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근거기반실무 교육 프로그램이 임상간호사의 근거기반실무 준비도 및 근거기반 의사결정에 미치는 효과

        남애리나,이은호,박정옥,기은정,수민,박미미,Nam, Ae Ri Na,Lee, Eun Ho,Park, Jeong Ok,Ki, Eun Jung,Nam, Su Min,Park, Mi Mi 간호행정학회 2017 간호행정학회지 Vol.23 No.2

        Purpose: Today's clinical nurses deal with complex problems that need accurate evidence for practice and decision making. In this study the effectiveness of an EBP education program was examined. Methods: A pre-posttest design was used for this study and participants were 46 nurses working at a tertiary hospital located in Suwon, Korea. Date collection was done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program, from July 27 to October 2, 2015. Data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 and ANCOVA with SPSS 21.0.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ores before and after the EBP education program for EBP readiness: belief (t=-5.65, p<.001), implementation(t=-2.89, p=.006), competence (t=-4.21, p<.001), and for evidence-based decision making (t=-16.25, p<.001) by the nurses.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EBP education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EBP belief, implementation, competence and evidence-based decision making.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he content of the program in the clinical workplace and to provide continuous education for clinical nurses.

      • KCI등재

        비강 캐뉼라를 이용한 저유량 산소 요법에서 비가습 적용의 간호실무 가이드라인 개발

        남애리나,배우현,박미미,고은정,박병,박정옥,임지영 한국간호과학회 간호행정학회 2013 간호행정학회지 Vol.19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basis for non-humidified low flow oxygen by nasal cannula and to provide a guide for consistent care in nursing practice. Methods: A methodologic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guidelines with experts' opinions on collected items, framing PICO questions, evaluating and synthesizing texts which were searched with the key words (low flow oxygen, nasal cannula, humidification of oxygen, guideline) from web search engines. Results: Of the 45 researched texts on the web, 9 texts relevant to the theme were synthesized and evaluated. All patients with humidified or non-humidified oxygen therapy reported that they had no discomfort.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are no tangible grounds for patients' perceived differences between the humidified and non-humidified oxygen under 4L/min supplied by nasal cannula. with oxygen. Therefore, non-humidification oxygen therapy is strongly advised when suppling under 4L/min oxygen by nasal cannula (recommended grade A).

      • "if" in Young Children's Speech : 모국어로서의 영어를 습득한 어린이의 경우

        남애리 이화여자대학교 인문과학대학 영어영문학과 2000 Minerva Vol.- No.27

        지금까지 Adam, Sarah, Naomi 세 어린이의 대화 기록을 분석 및 비교하여 영어를 습득하는 어린이들의 "if" 습득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if"는 어린이의 언어 발달 과정에서 비교적 늦게 습득되는데, 처음으로 "if"가 사용되는 것은 어린이들이 대개 MLU 3.5에서 4.0 사이일 때이며 주로 조건절의 "if"가 처음으로 사용된다. 가정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if"가 사용되는 것은 대개 MLU 4.0을 넘은 이후이며, 그 문장 형식은 종종 문법적으로 불완전한 경우가 많다. 약 5세 이전까지의 어린이의 "if" 사용은 조건절이나 보문소로서의 "if"가 가정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if"에 비해 자주 나타나며, 과거의 사실에 반대를 가정하는 "if"의 쓰임은 찾아보기 힘들다. 'if'의 늦은 습득과 "if"가 어린이의 사용에서 보이는 이러한 양상은 통사적인 이유와 의미상의 이유 두 가지로 설명될 수 있는데, 의미상의 이유가 더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 같다. 여기서 통사적인 문제와 의미상의 문제, 즉 언어적 요인과 인지적 요인 중 어느것이 "if"의 사용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해 볼 수 있는 방법으로 타 언어와의 비교 연구를 제안해 보고 싶다. 예를 들면, 한국어의 경우에 현재 사실의 반대를 가정하기 위해서는 현재 시제를, 과거 사실의 반대를 가정하기 위해서는 과거 시제를 그대로 사용하는데, 영어를 배우는 아이들이 부딪히는 새로운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 새로운 시제에 관한 규칙을 배우는 어려움이 그만큼 줄어든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렇게 "if"와 같은 의미를 표현하는 타 언어의 표현의 습득에 관해 연구하여 영어의 "if"의 습득과 비교해 본다면 "if"나 "if"에 대응하는 모든 타 언어의 습득에 관해 좀 더 보편적인 결론을 얻어낼 수 있을 것이다. 이 보고서는 어린이의 "if" 사용에 관해 가능한 객관적인 분석과 해석을 시도해 본 것이지만 어린이의 "if"의 습득에 관한 전체적인 조망을 해 보기에는 몇 가지 한계가 있다. 첫째 , 이것은 어린이의 발화에만 의존해 분석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어린이들이 여러 가지 "if" 문장에 대해 어느 정도의 이해력을 가지고 있는지 등을 알아보는 것이 불가능하고, 따라서 "if"의 일반적인 습득에 관하여 결론을 내리기에 다소 무리가 있다. 또, 이 기록들에 나타난 "if" 문장들은 자연적인 대화 상태에서 주로 어린이 스스로가 시작한 "if" 문장에 의존해 분석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if"의 문장을 유도하는 질문이나 상황 아래서의 기록을 분석한 결과와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if"의 사용에 관해 좀 더 정확하고 일반적인 결론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실험이나 인터뷰 등 다른 방법을 통한 "if"의 사용을 분석해 보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우수등재

        근거기반실무 교육 프로그램이 임상간호사의 근거기반실무 준비도 및 근거기반 의사결정에 미치는 효과

        남애리나(Nam, Ae Ri Na),이은호(Lee, Eun Ho),박정옥(Park, Jeong Ok),기은정(Ki, Eun Jung),수민(Nam, Su Min),박미미(Park, Mi Mi) 한국간호행정학회 2017 간호행정학회지 Vol.23 No.3

        Purpose: Today"s clinical nurses deal with complex problems that need accurate evidence for practice and decision making. In this study the effectiveness of an EBP education program was examined. Methods: A pre-posttest design was used for this study and participants were 46 nurses working at a tertiary hospital located in Suwon, Korea. Date collection was done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program, from July 27 to October 2, 2015. Data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 and ANCOVA with SPSS 21.0.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ores before and after the EBP education program for EBP readiness: belief (t=-5.65, p<.001), implementation(t=-2.89, p=.006), competence (t=-4.21, p<.001), and for evidence-based decision making (t=-16.25, p<.001) by the nurses.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EBP education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EBP belief, implementation, competence and evidence-based decision making.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he content of the program in the clinical workplace and to provide continuous education for clinical nurses.

      • KCI등재

        미국 대학 한국어 학습자의 동기 및 태도 연구 - 중서부 주립대 초급 학습자의 학습 지속 여부를 중심으로 -

        남애리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2 한국언어문화학 Vol.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대학에서 초급 한국어를 수강하는 학생들의 한국어 학습 동기 및 태도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특히 2학기 이상 한국어 학습을 지속하는 학생 그룹과 2학기 이후 학습을 중단하는 학생 그룹 간에 학습 동기의 차이 및 한국, 한국인, 한국어에 대한 태도에 차이가 있는지, 있다면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2년 봄학기 미국 중서부에 위치한 주립대학교에서 2학기 한국어 수강생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였다. 2012년 가을 3학기 한국어 수강 등록이 마감된 후 실시한 내용 분석과 빈도 분석을 통해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참여자들이 한국어 학습을 선택한 주요 동기는 1) 문화에 대한 관심, 2) 한국어에 대한 관심, 3) 의사소통 욕구, 4) 한국 방문 희망, 5) 필수 선택 과목 이수 등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학습 지속 그룹에 속한 참여자들이 한국어 학습 중단 그룹보다 한국의 문화와 언어 자체에 더 깊이 있는 관심과 흥미를 보였고, 통합적 및 자아실현 관련 한국어 학습 동기가 높았다. 또한 두 그룹은 한국, 한국인, 한국어에 대한 태도에서도 차이를 보였는데, 학습 지속 그룹이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훨씬 더 다채롭고 구체적인 태도를 표명한 데 반해 학습 중단 그룹은 제한적이고 피상적인 태도를 보여 대조를 이루었다.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을 지속하는 학생과 한국어 학습을 조기 중단하는 학생의 동기와 태도에 차이가 있음을 밝힘으로써 성공적인 한국어 습득을 장려하기 위해 우선 고려해야 할 학습자 요인을 고찰한 데 의의가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students who continue and don’t continue beyond the second-semester Korean course, in terms of their motivational orientations and attitudes toward the target language and community. An open-ended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the students in the second-semester Korean course at a Midwestern research university during spring 2012. Content and frequency analysis were conducted at the beginning of fall 2012. The participants’ main motivations to learn Korean were: 1) cultural interest, 2) linguistic interest, 3) desire to communicate with native Korean speakers, 4) desire to visit and live in Korea, and 5) fulfillment of degree requirement. The comparison of the continuing and discontinuing groups revealed that continuing students were motivated more by intrinsic interest in the language/culture and by integrative and ideal-self-related motivations. The attitudes toward the target language and community of the two groups also showed differences: the responses of the continuing students were more diverse and profound, while those of the discontinuing students were rather limited and superficial.

      • KCI등재후보

        웃음치료가 우울증 여성 노인의 우울, 노인 삶의 질, 생리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도영,남애리나 한국웰니스학회 2014 한국웰니스학회지 Vol.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65세 이상의 고위험 우울증으로 분류된 여성 노인에게 8주간의 웃음치료를 적용하여 수축기혈압, 이완기혈 압, 공복시 혈당, 노인우울감 및 노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K시의 정신보건센터에서 선정 기준에 맞는 대상자를 모집한 후 무작위로 대조군과 실험군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 20.0을 이용하여 공분산분석(ANCOVA)을 시행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05였다. 8주 동안의 웃음치료를 실시한 결과, 웃음치료는 우울증 여성 노인에 게 수축기혈압(F=12.68, p=0.001) 공복시 혈당(F=6.942, p=0.013), 노인우울감은 감소시키며(F=4.912, p=0.033) 노인 삶의 질은 향상시 키는 것(F=13.036, p=0.001)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를 통하여 우울증 노인의 경우 웃음치료를 통하여 수축기혈압, 공복 시 혈당, 노인우울감 및 노인 삶의 질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우울증 노인 증가로 심각한 사회문제가 대두되어 대책 마련이 시급한 현 실정에서, 웃음치료의 다양한 과학적 근거를 활용한 연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fasting blood sugar, geriatric depression, and geriatric quality of life by applying the laughter therapy for 8 weeks for women aged over 65 years are classified as high risk for depression. Subjects recruited to meet the selection criteria in the Mental Health Center of K City, Gyeonggi Province,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For data analysis, this study was conducted ANCOVA using SPSS 20.0, and significant level was 0.05. As a result of this study, laughter therapy lowered systolic blood pressure(F=12.68, p=0.001), fasting blood sugar(F=6.942, p=0.013), and geriatric depression(F=4.912, p=0.033) of depressive elderly women, while having improved geriatric quality of life(F=13.036, p=0.001). In conclusion, this research suggests a possibility that laughter therapy can being a positive effects on blood pressure, blood sugar, and geriatric depression and geriatric quality of life to depressive elderly seniors. Given the situation that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the depressive elderly has become a serious social problem which requires an urgent solution, it is necessary to do more researches by using a variety of scientific grounds of laughter therapy.

      • KCI등재

        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진정요법 지식과 간호실무 역량요인의 상관성 분석

        장혜주,이주희,남애리나,김희정 병원간호사회 2018 임상간호연구 Vol.24 No.1

        Purpose: For this study an examination was done of relationships between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knowledge related to sedation and their clinical competencies in sedation practice. Methods: Ninety one ICU nurses were recruited from two tertiary hospitals in South Korea.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to examine the levels of knowledge related to sedation and nursing practice competence based on Ajzen’s theory of planned behavior.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s, one-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s were performed using the IBM SPSS 21.0 Results: ICU nurses are more knowledgeable about general information on sedation rather than up-to-date information. Continuing education on sedation was related to difference in knowledge levels. However, the levels of knowledge were not related to competence in sedation practice. Instead, a positive attitude toward sedation practic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subjective norms; orders and goal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practice of sedation, and intention to us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on levels of knowledge related to sedation practices of Korean ICU nurses. Continuing education should emphasize up-to-date information on sedation practice and need for positive attitudes which influence all other competencies towards sedation practices to achieve optical care of sedation in the IC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