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취학전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발달 특성

        김화수 ( Wha Soo Kim ),이은경 ( Eun Kyoung Lee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1 No.3

        이 연구는 취학전 다문화가정 아동의 연령별 및 성별 언어발달의 특성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생활연령이 2세에서 6세인 765명(남아 383명, 여아 382명)의 취학전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연령에 따른 표현언어와 수용언어로 분류하여 실시하였고, 표현언어 및 수용언어능력에 대한 연령별 집단 간 차이와 성별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학전 다문화가정 아동의 수용언어능력은 연령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 간 차이는 없었다. 둘째, 취학전다문화가정 아동의 표현언어능력은 연령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 간 차이는 없었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에서 취학전 다문화가정 아동은 연령별 언어발달의 추이가 일반아동과 유사했으나 발달의 정도는 느리며 발달격차가 크게 나타났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ability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using the PR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65 multicultural family preschool children aged between 2 years and 6 years. As the results, language development of the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were different by age group. The difference gap is bigger in the older age groups. However, there were not difference by gender.

      • KCI등재

        취학 전 아동의 비대면 언어재활에 대한 필요성 및 요구 조사

        김화수(Kim, Wha-Soo),이지우(Lee, Ji-Woo),양한나(Yang, Han-Na)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21 한국영유아보육학 Vol.- No.127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를 경험하면서 현재 언어재활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부모 또는 주 양육자가 원하는 비대면 수업은 어떠한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비대면 언어재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자는 현재(2020년 10월) 언어재활서비스를 받고 있는 취학 전 자녀의 보호자 및 주 양육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06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고 이를 빈도분석과 함께 카이제곱 검정을 통한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106명 중 3명을 제외한 103명이 코로나19로 인해 언어재활이 중단된 경험이 있으며, 6세-7세는 1:1 비대면 언어재활이 ‘필요하다’에 응답하였고 3세-5세의 경우는 비대면을 원하지 않는다의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19가 종식되었을 경우 비대면 언어재활이 필요한가요?“에 대한 질문에 ‘모르겠다’의 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취학 전 아동을 대상으로 한 비대면 언어재활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basic information on how language rehabilitation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untacted era through a survey of the necessity and demand for non-face-to-face language rehabilitation for parents and main caregivers with children currently receiving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s. The subject of the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on the parents and caregivers of preschool children who are currently receiving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s. As a result of the study, 103 out of 106 reported that language rehabilitation was stopped due to Corona 19. In addition, those aged 6-7 responded that 1:1 non-face-to-face speech rehabilitation was ‘necessary’, but those aged 3-5 had a higher ratio of ‘do not want non-face-to-face’. In addition, the percentage of “I don’t know” was high when asked, “Is non-face-to-face verbal rehabilitation necessary when Corona 19 is over?”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basic data on non-face-to-face speech rehabilitation for children aged 3-5 can be prepared.

      • KCI등재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읽기특성 변인

        김화수(Wha-soo Kim),김명태(Young Tae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1 No.3

        . 이 연구에서는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이 가지는 언어적 문제를 읽기라는 특정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조망하는 시도를 하였다. 첫째,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읽기재인 및 읽기이해능력과 언어 및 인지과정 변인들(어휘이해능력, 구문이해능력, 언어표현능력, 빠른이름대기, 음소탈락, 철자대기, 숫자회상, 단어회상, 무의미단어반복 점수로 설명되어지는)의 상관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둘째,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읽기발달(재인과 이해) 지표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이 어떤 것인지를 확인해보는 탐색작업을 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읽기재인능력을 예측할 수 있는 가장 설명력 있는 변인은 음소탈락점수, 단어회상점수, 구분이해점수, 무의미단어반복점수 였으며, 읽기이해능력을 가장 잘 설명해 주는 변인은 구분이해점수와 음소탈락점수였다. 읽기재인과 읽기이해에 있어 약간씩 다른 언어인지과정 변인들이 작용하는데, 읽기 재인에서는 음운인식 관련된 변인이, 읽기이해에서는 구문이해가 더 큰 관련변인인 것으로 나타나, 같은 언어장애라 할지라도 재인과 이해라는 큰 측에서 읽기과정상 접근해야 하는 중재방법은 분명 다른 것으로 유추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읽기과정이나 읽기변인들과 관련한 결과들을 토대로 추후 연구들은 제안하였다.

      • KCI등재

        인터뷰 담화에 나타난 경도지적장애 성인의 담화표지 사용 특성

        김화수 ( Kim Wha-soo ),이후인 ( Lee Hu-in ),이근용 ( Rhee Kun-yo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21 지적장애연구 Vol.23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뷰 담화에 나타난 경도지적장애 성인의 담화표지 사용 양상을 알아보고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대학생 집단과 비교하여 담화표지 유형과 사용 빈도가 어떠한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만 18~24세 해당하는 경도지적장애 성인(이하 지적장애 집단) 15명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대학생(이하 대학생 집단) 15명으로 총 30명이다. 자료처리는 선행연구를 수정·보안한 담화표지 분석틀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두 집단 간 담화표지 사용 비율은 지적장애 집단 12.63%, 대학생 집단 12.5%로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다. 담화 기능에 따른 담화표지 사용 양상을 보면 지적장애 집단은 공백 메우기를 총 410회(37.79%)로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지적장애 집단은 화제 복귀하기, 화제 심화하기, 강조하여 태도 표현하기, 약화하여 태도 표현하기, 조심스러운 태도 표현하기에서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또한 담화표지 ‘그’를 총 116회(28.29%)로 가장 높은 빈도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두 집단 간 담화표지 사용 비율은 차이가 없었으나 담화표지 사용 빈도수는 지적장애 집단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적장애 집단은 대학생 집단에 비해 개별 담화표지 사용 유형이 더 다양하지 못하였고 빈도가 낮았다. 본 연구를 토대로 지적장애 집단의 적절한 담화표지 사용에 대한 언어적 중재를 수립하거나 담화표지와 관련된 연구 시 기초자료로 제공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atterns of discourse markers used in interview discourse among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o learn about what types of discourse markers, frequency of use are compared with the group that matched their living age. [Method]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total of 30 people of 15 adults aged between 18 and 24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hereinafter 'intellectually handicapped group') and 15 university student(hereinafter 'university student group') of the same living age as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data analysis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discourse marker analysis framework that modified and supplemented previous research. [Result] The two groups showed almost the same percentage of use of discourse markers in overall utterances as 12.63 percent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12.5 percent of university adults with matching their living age. When it comes to the overall use of discourse markers according to the discourse function, the group of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use a total of 410 times (37.79%) of filling in gaps. the group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university group of students who matched their age in life in returning to the subject, deepening the subject, expressing attitude by emphasizing, expressing attitude by weakening , and expressing careful attitude. the group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used discourse markers 'geu' a total of 116 (28.29%) in filling in gaps, and showed a high frequency of 10.69% of the total discourse markers. [Conclusion] As a resul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ntage of using discourse markers between the groups. However, the group of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used the fewer number of discourse markers in general, employed the fewer number of discourse marker in each subtype, and demonstrated the limited varieties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Therefore, these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providing the linguistic intervention on discourse markers for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 딥러닝 모델 구조에 따른 모르타르의 단위수량 평가에 대한 비교 실험 연구

        조양제 ( Cho¸ Yang-je ),유승환 ( Yu¸ Seung-hwan ),양현민 ( Yang¸ Hyun-min ),윤종완 ( Yoon¸ Jong-wan ),박태준 ( Park¸ Tae-joon ),이한승 ( Lee¸ Han-seung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1 No.2

        The unit-water content of concrete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 determining the quality of concrete and is directly related to the durability of the construction structure, and the current method of measuring the unit-water content of concrete is applied by the Air Meta Act and the Electrostatic Capacity Act. However, there are complex and time-consuming problems with measurement methods. Therefore, high frequency moisture sensor was used for quick and high measurement, and unit-water content of mortar was evaluated through machine running and deep running based on measurement big data. The multi-input deep learning model is as accurate as 24.25% higher than the OLS linear regression model, which shows that deep learning can more effectively identify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high-frequency moisture sensor data and unit quantity than linear regression.

      • KCI등재

        아동언어장애와 관련된 작업기억 연구동향

        김화수(Wha Soo Kim),이세연(Se Yeon Lee) 한국언어치료학회 2013 言語治療硏究 Vol.22 No.2

        Working memory is generally conceived as a dynamic mechanism that involves the capacity to store information over short periods of time while engaging in other cognitively demanding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international research studies that focused on speech-language pathology related to working memory published from 2000 to 2011. A total of 40 articl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with respect to participants, research methods, independent variables, dependent variables, and major results. Depending on the type of disability of the child, many studi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working memory capacity and impaired function in working memory. Current research trends related to working memory were that study is being increased through independent variables and complexity of tasks. Most studies measured the function of working memory in tasks assessing phonological loops, visual-spatial sketchpads, and central executives.

      • KCI등재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통사처리능력

        김화수 ( Wha Soo Kim ),장만순 ( Man Soon Jang ),김성수 ( Sung Soo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2 No.4

        본 연구에서는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구문능력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의미적 및 화용적 요소의 영향을 배재한 채 순수한 통사처리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관계절의 위치(왼쪽분지문, 가운데내포문), 두어의 병행기능 여부, 그리고 관계절의 역할을 달리 구성한 8가지 유형의 관계절을 Correa(1996)가 제안한 대안적인 시연과제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관계절 이해능력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두 집단 모두 관계절이 주절의 왼쪽에 첨가된 왼쪽분지문과 관계절내 공백이 주어 위치에서 발생하는 주격관계절을 더 잘 이해하였다. 결과적으로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구문영역 결함은 의미처리뿐 아니라 문장 내 통사정보를 활용하여 문장구조를 생성하는 통사처리능력과 관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구문결함을 중재하기 위해서는 의미처리영역뿐 아니라 통사처리능력에 관한 교육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This study was aimed to identify the syntactic processing abilitie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LI). Two groups of children(SLI & NL group) were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We created eight types of task sentences in according to different position of relative clause, head noun noun’s parallel function, and the role of relative clauses and examined children children’s comprehension of these 8 types of sentences using an alternative acting-out tasks proposed by Correa(1996). Children with SLI were significantly less accurate than the normal children in relative clause comprehension tasks. Both groups of children children’s accuracies were greater for left branching sentences than for center-embedded ones and were greater for subject relative clauses than for object relative one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SLI’s deficits in syntactic area was related to not only semantic processing but also syntactic processing ability which enables to form a sentence structure by using the syntactic information within the sentenc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eaching syntactic information processing skills when treating SLI SLI’s deficits of syntactic area.

      • KCI등재

        읽기이해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및 읽기이해 검사도구 개발 방향성에 관한 연구: 2010년부터 2019년까지

        김화수(Kim, Wha-Soo),이지우(Lee, Ji-Woo),엄윤지(Eom, Yun-Ji)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20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 읽기이해와 관련된 연구를 분석하여 연구의 경향성을 알아보고 그 분석결과를 근거로 읽기이해 검사도구 개발에 필요한 방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읽기이해와 관련된 160편의 논문을 선정하고 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80편의 논문을 제외 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읽기이해와 관련된 연구는 2010년과 2017년에 가장 많은 관심을 받았으며 연구방법으로는 실험연구가 53편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 대상자는 10세~12세에 가장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었고 대상자군의 유형은 일반아동, 읽기학습 부진아, ADHD, 읽기장애가 주를 이루었다. 종속변인의 경우 읽기이해능력이 가장 많았으며 그다음으로 읽기유창성, 어휘, 쓰기 순으로 많았다. 둘째, 읽기이해 연구에 사용된 검사도구의 특징을 살펴본 결과, 기초학습 기능검사가 29편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문장 길이는 15문장~20문장 미만이, 평가 유형은 단답형이 26편으로 가장 많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서 일반 초등학생 1, 2, 3학년을 대상으로 한 읽기이해 선별검사 도구를 개발할 때 문항의 구성 및 평가 방법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related to reading comprehension in Korea from 2010 to 2019 to find out the trend of the research and to find the direction necessary to develop reading comprehension assessmen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For the study, 160 thesis related to reading comprehension were selected and 80 thesis that did not meet the criteria were exclud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related to reading comprehension received the most attention in 2010 and 2017, and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number of experiments was 53, the largest number. The subjects were the most concentrated between 10 and 12 years old. In addition, the types of study subjects mainly consisted of general children,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reading, ADHD, and reading disabilities. In the case of dependent variables, reading comprehension was the largest number, followed by reading fluency, vocabulary, and writing.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ssessments used for reading comprehension, the KEDI(Individual Basic Learning Skills test)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in 29 thesis, the length of the sentence was the smallest of 15 to 20 sentences, and the 26-answer type of evaluation was the most and as for the evaluation type, the short answer type was 26, the most. Through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it will be possible to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composition and evaluation method of items when developing a screening assessment for reading comprehension targeting the grades 1, 2, and 3 of general elementary students.

      • KCI등재

        학년에 따른 학령기 다문화가정아동과 일반가정아동의 생성이름대기 특성 비교

        김화수 ( Wha Soo Kim ),김지채 ( Ji Chae Kim ),권수진 ( Su Jin Kwon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생성이름대기를 사용하여 학령기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발달 특성을 조사하고, 일반가정 아동의 언어발달과 비교한 뒤, 학년간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의 초등학생 1학년부터 5학년까지 총 29명(여자: 22명, 남자: 7명)으로 하였다. 비교집단의 일반가정 아동은 같은 초등학교에 다니고 있는 아동으로 총 33명(여자: 27명, 남자: 6명)으로 하였다. 동물과 가게물건 의미범주 생성이름대기와 /ㄱ/와 /ㅅ/ 음소범주 생성이름대기를 실시하여, 산출수와 군집수, 전환수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생성이름대기 산출수, 군집수, 전환수에서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학년간 차이가 유의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in generative naming and to compare the school-aged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y and Ordinary family, and across the academic years. The participated children were 29(girl:22, boy:7) children multi-cultural family and 33(girl:27,boy:6) children of ordinary family, with the semantic of animal and goods in store, and the phonetic of /ㄱ/ and /ㅅ/. On the generative naming of semantic and phonetic, we take a look at the number of words, number of clusters, and number of switch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From generative naming of semantic, and phonetic, the number of words, the number of clusters, and number of switches were noticeably less in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y than children of ordinary family 2. From generative naming of semantic, and phonetic, the number of words, the number of clusters, and number of switche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5 academic age groups in children of ordinary family, but multi-cultural family.

      • KCI등재

        이모티콘 이해 및 표현에 관한 연구: 지적장애 성인을 대상으로

        김화수 ( Kim Wha-soo ),이지우 ( Lee Ji-woo ),김소정 ( Kim So-jung ),김한얼 ( Kim Han-eul ),신수연 ( Sin Su-eun ),이아영 ( Lee A-you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9 지적장애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지적장애 성인의 이모티콘의 이해 능력 및 표현 능력을 통해 지적장애인의 의사소통 능력 지원과 사회관계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자는 지적장애 성인 15명, 지적장애 성인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5명(초등 4-6학년), 지적장애 성인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성인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대상자들에게 이모티콘 사용과 관련되는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이모티콘 이해 검사와 이모티콘 표현 검사를 개별적으로 실시하였다. 이모티콘 이해 검사 및 표현 검사는 감정의 4가지 유형 (희·로·애·락)에 대해서 각각 5문항씩 전체 2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이모티콘의 형태는 한글을 사용한 이모티콘과 얼굴표정 이모티콘 그리고 캐릭터 이모티콘을 같은 비율로 검사 문항을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설문조사 결과 이모티콘은 감정표현을 하기 위한 의사표현을 하기 위해 사용한다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또한 친구와 이모티콘을 가장 많이 사용하며, 기쁘고 즐거울 때 이모티콘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모티콘 이해 검사 결과, 지적장애 성인 집단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집단, 그리고 지적장애 성인집단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성인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연령별로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지적장애 집단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이모티콘 이해 능력이 증가하는 반면, 일반아동과 일반성인 집단은 연령별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문항별 정반응률 검사 결과, 지적장애 성인 집단은 슬픔의 감정에서 오반응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이모티콘 표현 검사 결과, 지적장애 집단과 일반아동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연령별 이모티콘 표현 검사 결과, 지적장애 집단은 이모티콘 표현 능력에 있어서 언어연령 10세와 11세 평균의 차이는 없지만 12세가 되면 평균이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아동 집단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문항별 정반응률 검사 결과, 4가지 감정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지적장애인들이 친구와의 대화 상황에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한 화용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이모티콘을 더 적극적으로 지도할 필요성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Emoticon comprehension and expressive ability among intellectual disability adults with language age of 10 ∼ 12 year, general-children with normal language age, and general-adults with normal language ag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15 normal childr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 4-6) who matched the language age with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15 general-adults with non-intellectual disability. The research method was conducted by questionnaires related to the use of Emoticons. And then the emoticon understanding test and Emoticon expression test were performed separately. Understanding emoticon test and Expression test consisted of 20 questions in total of 5 items for each of the four types of emotions (happy, anger, sadness, pleasure). And the test items were composed by korean-text Emoticons, facial Emoticons, and character Emoticons. First, the survey results have the highest percentage of Emoticons used to represent conversations. The most popular Emoticons were 'happiness' and 'joy', and they send Emoticons to friend the most. Second, emoticon understanding tes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dult group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general-adult group, and general-children group.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s among groups by age, the age increases, the intellectual disability group increases the understanding ability of Emoticon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l-children and adult groups. Result of correct answer rate per question, adult group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howed high error rate in ‘sadness’. As a result of age - based emoticon te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ean language age between 10 and 11 years of age in the intellectual disability group with language age of 10 ∼ 12 year, but the average increased at 12 years of age. These results were the same in the general-children group.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test resul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four emo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more actively instruct the use of Emoticons to improve the conversational and communication skills of th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