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세종어제서문>의 표기적 특징에 대한 이해와 교육적 접근
이철기 우리말학회 2017 우리말연구 Vol.48 No.-
이 글은 국어사 교육용 자료로 자주 활용되는 <세종어제서문> 의 표기적 특징을 밝히고 그 교육적 활용 방안을 제안하고 있는 논문이 다. 이를 위해 우선, 훈민정음 창제 직후 15세기 국어 표기의 일반적 원 리를 『훈민정음 해례본』의 내용과 관련지어 검토해 보았다. 그리고 어제 서문의 표기를 면밀히 분석하여 일반적 표기 원리를 따른 예와 그렇지 않 은 예를 찾아 제시하였다. 언어에 대한 탐구가 표기의 특징과 한계에 대한 정확한 이해로부터 출 발함을 전제하고, 어제서문의 표기적 특징을 활용하여 한글 창제 직후의 표기 원리뿐만 아니라 오늘날 한글 표기의 원리를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는 교육적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철기,김동태,엄기용,신재은,이수진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24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16 No.3
본 연구는 직업훈련기관의 경영역량 제고를 위한 역량모델을 개발하고 교육요구의 우선순위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 행되었다. 직업훈련기관의 경영실태를 보면 영세하게 운영되는 경우가 많으며, 직업훈련기관 경영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매 우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의 요구도분석을 통해 직업훈련기관 기관장의 역량모델을 수립함으로써 국내 직 업훈련기관장을 대상으로 한 경영관리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요구도분석을 위한 자료는 전국의 직업 훈련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설문조사에서는 문헌에 기초한 잠정적 역량모델에 대하여 중요성 과 현재수준을 5점 척도로 선택하도록 하였고, 설문조사 결과에서 중요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역량차원에 대해 삭제하는 작업 을 하였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6개 역량(1.전략적 리더십, 2.변화관리, 3.마케팅, 4.인적자원관리, 5.교육훈련관리, 6.자원관리, 조직운영관리)과 26개 역량차원으로 구성된 직업훈련기관장 경영 역량모델을 수립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mpetency model that enhances the management capabilities of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and to identify the priorities of educational needs. After reviewing prior studies to tentatively establish a competency model, a training needs assessment was conducted in the field using this model. Data for the analysis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conducted among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Following the needs assessment, a new management competency model for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was formulated, comprising six competencies and 26 competency dimensions, by eliminating the dimensions considered relatively less important. The competency model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is anticipated to be utilized in creating management education programs for directors of domestic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의 과제와 전망 ; 한반도 평화체제: 정치,군사적 분야의 과제와 방안
이철기 평화문제연구소 2001 통일문제연구 Vol.13 No.1
한반도 평화체제는 정전협정의 평화협정으로 대체와 한반도에서 냉전구조의 해체, 한반도 평화에 대해 국제적인 보장의 확보를 의미한다. 한반도에서 평화체제를 이룩하기 위해서는 평화협정의 체결, 북한미사일 문제의 해결, 주한미군문제의 해결, 군사적 긴장완화와 군축의 추진이 과제로 주어진다. 평화협정과 관련해 당사자문제를 푸는 가장 현실적인 방안은 4자간의 ‘2+2 협정’과 북미간 협정, 즉 2개의 협정을 동시에 체결하는 것이다. 북한 미사일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북한의 안전보장에 대한 미국의 약속과 북한에 대한 경제적 보상이 필요하다. 또한 주한미군을 보다 중립적인 지위와 성격으로 개편해야 한다. 군사적 신뢰구축조치와 실질적인 상호 군축도 필요한데, 남북한의 군축은 상호 공격능력의 제거와 병력에 대한 대폭적인 감축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 정치군사적 조치는 3단계에 걸쳐 단계적으로 이행해 나간다. ‘평화체제단계;에서는 군축과 군사적 신뢰구축조치들이 이행된다. 또한 유엔사의 해체와 주한미군의 감축 및 후방으로의 이동이 이행되며, 비무장지대에 다국적 평화유지군이 주둔한다. ‘남북한연합단계’에서 남북한은 각기 보유한 군사력에서 다시 추가적으로 1/3씩 감축을 단행하며, 미해?공군력도 한국에서 완전 철수한다. ‘통일국가단계’에서 통일국가의 적정병력수는 24만~28만명으로 평가된다. 한국정부는 남북정상회담의 성과들을 이어가기 위한 단기적이고 실용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첫째, ‘남북당사자중심원칙’에 입각하여, 당국회담의 상설화?정례화를 통한 사실상의 남북연합제를 실현하는 것이다. 둘째, ‘실용주의 원칙’에 입각하여, “선 평화선언, 후 평화협정”형태로 추진한다. 셋째, ‘다자주의 및 균형주의원칙’에 입각하여, 외교안보정책을 다변화하고 균형화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