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과 프랑스의 < AT 613 두 여행자 > 설화 비교 연구: 서사 구조와 모티프를 중심으로

        김환희 ( Kim Hwan Hee ) 한국비교문학회 2016 比較文學 Vol.0 No.70

        이 글의 목적은 세계광포설화인 < AT 613 두 여행자: 진실과 거짓 > 유형에 속하는 한국 각편들과 프랑스 각편들을 비교해서 두 나라의 설화가 지닌 보편성과 특수성을 살펴보는 데 있다. 아직 국내에서 연구된 적이 없는 < AT 613 > 유형은 1897년부터 지금까지 채록된 구전 자료가 약 27편에 이를 정도로 전국적으로 널리 전승되어온 설화이다. 스티스 톰슨은 < AT 613 > 유형의 기본 서사 구조를 (1) 실명한 남자, (2)비밀 대화 엿듣기, (3) 비밀을 활용하기, (4) 벌 받은 악인으로 요약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 유형에 속하는 27편의 한국 각편과 13편의 프랑스 각편을 비교 분석해 보았다. 이 글에서 프랑스 각편을 비교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외국학자들이 소개한 수많은 외국 각편들 가운데서 프랑스 각편이 한국 각편과 가장 유사한 서사 구조와 공통 모티프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과 프랑스 각편들이 보여주는 공통모티프는 거지, 실명, 유기, 치유의 물, 신성한나무, 물줄기 탐색, 여성의 치유, 결혼 등으로 간추릴 수 있다. 한국과 프랑스 각편들의 대다수는 거지 모티프로 이야기를 시작한다. 두 거지는 자신의 힘으로 살아갈 능력을 갖추지 못해서 동냥하면서 목숨을 연명한다. 질투심 또는 탐욕 때문에, 한 사람이 다른사람의 눈을 멀게 한 후 숲 속에 유기한다. 주인공은 나무 위에 올라가서 동물 또는 정령들의 비밀 대화를 엿들은 후 세 가지 과제를 수행한다. 세 가지 과제는 신성한나무의 잎으로 눈을 비비거나 신이한 약물을 사용해서 눈을 치유하는 것, 가뭄으로 고생하는 마을 사람들을 위해 물줄기를 찾아주는 것, 악독한 동물 때문에 병든 부잣집 딸 또는 공주를 치유하는 것이다. 이 세 과제를 완수한 착한 아우(동료)는 자신이 치유한 여성과 결혼을 한다. 악인은 주인공의 성공을 시기해서 같은 장소에 가서 동물이나 정령들의 대화를 엿듣지만 끔찍한 최후를 맞이한다. 이러한 기본적인 서사 구조가 한국과 프랑스의 각편에 공통으로 발견된다. 한국과 프랑스의 < AT 613 > 설화는 서사 구조의 측면에서 볼 때는 공통점이 크지만 세부 화소에 있어서는 여러 차이점을 보여준다. 한국 설화에서는 맹인이 된 주인공이 도깨비나 호랑이의 대화를 엿듣고, 프랑스 각편에서는 늑대나 여우의 대화를 엿듣는다. 한국 설화에서는 치유의 힘을 지닌 신성한 나무가 복숭아나무, 프랑스 설화에서는 참나무로 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여성을 병들게 한 동물이 한국 설화에서는 부잣집지붕 밑에 사는 지네, 프랑스 설화에서는 공주의 침대 밑에 있는 두꺼비이다. 특히 두꺼비는 한국과 프랑스의 상징체계의 차이를 여실히 보여준다. 한국의 <지네 장터>설화에서는 박해받는 여성을 위해서 자신을 희생하는 조력자로 나타나는 두꺼비가 프랑스 설화에서는 여성을 괴롭히는 악독한 동물로 등장한다. 한국 각편에 나타나는 금은보화 모티프도 프랑스 각편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악인의 징치도 한국 각편보다는 프랑스 각편에서 더 철저하게 이루어진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ompare the Korean Versions of "AT 613 the Two Travelers" with its French counterparts and comprehend the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between the versions from each country. Stith Thompson defines the basic narrative structures of AT 613: (1) The Blind Man, (2) The Secrets, (3) Use of the Secrets, (4) The companion Punished. I have analyzed 27 Korean versions and 13 French versions that can be categorized into AT 613. Both Korean and French versions have the following common motifs: beggars, blindness, abandonment, healing water, sacred tree, lack of water, healing sick princess, marriage, and so on. In the majority of Korean and French versions the story begins with the motif of beggars. Two brothers (or companions) live off the charity of others. For jealousy or greed, one puts out the other`s eyes and abandons him in the forest. The blind man climbs into the branches of a tree and overhears the secrets of animals or spirits. The good one performs the three tasks by using the secrets: (1) he restores his eyes by rubbing the leaves of the sacred tree or by using magic water; (2) opens a dried-up well or new spring by cutting the tree in a certain village whose people have suffered from the lack of water; (3) heals a rich man`s daughter (princess) who has been sick because of a demonic animal. After completing these three tasks, the good brother(companion) marries the woman who he has healed. The wicked man goes to the same place and attempts to overhear the secret from animals. He is severely punished. These basic narrative structures can be very commonly found in most of the Korean and French Versions. However,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details between the Korean and French versions. In most of the Korean versions, the blind man overhears the secrets of Dokkaebies(Korean demonic spirits) or tigers whereas in its French counterparts he overhears the secrets of wolves or foxes. In the Korean versions, the sacred tree having healing power is a peach tree whereas in the French ones an oak tree. In the Korean versions, the demonic animal that makes the maiden get sick is a centipede under the roof or ceiling while in the French ones it is a toad hidden under the princess`s bed. This symbolism of the toad in France is very different from the one in Korea. In the Korean tradition, the toad appears not as an evil creature but as a helper or savior who sacrifices himself/herself to emancipate the persecuted heroine. The motif of unearthing the treasures of gold and silver can be commonly found in the Korean versions, but it is hardly found in the French versions. The punishment of the evil man is more severe in the French than in the Korean tales.

      • KCI등재
      • 고객 체험을 활용한 브랜드 복합문화공간 분석

        김환희(Kim, Hwan-Hee) 대한건축학회 2020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40 No.1

        Existing offline stores have weakened their competitiveness as the size of the online shopping market has grown and consumers have improved their awareness. In this change, companies are stepping up customer experience elements to break away from them, informing consumers of their brand identity and recognizing positive brand images of products. In this study, we will consider ‘customer experience’ and ‘brand complex cultural space’ and prepare and evaluate a new framework for analys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change. This study shows that companies are providing various experiences to create contact points with customers and strengthen positive brand image through brand complex cultural space, breaking away from the past methods of explaining only the information or functions of products.

      • KCI등재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자기점검 기술 향상을 위한 테크놀로지 활용 연구 분석

        김환희 ( Kim Hwan-hee ),이영선 ( Lee Youngsu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6

        본 연구에서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효과적인 자기점검 기술 향상을 위해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국외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자 하여, 국외 주요 데이터베이스에서 ‘autism’, ‘ASD’, ‘self-management’, ‘self-monitoring’, ‘technology’, ‘smart’, ‘device’, ‘app’, ‘tablet pc’, ‘interaction’ 등의 단어를 조합하여 검색하였다. 선정 기준에 따라 총 23편의 분석대상 논문을 선정하여 이를 개발연구와 중재연구로 구분하였고, 테크놀로지와 인터랙션 방식, 목표 행동, 모니터링을 위한 활용 데이터와 촉진 요소 등의 기준으로 분석하였으며,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연구는 대부분 사용자의 상황이나 행동, 정서 등을 민감하게 감지하기 위해 여러 서브루틴이나 추가 장치를 탑재하여 보다 다양한 데이터를 활용하고자 하였다. 둘째, 개발연구는 주로 학교, 가정 및 지역사회를 포함하는 전반적인 일상 안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일반화를 고려한 설계를 하였다. 셋째, 중재연구에서는 일정 간격에 따라 질문을 제시하고 그에 응답하는 방식으로 설계된 프로그램이 가장 많았다. 넷째, 중재연구에서 설정된 종속변인으로는 수업 중 자신의 행동을 점검하게 하는 연구가 가장 많은 편수를 차지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한 논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s in technology-supported research to improve self-monitoring for children and youth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 total of 23 stud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in terms of the study design, technology, interaction method, target behavior, monitoring factors, and resul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1) Most of the developmental studies utilized various data by mounting several subroutines or additional devices. 2) Development research programs are designed to be used in the overall daily environment. 3) In intervention studies, most programs were designed to present questions and respond to them at regular intervals. 4) In intervention studies, many studies set target behaviors to check one's behavior during class. Based on these findings, discuss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proposed.

      • KCI등재

        옛이야기 전승과 언어 제국주의 : 강제된 일본어 교육이 〈나무꾼과 선녀〉 전승에 미친 영향

        김환희(Kim Hwan-Hee)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08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way in which Japanese linguistic imperialism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has influenced the historical transmission of the Korean swan-maiden folktale called “The Woodcutter and the Heavenly Maiden”; and by so doing I will try to find out the way to reduce the detrimental effects that the ‘wild geese’ phenomenon and english immersion education may have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in the impending future. Korean Tales and Proverbs collected by Takahasi Toru is a collection of Korean folktales which has had a great impact on the transmission of Korean folktales and fairy tales from 1910 up to the present time. Takahashi Toru was a Japanese scholar whom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had commissioned to study Korean folk religions and customs just before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in 1910. He was a power-hungry elite and ardent imperialist who had racial prejudices toward the Korean people. He was a professor with political power to the extent that he exerted influence on the establishment of several major universities in Korea during the colonial rule. The folktales collected by him have been for long considered as authoritative texts by Japanese elites or Korean elites who had assimilated the Japanese language and culture. The detrimental influence of his collection on the Korean folktale can be clearly seen in the historical transmission of “The Woodcutter and the Heavenly Maiden.” There have been more than 100 variants of the tale which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four subtypes: (1) the heavenly maiden’s flight, (2) the woodcutter’s flight, (3) the woodcutter’s fulfillment of heavenly tasks, (4) the legend of the rooster. Of those four subtypes, the oral variants of the third subtype, ‘the woodcutter’s fulfillment of heavenly tasks,’ had been the most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the late nineteenth century until 1980. However, the second subtype first introduced by Takahashi in 1910 has been widely known up to the present. For, when south korea established the government of Republic of Korea, the national textbook editors who had been educated in Japanese language under Japanese rule preferred the second subtype collected by Takahashi (and his followers) to the third or fourth subtypes. The inclusion of the second subtype into national textbooks for 17 years (1955-1972) has been very detrimental to the oral transmission of the third type. Consequently, the latter has almost vanished from oral transmission and children’s picture books. This decline of the third subtype is a great loss to the Korean cultural heritage because it surpasses the other subtypes in narrative values and artistic excellence. Moreover, it enables us to comprehend the cultural relationships between Korean folktale and Japanese myth. Such motifs as ‘mouse as a helper,’ ‘son-in-low tasks,’ and ‘arrow search’ are found in both the third subtype of “The Woodcutter and the Heavenly Maiden” and the Japanese myth of Okuninushi. It can be assumed from this that in ancient times, the Korean folktale exerted influence on the making of the Japanese myth of Okuninushi.

      • KCI등재

        한국 <반쪽이> 설화의 세계적인 보편성과 한국적인 특수성에 관한 비교연구

        김환희 ( Hwan Hee Kim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3 民族文化硏究 Vol.58 No.-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 <반쪽이> 설화를 외국의 유사 설화와 비교함으로써 한국 <반쪽이> 설화가 지니는 세계적인 보편성과 한국적인 특수성을 파악하는 데있다. 한국 <반쪽이> 설화의 구전민담 각편 16편을 분석하고 기존의 선행 연구를 참조해서 본 연구가 추출한 네 가지 핵심 서사 내용은 (1) 수태 과일(물고기)을 매개로 한 반쪽이의 신이한 탄생, (2) 반쪽이 형들의 괴롭힘, (3) 호랑이 퇴치, (3)부잣집 딸 보쌈과 결혼으로 압축할 수 있다. 이러한 서사 내용을 지닌 한국 반쪽이 설화는 아르네-톰슨의 어느 특정 설화유형에는 부합되지 않았지만, 세 가지 설화 유형--AT327B, AT675, AT1525--과 부분적으로 비슷하였다. 특히 AT327B 유형에 속하는 세계 설화 텍스트를 다양하게 수집해서 분석해보니 한국 <반쪽이> 설화가 인도 펀자브, 이란, 팔레스타인, 북부아프리카 등에서 수집된 AT327B 유형 설화와 매우 비슷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 유형의 이슬람 문화권의 설화와 한국 <반쪽이> 설화가 지니는 공통점은 수태 과일(물고기) 모티프, 악형 모티프, 식인귀(호랑이) 모티프에서 찾을 수 있었다. 또한 한국 <반쪽이>설화가 보이는 특수성은 반쪽이가 괴력의 소유자로 묘사된점, 반쪽이가 색시를 훔쳐올 때 벌이는 난장판이 탈춤 또는 꼭두각시놀이의 그로테스크한 놀이 공간과 유사한 점, 그리고 반쪽이와 색시의 결혼이 중요 모티프로 부각된 것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omprehend the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of the Korean Halfling (half-man) tale by comparing it with its foreign counterparts. The present study has analyzed 16 orally transmitted versions of it and discovered four major common motifs inherent in them: (1) miraculous birth from vegetable or fruit, (2) conflicts between siblings, (3) killing human-eating monsters, (4) marriage by bride-theft. Focusing on these four major motifs, I have tried to put the Korean halfling tale into a global context of folk-narrative literature. The Aarne-Thompson tale typology does not correspond properly with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Korean halfling tale. However, the Korean halfling tale shows some elements of AT327B (The Dwarf and the Giant), AT675 (The Lazy Boy), and AT1525 (The Master Thief). In particular, the Korean halfling tale is very similar to the AT327B tales collected from such areas as Punjab, Iran, Palestine, and North Africa. The 11 versions which have be passed down for a long period of time in those Islamic areas have much in common with the oral versions of the Korean halfling tale in that they contain the motif of miraculous birth from fruit, the motif of the wicked brothers, and the motif of killing human-eating monsters. However, in its foreign counterparts, the motif of marriage by bride-theft is not common and the halfling does not kill the cannibal monster(s) by his superhuman strength but by his clever conceit. As a result of the present comparative study, it can be said that the global universality of the Korean halfling tale can be seen in the three motifs: (1) miraculous birth from fruit, (2) the persecution of the wicked brothers (3) killing human-eating monster (ogre or tiger). The particularities of the Korean halfling tale can be described as the following three characteristics: (1) superhuman power of the Korean halfling, (2) resemblance between the Korean folk drama and the grotesque act of the halfling`s bride-theft (3) its special emphasis on the marriage of the halfling (the harmony of Yin and Yang).

      • KCI등재

        TV드라마와 젠더담론의 균열과 포섭 : 이혼녀와 미혼모의 재현

        김환희(KIM, Hwan Hee),이소윤(LEE, So Yoon),훈순(KIM, Hoon Soon)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5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0 No.3

        지금까지 TV 드라마에서 이혼녀 · 미혼모는 주로 피해자나 실패자로 묘사되며 주변인으로 위치했다. 그러나 사회적 요구와 변화에 따라 배제되었던 다양한 여성 이미지들이 이야기의 중심부에 등장하면서 TV 드라마가 상반된 젠더담론의 경합의 장으로 기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여성주의 관점에서 가부장제 질서의 균열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이혼녀 · 미혼모를 주요 인물로 등장시킨 네 편의 드라마의 서사분석을 진행했다. 분석 결과, 가부장제에서 자발적으로 이탈한 이혼녀 · 미혼모에 대한 긍정적 묘사와 이들의 공적 영역에서의 활약, 다양한 여성등장인물들 간 생산적 연대 묘사는 가부장제의 문제점을 드러냄과 동시에 이를 균열시킬 수 있는 힘으로 포착되었다. 그러나 ‘백마 탄 왕자님’의 현대적 변형인 탈권위적 남성인물과 더욱 공고해진 낭만적 사랑담론의 결합은, 앞서 언급한 가능성들을 충돌하는 담론들 간 타협지점으로 기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또한 사회 구조적 모순에서 비롯된 문제들을 개인의 능력과 같은 지엽적인 영역으로 축소하는 것은 탈가부장제의 환상을 효과적으로 강화할 뿐만 아니라, 우리사회에서 고학력 · 전문직이 이혼녀 · 미혼모로서 행복하게 살아가기 위한 선결조건임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비판적 논의가 가능하다. 그러나 계속되는 타협지점의 생성은 역설적으로 가부장제의 문제점을 드러내는 반증일 수 있는 바, 앞으로 더욱 가시화 될 담론 간의 충돌 속에서 비판적 텍스트 읽기를 통한 ‘의미의 정치학’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Divorced women and single mothers heretofore have been depicted in television drama as victims and failures, and have been thus relegated to passive roles. In light of social demands and changes pulling diverse female characters out from obscurity into the heart of the narrative, TV drama is becoming a battlefield of gender discourse. This study conducted narrative analysis of four drama with divorced women and single mothers as protagonists in order to explore possibility of disintegration in patriarchal order from a feminist standpoint. Analysis result shows the positive depictions of divorced women and single mothers, who voluntarily break away from patriarchy, as they excel in professional world, and of their constructive alliance shed light on the problems with patriarchy and simultaneously identify the force to disintegrate it. The combination, nevertheless, of male characters that have abandoned patriarchal authority, who are just modern day Prince Charming, and heightened romantic narrative discourse poses limitations in that it turns aforementioned possibility into a compromise between divergent opinions. Another possible critique in attributing problems rising from social imbalance to the lack of individual ability is that it not only strengthens anti-patriarchy propaganda, but assigns higher education and professional degrees as prerequisites for happiness for divorced women and single mothers. Ironically, however, a constant need for compromise could be an evidence to the problems with patriarchy, in which case it would be important to realize “Politics of Meaning” through critical reading.

      • KCI등재

        일반논문 : 한국과 유대의 추녀변신설화 속의 통과의례에관한 비교문학적인 고찰: 「지혜로운 추녀」와「얽고 검은 고동지」를 중심으로

        김환희 ( Hwan Hee Kim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4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2 No.2

        오늘날 우리 사회에 팽배해 있는 외모지상주의를 극복하기 위해서 많은 작가들은 여성의 미추가 선악과 비례하는 것으로 설정된 옛이야기의 틀을 전복하는 시도를 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과 유대에서 전승되어 온 구전설화가운데 이미 지혜로운 추녀가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설화가 다수 존재한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들은 많지 않다. 한국의 <이인으로 바뀐 못난 여자>유형과 유대의 <동물의 얼굴을 가진 여자> 유형에 속하는 설화에서 추한용모를 지닌 주인공은 혹독한 통과의례를 치루고 허물을 벗고 행복을 쟁취한다. 또한 이 두 유형의 설화는 지리적인 거리가 큼에도 감금, 소박, 변신이라는 세 모티프를 공통으로 담고 있어서 비교연구의 대상으로 삼을만하다. 본고는 한국과 유대의 추녀변신설화에서 외모 차별을 체험한 옛여성들이 어떻게 ‘감금’과 ‘소박’이라는 시련을 극복하고 변신을 이루었는지를 살펴보았다. 한국과 유대의 추녀변신설화에서 추한 외모를 지닌 여성은 모두 밀폐된방에 감금되어 구멍밥을 먹는 시련을 겪는다. 유대 설화에서 주인공은 태어나자마자 아버지에 의해서 감금되지만 토라와 탈무드를 학습하면서지혜로운 여성으로 성장한다. 한국 설화에서 주인공은 결혼식을 치른 첫날밤에 남편에게 소박맞고 밀폐된 방에 감금된다. 한국과 유대의 추녀변신설화에 공통으로 나타나는 ‘감금’ 모티프는 두 가지 층위로 해석할 필요가 있다. 표면적 층위에서 감금은 가부장제 사회에서 신체적인 결핍을 지닌여성에 대한 차별이 심각했다는 것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신화와 민담에서 감금이란 미녀와 왕에게도 일어난 일이어서 다른 시각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보편적인 설화에서 ‘감금된 여성’은 대부분 초경을 시작한, 결혼과 임신이 가능한 사춘기의 소녀이다. 하지만 추녀변신설화에서 여성의 감금은 사춘기나 월경혈과는 무관한 것이어서 프레이저가 황금가지에서 언급한 바 있는 ‘신비한 에너지’를 지닌 존재에 대한 두려움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세계 민담에서 감금된 많은 미녀는 ‘잠자는공주’이거나 남자의 구원을 기다리는 수동적인 여성인 반면에, 추녀변신설화 속의 주인공은 밀폐된 방에서 책읽기와 바느질로 자신을 다스리고 표현하는 ‘의식이 살아있는 적극적인 여성’이다. 한국과 유대의 설화에서 주인공의 통과 의례가 통합으로 이르는 데에 주요한 역할을 한 바느질과 ‘조력자-아들’이라는 모티프는 전통의 계승과 전복이라는 양면성을 지닌다. 한국의 추녀변신설화에서 유독 강조되고 있는 바느질 솜씨는 조선 사회가 요구하는 여성의 가장 중요한 덕목이면서 동시에 자신이 처한 부당한 현실을 외부에 적극적으로 알리고 자신의 고통과 소망을 표현하는 강력한 전복의 수단이기도 하다. 또한 한국 설화에서 주인공은 초자연적인 조력자의 도움을 받지 않고 자율적으로 변신을 이룬다. 이와는 달리, 유대 설화에서 주인공의 변신은 자율적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아들과 엘리아의 도움을 받는다. <동물의 얼굴을 가진여자> 유형이 토라에 정통한 여성 지도자가 등장한 19세기 중엽 이후에 전승되어 온 사실을 고려할 때, 이 유형의 설화에 삽입된 ‘조력자-아들’모티프에는 토라와 탈무드의 지혜를 습득하고 독신으로 신앙생활에 헌신하려는 신여성의 출현과 그러한 신여성들이 가져올 수 있는 가정의 해체로부터 ‘작은 성소’인 가정을 지키려는 유대인의 전통이 반영되어 있다. The article discusses the rites of passage of the ugly girl transformed intoa beautiful girl in the tales from Korean and Jewish traditions: “The UglyGirl Transformed into an Extraordinary Woman” and “The Woman with theAnimal Face.” The common elements of those tales can be described as thefollowing three motifs: confinement, abandonment, and transformation. Thereare other similarities between them that can be seen as family resemblances. On the other hand, the ugly-girl tales have their own particularities. Theparticularities of the Korean folktales called “The Ugly Girl Transformed intoan Extraordinary Woman” are summed up as follows: (1) she is confined byher husband or parents-in-law in a secluded place; (2) she has marvelous skillin needlework and embroidery; (3) she helps her parents-in-law to overcomethe crisis or her husband to make his fortune; (4) she transforms into a beautifulwoman without the help of supernatural beings. As for the rites of passage, most of the ugly-girl tales in the both traditionsemphasize the rites of transition in an enclosed room. The rabbi’s daughtercould hardly complete a sequence of rites of separation, transition, andincorporation at her birth and her parents did not assimilate her into her family and kinship. For all ugly girls, their marriage ceremony can hardly functionas a rite of incorporation because they have been abandoned by her husbandon their wedding night and since then had a transitional period in an enclosedroom without being incorporated into the society of her husband andfamily-in-law. After her transformation into a beautiful woman, she can completeher rite of passage from separation through transition to incorporation. Theseclusion of the ugly girls is quite different from the seclusion of the beautifulgirls in that the former are secluded after their marriage ceremony, while thelatter during their puberty. Moreover they have such a clear consciousness asto be occupied with reading and needlework, unlike Snow White or SleepingBeauty.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how the ugly girls between Korean and Jewishtraditions overcome trials and tribulations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TheKorean ugly girls overcome their hardships through her needlework, embroidery,and reading, while the rabbi’s daughter through her wisdom and belief in God. The ways in which the ugly girls in each tradition achieve their metamorphosesshow remarkable differences. Most of the ugly girls in Korean folk tales, whenthe time has come, transform themselves into beautiful women independently,without the help of supernatural beings. The Rabbi’s daughter transforms herappearance, thanks to her son who has obtained a bottle of miraculous waterfrom the Prophet Elijah.

      • KCI등재

        한부모가족 담론의 균열과 변형된 정상가족 신화로의 포섭

        김환희(Hwan-Hee Kim),고병진(Byoung-Jin Goh)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8

        이 연구는 한부모가족 담론이 TV 다큐멘터리에서 재현되는 양상을 확인한다. 정상가족 신화가 한계를 드러내는 현 상황에서, 다양한 분석대상으로 한부모가족 연구를 확장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싱글대디와 미혼모 이야기를 동시에 다룬 KBS1의 다큐 공감 〈아이가 행복입니다〉 (2015)의 서사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싱글대디와 미혼모는 공통적으로 ‘결핍된 상황’을 극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싱글대디는 어머니의 역할까지 모두 수행하는 반면, 미혼모는 어머니의 역할조차 완수하지 못하는 비대칭적 묘사가 두드러졌다. 또한, 다큐멘터리의 서사는 결손가족과 정상가족을 대비시키고 고정된 성역할을 재생산하며, 해당 사안을 개인의 영역으로 소급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묘사는 한부모가족을 변형된 정상가족신화로 편입시키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결국, 새로운 담론의 부재에서 오는 근본적인 문제인바, 중요한 것은 충돌하는 가족 담론을 재현하고 확장하는 미디어의 역할일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spect of the single-parent family discourse in the TV documentary.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normal family myth shows limitations in reality,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ingle-parent family research based on various analysis subjects.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ed a narrative analysis of KBS1s documentary ‘Gong-gam’ 〈Child is Happiness〉 (2015), which deals with single daddy and single moms stories at the same time. Single daddy and single mom are commonly described as overcoming the deprived situation. However, asymmetric description was outstanding in that single daddy is depicted as performing the role of mother as well whereas the single mom appears to be unable to perform even the mothers role. Also, the narrative in the documentary compares broken family with normal family and reproduces the fixed sex role, which considers the problem an individual area. Such description can be seen as a process of persuading them into a “modified normal family myth”. However, as the fundamental problem is the absence of new discourse, the role of the media to reproduce and expand the conflicting family discourses will be import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