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가족의 식사의례에서 아동의 일상학습 탐구: 결혼이민여성 어머니의 관점에서

        윤갑정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2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ntents of daily learning of children in a dining ritual of multicultural families through the married migrant mother’s perspectives. To do this, data were collected from 3 times focus group interviews with 8 marriage migrant women from Vietn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able manner learning: ‘sit down a chair correctly and eat a meal first as an adult’, Second, social emotional learning through play: ‘it is fun to play language games together’, Third, Vietnamese culture learning: ‘we sometimes eat Vietnamese food’, Implications of this findings are value of dining ritual for daily learning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lso, necessity of parent-child interaction improvement and respect for mutual culture of couple in the dining ritual.

      • KCI등재

        유아교육현장에서 의례의 재발견 : 그 개념과 활용

        윤갑정 한국문화교육학회 2016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1 No.4

        최근 의례의 교육학적 논의가 대두되면서 유아교육에서도 관련 연구가 시작되고 있으나 의례의 복잡하고 다면적인 개념으로 인한 모호성과 유아교육현장에서 의례의 활용가치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의례의 개념과 활용에 대해 교사의 목소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사 경력 5년 이상인 유치원 교사 7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개별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질문내용은 의례의 개념과 활용에 대한 것으로 2차례 면담으로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전사, 주제별 코딩의 적용, 주제 또는 의미 생성의 질적 연구 분석과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교육현장에서 의례는 ‘특별한 연례 행사’, ‘일상적으로 반복되는 활동’, 그리고 ‘아이들과의 신호와 규칙’으로 개념화되었다. 둘째, 유아교육현장에서 의례는 ‘공동체성 강화’, ‘질서와 사회적 규범 학습’, ‘축하와 기념’, 그리고 ‘학부모와 소통의 장’으로 활용되고 있었다. 이를 통해 유치원 현장에서 의례의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교사의 역할과 기관의 역사성 있는 의례의 활용에 대한 철학 있는 원 운영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Since educational discussion of rituals is becoming new issue, at the same time this discuss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is just beginning. But concept of rituals is still ambiguous as complexity and various aspects of them and perceptions about practical values of them are not enough.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cepts and practices of rituals in preschool settings through the preschool teachers’ voices. For the aim, I had two times half-structured individual interviews with 7 preschool teachers who have over 5 years career. The interview questions were about rituals’concepts and practice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 First, rituals’ concepts in preschool settings were ‘special annual events’, ‘routinely repetitive activities’, and ‘promised signs and rules with young children’. Second, rituals’ practices have connected with purpose for ‘building of community’, ‘learning of order and social norms’, ‘celebration and commemoration’ and ‘spaces for communication with parents’. The results implicated that community members’ efforts for positive and meaningful practices of rituals and directors’ roles for continuity of them in preschool settings. Additionally preschool management based on philosophy for rituals’ practices with history and further researches about diverse concepts and practices of rituals in preschool settings were discussed.

      • KCI등재

        유아교육연구에서의 의례적 접근 : 주제와 관점

        윤갑정,이병준 한국문화교육학회 2014 문화예술교육연구 Vol.9 No.1

        This study was for discussing about application possibility of ritual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ies. For this purpose, we examined young children classroom communities and teaching learning methods based on ritual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First, performativity of rituals is crucial to community formation and communities can be developed through emotions in rituals. So, rituals can be used for formation of young children classroom communities and we can study about young children’s performance and emotions when they participate in rituals. Second, educational rituals can be helpful for students to give a motivation, sense of security and orders in lessons. So, rituals can be used for effective teaching learning methods and we can reinterpret current teaching strategies from the perspective of rituals. Also, we can be implicated the possibiliti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ies based on rituals.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providing new perspectives and topics against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have been focused on development psychology for a long time. 본 연구는 최근 교육학에서 새롭게 재조명되고 있는 의례를 유아교육연구 분야와 접목하여 논의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의례가 가진 사회적 기능과 연행적 측면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에서 유아 교실공동체 형성과 유아교수학습방법에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첫째, 의례의 연행성(performativity)이 공동체를 형성하는데 결정적이며 공동체는 의례와 그 안에서 만들어진 정서(emotions)를 통해 발달한다. 따라서 유아 교실공동체 형성을 위해 의례가 활용될 수 있으며 의례에서 행해지는 유아들의 연행성과 정서에 대한 연구의 가능성을 찾을 수 있었다. 둘째, 교육학적 의례는 수업에서 학생들에게 동기부여와 안정감과 질서를 제공하여 효율적인 교실운영을 돕는다. 따라서 유아교수학습방법으로 의례가 활용될 수 있으며 현재 교실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수전략들을 의례의 관점으로 재해석하고 유아교수학습방법으로 의례를 활용한 사례연구의 가능성을 찾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발달심리학의 지배아래 이루어져왔던 유아교육연구 주제와 관점을 사회학과 문화인류학에서 논의되어온 의례를 교육학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연구 가능성을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또래관계가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윤갑정,우호정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The Effects of Self-esteem,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Peer Relationship on Multicultural Efficacy of Elementary StudentsGabjung Yoon & Hojung Woo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self-esteem,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peer relationship on multicultural efficacy of elementary students. The subjects were 212 4th-6th grade elementary students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ulticultural efficacy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elf- esteem,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peer relationship. Second, the explanatory power of self-esteem,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peer relationship on multicultural efficacy was 36.7%. Particularly, parent-child open communication had the greatest influence sub-factor. The findings have implications that supporting for self-esteem, parent-child open communication and positive peer relationship in order to empowering multicultural efficacy of elementary students. Key Words: Elementary Student, Multicultural Efficacy, Self-esteem, Parent-Child Communication, Peer Relationship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또래관계가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윤 갑 정*ㆍ우 호 정**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개인 요인인 자아존중감, 가정 요인인 부모-자녀 의사소통, 학교 요인인 또래관계가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방법: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4-6학년 212명으로, SPSS 27.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또래관계는 다문화 효능감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초등학생의 다문화 효능감에 대한 자아존중감, 부모-자녀 의사소통, 또래관계의 설명력은 36.7%이었으며, 하위 요인은 부모-자녀 개방형과 문제형 의사소통, 긍정적 또래관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 중 부모-자녀 개방형 의사소통의 상대적 영향력이 가장 컸다. 결론 및 제언: 초등학생의 다문화 효능감에 자아존중감, 부모-자녀 의사소통, 또래관계가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초등학생의 다문화 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아존중감, 부모와의 개방적 의사소통과 긍정적 또래관계 지원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핵심어: 초등학생, 다문화효능감, 자아존중감, 부모-자녀 의사소통, 또래관계 □ 접수일: 2022년 12월 9일, 수정일: 2022년 12월 20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주저자, 대구한의대학교 아동복지상담학과 부교수(First Author, Professor, Daegu Haany Univ., Email: gyoon3@dhu.ac.kr)** 교신저자, 대구한의대학교 아동복지상담학과 객원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Daegu Haany Univ., Email: love1-hj@hanmail.net)

      • KCI등재

        초임보육교사의 웹기반 학습경험, 학습유형, 인터넷 자기효능감이 웹기반 학습신념에 미치는 영향

        윤갑정,김미정 한국보육지원학회 2014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0 No.1

        본 연구는 초임보육교사의 웹기반 학습경험, 학습유형, 인터넷 자기효능감이 웹기반 학습신념에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P시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초임보육교사 21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자료분석은 t 검증, ANOVA,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초임보육교사의 웹기반 학습경험 중 온라인교사 커뮤니티 이용 유무와 빈도에 따라 웹기반 학습신념에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초임보육교사의 학습유형에따라 웹기반 학습신념에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융합형의 교사들이 웹기반 학습의 어려움에 대한신념이 높았다. 셋째, 초임보육교사의 인터넷 자기효능감은 웹기반 학습신념과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인터넷 자기효능감이 높은 교사들이 웹기반 학습의 행동적 신념과 맥락적 신념이 높았다. 넷째, 초임보육교사의 웹기반 학습신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행동적 신념, 맥락적 신념, 어려움 신념에 따라 그 영향요인이 달랐으며 주로 온라인교사 커뮤니티 이용과 인터넷 자기효능감이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초임보육교사의 웹기반 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신념을 높이기 위해 이들의 웹기반 학습경험과 인터넷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방안 모색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유아 다문화학습 공간 구성 방향 탐색

        윤갑정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rections of learning space organization for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 aim, I had interview with 4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3 experts in the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field. The interview questions were three categories: First was purpose, methods and cont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econd was practices and learning space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ird was directions of multicultural learning spaces for young children.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 First, the learning space for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need to organize for young children to be able to understand multi-culture with body and mind sincerely. Second, the learning space need to be formed for re-thinking and anti-bias. Third, the learning space need to be designed for emotional empathy and relationships between each other. Last, the learning space need to designed based on ideas come from teacher’s multicultral attitude and belief. That is, it meant that the learning space for multicultural education need to be designed for making not only social, emotional space but also positive relationship each other beyond space as a physical environment. The results implicated that further research about dynamic multicultural learning process of young children within the learning spaces, re-engineering about learning spaces design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about learning spaces for young children. 본 연구는 유아 다문화학습 공간 구성의 방향성을 탐색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유아교사와 유아다문화교육 전문가 총 7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질문들은 유아다문화교육의 목적과 교수방법 및 내용, 유아다문화교육 실제와 학습공간, 유아다문화학습 공간 구성 방향으로 나누어졌다. 그 결과, 유아 다문화학습을 위한 공간은 첫째, 몸과 마음이 만나 진정한 이해를 할 수 있는 공간 둘째, 편견을 깨닫고 생각할 수 있는 공간 셋째, 정서적 공감과 관계를 촉진시킬 수 있는 공간 넷째, 교사의 다문화적 태도가 묻어나오는 공간이 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즉, 다문화학습 공간은 물리적 환경으로서의 공간을 넘어 사회적이고 정서적인 공간으로 유아들이 몸과 마음으로 다문화를 이해하고 긍정적인 관계를 생성해내는 공간이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학습공간의 틈새에서 일어나는 역동적인 유아 다문화학습 과정의 탐색과 학습공간 디자인에 대한 재공학 및 유아 다문화학습 공간에 대한 비판적 사고기술이 지속적으로 요구됨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유아와 교사가 경험하는 교실의 점심시간

        윤갑정,견주연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학논집 Vol.15 No.5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etary life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eachers’ challenges of dietary guidance at lunch time in their classroom. The subjects were 3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teachers. We observed three classrooms at lunch time and interviewed 3 children, their teachers, and parent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First,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considered lunch time as boring. Because they must eat spicy Korean foods they don’t like. Additionally, they must eat them quickly in order to attend an activity that follows lunch. Second, teachers experienced challenges of dietary guidance for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ecause the teachers wanted the children to enjoy eating Korean foods and to adapt quickly to Korean culture. But the children didn’t enjoy the foods and didn’t eat them quickly; as a result, their parents had different ideas on dietary guidance. We discussed teaching for adjustment to Korean culture and respecting diversit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looking for the best solution to dietary guidance with parents; and ideas for a delicious and enjoyable lunch time.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유아와 교사의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점심시간 경험을 살펴보고 다문화가정 유아의 식생활 특성 및 교사의 지도 시 어려움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어린이집 1곳과 유치원 1곳에 있는 다문화가정의 유아 3명이며, 비참여관찰과 유아, 교사 및 부모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가정 유아의 점심시간은 매운 음식을 빨리 먹어야 하고 식습관을 바꿔야 하는 재미없는 시간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점심시간은 늦게 먹고 편식하는 다문화가정 유아의 식습관과 한국음식 적응을 위한 교사와 부모의 견해 차이 및 바람직한 식생활 지도방법의 어려움이 있는 시간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다문화 교실에서 다문화가정 유아의 한국문화로의 적응과 동시에 이들의 다양성이 존중되는 것, 부모와 함께 바람직한 식생활지도 방법을 찾아가는 것과 맛있고 즐거운 점심시간이 되기 위한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