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주 상대리 수막재배지의 지중 침투형 갤러리 설치와 예비 주입시험

        문상호,김용철,김성윤,기민규,Moon, Sang-Ho,Kim, Yongcheol,Kim, Sung-Yun,Ki, Min-Gyu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6 자원환경지질 Vol.49 No.6

        우리나라 수막재배 지역은 성수기에 지속적인 지하수 사용으로 인해 수막재배 말기에 지하수위 하강과 더불어 지하수 고갈 문제로 항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최근에 국내에서는 이러한 지역에서의 지하수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몇 가지 인공함양 방법들이 적용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인공함양 방식 중 하나인 지중 침투형 갤러리 설치를 소개하고, 이 중 3개 갤러리에서의 인공 주입시험 결과를 이용하여 인공함양의 효율성을 예비적으로 평가하였다. 연구지역은 청주시 상대리 수막재배지이며, 갤러리의 규모는 가로${\times}$세로${\times}$깊이 $50cm{\times}300cm{\times}50cm$이다. 갤러리는 비닐하우스 동 사이의 이격 공간을 활용하여 설치하였으며, 터파기 작업, 자갈석과 규사 메움, 피조미터와 상부 부직포 설치 순서로 진행하였다. 3개 갤러리에 대한 인공 주입시험은 1차 예비, 2차 단계, 3차 장기 주입시험으로 구성된다. 1차 예비 시험에서 B 갤러리는 주입율 $33.29{\sim}33.84m^3/d$, $45.60{\sim}46.99m^3/d$일 때 수위 상승이 각각 20 cm, 30 cm, C 갤러리는 주입율 $21.1m^3/d$, $33.98m^3/d$, $41.69m^3/d$일 때 수위 상승이 각각 0 cm, 16 cm, 33 cm, D 갤러리는 주입율 $48.10m^3/d$, $52.23m^3/d$일 때 수위 상승이 각각 29 cm, 42 cm 정도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계 및 장기 주입시험 결과를 이용하여 각 갤러리에 대한 주입율과 수위 관계식이 정량적으로 도출되었으며, 이와 같은 인공 주입시험 결과는 수막재배 기간 중에 사용 후 배출되는 지하수가 갤러리를 통해 자연적으로 주입되는 수량을 추정하는 데에 정량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Most of water curtain cultivation (WCC) area in Korea has been inveterately suffering from the gradual draw-down of groundwater level and related shortage of water resources at the late stage of WCC peak time. To solve this problem, artificial recharge techniques has been recently applied to some WCC area. This study introduces infiltration gallery, which is one of the artificial recharge methods, and tentativel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three galleries installed at Sangdae-ri WCC area of Cheongju City. Seven galleries are set up at each empty space between eight vinyl houses in this area and its dimension is designed as 50 cm in each width and height and 300 cm in each length. Installation process was including bed excavation, backfill with gravels and silica sands, and completion of gallery by equipment of piezometer and covering with non-woven cloth. For each B, C, D gallery, 3 types of test including preliminary, four step and one long-term injection were performed. The first preliminary test showed the rough relations between injection rates and water level rise as follows; 20 cm and 30 cm level rise for $33.29{\sim}33.84m^3/d$ and $45.60{\sim}46.99m^3/d$ in B gallery; 0 cm, 16 cm and 33 cm level rise for $21.1m^3/d$, $33.98m^3/d$ and $41.69m^3/d$ in C gallery; 29 cm and 42 cm level rise for $48.10m^3/d$ and $52.23m^3/d$ in D gallery. Afterwards, more quantitative results estimating effectiveness of artificial recharge were reasoned out through stepped and long-term injection tests, which is expected to be employed for estimating water quantity re-injected into the aquifer through these galleries by natural injection over the period of WCC peak time.

      • KCI등재

        K-1 기지 주변 지질 구조와 지하수위 변동 특성

        문상호,김영석,하규철,원종호,이진용,Moon, Sang-Ho,Kim, Young-Seog,Ha, Kyoo-Chul,Won, Chong-Ho,Lee, Jin-Yong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0 자원환경지질 Vol.43 No.2

        K-1 유류비축기지는 인위적 지하 공동을 이용하기 때문에 주변 지하수계의 안정이 중요하다. 기지 주변의 지하수계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광역적 지하수 유동특성, 기지내 공간적 지하수위 분포 양상을 파악하였으며, 지하수 유동에 영향을 미치는 지질 요소를 검토하였다. 연구지역에서 지히수 유동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질구조적 특성은 2가지로서, 편마암-화강암 관입경계를 따라 재활성된 부분과 산성 암맥을 따라 발달한 단열 및 단층이다. 기지 내 4개 관측공들의 수위변동 양상을 검토한 결과, 대부분 강우와 지표수 유입 혹은 공동내 주입수에 의해 지하수위 변동이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기지 남쪽에 위치한 관정으로부터의 양수가 기지의 지하수위 변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토하였다. 산성 암맥을 따라 기지로부터 1.2km 남쪽에 위치한 지점에서의 양수작업은 관측 당시에 기지내 지하수위 변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모델링 결과에 의하면 $250\;m^3$/day 이상의 양수량으로 지속적인 양수작업이 진행되는 경우 지하수 시스템 안정을 위해 주의가 요구된다. The most serious problem in oil stockpiles with artificial underground cavern is maintaining the stability of ground water system. In order to understand the ground water system around K-1 site, we determined the regional flow direction and level distribution of groundwater, and investigated the major geologic factors influencing their flow system. Reactivated surface along the contact between granite and gneiss, and fractures and faults along the long acidic dyke may contribute as important pathways for groundwater flow. Within K-1 site,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rainfall events and injection from surface or influx water. In this project, the effect of groundwater pumping from the southern wells was examined. Based on equations relating water level drawdown to pumping rate at those wells, their pumped outflow of groundwater ranged from $80\;m^3$/day to less than $250\;m^3$/day. The modeling results with MODFLOW imply that the previous groundwater pumping at distance of 1.2 km may not affect the groundwater level variations of the K-1 site. However, continuous pumping work at quantity over $250\;m^3$/day in this area will be able to affect the groundwater system of the K-1 site, particularly along the acidic dyke.

      • KCI등재

        전자문화지도에 대한 비교 연구

        문상호,Moon, Sang-Ho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8 No.9

        최근 사회 전반에 걸쳐 디지털 융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창조적이고 새로운 형태로의 융합이 이루어지고 있다. 학문 분야에서는 학문연구 방법의 다양성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대안으로 융합학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 전자문화지도에 관한 연구가 점차 확산되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전자문화지도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비교 및 분석하고자 한다. 세부적으로 기존 전자문화지도의 베이스맵 활용, 인터페이스, 기능을 중심으로 한 비교 분석을 통해 효율적인 전자문화지도의 제작 방안에 대해 알아본다. According to the growing interest in the digital convergence throughout society, the convergence of creative and new forms is emerging recently in various fields. Research methods to explore the diversity of academic studies have been studied in the field of study. As one of these methods, research on electronic cultural atlas that has features of convergence studies is gradually spreading. In this paper, we examine existing electronic cultural atlas and then, compare and analyze them. In details, existing electronic cultural atlas are comparative analyzed on the basis of base map, interface, and function. Through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the efficient production of electronic cultural atlas are examined.

      • KCI등재

        한국인에서 족무지 지관절의 종자골에 대한 방사선학적 연구

        문상호,김동준,서병호,Moon, Sang-Ho,Kim, Dong-Joon,Suh, Byoung-Ho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06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10 No.2

        Purpose: Frequency of sesamoid bone on hallucal interphalangeal joint has been described to be low probability in orthopaedic and anatomical literature. We have, however, experienced two cases of interphalangeal joint dislocation giving difficulty to usual manipulative reduction because of presence of sesamoid bone recently. In order to ascertain existence of sesamoid bone on interphalangeal joint of hallux in Korean adults, radiological study have been performed with feet of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y 2003 and October 2006, 974 patients with 1098 radiographs of feet which were reached skeletal maturity over 18-year-old were examined. Unilateral or bilateral anteroposterior, lateral and oblique radiographs were observed by one same person and presence was recorded if there was sesamoid in films. Distance of long and short axes were measured in lateral view and cases of two sesamoids in interphalangeal joint were recorded.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left and right side or between men and women were evaluated by chi-square test. Results: Frequency of sesamoid was 980 cases (89.3%) and no occurrence in 118 cases (10.7%). Two sesamoids were observed in 3 cases. Average distance of long axis was 4.9 mm (range, 0.5-11.4) and average distance of short axis was 3.5 mm (range, 0.3-9.3). Unilateral sesamoid was observed in 7 patients (5.6%), bilateral absence was 7 patients (5.6%) and bilateral sesamoids in 110 patients (88.8%) out of 124 patients who took bilateral feet radiographs. Men has less frequency than women significantly (p=0.014)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requency according to side(p>0.05). Conclusion: Sesamoid bone was seen in 980 feet (89.3%) out of 1098 normal Korean radiological studies of feet. We report 3 cases of two seamoids which was extremely rarely reported in literature. Korean frequency is similar with Japanese, but much higher than Caucasians and black Africans.

      • KCI등재

        무심천 인근 상대리 수막재배지에서 지하수 사용 후 배출되는 최종 배수로 물의 수질 특성

        문상호,김용철,황정,Moon, Sang-Ho,Kim, Yongcheol,Hwang, Jeong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5 자원환경지질 Vol.48 No.5

        우리나라의 대표적 딸기 수막재배지 중 하나인 청주시 가덕면 상대리 일대에서는 수막재배용 지하수 이용량이 몇가지 방법으로 산정된 바 있다. 이러한 지하수 이용량 산정 방법 중에는 수막재배 사용 후 배출되는 배수로의 유량을 근거로 하는 것이 있으며, 이러한 방법은 배수로의 물이 모두 사용 후 배출되는 지하수로만 구성되어 있다는 가정 하에 적용된다. 연구지역에서 지하수가 사용된 후 무심천으로 유출되기 직전의 최종 배수로는 비포장 상태이며 하천 가까이에 나란히 개설되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배수로의 물이 인근 하천수의 침투 유입에 의한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이 연구는 상대리 지역에서와 유사한 하천과 배수로의 구조 및 형태를 가지는 경우에, 최종 배수로의 배출수가 수질의 관점에서 하천수의 영향을 받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토해 보았다. 고려된 수질 요소는 현장 수온과 pH, EC 값, 실내 분석에 의한 이온 함량과 수질 유형이며, 현장 측정 및 시료 채취 기간은 2012년 2월부터 2015년 2월까지이다. 검토 결과, 배출수는 지하수의 평균 수질을 반영하지 않으며, 오히려 하천수의 수질을 많이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보아, 연구지역에서와 같이 배수로가 인근 하천 가까이에서 비포장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배출수의 유량 측정을 지하수 이용량 산정에 직접적으로 이용하는 데에 많은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 연구에서 배출수의 수온은 주변 대기 온도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여 변하기 때문에, 하천수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판단하기는 부적절한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배출수 내 지하수와 하천수의 혼합 비율을 정량적으로 산정하는 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Sangdae-ri riverside around Musimcheon stream, flowing through Gadeok-myon of Cheongju City,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strawberry fields employing water curtain cultivation (WCC) in Korea. In this area, annual groundwater use for WCC has been calculated by a few methods. On the assumption that all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final ditch may be mostly composed of groundwater, the discharge rate in it can be used as a good proxy for assessing the groundwater use. However, in the study area, the final ditch was set up in an unpaved state near and parallel to Musimcheon stream. Under such circumstances, the drainwater is likely to be influenced by infiltration and/or inflow of nearby stream. Hence, we examined whether or not stream water has influenced water flowing out through the final ditch in respect of ion concentrations or field parameters such as T, pH and electrical conductivity (EC) values. The period of measuring field parameters and sample collection was from February 2012 through February 2015. The drainwater in the final ditch did not show the average quality of groundwater, but similar quality of stream water in respect of pH, EC, ion contents and water type. From this, it is suggested that measuring the flow rate of the final ditch should not be directly used for assessing groundwater use in the study area. In addition, because of its sensitivity to ambient temperature, water temperature proved not to be appropriate for estimating the interaction between ditch and stream. For accuracy, additional methods will be needed to calculate mixing ratios between stream and ground water within drainage system.

      • 서혜부에 발생한 유척색종 - 증례 보고 -

        문상호,김동준,공규민,이수원,심종옥,박진경,김성환,Moon, Sang-Ho,Kim, Dong-Jun,Kong, Gyu-Min,Lee, Soo-Won,Shim, Jong-Ok,Park, Jean-Kyung,Kim, Sung-Hwa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8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4 No.1

        유척색종은 전세계적으로 소수의 증례만이 보고될 정도로 매우 드문 종양으로서 척색종과 조직학적으로 매우 유사한 소견을 보이지만 구간 골격에 위치하는 척색종과 달리 유척색종은 구간외 골격 조직에 발생한다. 또한 국소적으로 재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2개월 전 서혜부 연부 조직 종양으로 국소 마취하에 단순 절제술을 시행받은 후 재발하여 광범위 절제술을 재시행하였던 유척색종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척색종의 전이를 배제하기 위하여 골주사 검사를 시행하여 골병변이 없음을 확인하였고, 절제된 조직의 종양 세포는 면역조직화학 염색상 Epithelial membrane antigen(EMA), S-100 단백질, vimentin, cytokeratin에 양성반응을 보였다. Parachordoma is an extremely rare tumor that histologically resembles chordoma of axial skeleton but occurs in a peripheral site. It is considered an indolent neoplasm with potential for local recurrence. We present a case of soft tissue parachordoma at inguinal subcutaneous tissue which recurred 2 months after primary simple excision under local anesthesia and was performed revisional wide excision. Bone scan showed no other metastatic lesion. Immunohistochemical findings revealed tumor cells to be reactive to EMA, S-100 protein, vimentin and cytokeratin.

      • 신경 성형술 후 초음파 유도하 내측 분지 차단술의 유용성

        문상호,이송,정재현,신원식,Moon, Sang Ho,Lee, Song,Jung, Jae-Hyun,Shin, Won Shik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7 No.1

        목적: 신경성형술로 치료한 추간판 탈출증 환자들 중 호전되지 않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초음파 유도하 내측 분지 차단술을 시행하여 치료적으로 유용한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11월에서 2013년 2월까지 추간판 탈출증으로 신경성형술을 받은 만성 요통 환자 559명 중 시술후에도 요통 혹은 하지 연관통 증상을 보여, 초음파 유도하 내측 분지 차단술을 시행받고 1개월 추시가 가능하였던 88명과 이 중 6개월 추시가 가능하였던 39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한 명의 의사가 모든 증례를 시술하였으며 방사선 피폭의 위험을 없애고자 방사선 투시 하가 아닌, 초음파 유도하에 23 G, 10 cm 주사 바늘을 삽입하고 약제를 주사하였다. 내측 분지를 목표로 하기 위하여 횡축 영상에서 상 관절 돌기와 횡 돌기의 교차점에 바늘이 놓이도록 하였다. 시술 후 각 시점에서 Visual Analog Scale (VAS) score와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를 측정하여 시술 전과 통증의 정도와 기능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의미 있는 통증 및 기능의 호전 기준은 VAS 50% 이상의 감소, ODI 40% 이상의 감소를 기준으로 하였다. 결과: 시술 전 VAS는 평균 $7.35{\pm}1.68$점, ODI는 평균 $32.82{\pm}8.77$점이었다. 이에 대하여 시술 후 1개월에 VAS는 평균 $3.36{\pm}2.98$점, ODI는 평균 $15.14{\pm}14.01$점으로 의미있게 감소하였으며(p<0.05) 시술후 6개월에는 VAS는 평균 $3.05{\pm}2.27$점, ODI는 평균 $12.97{\pm}8.82$점으로 의미있게 감소하였다(p<0.05). 1개월 군에서는 통증이 64.49%에서 의미있게 감소하였으며 59.81%에서 기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3개월 군에서는 통증이 64.10%에서 의미있게 호전되었고 61.54%에서 의미있게 기능이 향상되었다. 결론: 초음파 유도하 내측 분지 차단술은 추간판 질환으로 인해 이차적으로 발생한 후방 관절의 문제에 대한 치료로서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Purpose: To determine the therapeutic effectiveness of ultrasound-guided medial branch block (MBB) for the herniated lumbar disc patients who did not relieve their symptoms after percutaneous epidural neuroplasty (PEN). Materials and Methods: From August 2011 to February 2013, 559 patients with herniated lumbar disc have undergone PEN. Among them, ultrasound-guided MBBs were performed for the patients who had sustained low back pain and refered pain to lower extremities. Eighty eight patients were followed at 1 month and 39 patients could be followed at 6 month. All procedures have been performed by the one operator, and 23 G, 10 cm needle was placed and 0.5% lidocaine was injected under ultrasound guide. To target medial branches from L1 to L5, the groove at the root of transverse process and the base of superior articular process has been identified on transverse scan. Patients were evaluated by Visual Analog Scale (VAS) and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at each follow-up. Significant pain relief was described as a 50% or more reduction in VAS and significant improvement in function was described as at least a 40% reduction in ODI. Results: VAS showed that preprocedure pain ($7.35{\pm}1.68$; $mean{\pm}SD$) significantly decreased 1 month after block ($3.36{\pm}2.98$) and 6 month ($3.05{\pm}2.27$) (p<0.05). ODI also showed that preprocedure score ($32.82{\pm}8.77$) significantly decreased at 1 month ($15.14{\pm}14.01$) and 6 month ($12.97{\pm}8.82$) (p<0.05). Significant pain relief was observed in 64.49% at 1 month and 64.10% at 6 month. Significant functional improvement in 59.81% at 1 month and 61.54% at 6 month. Conclusion: Ultrasound-guided medial branch block may sufficiently treat the facet problems secondary from disc disease.

      • KCI등재

        청주 상대리지역에서 수막재배가 지하수-하천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문상호,김용철,정윤영,황정,Moon, Sang-Ho,Kim, Yongcheol,Jeong, Youn-Young,Hwang, Jeong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6 자원환경지질 Vol.49 No.2

        우리나라에서 수막재배가 이루어지는 수변지역 대부분은 성수기에 지하수위 하강과 함께 지하수 고갈 문제로 항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수변지역에서의 지하수 자원량 문제는 인근 하천수와의 연계 특성이 고려될 때 효율적으로 해결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지하수와 하천수와의 연계성 및 지하수 대수층에 미치는 하천수의 영향을 논의하기 위해, 지하수의 토출온도, 지하수와 하천수의 산소 수소 안정동위원소 조성 변화 특성을 검토하였다. 연구지역은 딸기 수막재배지로 잘 알려진 청주시 가덕면 상대리 지역이며, 지하수와 하천수의 시료 채취는 2012년 2월부터 2014년 6월까지 실시되었다. 하천 가까이 분포하는 지하수 관정들 중 일부는 하천수의 영향 정도에 따라 측정 시기별로 용출온도의 변화가 심한 것들이 관찰되었으며, 이들의 산소 수소 안정동위원소 조성비는 대부분 하천수의 산소 수소 안정동위원소 조성비와 유사함을 보였다. 이는 지하수에 미치는 하천수의 영향이 산소 수소 안정동위원소 조성비 변화에 반영되고 있음을 지시한다. 관정 위치에 따른 공간적 변화 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천으로부터 우측 구릉지까지 4개의 측선을 설정하였다. 수막재배 말기인 2-3월 시기에, 하천에서 구릉지까지의 거리가 짧은 측선상의 관정들은 좁은 범위의 산소 수소 안정동위원소 조성 범위를 보인 반면에, 하천에서 구릉지까지의 거리가 긴 측선상의 관정들은 폭넓은 산소 수소 안정동위원소 조성 범위를 보였다. 연구지역에서 하천이 지하수에 미치는 영향 거리는 수막재배 말기에 최대 160~165 m 정도인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는 폭이 좁은 측선에서는 전체 거리에 해당되며, 폭이 넓은 측선에서는 전체 길이의 약 1/3 지점에 해당된다. 따라서, 폭이 넓은 측선상에서 관찰되는 넓은 범위의 산소 수소 안정동위원소 조성은 하천수의 영향 뿐 아니라 2개 이상의 대수층들간의 영향력 변화에서 기인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산소 수소 안정동위원소 조성으로 볼 때, 연구지역 내에는 3개 대수층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들 대수층이 관정 내에 미치는 상호 영향력은 수막재배 시기별로 달라지는 것으로 보인다. Most of riverside in Korea, in case of application of water curtain cultivation (WCC) technique, has been inveterately suffering from the gradual drawdown of groundwater level and related shortage of water resources during the WCC peak time. We believe that the water resources issue in these riverside areas can be effectively solved when the interaction between groundwater and nearby surface water is well understood. To investigate the connection between stream and ground water, and the influence of stream water on the nearby aquifer, this study examined the water temperature and oxygen and hydrogen stable isotopic compositions. The study area is well-known strawberry field applying the WCC technique in Sangdae-ri, Gadeok-myon, Cheongju City, and the sampling was done from February 2012 through June 2014 for stream and ground water. Some groundwater wells near stream showed big temporal variations in water temperature, and their oxygen and hydrogen stable isotopes showed similar compositions to those of adjacent stream water. This indicates that the influence of stream water is highly reflected in the stable isotopic composition of groundwater. Four cross-sectional lines from stream to hillside were established in the study area to determine the spatial differences in water quality of wells. At the late stage of WCC in February to March, groundwater of wells in line with short cross-sectional length showed the narrow range of isotopic compositions; however, those in the long cross-sectional line showed a wide compositional range. It was shown that the influence of the stream water at the late WCC stage have reached to the distance of 160 to 165 m from stream line, which is equivalent to the whole length and one-third point in each short and long cross-sectional line, respectively. Therefore, the wide compositional range in the long cross-sectional lines was not only due to the influence of stream water, but apparently resulted from the change of relative impact of each groundwater supplying from two or more aquifers. In view of stable isotopic compositions, there seems to be three different aquifers in this study area, which is competing for dominance of water quality in wells at each period of WCC.

      • KCI등재

        충북 영동군의 복합 지질과 지하수 라돈 함량과의 연관성에 대한 고찰

        문상호,조수영,김성현,Moon, Sang-Ho,Cho, Soo-Young,Kim, Sunghyu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8 자원환경지질 Vol.51 No.5

        영동지역은 지체구조상 옥천습곡대의 중앙 남동부와 영남육괴와의 경계부에 위치하며, 이들 경계부에는 백악기 영동 퇴적분지가 분포한다. 영동지역의 지질은 주로 선캠브리아시대 소백산 편마암복합체, 중생대 화강암류와 퇴적암류, 그리고 이들 암석을 부정합으로 덮은 제4기 충적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외에도, 시대미상의 옥천누층군, 고생대의 퇴적암류, 트라이아스기의 화강암류들이 북서측에서 소규모로 산출된다. 이들 다양한 지질에서 산출되는 지하수 내 Rn 함량 특성을 검토하기 위해, 충적층/풍화대 지하수 관정 20개, 암반 지하수 관정 60개를 대상으로 2015년 8월 풍수기와 2016년 3월 갈수기 2 차례에 걸쳐 시료를 채취 분석하였다. 충적/풍화대 지하수의 Rn 함량은 백악기 반암 뿐 아니라 일부 쥬라기 화강암류와 소백산 편마암류 지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상세 지질을 살펴보면, 쥬라기 화강암과 흑운모 편마암 자체보다는 인근의 백악기 반암과의 경계부 혹은 반암 인근의 관정 지하수에서 Rn 함량이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암반 지하수에서의 상세 지질별로 Rn 함량 산출 특성을 살펴보면, 영동분지 내 백악기 퇴적암과 소백산 편마암복합체 중 흑운모 편마암과 편암 지역에서 Rn 함량이 적은 편이었고, 백악기 반암 자체, 트라이아스기 청산화강암과 복운모화강암의 경계부위, 쥬라기 화강암과 반암 경계부, 편마암 복합체 중 화강암질 편마암 혹은 화강편마암 지역에서 Rn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게 검출되는 것들이 나타났다. 지하수 내 Rn 함량과 지질과의 연관성을 검토할 때, 개략적이고 큰 규모의 지질보다는 맥상 규모로 작은 규모와 이에 따른 정밀한 지질 상황을 고려할 때 지질 및 암종에 따른 Rn 함량의 변화 및 관련성을 의미있게 논의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지하수 관정이 위치한 지점에서의 지질 자체보다는 인근에 소규모로 산출되는 맥암, 페그마타이트, 석영맥 등의 산출 및 이들과 관련된 광화대/변질대 등 특수한 지질 상황을 고려한 지하수 수질 특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Yeongdong area is located on the border zone between Precambrian Yeongnam massif and central southeastern Ogcheon metamorphic belt, in which Cretaceous Yeongdong sedimentary basin exists. Main geology in this area consists of Precambrian Sobaeksan gneiss complex, Mesozoic igneous and sedimentary rocks and Quaternary alluvial deposits. Above this, age-unknown Ogcheon Supergroup, Paleozoic sedimentary rocks and Tertiary granites also occur in small scale in the northwestern part. This study focuses on the link between the various geology and Rn concentrations in groundwater. For this, twenty wells in alluvial/weathered zone and sixty bedrock aquifer wells were used. Groundwater sampling campaigns were twice run at wet season in August 2015 and dry season in March 2016. Some wells placed in alluvial/weathered part of Precambrian metamorphic rocks and Jurassic granite terrains, as well as Cretaceous porphyry, showed elevated Rn concentrations in groundwater. However, detailed geology showed the distinct feature that these high-Rn groundwaters in metamorphic and granitic terrains are definitely related to proximity of aquifer rocks to Cretaceous porphyry in the study area. The deeper wells placed in bedrock aquifer showed that almost the whole groundwaters in biotite gneiss and schist of Sobaeksan gneiss complex and in Cretaceous sedimentary rocks of Yeongdong basin have low level of Rn concentrations. On the other hand, groundwaters occurring in rock types of granitic gneiss or granite gneiss among Sobaeksan gneiss complex have relatively high Rn concentrations. And also, groundwaters occurring in the border zone between Triassic Cheongsan granites and two-mica granites, and in Jurassic granites neighboring Cretaceous porphyry have relatively high Rn concentrations. Therefore, to get probable and meaningful results for the link between Rn concentrations in groundwater and surrounding geology, quite detailed geology including small-scaled dykes or vein zones should be considered.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take account of the spatial proximity of well location to igneous rocks associated with some mineralization/hydrothermal alteration zone rather than in-situ geology itself.

      • 개선된 삼각형 채우기 방법

        문상호,Moon, Sang-Ho 한국정보과학회 2005 정보과학회논문지 : 기술교육 Vol.2 No.1

        A parallel algorithm for the rasterization of triangles is suggested that is particularly well suited for 3D B-buffered graphics implementations. The algorithm represents each edge of triangle by linear edge function that has a value greater than zero on one side of the edge and less then zero on the opposite side. The value of the function can be interpolated with hardware similar to hardware required to interpolate rotor and f pixel values. In this paper, we can be removed to evaluate the edge function, it is simplified rasterization and to improve processing but also to simplify hardware implementation that can be implemented to simplify the ASIC. 3D z-buffered 그래픽스 구현에 매우 적합한 삼각형을 채우는 병렬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알고리즘은 선형 변함수에 의한 삼각형 각 변의 한 쪽은 0보다 큰 값을 가지고 반대쪽은 0보다 작은 값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함수의 값은 색상과 Z 값을 구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와 유사한 하드웨어로 구해진다. 본 논문에서는 변함수를 평가하는 계산을 없애 라스터라이저 과정을 단순화 시기고 처리 속도 향상뿐만 아니라 하드웨어로 구현할 경우 회로를 단순화시켜 ASIC화하기가 용이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