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통통제장치 적용에 따른 교통안전도 향상에 관한 연구

        남백,이철기,이상수,오영태,유태호 한국ITS학회 2006 한국ITS학회논문지 Vol.5 No.1

        차량의 과속은 도시부 도로에서 번번하게 일어나는 교통사고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이다. 교통사고의 감소를 위하여 설치하는 교통통제창치의 일종인 과속경보장치(DFS)는 국내에서는 차대사람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점차 다양한 곳에 적용을 확산해나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교통통제장치의 효과가 어느정도인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설치전후로 첨두시간과 비첨두시간대로 나누어 필드 조사를 수행하였고, 수집자료의 분석에는 차량평균속도 및 속도분산을 포함한 여러 가지 종속변수에 대하여 실험결과에 대한 통계적 검증과 함께 논의 되어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고감소 및 교통안전도 향상을 위한 교통통제장치로써 과속경보장치(DFS)가 단속에 의한 강제적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도 교통류의 속도를 효과적으로 통제하여 보다 안전한 보행환경을 제공하고, 사고율을 낮춤으로써 교통안전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Speeding is one of the major causes of traffic accidnets in urban areas. Driver feedback sign(DFS) is a traffic control device that can be used for many traffic environments including work zones, school zones, and roadways. In this paper, the effectiveness of DFS was evaluated through a field study using speed data collected from before and after study periods. In addition traffic safety improvement was also quantitatively estimated using the variance of speed data collected. Staistical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speed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distribution of speed data was also shifted greatly.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installing the DFS in roadways might lead to unifomity of speed of traffic flow, thus, potential safety improvement might be expected.

      • KCI등재

        전원용 적층형 칩 인덕터의 공극 효과

        남백,김진우,김기현 한국물리학회 2011 새물리 Vol.61 No.1

        The effects of an airgap on the DC characteristics of a multilayer chip inductor were evaluated by using a finite-element eletromagnetic analysis tool (EM3D) in which the inductance could be calculated from the given magnetic flux distribution. The size of the chip inductor was 2 mm×1.2 mm×0.66 mm (l×w×h), where 4 layers of coil had been inserted. The material for the coil was silver, and that for the core was ferrite. The inductance was calculated for various of airgap thicknesses, numbers of airgaps, and airgap shapes. When the airgap was located in the inductor,a 1.4 μH inductance and good DC characteristics were achieved. 적층형 칩 인덕터에 공극(airgap)을 설치하여 직류중첩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전자기해석도구(EM3D)를 사용하여 자기선속 분포를 구하고 이로부터 인덕턴스를 계산하였다. 4층의 코일로 이루어진 칩 인덕터의 크기는 2 mm×1.2 mm×0.66 mm (l×w×h)이며, 코일은 은(Ag), 자성 코어는 페라이트를 적용하였다. 공극의 두께와 개수 및 형상을 변화시키며 직류 전류에 따른 인덕턴스를 계산하였다. 공극을 인덕터 평면의 일부분에만 설치한 경우 1.4 μH의 인덕턴스와 양호한 직류중첩특성을 나타내었다.

      • KCI등재

        자성 나노 입자의 정렬 방향이 복합재 시트의 근접장 전력 흡수능에 미치는 효과

        남백일(Baekil Nam) 한국자기학회 2018 韓國磁氣學會誌 Vol.28 No.6

        Power absorption of the composite composed with nonmagnetic polymer matrix and magnetic nano-particles were evaluated by the IEC standar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gnetic particle alignment on the power absorption, permeability of the composites were calculated along with alignment directions. Low fmr resonance frequency and high permeability values were shown for easy direction while high fmr resonance frequency and low permeability values were shown for hard direction. It was clearly shown that power absorption characteristics resembled the profiles of permeability for each alignment direction.

      • KCI등재

        고주파 투자율 측정용 치구 설계 및 자성 막의 투자율 추출

        이준식,남백,김기현 한국물리학회 2012 새물리 Vol.62 No.2

        To measure the permeability and the ferromagnetic resonance up to the GHz frequency region, we designed and analyzed a permeability jig by using the electromagnetic field distribution on a strip line. The permeability jig was composed of the strip shaped signal line and the ground plane, which were placed on the bottom and the top sides of the signal line in order to match the 50 Ω impedance and to reduce the signal noise. Both end sides of the signal line were connected with SMA connectors to measure the permeability by using a vector network analyzer. To analyze the electromagnetic field distribution on the permeability jig, we employed the finite element method by using the HFSS commercial program. The reliability of the permeability jig was proven by using the calculated permeability frequency profile with a ferromagnetic resonance at around 1 GHz. The effective permeability frequency profile was extracted by using the microstrip line method with the obtained s-parameter. The extracted effective permeability agreed well with the proposed permeability data up to 5 GHz. 자성체의 고주파 투자율 및 GHz 대역 강자성 공명 현상을 측정하기위하여 스트립라인 신호선을 이용하여 측정용 치구를 설계하고 전자계해석을 하였다. 측정용 치구는 신호잡음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스트립형태의 신호선 및 신호선 위아래에 접지 역할을 하는 접지면을 형성하여50 Ω의 특성임피던스를 갖도록 설계하였으며, 신호선의 양단은SMA 커넥터를 연결하여 벡터 네트워크 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있도록 하였다. 자성체의 투자율은 약 1 GHz 근처에서 강자성 공명이발생하는 주파수 변화에 따른 투자율 데이터를 전자계 해석프로그램(HFSS, ANSYS사)에 적용하여 치구 설계의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투자율 측정용 치구를 통하여 얻은 s-파라미터는 마이크로스트립계산법에 의하여 투자율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 약 5 GHz 영역까지투자율을 측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양자역학적 물리량의 기대치와 측정치

        김영순,남백 명지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97 자연과학논문집 Vol.16 No.-

        광전효고에서 빛과 전자의 상호작용은 전자 스핀에 무관함에도 불구하고, 스핀 편극이 없는 원자로부터 스핀 편극이 큰 광전자를 얻을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가 결여된 채로 개별적인 경우에 대한 계산들만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 이 현상 및 이와 유사한 물리 현상들이 양자역학의 기본 이론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음을 밝힌다. It is noted that the expectation value for a quantum observable measured after a transition process may be different from that measured before the transition, even in the case that the interaction for the transition process does not involve the particular observabl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transition. Spin measurement of photoelectrons may serve as a prototypical example. We show that the phenomenon is in fact much more general and depends on the commutation relations between the operator for the transition and those characterizing the initial state. Conditions for obtaining the same or different expectation value for the initial state (before the transition) and for the final state (after the transition) are discussed, where the operator for the transition process is independent of the operator for the observabl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transition.

      • 원자의 선택적 2광자 공명성 3광자 이온화 과정에 관한 밀도행렬의 수치해

        오완영,남백,강석찬,김영순 명지대학교자연과학연구소 1991 자연과학논문집 Vol.9 No.-

        2광자 공명성 3광자 이온화 과정에서 밀도행렬의 시간에 대한 미적분방정식을 수치해 석적으로 계산하여 기저상태와 2광자 공명 여기상태의 전자밀도 행렬요소 σ??와 σ??,이온화율 P, 그리고 동위원소 선택율 S를 Li과 Sr원자들에 대하여 계산하였고, Rate Approximation에 기초한 준정상해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비교적 큰 동위원소이동 값을 갖는 ??Li와 ??Li의 경우 레이저의 세기가 매우 작은 영역과 큰 여역에서는 P와 s의 수치해의 계산결과와 준정상해법 계산결과는 비교적 잘 맞는 경향을 볼 수 있었으며, ??Sr와 ??Sr의 경우 즉, 동위원소 이동값이 700MH?에 불과한 경우 Li원자보다 민감하여 준정상해법의 결과는 제한적으로 적용됨을 볼 수 있었다. We present results of numerical calculations obtained through solving integro-differential equations for the electron density matrices ?? and?? and the ionization rate P in two-photon resonant three-photon ionization of Li and Sr, as well as the selectivity S for the isotope separation. We also compare our results with the predictions from quasi-stationary solutions based on the rate approximation. Our numerical results for P and S show that the quasi-stationary solutions are valid at very high and very low laser intensities when the isotope shift is large as in the case with 4s of ??Li and ??Li, and that the validity is rather limited in the cases with small isotope shift as in 5p? ?S of ??Sr and ??Sr.

      • KCI등재

        Synthesis and Magnetic Properties of FeCo/Edge-Oxidized Graphene Nanocomposites

        김진우,김기현,남백 한국물리학회 2018 새물리 Vol.68 No.3

        FeCo/graphene composites were prepared with increasing graphene weight percent. The graphene-oxide sheets employed water-dispersible edge-oxidized graphene with a lateral size of about 2 - 3 $\mu$m and an average thickness of below 5 nm. The FeCo/graphene composites were synthesized by using the coprecipitation method. With increasing graphene concentration in the FeCo/graphene composites, the synthesized FeCo nanoparticles were attached on the edge and the plane of the graphene. The saturation magnetizations and coercivities of the FeCo/graphene composites were 152 emu/g, 85 emu/g, 37 emu/g, 13.5 emu/g and 881 Oe, 766 Oe, 567 Oe, 115 Oe for 0 wt.%, 36 wt.%, 53 wt.%, and 69 wt.% of graphene, respectively. The real parts of the permeabilities of the FeCo/graphene composites were about 1.21 (0 wt.%), 1.10 (36 wt.%), 1.06 (53 wt.%) and 1.00 (69 wt.%) at 1 GHz, after which the permeability abrup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frequency up to 18 GHz.

      • KCI등재

        복소 유전율 및 투자율 변화에 따른 자성 복합체 시트의 근접장 전력 흡수능

        이준식,김기현,남백 한국물리학회 2016 새물리 Vol.66 No.4

        To optimize the electromagnetic noise reduction in a magnetic composite sheet by varying the complex permittivity and permeability, we evaluated the transmission power absorption by using the microstrip line method (IEC 62333 standard). To analyze the power absorption, we extracted the magnetic and the dielectric loss, which contribute to the total absorption. The electromagnetic characteristics of a microstripline and a magnetic composite sheet were simulated by using a 3D finite elements method (FEM) commercial program in the frequency range from 0.2 GHz to 10 GHz. The power absorption by the magnetic composite sheet was governed by the loss tangent of the permeability and the permittivity. When the real parts of the permeability and the permittivity of a 100 $\mu$m-thick composite sheet were fixed at 2 and 10, their loss tangents were 0.5 and 0.1, respectively, and the total power absorption was about 13.79% at 9.6 GHz with a magnetic loss of about 8.98% and a dielectric loss of about 1.78%. When the loss tangents were 0.1 and 0.4, the total power absorption was about 19.19% with a magnetic loss of about 1.77% and a dielectric loss of about 6.77%. 전자파 노이즈 저감을 위한 자성 복합체 시트를 최적화하기 위해 마이크로스트립라인 평가법(IEC 62333-2)을 적용하여 복소 유전율 및 투자율 변화에 따른 복합체 시트의 근접장 전력 흡수 특성을 해석하였다. 자성 복합체 시트에 의한 전력 흡수 기전을 분석하기 위해 총 흡수능에 기여하는 자성, 유전 손실을 각각 추출하여 비교하였다. 마이크로스트립라인과 복합체 시트의 전자기 전산모사는 3차원 유한요소법을 적용한 상용프로그램을 사용하여 0.2~10 GHz 영역에서 해석하였다. 자성 복합체 시트에 의한 전력 흡수는 유전율 및 투자율의 손실 탄젠트(loss tangent)에 의해 주로 영향을 받으며, 동일한 투자율 및 유전율 실수부에서 허수부가 클수록 전력 흡수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100 $\mu$m의 두께를 갖는 복합체 시트의 투자율과 유전율의 실수부 값이 각각 2와 10이고 손실 탄젠트 각각 0.5, 0.1인 경우 총 전력 흡수능은 13.79%이었다. 이 때, 자성 손실은 8.89%, 유전손실은 1.78%를 보였다. 손실 탄젠트가 각각 0.1, 0.4인 경우, 복합체 시트의 총 전력 흡수능은 19.19%이었으며 1.77%의 자성 손실과 6.77%의 유전 손실을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