTPs including historical space and events should be thoroughly reappeared with background research. Those who experience synesthesia say it is something both memorable and emotionally satisfying. The results of this paper may help service quality of HCTP planners and marketers for regional tourism marketing strategy.

      • KCI등재

        주요우울 장애자의 얼굴 정서 인식 동안에 나타난 뇌 기능 특성

        박미숙(Mi-Sook Park),정재준(Chaejoon Cheong),손진훈(Jin-Hun Sohn) 대한인간공학회 2019 大韓人間工學會誌 Vol.38 No.5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neural correlates of facial emotion recognition among individual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s (MDD). Background: Major depression is one of the most fatal diseases in the world and is estimated to be the second largest disease burden by 2020 (WHO, 2001). Despite the increasing number studies on the emotion recognition in MDD, neural underpinning of facial emotion recognition in MDD is not still clear. Method: Twelve individuals with MDD and demographically matched 7 controls participated in the study. Facial recognition task was used for the study and face stimuli were selected from KUFEC (Korea University Facial Expression Collection). Functional images were scanned while recognizing the facial expressions of happiness, sadness, and anger on Phillips 3.T scanner. Imaging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M 8. Results: There was no group difference while the individuals with MDD were recognizing the sad and angry expressions in the face compared with the controls. In the fMRI result, there was no group difference of brain activity between the two groups during the sad and angry processing. However, during the recognition of happiness, MDD participants made more errors than the controls. In the fMRI result, MDD participants showed greater activation in the middle frontal gyrus, insula, and putamen during the happiness recognition. Conclusion: Impairment of happiness recognition among MDD participants was related to hyperactivation in the inferior gyrus, insular, and putamen, known to be responsible for regulatory processes and emotional salience. Application: The brain substrates associated with emotional processing among individuals with depression is still important and ess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new therapies for depression. The results on the neural correlates of facial expressions of emotion might help to develop new therapy for depression that target the specific brain regions.

      • KCI등재

        축분(畜糞) 고체연료의 온실가스 감축 기여도 및 경제적 효익 산정

        박미숙(Mi Sook Park),황용우(Yong Woo Hwang),김병철(Byong Chul Kim),이윤모(Yun Mo Lee),정종민(Jong-Min Jung) 대한환경공학회 2024 대한환경공학회지 Vol.46 No.3

        목적: 축산분뇨(축분) 온실가스 배출량이 축산분야 온실가스 배출량 비중에서 절반 이상 차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농지 감소로 인해 기존의 퇴비화에 대한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 기존의 생물학적 처리 방안에 대한 보완책으로 축분을 고체연료로 제작하여 석탄대체 연료로 활용할 경우의 온실가스 감축 기여도 및 경제적 효익을 산정하고자 한다. 방법: 국내에서 발생하는 축분의 발생량을 기준으로 전량 고체연료화하여, 연료용 무연탄(HC-F), 원료용 유연탄(BC-R), 연료용 유연탄(BC-F)으로 각각 대체할 경우 결과값을 비교하였다. 온실가스 감축 기여도 산정을 위해서 국내 온실가스 인벤토리 산정 방법론을 따르되, IPCC 가이드라인과 ‘탄소배출저감효과산정’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경제적 효익 산정을 위해서는 석탄 수입 회피 효과 및 EU-ETS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편익을 합산해 비교하였다. 결과 및 토의: 온실가스 감축효과는 무연탄으로 대체시에 가장 기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유연탄 대비 무연탄의 발열량이 낮으면서 온실가스 배출계수가 높은데서 기인한다. HC-F은 단가 비교 대상인 BC-R 및 BC-F 대비 1.4배 가량 높아, 수입 회피 효과에서도 무연탄으로 대체시에 가장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연간 석탄소비량 중 20%를 축분 고체연료로 대체할 경우 축분 발생량 기준 HC-F 대체시 축분의 1.4%, BC-R 대체 시 2.1%, BC-F 대체시 1.9%의 축분 고체연료가 각각 사용된다. 바이오매스 연료로부터의 CO₂ 배출은 기후 중립적인 것으로 간주되어 국가 총 배출량에서 제외하게 되며 축분 고체연료는 기존 처리 방식에 대한 보완책으로 축분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에 대해서도 감축 잠재성이 있다. 발생 축분을 전량 HC-F, BC-R 또는 BC-F로 대체할 경우 각각 13,193,591 tGHG, 11,320,572 tGHG, 11,226,331 tGHG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있다. 결론: 축산 분야는 2018년, 기준 농업분야 온실가스 배출량 중 약 42%를 차지하는 9.4백만 tCO₂ eq.이며, 발생 축분을 전량 고체연료화하여 석탄대체에 사용한다고 가정할 경우 어떤 종류의 석탄을 대체하더라도 농업분야 온실가스 전체를 상쇄한다. 현재 축분 고체연료화에 대한 효과 입증 및 인식 부족으로 수요가 없으나 석탄화력발전 시설 일부 중단이 예정되어 있고, 정부 차원에서도 가축분뇨의 에너지화 방안 마련을 위한 과도기적 시점으로, 향후 석탄 연료에서 축분 고체연료로의 대체 및 확대 사용이 기대된다. 현재 발전소 및 제철소에서 사용하고 있는 석탄을 축분으로 전량 대체하여 사용할 수는 없더라도, 석탄 발전 혼소 및 혼소 비율을 높여나가는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 다만, 국가온실가스 인벤토리상 보고되지 않더라도, 고체연료 연소로 인해 발생하는 오염물질 처리는 여전히 해결과제로 남아있다. 향후 고체연료가 상용화단계에 이르면, 이에 대한 전과정평가를 통해 온실가스뿐만 아니라 전주기의 잠재적 환경영향 평가를 통해 온실가스 감축방안 근거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 In the context where the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from livestock manure (LSM) account for more than half of the GHG emissions in the livestock sector, it is necessary to find alternatives to composting due to the decrease in agricultural land. This study aims to calculate the GHG reduction contribution and economic benefits when converting LSM into solid fuel as an alternative to traditional composting. Methods : The study compares the results of converting the entire LSM generated domestically into solid fuel replacing it with hard coal for fuel (HC-F), bituminous coal for raw materials (BC-R), bituminous coal for fuel (BC-F). The GHG reduction contribution is calculated following the domestic GHG inventory methodology, using the IPCC guidelines and the method for calculating carbon emission reduction effects. For the assessment of economic benefits, were evaluated by aggregating the impacts of reducing coal imports and GHG reduction benefits in line with EU-ETS standards. Economic benefits are assessed by combining the effects of avoiding coal imports and the GHG reduction benefits according to the EU-ETS. Results and Discussion : The GHG reduction effect was found to be highest when replacing with HC-F, and this is attributed to the lower heating value and higher GHG emission coefficient of HC-F compared to BC-R, and BC-F, indicating that the substitution with HC-F is most effective in terms of import avoidance. If 20% of the annual coal consumption in 2022 is replaced with solid fuel from LSM, the GHG reduction effects for coal substitution are 1.4% for HC-F, 2.1% for BC-R, and 1.9% for BC-F based on the LSM generation CO₂ emissions from biomass fuel are considered climate-neutral and are excluded from the national total emissions. Solid fuel from LSM serves as an alternative in addressing the GHG generated during the LSM treatment process, contributing to potential reduction. If all generated LSM is replaced with HC-F, BC-R, or BC-F, there are respective GHG reduction effects of 13,193,591 tGHG, 11,320,572 tGHG, and 11,226,331 tGHG. Conclusion : In 2018, the livestock sector accounted for approximately 42% of the GHG emissions in the agricultural sector, totaling 9.4 million tCO₂ eq. Assuming the complete conversion of LSM into solid fuel for coal substitution, regardless of the type of coal replaced, it offsets the entire GHG emissions from the agricultural sector. Currently, there is limited demand for the conversion of LSM into solid fuel due to a lack of proof and awareness, but with some coal-fired power plants scheduled for partial shutdown and the government considering energy options for LSM, a promising stage is anticipated in the future for the substitution and expanded use of solid fuel from LSM in place of coal in the coal fuel. Although it may not be possible to entirely replace the coal used in power plants and steel mills with solid fuel from LSM, it can be utilized by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coal blending. However, even if not reported in the national GHG inventory, the treatment of pollutants generated by solid fuel combustion remains an ongoing challenge. As solid fuel becomes more commonplace in the future, a comprehensive assessment of the entire process, including potential environmental impacts throughout the life cycle, will be necessary to establish a basis for GHG reduction meas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