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내측 원판형 연골 - 증례 보고 -

        나경욱,김동환,김영주,Nha, Kyung-Wook,Kim, Dong-Hwan,Kim, Young-Ju 대한관절경학회 2005 대한관절경학회지 Vol.9 No.2

        원판형 연골은 주로 슬관절의 외측에 나타나며 내측 원판형 연골은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41년 Cave와 Staples가 처음으로 내측 원판형 연골을 보고한 이후 드물게 보고하고 있다. 저자들은 슬관절 동통을 주소로 내원한 8세 남아 환자에서 자기 공명 영상 및 관절경을 이용하여 내측 원판형 연골을 진단하였고 관절경하 연골판 부분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양측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반대편 연골에 대한 관절경 검사를 시행하였으나 정상이었다. 저자들은 드물게 발생하는 내측 원판형 연골 환자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The most of discoid meniscus is located in lateral side. Medial discoid meniscus is rare. The medial discoid meniscus was reported by Cave and Staples at first in 1941 but rarely reported since then. A 8 year's old boy was diagnosed as having a complete medial discoid meniscus by means of MRI and arthroscopy. Authors performed the arthroscopic partial menisectomy for medial discoid meniscus. For confirmation of the bilaterality, arthroscopic examination on contralateral knee was performed but we did not find a medial discoid meniscus. We report 1 case of a medial discoid meniscus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s.

      • 내측 반월상 연골 후각부 방사형 파열의 임상적 결과

        나경욱,조진호,이동봉,Nha, Kyung-Wook,Jo, Jin-Ho,Lee, Dong-Bong 대한관절경학회 2007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1 No.2

        목적: 내측 반월상 연골 방사형 파열의 관절경적 연골판 절제술 후 임상 결과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내측 반월상 연골 방사형 파열을 가진 2년 이상($2{\sim}7$년)의 추적이 가능하였던 45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관절경 수술은 체중 부하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Kellgren과 Lawrence분류상 정상이나 초기 퇴행성 관절염(0-2군)으로 분류된 환자에 한하여 시행하였다. 연골 손상의 정도는 수술 중에 Outerbridge 분류를 사용하였으며, 임상적 결론은 Modified Lysholm score를 사용하였다. 결과: 술 전 평균 Lysholm점수는 위의 순서대로 79.1, 71.2, 68.5, 67.9, 67.2, 61.5 이였으며, 술 후 점수는 86.3, 75.1, 73.0, 73.1, 73.2, 66.2이였다. 술 후 통증 호전은 각각 61.5%, 62.5%, 60.0%, 50.0%, 50.0%, 25.0%이었고, 술 후 만족도는 69.2%, 75.5%, 70.0%, 66.6%, 75.0%, 75.0%이었으며, 30.7%, 25.0%, 20.0%, 50.0%, 25.0%, 50.0%에서 다시 수술을 해야 할 것으로 대답하였다. 추시 단순방사선 사진은 7례(15.5%)에서 Kellgren과 Lawrence분류상 3군의 퇴행성 관절염으로 전환되었다. 결론: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정상 이나 초기 퇴행성 관절염을 가진 군(Grade 0-2)에서 내측 반월상 연골 방사형 파열은 다른 형태의 파열과는 달리 관절경적 절제술 후 불량한 임상적 결과를 보였다. 우수한 결과를 위해서는 관절경적 절제술 보다는 긴장 장력을 복원하는 술식이나 퇴행성 관절염을 방지 할 수 있는 근위 경골 절골술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Purpose: To examine the clinical results after arthroscopic meniscectomy of radial tear of medial meniscus. Materials and Methods: We studied 45 cases with the radial tear of medial meniscus which follow up more than 2 years(range 2 to 7 years). Arthroscopic surgery was performed to the patients with grade 0-2 according to the Kellgren and Lawrence classification. Evaluation of cartilage damage was performed on surgical photos according to Outerbridge classification. Evaluation of clinical result was used the modified Lysholm score. Results: The mean pre-operation Lysholm score was 79.1, 71.2, 68.5, 67.9, 67.2, 61.5 and post-operation Lysholm score was 86.3, 75.1, 73.0, 73.1, 73.2, 66.2 and 61.5%, 62.5%, 60.0%, 50.0%, 50.0%, 25.0% improved knee pain and 69.2%, 75.5%, 70.0%, 66.6%, 75.0%, 75.0% were satisfied knee surgery and 30.7%, 20.5%, 20.0%, 50.0%, 25.0%, 50.0% required further surgery in patients respectively. According to Kellgren and Lawrence classification, 7 cases(15.5%) progress grade 3 osteoarthritis. Conclusions: The radial tear of medial meniscus showed the poor results with arthroscopic meniscectomy even if the grade 0-2 osteoarthritis. For the improvement of the clinical results, consider the technique to restore the hoop stresses or use the high tibia osteotomy for preventing the osteoarthritis.

      • KCI등재후보

        슬관절에 발생한 관절 주위 연골종

        나경욱(Kyung Wook Nha),김한성(Han Seong Kim),오형근(Hyoung Keun Oh)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1

        관절 주위 연골종은 드문 질환으로 주로 슬관절에 발생하며 연골의 이형성 과정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슬관절 주위 연골종은 방사선적으로 종양성 석회증 같은 석회화 연부조직 병변이나 연골육종 및 활액막 연골종증과 같은 연골성 병변과 감별해야 한다. 저자들은 Osgood씨 병이 동반된 환자에게서 발생한 슬관절 주위 연골종을 치험하였기에 보 고하는 바이다. Paraarticular chondroma of the knee is a very rare benign tumor that seems to develop from cartilageous metaplasia. This lesion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calcifying soft tissue lesions like tumoral calcinosis, and cartilageous lesions like chondrosarcoma and synovial chondromatosis. We experienced a case of paraarticular chondroma of the knee in an Osgood-Schlatter disease patient.

      • KCI등재
      • KCI등재

        원위 대퇴골 내반 절골술

        서이락(Yi Rak Seo),나경욱(Kyung Wook Nha),하성식(Sung Sik Ha) 대한정형외과학회 201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3 No.4

        원외 대퇴골 내반 절골술은 관절을 보존하면서 외측 구획의 체중 부하를 내측으로 이동시켜 외측 구획의 퇴행성 관절염과 외반슬이 동반된 경우 슬관절의 통증을 감소시키고 관절염의 진행을 지연시킬 수 있는 수술이다. 수술 시에는 환자의 나이와 체중 부하선의 측정 및 관절염의 정도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원위 대퇴골 내반 절골술의 적응증은 슬관절의 내측 구획과 대퇴 슬개 관절이 정상인 65세 이하의 환자, 외반 변형과 함께 외측 퇴행성 관절염이 있는 경우, 젊은 환자에서 외측 이단성 골연골염이 있는 경우, 선천성 외반슬인 경우, 외반슬이 있으면서 슬개골의 반복적인 탈구가 있는 경우이다. 수술의 금기증은 Kellgren-Lawrence classification 4단계 이상의 퇴행성 관절염이 있거나 염증성 관절염 및 류마티스 관절염인 경우, 슬관절 내측의 관절염이 있는 경우, 굴곡 구축이 15°이상인 경우이다. 원위 대퇴골 내반 절골술을 통하여 빠른 통증 감소와 짧은 재활이 가능하며 젊고 활동적인 환자, 슬관절에 많은 하중에 가해지는 환자에서 시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 closing wedge distal femoral osteotomy is a procedure to reduce pain and delay the progression of degenerative arthritis of knee by moving the weight bearing line from the lateral compartment to the medial side while preserving the knee joint. Age, weight bearing line, and the degree of arthritis are the essential factors to be considered at the time of surgery. The indications for distal femoral osteotomy are as follows. All patients are aged less than 65 years old, normal medial compartment of the knee with normal patello femoral joint, valgus deformity with lateral degenerative arthritis, younger patients with lateral osteochondritis, congenital osteochondrosis, and recurrent patellar dislocation with genu valgum. The distal femoral osteotomy provides the advantages of rapid pain reduction and short rehabilitation in young and active patients and patients who are subjected to heavy loads on the knee.

      • KCI등재

        개방형 경골 근위부 절골술

        오승민(Seung Min Oh),나경욱(Kyung Wook Nha),한재휘(Jae Hwi Han) 대한정형외과학회 201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3 No.4

        개방형 경골 근위부 절골술은 무릎의 내반 변형을 동반한 내측 구획의 슬관절 관절염을 치료하는 데 선호되는 수술방법이다. 이 치료법은 내측 대퇴 경골 관절의 퇴행성 변화 및 하지 정렬의 이상을 동반한 환자의 역학적 축을 교정하여 병변부의 체중 부하를 감소시키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개방형 경골 근위부 절골술은 관절연골의 손상 범위와 환자의 연령을 고려하여 적절히 환자를 선택하고 정확한 술기로 수술을 시행하였을 때 만족스러운 임상결과를 보인다. 경골 절골술 중 내측 개방형 근위 경골 절골술은 폐쇄형에 비하여 수술 시간이 짧고 비교적 술기가 쉬운 장점이 있어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종설에서는 개방형 경골 근위부 절골술에서 환자의 선택, 수술 전 평가 및 계획, 치료원칙과 수술 술기, 재활과정 및 합병증에 대한 최신 지견을 다루고 한자다. Proximal tibial osteotomy is the preferred method for treating medial compartment knee arthritis with varus deformity. The purpose of this treatment is to reduce the weight burden of the lesion by correcting the mechanical axis of the patient with degenerative arthritis of medial tibiofemoral joint and abnormal alignment. In general, the proximal tibial osteotomy provides satisfactory clinical results when suitable patient are selected by considering the extent of cartilaginous injury and the age of the patient and the correct technique is performed. In tibial osteotomy, medial open wedge osteotomy is used widely because of its short operation time and relatively simple technique. This review describes the current knowledge of patient selection, preoperative evaluation and planning, treatment principles, surgical techniques, rehabilitation procedures and complications in open wedge high tibial osteotomy.

      • KCI등재후보

        후방 경골 건 기능부전 환자의 임상 증상에 운동 치료가 미치는 영향

        정태호,오재근,이홍재,양윤준,나경욱,서진수,Jeong, Tae-Ho,Oh, Jae-Kun,Lee, Hong-Jae,Yang, Yoon-Joon,Nha, Kyung-Wook,Suh, Jin-Soo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08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12 No.1

        Purpose: The isolated exercise therapy and its effect for the treatment of posterior tibial tendon dysfunction (PTTD) is not well know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linical effect of stretching and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on the patients' muscle function and range of motion, pain and gait in the management of the early stage PTTD. Materials and Methods: From October 2006 to March 2007, 14 patients with early stage PTTD (stage I or IIa) without surgical intervention were randomly assigned into two groups and we analyzed their clinical results. All patients were female and one who have sprained the same ankle during the program and one who withdrew from the program due to her private reason were excluded. At the last, the exercise group (EG) was seven and the control group (CG) was five. Mann-Whitney U test was used for the comparison of pain, ROM, muscle power, AOFAS score and 5 minute walking test of both groups. Wilcoxon-signed rank test was used for the comparison between the pre and post exercise program in EG. Results: The pain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EG compare to CG and only the dorsiflex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EG in the analysis of ROM. The dorsi flexion and plantar flexion power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EG. Conclusion: Our 6 weeks stretching and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showed noticeably improved clinical result, and therefore it is recommended as one of the useful treatment option in the management of early stage PTTD.

      • KCI등재

        Ilizarov 외고정 장치를 이용한 경골 원위부 골절의 중기 추시 결과

        주석규 ( Suk Kyu Choo ),나경욱 ( Kyung Wook Nha ),오형근 ( Hyoung Keun Oh ),이동봉 ( Dong Bong Lee ) 대한골절학회 2007 대한골절학회지 Vol.20 No.4

        목적: 경골 원위부 골절을 Ilizarov 외고정으로 치료한 후 중기 추시 결과 및 골간단부의 지연 유합과 골절 형태에 따른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최소 2년 이상 (31~82개월) 추시 관찰이 가능하였던 23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골절은 AO 분류상 A형 10예, B형 2예, C형 11예였다. 방사선적으로 골간단부 골절편의 전위 정도와 골유합 기간을 분석하였으며, 관절염의 정도를 평가하였다. 임상적 결과는 AOFAS점수로 평가하였으며, 골간단부 전위 정도에 의한 지연 유합과 골절 형태에 따른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골유합 기간은 21주 (12~42주)였으며, AOFAS 점수는 평균 68점 (44~90점)이었다. 골간단부의 지연 유합은 골간단부 골절편이 3 ㎜ 이상 전위된 경우 연관이 있었지만 (p=0.01), 최종 추시상 임상적 결과와는 연관성이 없었다 (p=0.32). 골절 형태에 따른 임상적 결과와 관절염 점수는 연관성이 있었으며 (p=0.02), C형 골절 11예 중 6예 (55%)에서 관절염으로 진행하였다. 결론: 원위 경골 골절의 치료에서 외고정 기간을 줄이기 위하여 골간단부 골절선을 3mm 이내로 정복하는 것이 중요하며, 골절의 관절면 침범 정도가 중요한 예후 인자로 생각된다. Purpose: We analyed the mid-term results of distal tibial fractures treated with ilizarov external fixator and functional results according to delayed metaphyseal healing and fracture pattern.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23 distal tibial fractures treated with ilizarov external fixator followed for minimum two year (mean 53 months). There were 10 A fractures, 2 B fractures, and 11 C fractures according to the AO classification. Radiographically, we analyzed bony union time according to translation of diaphyseal-metaphyseal fracture line and assessed arthritic score. Functional results was assessed with ADFAS score and analyzed according to delayed healing and fracture pattern. Results: Average union time was 21 weeks. Delayed healing of metaphyseal fracture line was associated translational displacement >3 ㎜ (p=0.0l). ADFAS scrore was averaged to 68 and there was no stastical significance between delayed metaphyseal healing and functional results (p=0.3l). But, low ADFAS score and arthritis score was related to fracture type (p=0.02). In 11 C fractures, radiographic arthritic change were developed in 6 cases (55%). Conclusion: The main prognosis of distal tibial fractures depends on articular involvement and to shorten the external fixation time, metaphyseal fracture should be reduced within 3㎜.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