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보존기간에 따른 산 가수분해 당분석 시료의 화학적 특성 변화 분석

        두예슬,이신아,양봉숙,정명준,강규영 한국공업화학회 2014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4 No.1

        HPLC를 이용한 당 분석은 일반적인 GC 분석방법과는 달리 시료의 유도체화가 필요하지 않고 다량의 시료를 단시간 내에 전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산 전처리 후 실제 당 분석까지 각 시료마다 보존기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정확한 분석과 높은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보존기간에 따른 시료의 안정성에 대한 검증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목재와 목재펄프 그리고 비목재펄프 시료의 보존기간에 따른 기본 중성당 조성 변화를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전처리 후 곧바로 분석에 사용된 시료가 가장 안정적이었으나, 보존기간이 경과함에도 분석에 사용된 내부 표준물질과 각 시료간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보정으로 신뢰할만한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KCI우수등재

        중학생의 진학준비와 부모 사회경제적 지위, 사회적 연결망, 교육열망, 진학정보 인지 수준 간 구조적 관계

        두예슬,심재휘,김경근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8

        Drawing on fifth wave data from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 2013,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social networks, educational aspirations, knowledge of school information, and middle school students’ preparation for entry into high school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Our SEM results showed that both parental education level and household incom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arents' social networks, educational aspirations, and knowledge of school information. While parental education level exerted a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s’ preparation for entry into high school, household income had little effect on it. Parents' social networks and educational aspirations exerted a significant effect on knowledge of school information. Lastly, parents’ educational aspirations and knowledge of school informa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students’ preparation for entry into high school. This study is expected to broaden the horizon of educational gap research by empirically exploring how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can affect their children's educational outcomes through differentiated social networks and school information. 본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 5차 연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중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사회적 연결망, 교육열망, 진학정보 인지 수준과 자녀의 진학준비 행동 간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부모 교육수준과 가구소득은 모두 부모의 사회적 연결망, 교육열망, 진학정보 인지 수준에 정적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모의 교육수준은 자녀의 진학준비 행동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지만, 진학준비 행동에 대한 가구소득의 직접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부모의 사회적 연결망과 교육열망은 부모의 진학정보 인지 수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모의 교육열망과 진학정보 인지 수준은 자녀의 진학준비 행동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떻게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차별화된 사회적 연결망과 진학정보를 매개로 자녀의 교육결과에 의미 있는 영향을 끼칠 수 있는지 실증적으로 구명함으로써 교육격차 연구의 지평을 넓힐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한국 청소년의 이주민 접촉과 다문화 수용성 간 관계

        두예슬,김경근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5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mmigrant contact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among Korean adolescent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asked. First, what is the effect of direct contact with foreigners or immigrants on the adolescents’ multicultural acceptance?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indirect contact with foreigners or immigrants through mass media on the adolescents’ multicultural acceptance? Drawing on the 2021 National Multicultural Acceptance Survey data collected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employing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final sample used for the analysis comprised 2,549 middle school students and 2,451 high school students. Our 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 of unintentional and superficial direct contact on multicultural accepta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tentional and intimate direct contact had little impact on the adolescents’ multicultural acceptance among both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frequency of exposure to positive images of foreigners and immigrants through mass media had a positive effect only on multicultural acceptanc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whereas the frequency of exposure to negative images of foreigners and immigrants through mass media had a strong negative effect on multicultural acceptance among both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basic data for preparing policy alternatives to improve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of adolescents who need to learn how to be tolerant in a multicultural society 본 연구는 다문화사회로의 이행 초기 단계인 한국 사회에서 청소년의 이주민 접촉이 다문화 수용성과 어떠한관계를 나타내는지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이나이주민과의 직접 접촉은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 둘째, 대중매체를 통한 외국인이나이주민과의 간접 접촉은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 통계분석은 여성가족부의 「2021년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선형회귀분석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분석에 사용된 최종 표본은 중학생2,549명과 고등학생 2,451명으로 구성되었다. 분석 결과, 직접 접촉으로서 의도적이지 않은 피상적 접촉은 고등학생의다문화 수용성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도적이며 친밀한 접촉은 중학생 및 고등학생 모두에서다문화 수용성과 연관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간접 접촉으로서 대중매체를 통해 외국인이나 이주민의 긍정적이미지에 노출된 빈도는 중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만 긍정적 영향을 끼치는 반면, 대중매체를 통해 외국인이나 이주민의부정적 이미지에 노출된 빈도는 중학생 및 고등학생 모두에서 다문화 수용성에 강력한 부적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판명되었다. 연구결과는 다문화사회에서 관용의 내면화가 절실히 요구되는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을 제고하기 위한정책대안을 마련하는 데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사범대학 지자체 협력 교육봉사활동의 가능성과 한계: A대학교 사범대학의 참여 학생들 경험을 중심으로

        두예슬,신유진,김고은,임가람,변기용 안암교육학회 2022 한국교육학연구 Vol.28 No.4

        This study aims to derive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institution by identifying the possibilities, limitations and their influencing factors of local government cooperative educational service activities based on students' experience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 case study method. A University's College of Education, which has participated in local government cooperative educational service activities for more than a decade, was selected as a case. We summarized the main goals of educational service activities as (1) providing meaningful educational opportunities to low-income class students in need of academic improvement, (2) improving the qualifications and capabilities of participating College of Education students, and (3) providing institutional convenience for educational service activities. Based on these goals, we looked into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local government cooperative educational service activities. In addition, we divided the factors affecting effective operation of the local government cooperative educational service activities into student level, coordination and support system level, and the institution level. Through the results, we could confirm that even though it is important for each organization to fulfill their responsibilities, the feedback process for improving the program based on inter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is also needed among organizations. 본 연구는 학생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지자체 협력 교육봉사활동의 가능성과 한계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제도를 개선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사례로는 지자체 협력 교육봉사활동에 10년 이상 참여해 온 A대학교 사범대학이 선정되었다. 교육봉사활동의 주요 목표는 (1) 학업 증진이 필요한 저소득층 학생에게 유의미한 교육기회 제공, (2) 참여사범대생의 교원으로서의 자질과 역량 향상, (3) 교육봉사활동의 제도적 편의 제공으로 요약되며, 본 연구에서는 이 세 가지 목표에 기반하여 해당 제도가 지닌 가능성과 한계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후 지자체 협력 교육봉사활동의 효과적 운영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참여사범대생 차원, 조정・지원 체제 차원, 제도 차원의 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각 주체가 맡은 바 책임을 다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에 더해 상호 소통과 협력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개선을 위한 환류 과정이 참여 주체 간에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고등학생의 학교 수업 미참여 예측요인

        두예슬( YESEUL DOO),김경근(Kyung-keun Kim) 한국교육사회학회 2023 교육사회학연구 Vol.33 No.2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교 수업 미참여 행위 예측요인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경기교육종단연구(GEPS) 자료를 사용하여 다층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 모형(multilevel ordinal logistic regression model)을 통해 수업시간에 잠을 자는 행위 및 수업시간에 수업과 관련 없는 일을 하는 행위와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수업시간에 잠을 자거나 수업과 관련 없는 일을 하는 행위는 학교 특성보다 학생 특성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무동기는 수업시간에 잠을 자거나 수업과 관련 없는 일을 할 개연성을 높이는 반면, 특기·적성 측면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는 두 가지 유형의 학교 수업 미참여 행위에 의미 있는 억제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아울러 충분한 수면을 취하고 등교한 학생일수록 수업시간에 잠을 자거나 수업과 관련 없는 일을 할 개연성이 유의미하게 낮았다. 학생들의 진로 준비 방향도 학교 수업 미참여 행위와 밀접한 연관성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취업이나 창업 등을 준비하는 학생에 비해 정시를 집중적으로 준비하는 학생들은 수업시간에 잠을 자거나 수업과 무관한 행위를 하는 빈도가 유의미하게 높은 반면, 수시를 준비하는 학생들은 그 같은 행위를 보일 개연성이 뚜렷하게 낮았다. 한편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수업시간에 잠을 자는 행위와 연관성이 거의 없지만, 부모의 자녀에 대한 기대교육수준은 수업시간에 잠을 자는 행위에 억제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학교 수업 미참여 행위를 줄이기 위한 정책대안을 간략하게 논의하였다. This study drew upon data from the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GEP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d school disengagement behaviors among high school students. Using a multilevel ordinal logistic regression model, we aimed to identify key variables associated with two specific behaviors: sleeping in class and engaging in activities unrelated to the lesson. Our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 characteristics exerted a stronger influence on these behaviors than school characteristics. Specifically, we found that amotivation increased the likelihood of sleeping in class and doing unrelated work, while satisfaction with the curriculum in terms of skills and aptitudes served as a significant deterrent to both forms of school disengagement. Furthermore, students who arrived at school well-rested were significantly less likely to exhibit these behaviors. The chosen career path also showed a strong association with disengagement behaviors. In comparison to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or entrepreneurship, those focused on regular admission were more prone to sleeping in class and engaging in non-class related activities. Conversely, students preparing for early admission displayed a lower likelihood of such behaviors. While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had minimal impact on sleeping in class, parents' educational expectations for their children were found to discourage this behavior. Based on our findings, we discussed potential policy alternatives aimed at mitigating school disengagement behavi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