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달장애 학생 대상 산림복지 프로그램 효과분석 도구 개발

        김화수 ( Wha-soo Kim ),이주현 ( Ju-hyeon Lee ),이주원 ( Ju-won Lee ) 한국발달장애학회 2024 발달장애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발달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산림복지 프로그램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효과분석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문항 개발, 타당도 검증,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기존 언어 능력을 평가하는 검사도구를 분석하여 실시 방법을 수립하였다. 국어기초어휘 내 숲과 관련된 어휘를 통해 어휘 12문항 및 구문 이해 13문항을 개발하였고, 의사소통 태도 및 기술을 평가하는 척도를 바탕으로 의사소통 30문항을 포함하여 총 55개의 문항을 개발하였다. 발달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예비연구를 실시하여 검사의 실시 방법 및 문항의 난이도를 확인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어휘 10문항, 구문 이해 10문항, 의사소통 10문항으로 재구성하였다. 본 효과분석 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내용타당도를 실시하였으며, 내용타당도지수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문항 내용타당도는 구문 이해, 의사소통 문항에서 모두 0.88 이상으로 적절하다고 판단되었으며, 전체 문항의 내용타당도지수는 0.95로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내용타당도는 2문항을 제외하고 0.78점 이상으로 각 그림이 적절하다고 판단되었으며, 그림에 대한 전체 내용타당도는 0.90으로 타당성이 있다고 나타났다. 본 효과분석 도구의 신뢰도를 살펴본 결과, 내적일관성에서 어휘, 의사소통에서 좋은 수준의 내적일관성을 보였고, 구문 이해에서는 0.619로 수용할 수 있는 수준의 내적일관성을 보였다. 검사-재검사 신뢰도 검사 결과, 1차 검사 결과와 2차 검사 결과의 상관계수가 어휘 0.967, 구문 이해 0.974, 의사소통 0.956으로 모두 유의하게 높은 상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 학생이 쉽게 검사에 참여할 수 있고, 산림복지 프로그램이 언어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할 수 있는 검사 문항을 제작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발달장애인의 표현언어 능력이 자기결정 및 삶의 질과 관련이 있는 만큼 본 효과분석 도구를 통해 발달장애 학생의 언어 특성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양질의 산림복지 프로그램 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을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tools for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a forest welfare program targeting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develop the effectiveness analysis tool, item development, validity verification,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were conducted. An analysis of existing language proficiency assessment tools was also performed to establish the implementation method. A total of 55 items were developed, including 12 vocabulary items, 13 sentence comprehension items, and 30 communication items based on forest-related vocabulary and scales for assessing communication attitudes and skills. A pilot study with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implementation method and item difficulty. Based on the results, the tool was reconstructed with 10 vocabulary items, 10 sentence comprehension items, and 10 communication items. Content validity was assessed using the content validity index, and it was appropriate to be 0.88 or higher in sentence comprehension and communication items and the overall content validity index for all items was 0.95, indicating validity. The content validity of each picture was judged to be appropriate with 0.78 or more except for two items, and the overall content validity of the picture was 0.90, which was found to be valid.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tool was examined, presenting acceptable consistency for vocabulary, communication, and sentence comprehension (0.619). Test-retest reliability results showed significant and high correlation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est results for vocabulary (0.967), sentence comprehension (0.974), and communication (0.956).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reated test items for easy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ssessments, providing a foundation for analyzing the effects of a forest welfare program on language abilities. Given the association between expressive language skills in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self-determination and quality of life, it is anticipated that this effectiveness analysis tool will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quality forest welfare program support to enhance language characteristic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CI등재

        취학 전 아동의 비대면 언어재활에 대한 필요성 및 요구 조사

        김화수(Kim, Wha-Soo),이지우(Lee, Ji-Woo),양한나(Yang, Han-Na)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21 한국영유아보육학 Vol.- No.127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를 경험하면서 현재 언어재활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부모 또는 주 양육자가 원하는 비대면 수업은 어떠한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비대면 언어재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자는 현재(2020년 10월) 언어재활서비스를 받고 있는 취학 전 자녀의 보호자 및 주 양육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06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고 이를 빈도분석과 함께 카이제곱 검정을 통한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106명 중 3명을 제외한 103명이 코로나19로 인해 언어재활이 중단된 경험이 있으며, 6세-7세는 1:1 비대면 언어재활이 ‘필요하다’에 응답하였고 3세-5세의 경우는 비대면을 원하지 않는다의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19가 종식되었을 경우 비대면 언어재활이 필요한가요?“에 대한 질문에 ‘모르겠다’의 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취학 전 아동을 대상으로 한 비대면 언어재활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basic information on how language rehabilitation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untacted era through a survey of the necessity and demand for non-face-to-face language rehabilitation for parents and main caregivers with children currently receiving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s. The subject of the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on the parents and caregivers of preschool children who are currently receiving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s. As a result of the study, 103 out of 106 reported that language rehabilitation was stopped due to Corona 19. In addition, those aged 6-7 responded that 1:1 non-face-to-face speech rehabilitation was ‘necessary’, but those aged 3-5 had a higher ratio of ‘do not want non-face-to-face’. In addition, the percentage of “I don’t know” was high when asked, “Is non-face-to-face verbal rehabilitation necessary when Corona 19 is over?”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basic data on non-face-to-face speech rehabilitation for children aged 3-5 can be prepared.

      • KCI등재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읽기특성 변인

        김화수(Wha-soo Kim),김명태(Young Tae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1 No.3

        . 이 연구에서는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이 가지는 언어적 문제를 읽기라는 특정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조망하는 시도를 하였다. 첫째,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읽기재인 및 읽기이해능력과 언어 및 인지과정 변인들(어휘이해능력, 구문이해능력, 언어표현능력, 빠른이름대기, 음소탈락, 철자대기, 숫자회상, 단어회상, 무의미단어반복 점수로 설명되어지는)의 상관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둘째,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읽기발달(재인과 이해) 지표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이 어떤 것인지를 확인해보는 탐색작업을 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읽기재인능력을 예측할 수 있는 가장 설명력 있는 변인은 음소탈락점수, 단어회상점수, 구분이해점수, 무의미단어반복점수 였으며, 읽기이해능력을 가장 잘 설명해 주는 변인은 구분이해점수와 음소탈락점수였다. 읽기재인과 읽기이해에 있어 약간씩 다른 언어인지과정 변인들이 작용하는데, 읽기 재인에서는 음운인식 관련된 변인이, 읽기이해에서는 구문이해가 더 큰 관련변인인 것으로 나타나, 같은 언어장애라 할지라도 재인과 이해라는 큰 측에서 읽기과정상 접근해야 하는 중재방법은 분명 다른 것으로 유추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읽기과정이나 읽기변인들과 관련한 결과들을 토대로 추후 연구들은 제안하였다.

      • KCI등재
      • 딥러닝 모델 구조에 따른 모르타르의 단위수량 평가에 대한 비교 실험 연구

        조양제 ( Cho¸ Yang-je ),유승환 ( Yu¸ Seung-hwan ),양현민 ( Yang¸ Hyun-min ),윤종완 ( Yoon¸ Jong-wan ),박태준 ( Park¸ Tae-joon ),이한승 ( Lee¸ Han-seung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1 No.2

        The unit-water content of concrete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 determining the quality of concrete and is directly related to the durability of the construction structure, and the current method of measuring the unit-water content of concrete is applied by the Air Meta Act and the Electrostatic Capacity Act. However, there are complex and time-consuming problems with measurement methods. Therefore, high frequency moisture sensor was used for quick and high measurement, and unit-water content of mortar was evaluated through machine running and deep running based on measurement big data. The multi-input deep learning model is as accurate as 24.25% higher than the OLS linear regression model, which shows that deep learning can more effectively identify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high-frequency moisture sensor data and unit quantity than linear regression.

      • KCI등재

        ADHD 아동의 연령 및 품사에 따른 낱말 정의하기 연구

        김화수(Wha-Soo Kim),유은희(Eun-Hee Yoo),정은정(Eun-Jung Chung) 한국언어치료학회 2006 言語治療硏究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language development in children with ADHD through word definition by age and word class. For word definition test of this study, we used 32 items of vocabulary subtest of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al Institute-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KEDI-WISC). To score vocabulary subtest, we used both methods of IQ test (KEDI-WISC) and word definition response by scoring system used for Language Assessment.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ord definition score in ADHD children was significantly low in both scoring methods of IQ test and word definition response by scoring system used for Language Assessment, compared to typically developed children. This result showed that language development in ADHD children was delayed than normal children. Secondly, age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only in the scoring method of word definition response by scoring system used for Language Assessment. Thirdly, word definition score in ADHD and typically developed children were shown a bigger score difference in common noun by children of age 7. Otherwise, in abstract nouns, adjectives and verbs word definition score showed a bigger score difference in children of age 8-9.

      • KCI등재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통사처리능력

        김화수 ( Wha Soo Kim ),장만순 ( Man Soon Jang ),김성수 ( Sung Soo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2 No.4

        본 연구에서는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구문능력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의미적 및 화용적 요소의 영향을 배재한 채 순수한 통사처리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관계절의 위치(왼쪽분지문, 가운데내포문), 두어의 병행기능 여부, 그리고 관계절의 역할을 달리 구성한 8가지 유형의 관계절을 Correa(1996)가 제안한 대안적인 시연과제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관계절 이해능력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두 집단 모두 관계절이 주절의 왼쪽에 첨가된 왼쪽분지문과 관계절내 공백이 주어 위치에서 발생하는 주격관계절을 더 잘 이해하였다. 결과적으로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구문영역 결함은 의미처리뿐 아니라 문장 내 통사정보를 활용하여 문장구조를 생성하는 통사처리능력과 관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구문결함을 중재하기 위해서는 의미처리영역뿐 아니라 통사처리능력에 관한 교육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This study was aimed to identify the syntactic processing abilitie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LI). Two groups of children(SLI & NL group) were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We created eight types of task sentences in according to different position of relative clause, head noun noun’s parallel function, and the role of relative clauses and examined children children’s comprehension of these 8 types of sentences using an alternative acting-out tasks proposed by Correa(1996). Children with SLI were significantly less accurate than the normal children in relative clause comprehension tasks. Both groups of children children’s accuracies were greater for left branching sentences than for center-embedded ones and were greater for subject relative clauses than for object relative one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SLI’s deficits in syntactic area was related to not only semantic processing but also syntactic processing ability which enables to form a sentence structure by using the syntactic information within the sentenc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eaching syntactic information processing skills when treating SLI SLI’s deficits of syntactic area.

      • KCI등재

        발달장애 청소년의 비대면 사회적 의사소통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 조사

        김화수(Wha Soo Kim),이지우(Ji Woo Lee),이주원(Ju Won Lee)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2023 사회융합연구 Vol.7 No.1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understanding and demand of youth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Contact-free social communication programs, taking into account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he increase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COVID-19 pandemic. For this,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54 Youth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etween the ages 19 and 24. The research subjects were selected as those who voluntarily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s those who were able to live independently through dormitory and well-express their opinions. Online questionnaire data which is developed by investigator were collected by youth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in K city. As a result, Youth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d a high awareness of the need and participation will in Contact-free social communication programs. Regarding the reasons for the negative response, environmental factors such a use of equipment and lack of personnel support. In terms of program progress and composition, short sessions and time were preferred, and verbal pragmatic skills are more required than non verbal pragmatic skills. Youth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expected to adapt in society through appropriate social communication skills. Based on their needs and expectations, An appropriate Contact-free social communic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 인구 증가 및 COVID-19 팬데믹 등 시대·환경적 요인을 고려하여 발달장애 청소년이 스스로 생각하는 비대면 사회적 의사소통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19세 이상 24세 미만의 발달장애 청소년 5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기숙사 생활을 통해 독립적인 생활이 가능하며 자신의 의사표현이 가능한 대상자로 연구 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연구진이 개발한 온라인 설문지를 K시 발달장애 평생교육기관 발달장애 청소년의 스마트폰에 전송하여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발달장애 청소년의 비대면 사회적 의사소통 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성과 참여에 대한 인식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프로그램의 진행방법과 구성에 있어서는 짧은 회기와 짧은 소요시간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언어적 화용기술(nonverbal pragmatic skills)에 비하여 언어적 화용기술(verbal pragmatic skills)의 응답률이 높게 나타났다. 발달장애 청소년은 적절한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을 통하여 원활히 사회에 적응하기를 기대하였다. 이에 그들의 요구와 기대에 근거하여 시대적 상황에 맞는 적절한 비대면 사회적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학년에 따른 학령기 다문화가정아동과 일반가정아동의 생성이름대기 특성 비교

        김화수 ( Wha Soo Kim ),김지채 ( Ji Chae Kim ),권수진 ( Su Jin Kwon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생성이름대기를 사용하여 학령기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발달 특성을 조사하고, 일반가정 아동의 언어발달과 비교한 뒤, 학년간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의 초등학생 1학년부터 5학년까지 총 29명(여자: 22명, 남자: 7명)으로 하였다. 비교집단의 일반가정 아동은 같은 초등학교에 다니고 있는 아동으로 총 33명(여자: 27명, 남자: 6명)으로 하였다. 동물과 가게물건 의미범주 생성이름대기와 /ㄱ/와 /ㅅ/ 음소범주 생성이름대기를 실시하여, 산출수와 군집수, 전환수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생성이름대기 산출수, 군집수, 전환수에서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학년간 차이가 유의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in generative naming and to compare the school-aged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y and Ordinary family, and across the academic years. The participated children were 29(girl:22, boy:7) children multi-cultural family and 33(girl:27,boy:6) children of ordinary family, with the semantic of animal and goods in store, and the phonetic of /ㄱ/ and /ㅅ/. On the generative naming of semantic and phonetic, we take a look at the number of words, number of clusters, and number of switch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From generative naming of semantic, and phonetic, the number of words, the number of clusters, and number of switches were noticeably less in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y than children of ordinary family 2. From generative naming of semantic, and phonetic, the number of words, the number of clusters, and number of switche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5 academic age groups in children of ordinary family, but multi-cultural family.

      • KCI등재

        이모티콘 이해 및 표현에 관한 연구: 지적장애 성인을 대상으로

        김화수 ( Kim Wha-soo ),이지우 ( Lee Ji-woo ),김소정 ( Kim So-jung ),김한얼 ( Kim Han-eul ),신수연 ( Sin Su-eun ),이아영 ( Lee A-you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9 지적장애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지적장애 성인의 이모티콘의 이해 능력 및 표현 능력을 통해 지적장애인의 의사소통 능력 지원과 사회관계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자는 지적장애 성인 15명, 지적장애 성인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5명(초등 4-6학년), 지적장애 성인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성인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대상자들에게 이모티콘 사용과 관련되는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이모티콘 이해 검사와 이모티콘 표현 검사를 개별적으로 실시하였다. 이모티콘 이해 검사 및 표현 검사는 감정의 4가지 유형 (희·로·애·락)에 대해서 각각 5문항씩 전체 2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이모티콘의 형태는 한글을 사용한 이모티콘과 얼굴표정 이모티콘 그리고 캐릭터 이모티콘을 같은 비율로 검사 문항을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설문조사 결과 이모티콘은 감정표현을 하기 위한 의사표현을 하기 위해 사용한다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또한 친구와 이모티콘을 가장 많이 사용하며, 기쁘고 즐거울 때 이모티콘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모티콘 이해 검사 결과, 지적장애 성인 집단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집단, 그리고 지적장애 성인집단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성인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연령별로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지적장애 집단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이모티콘 이해 능력이 증가하는 반면, 일반아동과 일반성인 집단은 연령별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문항별 정반응률 검사 결과, 지적장애 성인 집단은 슬픔의 감정에서 오반응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이모티콘 표현 검사 결과, 지적장애 집단과 일반아동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연령별 이모티콘 표현 검사 결과, 지적장애 집단은 이모티콘 표현 능력에 있어서 언어연령 10세와 11세 평균의 차이는 없지만 12세가 되면 평균이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아동 집단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문항별 정반응률 검사 결과, 4가지 감정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지적장애인들이 친구와의 대화 상황에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한 화용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이모티콘을 더 적극적으로 지도할 필요성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Emoticon comprehension and expressive ability among intellectual disability adults with language age of 10 ∼ 12 year, general-children with normal language age, and general-adults with normal language ag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15 normal childr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 4-6) who matched the language age with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15 general-adults with non-intellectual disability. The research method was conducted by questionnaires related to the use of Emoticons. And then the emoticon understanding test and Emoticon expression test were performed separately. Understanding emoticon test and Expression test consisted of 20 questions in total of 5 items for each of the four types of emotions (happy, anger, sadness, pleasure). And the test items were composed by korean-text Emoticons, facial Emoticons, and character Emoticons. First, the survey results have the highest percentage of Emoticons used to represent conversations. The most popular Emoticons were 'happiness' and 'joy', and they send Emoticons to friend the most. Second, emoticon understanding tes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dult group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general-adult group, and general-children group.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s among groups by age, the age increases, the intellectual disability group increases the understanding ability of Emoticon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l-children and adult groups. Result of correct answer rate per question, adult group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howed high error rate in ‘sadness’. As a result of age - based emoticon te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ean language age between 10 and 11 years of age in the intellectual disability group with language age of 10 ∼ 12 year, but the average increased at 12 years of age. These results were the same in the general-children group.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test resul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four emo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more actively instruct the use of Emoticons to improve the conversational and communication skills of th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