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보육시설종사자의 직위와 전문성 발달수준 및 보육교사의 자격에 따른 보육시설 조력활동에 대한 평가의 차이

        남미경 한국보육지원학회 2011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7 No.2

        본 연구는 보육시설 평가인증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조력활동에 대한 평가결과가 보육시설종사자의 직위와 전문성 발달수준 및 보육교사의 자격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보다 수요자 중심적이고 현장적합적인 조력활동을 계획, 운영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를 위해 D,G시 소재 민간(가정)보육시설에 근무하는 시설장과 보육교사 138명을 대상으로 ‘보육시설 평가인증 조력활동평가척도’(남미경, 2010)와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발달수준 자기평가 도구’(백은주, 조부경, 2004)를 보육교사와 시설장에 적합하도록 수정한 것을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시설 조력활동에 대한 평가점수는 보육교사가 시설장에 비해 통계적으로 높게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시설 조력활동에 대한 평가결과는 보육교사와 시설장의 전문성 발달수준에 따라 ‘조력활동내용영역’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문성 발달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조력활동내용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셋째, 보육시설 조력활동에 대한 평가결과는 보육교사 2급 자격자와 보육교사 1급 자격자 간에 ‘조력활동내용영역’의 조력영역 부분에서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역동적 평가의 스캐폴딩 집단유형과 능력수준에 따른 유아 기하능력발달의 차이

        남미경 한국유아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유아의 기하능력에 대한 역동적 평가를 실시함에 있어 역동적 평가에서의 훈련 및 전이검사 과정에서 제공되는 스캐폴딩을 개별집단과 또래협동집단으로 구분하고, 유아의 능력수준을 상· 하집단으로 구분하여 실시한 결과 유아의 기하능력발달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역동적 평가가 또래협동으로 실시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역동적 평가의 효과가 유아의 수준에 따라 어떠한지를 분석하여 수준별 교수방법의 개발과 개별화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4, 5세 유아 87명을 대상으로 유아의 기하능력에 대한 역동적 평가도구(황해익, 남미경, 2007)를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스캐폴딩 집단유형에 따라 유아의 기하능력발달은 만 4세는 또래협동 역동적 평가집단과 개별 역동적 평가집단 간, 또래협동 역동적 평가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만 5세는 또래협동 역동적 평가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능력수준에 따른 유아의 기하능력발달은 하수준 유아들이 또래협동 역동적 평가집단과 비교집단 간, 개별 역동적 평가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dynamic assessment in terms of scaffolding group types and young children's geometry ability levels. Subjects were 87 four-and five-year-old kindergarten children. The subjects were assigned into three scaffolding groups; 29 children were assigned to group 1(a peer collaboration dynamic assessment group) and 29 children assigned to group 2(an individual dynamic assessment group) and 29 children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The Dynamic Assessment Tools for Young Children's Geometry Ability"(Hwang & Nam, 2007) consists of 4 subtests, having 24 questions in pre and post tests, 12 questions in the training test, and 10 questions in the transfer test. Data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and ANOVA. Results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ost-test scores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terms of scaffolding group types and young children's geometry ability level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young children's geometry ability development between the peer collaborati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between the four year old children in the peer collaboration group and the individual. With the five year old childre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eer collaboration groups and the control group.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young children's geometry ability development between the peer collaborati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between the individual group and the lower abilities section of the control group,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higher abilities section of that group.

      • KCI등재
      • 유아교사 평가 척도의 사용실태와 요구도 조사

        남미경,손원경 부산유아교육학회 2003 유아교육논총 Vol.11 No.-

        본 연구는 부산, 경남 및 서울, 경기 지역 공·사립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 183명을 대상으로 유아교사평가척도의 사용실태 및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조사 대상자의 45.9%가 유아교사평가를 실시하고 있으며 54.1%는 실시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사평가에서 평가도구틀 활용하는 경우는 6.6%에 불과하였는데, 유아교사평가척도를 활용하지 않는 주 이유는 '적절한 평가척도가 없어서'이며 평가척도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86.3%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평가척도가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는 '교사의 교수능력 개선'(35.5%)를 우선으로 지적하였고, 다음으로 '교사의 자기반성'(35.0%)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척도에 가장 필요한 내용으로는 '인성 및 교양으로서 전체의 30.6%를 차지하였다. 유아교사평가척도의 결과가 어떻게 활용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해서 '교사의 자기반성 자료'(45.9%)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담임교사 결정 자료'(3.8%)나 '유아교육기관의 질 관리'(1.6%)와 같은 행정적인 부분에의 활용에 대해서는 응답이 낮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ctual conditions and need of using evaluation scales for early childhood teacher.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How about the actual condition of using evaluation scales for early childhood tracher? Second, How about the need of using evaluation scales for early childhood trach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3 teachers. Th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es, and analysed by frequencies, percentiles and shi-square. The finding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45.9% of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take out teacher evaluation, and 54.1% of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did not. Second, 23.8% of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have used ‘Analysis of teaching plans and teacher’s journal’. And 23.5% of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have used ‘analysis of teaching case’ and 17% of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have used ‘peer-teacher nonformal assessment’ as teacher evaluation method. Third, Only 6.6% of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have used early childhood evaluation scale because they have not appropriate evaluation scale. But Most of teacher(83.3%) wanted to assessment scale as early childhood teacher evaluation method.

      • KCI등재후보

        델파이 방법을 활용한 산․학․관 협력 어린이집 장학프로그램에 대한 전문가 인식 조사

        남미경 한국보육지원학회 2011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7 No.4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장학프로그램을 산․학․관 협력으로 계획, 운영하는 것에 대한 관련 전문가들의 의견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산․학․관 협력 어린이집 장학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성 평가기준에 따라 20명의 분야별 관련 전문가를 선정하여 산․학․관 협력 어린이집 장학프로그램에 대한 반구조화 된 설문지와 4점 척도형설문지 등을 통해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델파이 조사에서 관련 문헌 및 프로그램 분석을 통해 제안한 15항목으로 이루어진 반구조화 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92항목으로 이루어진 2차 조사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2차 조사 결과분석에 따른 3차 델파이 조사는 장학프로그램의 내용 영역 33항목과 운영 영역 44항목, 총 77항목으로 구성된 시안을 작성하였다. 최종 시안에 대한 패널의 반응분포, 문항의 양호도 및 전문가 합치도를 알아본 결과, 전체 문항의 평균이 3.0 이상이고 부적편포를 나타내었으며 각 문항과 총점 간 상관은 .41~.92였고 신뢰도 계수는 내용 영역이 .98, 운영 영역이 .97로 나타났다. 따라서 왜도가 양의 값으로 나타난 일부 문항을 제외하고는 문항구성이 전체적으로 신뢰롭고 타당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리고 일부 문항을 제외한 대부분 문항은 전문가의 합치도가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산·학·관 협력 어린이집 장학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남미경 한국보육지원학회 2012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8 No.6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직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장학프로그램을 산․학․관 협력으로 계획, 운영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어린이집 장학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성 평가기준에 따라 선정된 분야별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델파이 조사와 어린이집의 보육교직원을 대상으로 한 적절성 인식조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 시안을 개발한 후, 중소도시에 위치한 A어린이집 원장과 교사를 대상으로 장학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산․학․관 협력 어린이집 장학프로그램 시안은 장학프로그램의 내용 영역 27개 항목과 운영 영역 36개 항목, 총 63개 항목으로 구성되었으며, 적절성 인식 조사결과 장학영역, 운영을 위한 주체별 역할, 운영을 위한 상호협력적 역할에 대해서 모든 항목의 적절성이 평균 3.0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산․학․관 협력 어린이집 장학프로그램의 적용은 3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실시하였으며, 실시과정을 통해 참여자들은 산․학․관 협력에 대해 ‘협력의 이중성’, ‘아쉬움과 한계’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유아다문화교육 내용의 연결망 비교 분석: 2009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와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남미경,윤갑정 한국보육지원학회 2015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1 No.4

        본 연구는 2009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와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다문화교육 내용의 연결망을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다문화교육 내용 분석범주를 토대로 UCINET 6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2009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 11권과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32권, 총 43권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각 연령별 생활주제에 연결되어 있는 다문화교육 내용의 밀도는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에 비해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가 높았다. 다문화교육 내용들과 연결성이 높은 생활주제는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의 3, 4, 5세는 모두 ‘나와 가족’으로 ‘정체성 형성’ 내용을 중심으로 연결망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3세는 ‘동식물과 자연’, 4, 5세는 ‘유치원과 친구’, ‘나와 가족’이 ‘상호작용 및 협동’ 내용을 중심으로 연결망을 형성하고 있었다. 둘째, 다문화교육 내용의 하위요소 간 연결 중심성 값이 높은 내용은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의 ‘문화에 관심 갖기’, ‘유사점과 차이점 알기’ 순이었으며,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는 ‘문화에 관심 갖기’, ‘공동체 의식 함양하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하위 영역간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매개 중심성 값이 높은 내용은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의 ‘다양성 이해하기’,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공동체 의식 함양하기’와 ‘상호작용 및 협력’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유아다문화교육은 ‘정체성’에서 ‘상호작용 및 협력’으로 변화되었으며 이는 현재 누리과정에서 다문화교육 내용이 세계시민으로서의 국제적 소양과 역량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앞으로 유아다문화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현대공예디자인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 경향에 관한 연구

        남미경,이수철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6 No.2

        Postmodernism in the modern craft arts began as part of efforts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ediousness inherent in modernism which emphasized the standardization of consumer products. Postmodernism also put its emphisis on the importance of social role of the craft arts since the emergence of Bauhaus. The decorations, expressions of objects, and simultaneous adoption of traditional and new materials were not often used in modernism. These complex modes of expression appeared as a main trend in the craft arts, resuscitating the hand-crafted production. The development of hand-crafted production can be construed as efforts to make people recognize the craft arts which can be differentiated form mass-produced craft arts. This study is designed to predict the emerging new trends of craft arts with specific emphasis on the development of postmodernism. It also seeks to explore to what extent a design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craft arts and what form a design will take in leading a cultural phenomenon. This study begins by explaining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postmodernism and its relationship with modern craft arts. It also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ressions of postmodernism and explains how these expressions appear in the modern craft arts.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is study clarifies postmodernism`s charateristics by using the existing articles and books. The pictures of the famous artists in the craft arts are collected and classified by a chronological order to explain the relationships between craft arts theories and the systems of society, culture, and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