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Changes of Plasma Progesterone and Estradiol-17${\beta}$ Level During Early Pregnancy in Immature Female Rats Superovulated by Transplantation of a Pituitary Gland

        양만표,김영훈,이장락,권종국,Yang, Mhan-Pyo,Kim, Young-Hoon,Lee, Jang-Nag,Kwun, Jong-Kuk The Korean Society for Reproductive Medicine 1986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13 No.1

        본 연구는 한개의 뇌하수체를 이식시켜 과배란된 미성숙 흰쥐에서 혈중 progesterone과 estradiol-17${\beta}$ 의 수준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30일령 숫컷 휜쥐에서 뇌하수체를 제거하기 15일 전에 고환을 제거시켰으며 고환이 제거된 쥐에서 얻은 한개의 뇌하수체를 실험 시작일(임신 3일전 : D-2) 오전 7시에서 10시사이에 28일령의 암컷 흰쥐의 우측 신장 피막 아래 이식시켰다. 대조군은 같은날 오전 10시에 4 IU PMSG 를 투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쥐들은 혈중 호르몬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임신 3일전, 2일전, 1일전, 임신 1일, 2일, 3일 및 5일에 희생시켜 채혈하였다. 임신 1일에는 교배후 estrogen의 과량분비를 차단하기 위하여 난소를 제거한 후 난소 호르몬을 투여하고 임신 8일에는 착상 상태를 조사하였다. 혈중 progesteron과 estradiol-17${\beta}$ 수준은 gamma counter(Packard)로 계측하였다. 본 실험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난소를 제거하고 progesterone과 estradiol-17${\beta}$를 투여한 과배란된 흰쥐는 난소를 제거하지 않고 과배란된 흰쥐나 대조군에 비하여 효과적인 착상율을 보이지 않았다(P<0.001). 2. 과배란된 흰쥐에서 혈중 progesterone 수준은 대조군에 비해 교배후 계속적으로 높은 상승을 보였으나 교배전 수준은 대조군에 비해 낮았다(P<0.001). 3. 과배란된 흰쥐에서 혈중 estradiol-17${\beta}$ 수준은 과배란 2일전부터 임신 1일까지 아주 높은 상태를 유지하였으며 임신 1일전(발정전기)에는 638${\pm}$134 pg/ml 으로 절정을 나타내었으나 임신 1일 이후 부터는 급격히 감소하여 임신 5일에는 10pg/ml이하로 떨어졌다.

      • SCOPUSKCI등재

        Effects of Superovulation and Early Embryonic Development by Pituitary Transplants

        양만표,김영훈,양일석,권종국,Yang, Mhan-pyo,Kim, Young-hoon,Yang, Il-suk,Kwun, Jong-kuk The Korean Society of Veterinary Science 1986 大韓獸醫學會誌 Vol.26 No.1

        본 연구는 한개의 뇌하수체를 이식시켜 과배란된 미성숙 흰쥐에서 초기태아 발육과 착상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30일령 숫컷 흰쥐에서 뇌하수체를 제거하기 15일 전에 정소를 제거시켰으며 정소가 제거된 쥐에서 얻은 한개의 뇌하수체를 실험 시작일(임신 3일전 : D-2) 오전 7시에서 10시 사이에 28일령의 암컷 흰쥐의 우측 신장 피막 아래 이식시켰다. 대조군은 같은 날 오전 10시에 4 IU PMSG를 투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쥐들은 난소 및 자궁 무게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임신 3일전, 2일전, 1일전, 임신 1일, 2일, 3일 및 5일에 희생시켰다. 또 다른 쥐들은 난 회수 및 난소를 관찰하기 위하여 임신 1일, 2일, 3일 및 5일에 희생시켰으며 임신 8일에는 착상 상태를 조사하였다. 임신 1일에는 질도말법에 의해 발정주기를 조사하였다. 본 실험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뇌하수체를 이식시키거나 4 IU PMSG를 투여함으로써 발정 동기화를 이룰 수 있었다. 뇌하수체를 이식시킨 쥐와 대조군에서 임신 1일 전인 발정전기에 있는 흰쥐는 각각 64.7%, 71.3%이었다. 2. 뇌하수체 이식군 및 대조군의 교배율은 각각 75.0% 및 80.2%였으며 첫 배란은 각 처치후 3일 이내에 일어났다. 3. 과배란된 흰쥐에서 임신 1일에 황체화된 난포와 임신 황체수는 평균 $46.1{\pm}2.9$개였으며 임신 2일부터 그 수는 임신 1일 보다 많았다. 4. 과배란된 흰쥐에서 회수된 난의 수는 임신 1일과 2일에 각각 평균 $46.1{\pm}2.9$ 및 $49.8{\pm}4.2$개였으며 대조군은 $8.6{\pm}0.3$ 및 $8.9{\pm}0.4$개로 나타났다(p<0.001). 5. 임신 3일부터 과배란된 흰쥐에서 난의 회수율은 임신 2일과 비교할 때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p<0.001) 난의 발육은 지연되거나 퇴행되었다. 난 발육단계의 분포는 임신 3일과 5일에 특히 변이가 많았다. 6. 과배란된 흰쥐에서 임신 8일에 착상 부위수는 대조군에 비해 현저한 증가를 보였으며(p<0.001), 18마리의 과배란된 흰쥐 중 특히 10마리에서는 $28.1{\pm}0.7$개의 착상부위가 확인되었다. 7. 과배란된 흰쥐의 난소 무게는 임신 1일전부터 임신 3일까지 계속 증가하였으며 대조군은 이 기간동안 큰 변화가 없었다.

      • SCOPUSKCI등재

        우백혈병 바이러스감염 림프아구양 B 세포주(BL2M3)의 autocrine 증식

        양만표,Yang Mhan-pyo The Korean Society of Veterinary Clinics 1995 한국임상수의학회지 Vol.12 No.1

        우백혈병 바이러스감염 B 세포주(BL2M3 및 BL312)의 배양상층액에 대한 자기세포들의 증식반응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BL2M3 및 BL312세포의 배양상층액을 자기세포인 BL2M3세포에 첨가했을 때 농도에 비례하여 현저한 증식을 유도하였다. 이것은 배양 4-5일차, 배양상층액의 첨가농도는 50-60%,세포수는 5x$10^4$-5x$10^{5}$ /ml에서 최적의 증식반응을 보였다. 우태아혈청(FBS) 무첨가 BL2M3 및 BL312세포의 배양상층액에 대해서도 BL2M3세포는 동일한 증식반응을 보였다. 한편 BL2M3 및 BL312세포의 배양상층액을 BL312세포에 첨가했을 때는 BL2M3세포의 경우에 비해 현저하지 않았다. 또한 BL2M3 및 BL312세포의 배양상층액은 말초혈액 림프구에 대해서도 pokeweed mitogen(PWM)첨가 유무에 관계없이 증식을 유도하였다. 그러나 PWM자극 말초혈액 단핵세포의 배양상층액은 BL2M3 및 BL312세포에 대해서 전혀 증식을 유도하지 못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우백혈병 바이러스감염 B세포주 특히 BL2M3세포는 세포자신이 증식인자를 분비하고 그것과 반응하여 증식하는 소위 autocrine growth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 SCOPUSKCI등재

        B 임파구의 분화

        양만표,이창우,권종국,장곡천독언,Yang Mhan-Pyo,Lee Chang-Woo,Kwun Jong-Kuk,Hasegawa Atsuhiko 한국임상수의학회 1991 한국임상수의학회지 Vol.8 No.1

        The B-lymphocyte differentiation from committed B-cell progenitors to antibody-secreting cells was discussed. B-cell progenitors derived from hematopoietic stem cells undergo the rearrangement of immunoglobulin(Ig) gene. The earliest cells as B-cell precursors have cytoplasmic Is(${\mu}$ chain). The entire Is molecule is expressed on the surface after synthesis of L chain. The resting B cells(Go stage) stimulated by binding antigen via Ig-receptors are activated(G$_1$ stage) and followed by proliferation(S stage), coupled with further selection(affinity maturation. class switch). The production of antibody against a particular antigen depends on the activation of B cells with surface Is capable of reacting with that antigen. This process does not occur in isolation but is controlled by helper and suppressor T cells and antigen presenting cells(APC). The mechanism of T cell-dependent B-cell response for production of antibody is largely explained by the cell to cell cooperation and soluble helper factors of T cells. 1) The antigen specific B cells and helper T cells are linked by Is-receptors, leading to the delivery of helper signals to the B cells. 2) Helper T cells recognize the processed antigen-derived peptides with the MHC class II molecules(la antigen) and is stimulated to secrete B-cell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factors which activate B cells of different antigenic specificity. The two models are shown currently 1) At low antigen concentration, only the antigen-specific B cell binds antigen and presents antigen-derived peptides with la molecules to helper T cells, which are stimulated to secrete cytokines(IL-4, IL-5, etc.) and 2) At high antigen concentration, antigen-derived peptides are presented by specific B cells, by B cells that endocytose the antigens, as well as by APC Cytokines secreted from helper T cells also lead to the activation of B cells and even bystander B cells in the on- vironmment and differentiate them into antibody-secreting plasma cells.

      • SCOPUSKCI등재

        Role of obioactin on toxoplasmacidal activity within mouse peritoneal macrophages

        양만표,Yang, Mhan-pyo The Korean Society of Veterinary Science 1994 大韓獸醫學會誌 Vol.34 No.4

        톡소플라즈마 과면역(過免疫) 우혈청(牛血淸)에서 유래된 면역증강제인 obioactin으로 처리한 마우스 복강 macrophages내(內)에서의 톡소플라즈마 증식억제 활성을 검토하였다. obioactin 및 lonomycin A로 처리한 macropohages에서는 첨가농도의 증가에 따라 세포내의 톡소플라즈마 증식이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그러나 macrophages 활성물질인 muramyl dipeptide(MDP)는 톡소플라즈마의 증식억제 효과가 없었다. 이와같이 obioactin 및 lonomycin A의 첨가에 의해 macrophages내(內)에서 톡소플라즈마의 증식이 억제되는 기전의 일부를 해명하기 위한 일환으로 활성산소 중간체 및 lysozyme 분비량을 검토하였다. obioactin과 MDP로 처리한 macrophages에서는 활성산소 중간체인 superoxide anion($O_2{^-}$)과 hydropen peroxide($H_2O_2$)의 생산은 첨가농도에 의존해서 증가하였으나 lonomycin A 첨가군에서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한편 세포내에서 분비되는 lysozyme의 양은 obioactin, lonomycin A 및 MDP를 첨가한 각각의 macrophages에서 첨가농도의 증가에 따라 무처지 대조군에 비해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부터 obioactin은 macrophages를 활성화시켜 세포내에서 활성산소 중간체($O_2{^-}$ 및 $H_2O_2$)를 발생시켜 이것들에 의해 톡소플라마즈의 증식이 억제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그러나 macrophages내에서 분비되는 lysozyme은 톡소플라즈마의 증식억제와는 무관하였다.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examine the effects of obioactin, lonomycin A, and MDP on toxoplasmacidal activities in glycogen-induced mouse peritoneal macrophages. The killing effect of obioactin on Toxoplasma multiplication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proportion to its concentrations. $O_2{^-}$ generation in obioactin-treated macrophages was also increased from twofold to threefold when compared with that of untreated control. Similarly, $H_2O_2$ continued to rise in parallel with increase of the concentration of obioactin. Lonomycin A-treated macrophages also exhibited a good effect of dose-response on toxoplasmacidal activities. However, $O_2{^-}$ and $H_2O_2$ were not generated significantly in lonomycin A-treated macrophages. Macrophages treated with muramyl dipeptide (MDP) were not found to inhibit the prolifi:ration of Toxoplasma but showed the enhancement of $O_2{^-}$ and $H_2O_2$, generation. The released lysozyme levels from macrophages into cultured media were decreased tn dose-dependent fashion by in vitro treatment of obioactin, lonomycin A, and MDP. The intracellular lysozyme levels appeared to be a constant value regardless of increasing the concentrations of obioactin, lonomycin A, and MDP.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oxoplasma multiplication within macrophages treated with obioactin was inhibited by the generation of $O_2{^-}$ and $H_2O_2$ and that lysozyme per se within or released from macrophages had no effect on toxoplasmacidal activity.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Interleukin-8-like chemotactic factor from feline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cultured with egg white derivatives

        이재권,양만표,Lee, Jae-kwon,Yang, Mhan-pyo The Korean Society of Veterinary Science 2000 大韓獸醫學會誌 Vol.40 No.2

        계난백유래물질(EWD)로 배양한 고양이 말초혈액 단핵구세포(MNC)의 배양상충액에서 다형핵백혈구(PMN)에 대한 유주성인자를 조사하였다. EWD로 배양한 MNC 배양상층액과 human recombinant (hr) interleukin (IL-8)는 고양이 PMN의 유주성을 현저하게 증가시켰다. 이 유주활성물질을 규명하기 위해 EWD 처리 MNC 배양상충액을 gel electro-phoresis(denaturing 조건 18% loading gel 및 nondenaturing 조건 12.5% loading gel)를 실시한 결과, EWD로 배양한 MNC 배양상충액과 hr IL-8는 모두 분자량 6~8kDa에서 band를 나타내었다. Denaturing 조건에서 6~8kDa band의 gel slices에서 용출시킨 용출액에서도 고양이 PMN의 유주활성이 인정되었다. EWD로 배양한 MNC 배양상층액, hr IL-8 및 용출액에 의한 유도된 고양이 PMN의 유주활성은 rabbit anti-feline polyclonal IgG(RAF pIgG)와 hr IL-8에 대한 mAb에 의해 농도의존적으로 억제되었다. 또한 RAF pIgG는 hr IL-8와 결합을 보임으로써 사람의 IL-8와 교차반응을 시사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EWD로 배양한 고양이 MNC는 분자량 6~8kDa의 IL-8 양(樣) 유주성인자를 분비하여 PMN의 유주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The feline chemotactic factor(s) for polymorphonuclear cells (PMN) in culture supernatant from mononuclear cells (MNC) treated with egg white derivatives (EWD) were examined. Culture supernatant from MNC treated with EWD and human recombinant (hr) IL-8 remarkably enhanced chemo-taxis of feline PMN. To investigate feline chemotactic factor(s), gel electrophoresis was performed with culture supernatant from MNC treated with EWD under denaturing (18% loading gel/5% stacking gel) and nondenaturing (12.5% loading gel/5% stacking gel) condition. Hr IL-8 and culture supernatant from MNC treated with EWD yielded a distinct band in a molecular weight, 6 to 8 kDa. Eluted solution from gel slices of 6 to 8 kDa band in denaturing condition also enhanced feline PMN chemotaxis. These chemotactic activities of feline PMN induced by culture supernatant from MNC treated with EWD, hr IL-8 and eluted solution were inhibited in a dose-dependent manner by rabbit anti-feline polyclonal IgG (RAF pIgG) and monoclonal antibody (mAb) against hr IL-8. RAF pIgG also showed a binding activity with hr IL-8, suggesting that RAF pIgG against feline IL-8-like chemotactic factor(s) had cross-reactivity with human IL-8.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feline MNC treated with EWD might release feline IL-8-like chemotactic factor(s) with a molecular weight, 6 to 8 kDa, which induces the chemotaxis of feline PMN.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Immunoenhancing Effect of Conjugated Linoleic Acids on Phagocytic Activity of Porcine Peripheral Blood Phagocytes

        강지훈,정정수,Chul-young Lee,Mhan-pyo Yang,양만표 한국임상수의학회 2004 한국임상수의학회지 Vol.21 No.4

        The immunoenhancing effect of CLA isomers (CLA mixture, 10t-12c CLA, 9c-11t CLA, 9c-11c CLA, and9t-11t CLA) on phagocytic activity of porcine peripheral blood leukocytes was examined. The phagocytic activities of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 and polymorphonuclear cells (PMN) were analyzed by a flow cytometrysystem. The direct treatments of CLA isomers have no effect on phagocytosis of PMN as well as PBMC composedof approximately 10% monocytes and 90% lymphocytes. However, the phagocytic activities of PMN and monocyterichfraction from PBMC were remarkably enhanced by culture supernatant from PBMC treated with CLA mixture,10t-12c CLA and 9c-11t CLA but not 9c-11c CLA and 9t-11t CLA. The phagocytic activity of PBMC was not enhancedby culture supernatant from PBMC treated with all CLA isomer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CLA isomers such asCLA mixture, 10t-12c CLA and 9c-11t CLA have an enhancing effect on phagocytosis of PMN and monocytes, whichmay be mediated through active humoral substances produced by CLA-stimulated PBMC. This study suggested thatCLA stimulates PBMC to elaborate soluble factor(s), which may be an important mechanism for the enhancement ofphagocytosis in non-specific immunity. 돼지 말초혈액 탐식세포(PMN 및 monocyte)의 탐식성에 있어서 CLA 이성체의 탐식증강 효과를 검토하였다. 탐식세포의 탐식성은 flow cytometry로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1. CLA 이성체(CLA mixture, 10t-12c CLA, 9c-11t CLA, 9c-11c CLA, 9t-11t CLA)를 직접 첨가하여 배양한 PMN과 PBMC 및 flow cytometry cytography에서 세포크기에 의해 분획한 monocyte-rich fraction에는 탐식증각 효과가 없었다. 2. 각각의 CLA 이성체로 배양한 PBMC 배양상층액으로 PBMC의 탐식활성을 측정한 결과 증각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3. CLA 이성체로 배양한 PBMC 배양상층액 중 CLA mixture, 10t-12c CLA, 9c-11t CLA 처리군에서는 PMN과 monocyte-rich fraction의 탐식활성에 있어서 현저한 증강효과가 관찰되었다. 그러나,말초혈액 탐식세포들은 9c-11c CLA와 9t-11t CLA로 배양한 PBMC 배양상층액에 의해서는 증각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4. CLA 이성체로 배양한 PMN 배양상층액에 있어서는 PMN과 monocyte-rich fraction의 탐식성을 측정한 결과, 어느 경우에도 증강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CLA중 CLA mixture, 10t-12c CLA, 9c-11t CLA가 돼지 말초혈액 탐식세포에 대하여 탐식증강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증강효과는 직접적이라기보다는 CLA에 의해 활성화된 단핵세포에서 분비되는 탐식촉진인자를 함유한 가용성 물질에 의해 autocrine 또는 paracrine 양상으로 탐식세포에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