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ELISA를 이용한 cortisol 측정법의 정립 및 임상적 응용

        나기정,이창우,Na, Ki-jeong,Lee, Chang-woo 대한수의학회 1996 大韓獸醫學會誌 Vol.36 No.3

        ELISA kit for cortisol was developed and then evaluated. Polyclonal antihydrocortisone-3-(o-carboxymethyl)oxime BSA rabbit serum was used to coat the 96-well microplates. The minimum detection limit of the kit was 250pg of cortisol per milliliter. The within-run variation and the day to day variation of the ELISA system were 2.0 and 5.9 at maximum, respectively. The kit was used to determine whether salivary cortisol concentration could replace blood cortisol concentration in dexamathasone suppression test of dogs. Changes of cortisol concentration were measured in serum or saliva after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0.01mg of dexamethasone per kilogram of body weight. Blood alone, saliva alone or both were collected at 0, 30, 60, 120, 240, and 360 minutes after injection of dexamethasone. The change in blood cortisol concentration was found to be suitable in dexamathasone suppression test of dogs, but the change in salivary cortisol concentration was not. The kit was also used to determine whether salivary cortisol concentration could be a stress index as well as blood cortisol concentration in dogs. Two types of trial were performed to estimate the stress either by blood or salivary cortisol concentration. The first trial was stress experiment by intravenous injection of 0.2IU of PZI-insulin per kilogram body weight. Either blood alone or saliva alone was collected at 0, 30, 60, and 90 minutes after insulin administration. Both blood and salivary cortisol concentration were found to be suitable index in estimating stress from hypoglycemia by injection of insulin. The second trial was stress experiment by electrical irritation. The dogs were irritated with anti-bark device for 10 seconds. Blood was collected before and at 2 and 5 minutes after electrical irritation. Saliva was collected before and at 3 and 6 minutes after electrical irritation. The blood cortisol concentration, but not the salivary cortisol concentration was found to be suitable index in estimating stress from electrical irritation. Cushing syndrome in a dog was also successfully diagnosed with this kit.

      • KCI등재
      • KCI등재
      • SCOPUSKCI등재

        개에서 thin layer chromatography 박층크로마토그라피 및 ELISA를 이용한 요중의 cortisol : creatinine비 측정

        손대호,나기정,오태호,이혜숙,한홍율,Sohn, Dae-ho,Na, Ki-jeong,Oh, Tae-ho,Lee, Hye-sook,Han, Hong-ryul 대한수의학회 1999 大韓獸醫學會誌 Vol.39 No.5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LISA kit for measuring the level of cortisol in the urine. The CV of within-run variation and day to day variation were 0.4~2.8 and 1.8~5.7, respectively. The minimum limitation of measurement was 1ng/ml. The cross reaction was high ($CR_{50}(%)=11.4{\sim}43.2$) in prednisolone, 11-deoxycortisol, 21-deoxycortisol and predinosone. There was low and no cross reaction in other steroid. To develop the ELISA kit we measured the cortisol level in diluted urine with PBS (procedure I), extracted urine with methylene chloride (procedure II) and extracted methylene chloride-extracted urine from thin-layer chromatography (procedure III). The CV value of procedure I, II, III was 9.4~28.3%, 7.2~8.9% and 2.5~5.7%, respective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ocedure I with II, and pro-cedure I with III(p < 0.01), but no difference between procedure II with III significantly(p < 0.01). The mean UCCR of urine collected through am 8 to 10 was $9.5{\pm}7.6$(0.14~28.0) in 12-month-old dog(n = 47). In this study we can measure the cortisol level in extracted urine with methylene chloride and sequential thin-layer chromatography accurately using ELISA kit.

      • KCI등재

        충북지역 야생 한국고라니의 내부기생충 감염률 조사

        최성준 ( Seong Jun Choe ),나기정 ( Ki Jeong Na ),지차호 ( Cha Ho Jee ) 한국가축위생학회 2011 韓國家畜衛生學會誌 Vol.34 No.3

        Wildlife has been recognized that has important role as reservoir hosts of disease affecting both people and livestocks. However, information intestinal helminths of Korean water deer were limited. We obtained 20 feces from Korean water deers that were transferred to veterinary hospital i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from May 2010 to June 2011. Parasite ova were collected using saturated zinc sulfate floatation method. Parasite eggs were examined and measured using light microscope. The identification of parasitic eggs was done by morphological characters. The overall infection rate of parasite was 85% (n=17). The eggs were observed as being Nematodirus spp. (n=14), strongyles egg (n=11), Capillaria spp. (n=9), Trichuris spp. (n=7), Eimeria spp. (n=4), Ogmocotyle spp. (n=3), and Strongyloides (n=1). Mixed infection rate was observed as being single 15% (n=3), double 20% (n=3), triple 15% (n=3), quadruple 30% (n=6), and quintuple 5% (n=1). The Ogmocotyle spp. was first reported in Korea.

      • KCI등재

        이종 폴리머 소재의 레이저 투과 용접 시 결함의 실험적 평가

        최대철(Dae Cheol Choi),신기훈(Ki-Hoon Shin),한영구(Young Gu Han),홍민철(Min Cheol Hong),정성균(Seong-Kyun Cheong),정종설(Jong-Seol Jeong),나기정(Ki Jung Na),유호훈(Ho Hoon Ryu) 한국생산제조학회 2021 한국생산제조학회지 Vol.30 No.2

        In this study, the laser process parameters were determined at which surface and sectional defects begin to occur during the laser-transmission welding of two heterogeneous polymer materials. Specifically, laser-transmission welding of PMMA and PC/ABS with thicknesses of 2 mm each was conducted using a thulium laser with a wavelength and focusing diameter of 2 μm and 1 mm,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laser power at the time of defect occurrence also increases proportionally as the laser scan speed increases, but the corresponding energy density decreases. In addition, the ratio of the welding width to the laser diameter at defect occurrence slightly decreases from 1.25 to 1.13 with increasing scan speed.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laser scan speed and power simultaneously within the allowable range in terms of energy efficiency and production time during laser-transmission welding.

      • KCI등재후보

        절화 및 정유 향에 의한 스트레스 호르몬 Cortisol 농도 감소 효과

        김광진(Kwang Jin Kim),길미정(Mi Jung Kil),김형득(Heung Deug Kim),송정섭(Jeong Seob Song),유은하(Eun Ha Yoo),조정건(Jung Gun Cho),정순진(Sun Jin Jeong),나기정(Ki Jeong Na),정의배(Eui Bae Jeung) 한국원예학회 2006 원예과학기술지 Vol.24 No.3

        마우스에 전기자극으로 스트레스를 부과한 후 절화와 정유 향을 처리하여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졸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절화 중에서 나팔나리, 나도풍란 향이 혈액내 코티졸 농도를 감소 시켰으며, 나팔나리는 진정효과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반면에 오리엔탈나리는 각성효과를 나타내는 경향이었다. 정유 향중에서 꽃에서 추출한 쟈스민과 장미의 정유는 코티졸의 농도를 감소시켜 진정효과가 나타났으며, 잎 등의 식물체에서 추출한 라벤다와 로즈마리는 약간 각성효과가 나타나는 경향이었다. 절화의 개수(향 농도)에 따른 코티졸의 변화는 나팔나리는 개수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오리엔탈나리는 일정농도 즉 10개에서 증가 하였다. 나팔나리 향을 초등학생의 시험 전후에 처리한 결과 처리구에서 타액 내 코티졸의 농도 증가폭이 적어 진정 효과가 증명됨으로써 사람에게도 마우스와 같은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나팔나리와 나도풍란의 향은 스트레스 감소효과가 있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When the ICR mouse stimulated by electrical pulses was exposed to scent of various cut flowers and essential oils, concentration of a serum cortisol was determined. The flower scent of Lilium longiflorum, Aerides japonicum and the flower absolute of rose, and jasmine decreased the cortisol concentration of ICR mouse. However, the flower scent of Lilium Oriental Hybrids, and the aromatic oils of lavender and rosemary increased it. As the number of flowers added to a box was increased, the serum cortisol concentration of ICR mouse in a box decreased in L. longiflorum. However, it increased with ten flowers of L. Oriental Hybrids. When grade-schooler took a mathematics test, the saliva cortisol concentration of students in the classroom with L. longiflorum ‘Gelria’ flowers was slightly lower than that without flowers. As a result, the flower scent of L. longiflorum ‘Gelria’ and A. japonicum were demonstrated to release a human stress.

      • KCI등재
      • 한국산 박쥐류(관박쥐, 긴날개박쥐)의 광견병바이러스 감염 분석

        이성경 ( Sung-kyung Lee ),강정훈 ( Jung-hoon Kang ),현보라 ( Bo-ra Hyun ),오부균 ( Bu-kyun Oh ),이유진 ( Yu-jin Lee ),임종덕 ( Jong-deock Lim ),나기정 ( Ki-jeong Na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2

        인수공통전염병(zoonosis)으로 사람을 포함한 모든 온혈 동물에게서 발병되는 매우 치명적인 광견병 바이러스(rabies virus)는 Rhabdoviridae과(family) lyssavirus속(genus)에 속하는 탄환모양의 RNA 바이러스성 전염병으로 Hydorophobia 또는 Lyssavirus라고 부른다. 광견병은 오세아니아주, 일본, 싱가폴, 대만, 하와이, 괌, 피지 제도, 영국 등을 제외한 전 세계적으로 매년 45,000~ 55,000명이 감염으로 사망하였고, 그 중 약 95%는 아시아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와 같이, 치사율이 높은 광견병 발생 지역에 속해 있는 우리나라도 광견병에 대해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광견병 연간 발생건수는 1907년 최초 보고된 이래 1945년까지 매년 200 ~ 800건씩 지속적으로 발생하였으나, 점차 감소하여 1970년대에는 약 2 ~ 80건, 1980년대에는 약 1 ~ 15건, 1984년 1건을 마지막으로 한동안 발생하지 않았다. 그 후 1990년대로 접어들면서 철원과 연천 지역을 중심으로 개와 소에서 다시 증가 추세를 보이다가 2000년대로 접어들면서 감소하였다. 하지만 2012년 4월 경기도 남부지역인 수원과 화성에서 2건의 광견병이 발생하였으며 2013년 5건으로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광견병에 대한 방역대책은 반드시 필요하다. 광견병은 개와 소 등의 가축뿐만 아니라, 너구리와 족제비, 박쥐 등의 야생동물에서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넓은 지역으로 빠르게 감염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Krebs(1999)의 연구에 의하면 광견병은 가축(7.6%)보다 야생동물(92.4%)에서 발생 빈도가 높으며, 너구리(44%), 스컹크(28.5%), 박쥐(12.5%), 여우(5.5%) 순으로 발현하였다. 또한, Hiroshi(1993)에 의하면 광견병 발병 빈도가 높은 야생동물 중 Movig Harmonic Mean을 이용한 Minimum Convex Polygon방법으로 행동권을 분석한 결과, 박쥐(2.23 ㎢), 너구리(0.69㎢), 스컹크(0.08㎢) 순으로 나타났다. 그후 여러 연구자들이 박쥐로부터 광견병 바이러스를 분리보고 한 바 있으며, 광견병의 기원이 박쥐로부터 왔다고 널리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붉은박쥐(천연기념물 제452호)의 보존을 위한 사전 연구로 국내에 서식하고 있는 야생동물 중광견병의 발생빈도가 높고, 전염속도와 영향범위가 크며, 인체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된 박쥐 2종을 대상으로 광견병바이러스가 검출되는지 분석을 통해 확인해 보았다. 국내에 서식하는 박쥐 중 포획이 용이한 관박쥐, 긴날개박쥐를 연구 대상종으로 선정하였으며, 조사동굴 선정은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을 행정구역 중심으로 8개 권역(경기, 강원, 충북, 충남, 경북, 경남, 전북, 전남)으로 구분하였으며 전문가의 자문을 바탕으로 연구 대상종이 서식하는 21지역(강화, 포천, 안성, 평창, 정선, 영월, 제천, 단양, 청주, 서산, 천안, 금산, 문경, 울진, 합천, 밀양, 고성, 진안, 고창, 함평, 무안) 50개 동굴을 1차 선정하였다. 선정된 동굴은 현장조사를 통해 입굴이 가능하고 연구 대상종 서식 및 포획과 접근성이 용이한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강화, 안성, 영월, 청주, 금산, 문경, 합천 밀양, 지안, 고창, 무안 11지역 13동굴을 최종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동굴에서 대상종을 포획 한 후, 멸균 면봉을 사용하여 Swab법으로 구강 내 타액을 채취 하였으며 실험에 사용하기 전까지 -20℃ deep freezer에 보관하였다. Hayman et al.(2011)의 논문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Real-time PCR을 실시하였고, 전체 타액샘플 124개중 8개의 샘플이 양성으로 추정 되었으며 이 시료에 대하여 conventional PCR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double peak가 확인되어 비특이반응에 의한 산물인 것으로 판단되어 Swab으로 채취한 박쥐 구강 내 타액에서의 광견병검출 시험결과는 최종적으로 모두 음성으로 확인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