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Radiation Therapy in Malignant Tumors of the Parotid Gland

        박경란,오원용,서창옥,김귀언,노준규,박정수,민진식,Park K.R.,Oh W.Y.,Suh C.O.,Kim G.E.,Loh J.K.,Park J.S.,Min J.S.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86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4 No.1

        From 1970 to 1982, thirty one patients with malignant tumors of the parotid gland were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at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Yonsei Cancer Center. Indication for radiotherapy were as follows: 1) when there were microscopic or gross residual diseases (6 patients), 2) when the patients considered to have high risk factors (15 patients), 3) when the tumor found to be inoperable (6 patients), 4) when there was recurrence after surgery (4 patients). Most patients were treated with a total of 5,000 to 6,500cGy in 5 to 6 weeks except when there were gross diseases, in which patients received slightly higher dose up to 7,000 cGy in 7 weeks. Locoregional failure rate was $43\%$ in patients with microscopic or gross residual disease and high risk factors (postoperative radiotherapy group) and 20 in patients with inoperable tumor and recurrence after surgery (Primary radiotherapy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failure rates amen!1 the various histological types. Eight patients failed distantly, Severe complications appeared only in 2 patients irradiated for inoperable advanced diseases. 이하선 악성종양의 치료는 근치적 수술이 주된 치료법으로 알려져 왔으나 이하선이 해부학적으로 주위의 근육, 골조직, 혈관, 신경등과 밀접하게 부착되어 있어 피막 및 주위 조직의 침윤이 있거나 조직학적으로 high grade tumor, 임파절 전이가 있는 경우 등에서 광범위한 근치적 수술로도 종양을 완전히 제거하기가 어렵고 수술 후 국소재발이 빈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술만으로는 국소재발율이 상당히 높은 데도 북구하고 이 종양이 방사선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것으로 잘못 인식되어져와서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해 오지 않다가 근래에 와서 수술후 방사선치료가 실시되었고 수술만 시행한 경우에서보다 국소재발율이 현저히 감소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현재는 방사선치료가 치료 결과를 향상시키는 중요한 치료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1970년 1월부터 1982년 12월 사이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연세암센터, 치료방사선과에서 이하선암으로 치료를 받은 31예를 대상으로 후향적 추적조사를 통하여 치료방법과 치료실패 양상을 분석하여 향후 치료방법의 실정과 치료 결과의 향상을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일본 시청각장애인 현황과 지원 실태 분석

        박경란(Park, Kyung-Ran)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20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11 No.2

        이 연구에서는 일본 시청각장애인 현황 및 지원 실태를 살펴보고 한국 시청각장애인 지원 정책 수립을 위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수행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에서는 시청각장애에 대한 법적인 정의는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으나 관습적으로 ‘맹농(盲聾, 모로)’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보이는 정도와 들리는 정도에 따라 전맹농, 약시농, 전맹난청, 약시난청으로 분류한다. 일본 시청각장애인 인구는 13,952명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70대 이상의 연령대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시각을 기반으로 한 맹농인 비율이 높다. 둘째, 일본 시청각장애인 자립 및 사회참여를 위한 지원 정책을 살펴본 결과『장애인종합지원법』에 따라 지역생활지원사업 중 ‘의사소통지원’과 자립지원급여 중 ‘동행원호’를 주요 지원 사업으로 실시하고 있었다. 특히, 의사소통지원을 위한 맹농인 통역·개조원 양성과 파견은 맹농인의 의사소통 및 정보 접근을 보장하는 핵심적인 지원 정책이다. 셋째, 일본 시청각장애인 지원을 위한 공공/민간단체의 지원 실태를 살펴본 결과 ‘전국맹농인협회’에서 맹농인 통역 지도자 양성 등 후생노동성 위탁 사업 등을 수행하고 있었다. 또한 전국적으로 설치된 ‘맹농인친우회’에서 통역·개조원 양성과 파견 업무를 수행하고, 맹농인의 의사소통, 생활, 전자기기활용 훈련 등을 실시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to support the deaf-blind in Korea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e and status of support for the deaf-blind in Japa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gal definition of ‘deaf-blindness’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in Japan, but they are conventionally called the ‘deaf-blind(盲聾, Mourou).’ The degree of visibility and hearing classifies them; deaf-blind, low vision-deaf, blind-hard of hearing, and low vision-hard of hearing. The estimated number of deaf-blind in Japan is around 13,952. People in their 70s to 90s account for 71 percent. The ratio of the deaf-blind based on vision is high. Second, according to the support policy for the deaf-blind in Japan, provisions supporting the deaf-blind are not directly specified in the Act. Whereas the ‘communication support’ among community life supporting projects and ‘accompanying assistance’ among independent supporting benefits aid the deaf-blind in『Disabled People Assistance Law』. In particular, the training and dispatch of interpreter-caregivers who help communication of the deaf-blind is a key support policy that guarantees the deaf-blind’s communication and access to information. Third, the examination of the status of support for the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for the deaf-blind in Japan reveals that the ‘Japan Deaf-blind Association’ carries out the Ministry of Health, Labor and Welfare consigned business including training of interpreters for the deaf-blind under the Act. Besides, the nationwide ‘Self-help Organization of the Deaf-blind’ trains and dispatches interpreters-caregivers. It also provides training for communication, daily lives, and the use of electronic devices to accomplish the independent living of the deaf-blind.

      • KCI등재

        재일동포사회에 있어서의 민족무용 교육의 현황: 동경한국학교와 조선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박경란 ( Park Kyoungran ) 무용역사기록학회 2021 무용역사기록학 Vol.60 No.-

        재일동포 사회에 있어서 조선학교와 동경한국학교(이하 본고에서는 ‘한국학교’로 칭함)의 사례를 들어 무용교육의 현황과 역할을 고찰하는 것은 차세대가 지향해야 할 민족무용 교육의 방향을 가늠해 본다는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본고에서는 양 학교에서 이루어진 민족무용 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양 학교의 기본무용과 창작무용의 형태를 비교하며, 대내외 행사 등을 통하여 민족무용이 어떤 역할을 해왔는지 고찰하고 앞으로의 과제에 대해 제언하려고 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선행연구와 영상, 인터뷰 자료를 중심으로 하고 연구자의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하였다. 위의 고찰을 통하여 첫째, 기본무용에 있어서 조선학교는 체계적인 수업내용을 갖추고 일관된 시스템 안에서 양성된 무용 지도자들에 의해 조선무용이 교육되고 있는 것에 비하여, 한국학교는 지도자의 재량에 따라 자율적인 형태로 한국무용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창작무용에 있어서는 한국학교는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세대의 감각을 반영하는 창작활동에 주력하고 있으나, 조선학교는 민족주의적인 성향에 편중되고 현대적인 시각이 결여되어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셋째, 양 학교의 민족무용교육은 대외활동을 통한 거주국 일본과의 관계를 도모하는 중요한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해 왔다는 공통점이 있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차세대가 지향해야 할 민족무용 교육의 과제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한국학교와 조선학교가 서로의 무용을 관람하고 배울 수 있는 문화행사의 공동 개최를 위한 노력과 그를 위한 환경 창출이 중요하며, 둘째, 조선학교와 한국학교의 무용교육 지도자들의 정기적인 교류를 통한 남북의 전통 무용에 관한 공동 연구가 필요하다. 양 학교 간의 협력과 교류는 현재 현실적인 어려움을 가지고 있으나, 다양성을 인정하는 전통예술이 갖는 융합력은 정치적 장벽을 극복 할 수 있으며, 예술을 축으로 하면 학교 간의 소통을 통하여 학교가 민족무용의 교류의 장이 될 수 있다. 이 논문이 재일동포 사회에 있어서의 민족무용 교육의 현황 파악과 차세대가 지향해야 할 무용교육의 방향 설정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aims to compare the forms of basic and creative dances in Tokyo Korean School (hereafter Korean School) and Joseon School by focusing on the national dance education conducted by them, consider what a role the national dance has placed in internal and external events and suggest some tasks that they should perform in the future. From the consideration , following findings can be summarized: First, in terms of basic dance, Joseon dance is taught by dance instructors trained in a consistent system with systematic curriculum in Joseon School, while Korean dance education is conducted in an autonomous form at the discretion of the instructors in Korean school. Second, in terms of creative dance, although Korean School put an emphasis on creative activities reflecting the current generation's senses, by considering the flow of times, Joseon School is biased toward the nationalist tendency and has no modernistic perspective. Third, the national dance education in both schools has commonly served as an important medium for promoting the relation with Japan, the country of residence, through external activities. Based on the findings, the tasks of the national dance education can be suggested, on which the new generation should focus. First, it is important for both Korean and Joseon School to co-host the cultural events in which they can watch and learn each other's dance and create the environment for them. Second, a joint research on the traditional dance of South and North Korea should be conducted, based on regular exchange between dance instructors working in both schools.

      • KCI등재후보

        일본 농학교 교육과정 변천에 관한 연구

        박경란(Park Kyung-Ran)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0 특수교육 Vol.9 No.3

        본 연구는 일본 농학교 교육과정 변천 과정을 고찰하여 한국 청각장애교육의 세 가지 주요 과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이들 과제에 대해 일본 농교육이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의 중증ㆍ중복화와 통합교육 및 인공와우시술 확대에 따른 과제로, 일본은 농학교의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농학교가 농학교 학생뿐만 아니라, 일반학교의 청각장애학생들을 지원하는 ‘지역 특수교육의 중심적 역할’을 수행하도록 강조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농학교가 농교육 전문기관으로서 그 정체성이 확립되기 위해서는 ‘지역 청각장애교육 지원센터’로서 농학교가 재구조화되어야 한다. 둘째, 청각장애학생들의 낮은 학업성취 수행능력에 대한 과제로, 일본에서는 농학생들의 학력저하 문제를 ‘언어지도 방법’ 개선과 ‘교사의 전문성’ 강화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고 있다. 향후 우리나라에서 농학교 교사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서는 특수교사 양성과정의 조정 또는 양성에 있어서 교육과정의 개편이 요구된다. 셋째, 언어적 특수성에 따른 농교육 재구성에 대한 과제로, 일본은 교육과정에서 수화를 농학생의 의사소통 수단으로 인정하고, 청각장애교육에 관한 주요 보고서에서 자연수화를 농학교의 기본적인 의사소통 수단으로 사용하도록 강조한다. 이러한 견해는 ‘장애인 당사자’를 존중하는 교육 실천으로, 향후 농교육이 ‘농학(Deaf Studies)’의 관점에서 재구성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implications of three main issues of education for the deaf in Korea by reviewing the courses of study(?習指導要領) of schools for the deaf in Japan. In Japan, the courses of study of schools for the deaf are based on the courses of study of regular schools. Looking at the process of change in courses of study, initially the courses of study of schools for the deaf concentrated on oral education, based on lip reading and speech training. From 1957, however, language education changed toward speech therapy through auditory utilization. However, doubts emerged about outcomes of the oral-only approach. Therefore, the partial use of sign language was encouraged in the 5th amendment(1989). The low academic achievement of deaf students became a problem. As a result, curriculums for the lower grades were continuously used by deaf schools. The term ‘caring?training(養護?訓練)’ which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established in the 3rd course of study(1970), and this term was subsequently changed to ‘independent living(自立生活)’ by the 6th revision. In the 4th revision, total instructional hours were reduced and ‘composure(ゆとり) and faithfulness(充?)’ were emphasized. Furthermore, the discretionary time of schools was used to encourage distinctive educational activities in deaf schools. The instructional hours for main subjects were reduced substantially by the introduction of a five-day-week system and the establishment of ‘comprehensive learning hours(?合的な?習時間)’ in the 6th revision(1999). Because of reduced instructional hours for the main subjects, a drop in achievement levels became a problem. The recent revision of the course of study(2009) emphasizes adhering to basics and obtaining a ‘solid educational background(確?な?力)’.

      • KCI등재

        학교-가정협력 통합발달 프로그램이 농중증,중복장애아 어머니의 의사소통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박경란 ( Kyung Ran Park ),박미정 ( Mee Jung Park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5 No.2

        The study focused on the effect of school-home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gram on a change of communication attitudes of mothers of each of the three deaf children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The study applied a research plan of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As per a modeling of a researcher, the mothers conducted the school-home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gram in their daily routines at home. The researcher recorded the scenes of interaction between the children and the mothers two times per week to analyze the changes in the mothers’ communication attitudes in perspectives of ‘eye contacting’, ‘immediately responding’, ‘controlling voice tones’ and ‘waiting’. As a result, the program proved to be positive in affecting ‘eye contacting’, ‘immediately responding’, and ‘controlling voice tones’, but not ‘waiting’. This result states that the school-home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communication attitudes of the mothers.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