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학술정보시스템을 위한 Open API 요소기술

        문인영,최민(Min Choi),김남기(Namgi Kim) 한국정보기술학회 2012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12 No.5

        스마트 디바이스 시장은 최근 전세계적으로 급격히 성장하고 있다. 2013년 전세계 모바일 인터넷 트래픽은 월 평균 20억 기가 바이트로 증가하며, 2013년 까지 약 66배 증가할 예정이다. 본 논문은 학술대회 운영에 필요한 연구자들이 느끼고 있는 학술정보 취득 및 DB 접근 측면에서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하여 HTML5 기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접근 가능한 Open API를 개발/제공하고자 한다. Here, we define the pattern on a go-board which has a tengen-pattern and tengen centered 9 square-patterns using the (area, level, offset) coordinate system. In addition to designing a data structure for go-game display that efficiently manages the liberties of connected moves for the purpose of modifying board pattern after taking out moves, we implement a game-browsing program which identifies group of connected moves to be taken out and then adjusts pattern value for taken out moves to board pattern immediately at each addition of a move to the go board. We discuss necessary conditions for the application of board pattern to pattern database. We show data for the connected moves and taken moves obtained by running above program for 300 games by pro-players.

      • KCI등재

        농촌 마을회관의 공간계획을 위한 이용실태 및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조사연구

        문인영(Moon, In-Young),김미희(Kim, Mi-Hee)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4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3 No.2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how users are satisfied with village community center. It will develop and determine a most detailed design and requirements to maximizing for user`s convenience. The study conducted interview survey using questionnaire based on universal design principles, to users of village centers that are in possible of cooperation of 25 village centers in Haw Soon district, Jeonnam province and used 160 cases to the analys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users showed most satisfaction about LDK space and dissatisfaction about design, stair/slope, entrance, and bathroom. Specially, users are dissatisfied with curtains at room and handralis at entrance. In terms of design, users about the indoor-outdoor environment as a whole was unsatisfactory. Second, survey on actual needs space scrutinized bathroom, kitchen, and stair/slope according to priority. In result of these surveys, user`s satisfaction with village community center and actual needs space show needed improvements on bathroom and stair/slope space urgently.

      • 외래양서파충류 관리 유형 및 소요되는 경제적 비용 분석

        문인영 ( Inyoung Moon ),구교성 ( Kyo Soung Koo ),윤가영 ( Kayoung Yun ),장이권 ( Yikweon J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21 No.2

        황소개구리 Lithobates catesbeianus와 붉은귀거북 Trachemys scripta elegans은 세계 100대 위해종으로 지정된 대표적인 양서파충류이다. 국내에는 1959년도와 1970년대에 각각 식용과 애완용, 종교 행사의 이용 목적으로 수입되었다. 하지만, 판매 가치의 저하, 사육에 대한 부담, 탈출 등의 요인으로 야생에 유입되어 현재 전국에서 발견되고 있다. 특히, 황소개구리와 붉은귀거북은 국내 환경에 완전히 정착하여, 토종 생물들을 무차별적으로 잡아먹는 등의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이에 따라 환경부에서는 황소개구리와 붉은귀거북을 1998년도와 2001년도에 각각 생태계교란종으로 분류하여, 국가 차원의 관리를 시작하였다. 외래양서파충류가 유발하는 생태적 그리고 사회적 영향은 국내에서 다루어진 바가 있으나 아직까지 경제적 측면의 피해는 구체적으로 알려진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야생으로 유입된 외래양서파충류의 관리를 위해 투입된 예산 규모 즉 경제적 소모 비용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의 범위는 2014년부터 2021년까지 황소개구리와 붉은귀거북 관련되어 투입된 정부 예산 규모이다. 외래양서파충류와 관련된 예산은 크게 1) 분포 및 현황 조사(국립생태원), 2) 제거 및 관리를 위한 연구 지원(한국환경산업기술원), 3) 지자체에 의한 직접 퇴치로 구분할 수 있었다. 조사 기간 내의 연구비의 총액은 약 262.1억이었으며,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154.7억으로 가장 많았다. 예산의 총액이 2014년부터 2021년까지 꾸준히 증가하는 추이를 보이고 있었다. 지자체별 투입 예산을 보면, 약 7년간 총 37.4억 원이 투입되었다. 지자체별로 차이는 있으나, 대구시에서 가장 많은 7.59억 원이 투입되었고, 이어서 경남, 충북 순이었다. 반면, 외래양서파충류와 관련된 예산이 전혀 투입되지 않았던 지자체도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현재 국내에서 외래양서파충류 관리를 위해 투입되는 예산 규모가 어느 정도 인지 그리고 증가하는 추세가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농촌 마을회관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성 평가

        문인영(Moon, In-Young),김미희(Kim, Mi-Hee)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4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3 No.1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how universal design principles are embodied in the village community center. It will provide preliminary data on constructing a physical space of village community center as small community space in agricultural districts. To achieving the purpose in this study, the research conducted inspection using checklist to 25 village community centers at Hwasoon, Jeonnam province.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Living room and kitchen/dining room by supportive design urgently need installation of Western Style furniture and solutions of stair gap by accessible design, and also the evaluation is unsuited on a fire-gas alarm system and prevention of electric shook system on safety-oriented design. Entrance evaluated in principle for insufficient on safety handle by supportive design and spare chair by adaptable design, and also it unsuited on the solutions of door sill by accessible design and non-skid by safety-oriented design. Bathroom is insufficient lever handle and safety grip by supportive design, sink isn’t suitable by adaptable design. Outdoor space information legislation staircase ramp installation and horizontal installation of the staircase was not built.

      • 농촌 마을회관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성 평가

        문인영(Moon, In-Young),김미희(Kim, Mi-Hee)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2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detailed designs for their villige community center. This article researched into elderly welfare facilities, public health facilirties and social welfare centers, However, a community apace in current the villige community center is planned uniformly without consideration of user’ diversity and physical aid environment for aged people, children and the handicapped is in limited supply.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the field observation using a checking sheet with measuring and taking photograph. The subjects were 25 villige community center whicg gave positive responses for walking through their facilities. The items for observing and measuring were made based on the regulation on improving th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the elderly, and the pregnant. Whether eacj item fits the regulation or not was examined The 7 areas in each villige community center were examined : entrance, hall and kichen, LDK, room, bathroom, stair/slope. parking area. It was founded that many accessible-related items were met. However, many supportive-related items such as ones for the visual disabled, and many supportive-related and accessible-related ones for enterance, bathroom, stair/slope, parking area were unmet.

      • KCI등재

        중학교 이후 교육 및 고용 경로 유형과 결정요인: 한국교육고용패널 1-12차년도 자료를 중심으로

        문인영(Moon in young),나승일(Na SeungIl) 한국진로교육학회 2021 진로교육연구 Vol.34 No.1

        본 연구는 2004년도 중학교 3학년 학생의 중학교 졸업 이후 생애 단계별 교육 및 고용 경로 분포를 밝히고 그 유형과 유형별 결정요인을 구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국교육고용패널의 1차년도부터 12차년도까지의 자료를 분석했다. 중학교 이후 12년간의 생애 단계는 세 단계로 구분되고, 진학한 고교 유형에 따라 고용 비율이나 경로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교 이후의 교육 및 고용경로 유형은 최적일치법과 군집분석을 활용하여 특성화고-전문대-상용직(유형1), 일반고-4년제대,미상-4년제대-상용직(유형2), 일반고-4년제대(유형3), 일반고-4년제대-상용직/대학원(유형4), 일반고-전문대-상용직(유형5), 특성화고-전문대/상용직-상용직(유형6), 특성화고-4년제대-상용직(유형7)으로 구분할 수 있었고 각 유형별로 학업성취도, 교육포부, 월평균가구소득 및 사교육비 지출, 부모학력, 부모의 자녀교육 희망수준, 부모와의 진로대화에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를 통해 중학교 이후 교육 및 고용 경로에 대한 개략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각 유형별 학생 특성에 따른 진로지도에 시사점을 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ducation and employment paths after graduating from middle school in 2004, to identify pattern of the paths and the determinants for each pattern. As a result of dividing after middle school into high school, college, university and work stages, the distribution of education employment after middle school differs according to the type of high school. Vocational high school, the rate that leads to employment is high, and the rate of admission after employment is high, indicating that the original purpose was achieved. Next, by clustering of education and employment paths, vocational high school-college-regular employment (pattern 1), general high school-university & unknown-university-regular employment (pattern 2), general high school-university (pattern 3), general high school-college-regular employment/graduate school (pattern 4), general high school-college-regular employment (pattern 5), vocational highschool-college/regular employment-regular employment (pattern 6), vocational highschool-university-regular employment (pattern 7). Each pattern was classified into gender, academic achievement, educational aspirations, monthly average household income and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parents’ academic background, parents aspiration of children’s education, and communication about career paths with parents. It is possible to provide outline information on education and employment paths after middle school, and to give implications to career guidan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attern of student.

      • KCI등재
      • KCI등재

        산업인력양성 체제로서 국내 직업교육의 변천 과정 고찰

        김충환,문인영,박신희,김지현 대한공업교육학회 2020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how the vocational education for training industrial workforce as a nat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NHRD) system has undergone a transition process in relation to the national economic, industrial, and socio-cultural contexts. First, how vocational education as an industrial workforce training system has changed in accordance with Korea's economic environment, industrial development, and social changes; second, what are the main factors that influenced the role and importance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hird, vocational education as a system for training industrial workforce and training workforce in science and engineering were analyzed different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HRD model. To this e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academic journal papers, research reports, and thesis were investigated and classified by period, and major changes in vocational education were analyzed in relation to economic, industrial, and social issues and policies by perio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first, as the industry advanced, the level of vocational education increased and the scope expanded. Second, vocational education tended to shrink gradually after the manufacturing industry base, and especially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tended to decline after the national industry focused on light industry. Third, since the 1970s, the diversification of the NHRD and jobs has resulted in wage gaps depending on the level of education, which has increased the preference for university education and avoided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In addition, a NHRD model focusing on training science and engineering workforce was proposed to compare the existing NHRD model focusing on overall vocational education, and it was revealed that the NHRD needs to be subdivided into various fields or levels to derive a model and examine changes.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vocational education in Korea, especially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has declined due to large impacts on socio-cultural perception due to economic growth, enthusiasm for education, and external shocks such as the financial crisis, and the long-term effort to change this perception is suggested to overcome the crisis of vocational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국가인적자원개발 체제로서 산업인력양성을 위한 직업교육이 국가 경제 및 산업, 사회문화적 맥락과 어떤 관련성을 갖고 변천 과정을 거쳤는지를 파악하였다. 첫째, 우리나라의 경제 환경, 산업발달, 사회 변화에 따라 산업인력양성 체제로서의 직업교육이 어떻게 변해왔는지, 둘째, 직업교육의 역할과 비중에 영향을 준 주요 요인들은 무엇인지, 셋째, 산업인력양성 체제로서의 직업교육과 이공계 인력양성은 국가인적자원개발 모형 관점에서 어떻게 다르게 변화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학술지 논문, 연구보고서, 학위논문 등의 문헌을 조사하여 시대별로 구분하고 시대 별 경제, 산업, 사회적 이슈, 정책과 연관하여 직업교육의 주요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산업이 고도화되면서 직업교육의 수준은 높아지고 범위는 확장되는 양상을 보였다. 둘째, 직업교육은 제조업 산업 기반 이후 점점 축소되는 경향을 보였고 특히 중등직업교육은 경공업 중심의 국가 산업 이후 쇠퇴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1970년대 이후 산업의 고도화에 따른 국가인적자원개발의 다양화 및 직업의 다양화로 학력 수준에 따른 임금 격차가 생겼고 이는 대학교육에 대한 선호를 높여 중등직업교육을 기피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이공계 인력양성에 초점을 맞춘 국가인적자원개발 모형을 제안하여 직업교육 전반에 초점을 맞춘 기존 국가인적자원개발 모형을 비교하였고, 국가인적자원개발을 다양한 분야나 수준별로 세분화하여 모형을 도출하고 변화를 살펴볼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연구 결과로부터 우리나라 직업교육, 특히 중등단계 직업교육은 경제 성장과 교육열, 외환위기와 같은 외부 충격에 의해 사회문화적 인식에 큰 영향을 받아 쇠퇴해 왔으며, 직업교육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인식을 바꾸려는 장기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졸자의 전공계열에 따른 중장기적 고용안정성 연구

        안영은,민윤경,문인영 한국직업교육학회 2017 職業 敎育 硏究 Vol.36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y college major in the labor market performance such as employment stability after the financial crisis. A total of 596 college graduates from 1998 to 2000 immediately after the financial crisis in the Korea Labor & Income Panel Study(KLIPS) were included f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sequence analysis, and chi-square analysis were appli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 analyze the employment stability, the sequence analysis for career was conducted. As a result, the career experience could be typified as regular workers, long-term unemployed workers, non-regular workers, and non-wage workers. Second, as a result of the group difference test on the employment stabilit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ype of university among the background variables, and in the gender, the female had the highest prevalence of long-term unemployed and non-regular employees. Third, in the case of college major, which is the main research variable, the ratio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to the total number of non-regular workers is higher than that of science and engineer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ata of the 15 years of university graduates after the financial crisis and to classify their career experience and to analyze the labor market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major fiel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made some policy suggestions to solve the labor market performance deterioration of major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본 연구는 전공계열에 따른 노동시장 성과 분석을 목적으로 하여 외환위기 직후 대학졸업자의 노동시장 내 중장기적 고용안정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노동패널(KLIPS) 자료 중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부터 2000년 사이 대학 졸업자 총 596명이며, 분석방법으로는 기술통계, 배열분석, 교차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용안정성을 살펴보고자 직업경력 배열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직업경력은 정규직 안정형, 장기 미취업형, 비정규직 전전형, 비임금근로 전전형으로 유형화 할 수 있었다. 둘째, 고용안정성에 대한 집단별 차이 검증결과 배경변수 중 대학유형은 그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으며, 성별에서는 여성일수록 장기 미취업형과 비정규직 전전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요 연구변수인 대학 전공계열의 경우 이공계열 대비 인문사회계열이 장기 미취업형, 비정규직 전전형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본 연구는 외환위기 이후 대학졸업자의 15년간 종단 데이터를 분석하여 직업경력을 유형화하고 나아가 전공계열에 따른 노동시장 성과를 분석함으로써 전공계열별 노동시장 성과 차이가 지속적・장기적 현상임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인문사회계열 전공자의 노동 시장 성과 저하를 해결할 몇 가지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