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옆’과 ‘옆구리’의 語彙史에 대한 硏究

        김진우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0 No.3

        This study examines the semantic change of the body term based on {yeop}. The term { yeop} was originally a body term, meaning ‘the side part of the body’ in Middle Korean. Until the 16th century, no case was found to mean ’(by the) side’. However, from the 17th century, {yeop} began to indicate the side of objects, and its meaning gradually changed. After the 18th century, it even referred to adjacent areas. Thus, a diachronic semantic change is observed in the word {yeop}, as well as a categorical metaphor. Body terms extending their meaning to spatial terms is a common phenomenon in other languages. In this study, for example, a similar case was found in English. Of further interest is the word {yeopguri}. First appearing in the 16th century as ‘nyeopgure,’, it is a compound of ‘nyeop’ and ‘gure,’, referring to the torso part in ‘nyeop’. Accordingly, the ‘yeopgure’ which appeared in the Middle Korean language is understood as ‘the torso and the empty part on the side of the body.’ 김진우, 2022, ‘옆’과 ‘옆구리’의 어휘사에 대한 연구, 어문연구, 195 : 77~103 본고는 {옆}을 중심으로 신체어의 의미 변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옆}은 본래 중세 국어에서 “몸의 옆 부분”을 의미하는 신체어였다. 15~16세기에 현대 국어와 같이 “옆”을 의미하는 경우는 전혀 찾아 볼 수 없다. 그러나 17세기부터 {옆}은 사물의 옆 부분을 가리키기 시작하면서 점차 의미를 변화시켰다. 18세기 이후에는 사물의 옆 부분에서 나아가 인접 영역을 가리킬 수도 있었다. 이처럼 국어에서 {옆}은 통시적인 의미 변화가 관찰되며, 범주적 은유의 위계가 발견된다. 이와 같이 신체어가 공간어로 의미를 확장해 나가는 것은 다른 언어에서도 보편적인 현상이다. 이 연구에서는 영어의 경우에서도 비슷한 사례가 발견되었다. ‘녑구레’로 16세기에 처음 등장한 {옆구리}는 시기를 고려하면 ‘녑’과 ‘구레’의 합성어로, 본래 “몸의 옆 부분”을 의미했던 ‘녑’에 있는 몸통 부분을 가리키는 어휘이다. 이에 따라 중세 국어에 등장한 ‘녑구레’는 “몸의 옆 부분에 있는 몸통 및 비어 있는 부분”으로 파악된다.

      • 水稻葉處理가 登熟에 미치는 影響

        金鎭雨,安元燮,崔周鎬 진주산업대학교 1982 論文集 Vol.20 No.-

        水稻에 있어 葉處理가 登熟에 어떠한 影響을 미치는가를 “密陽23號”를 使用하여 3處理(완절, 반절, 꺽기)하고, 다시 處理日子別(8月6日, 8月16日, 8月26日)로 3反覆한 試驗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本 品種은 直立性이고 오목型의 잎모양을 갖추고 있으며 滴定分葉開度를 이루고 있어 紋枯病의 發生이 比較的 적으면서 受光態勢가 良好하고 光合成能力이 높은 편이다. 2. 處理日子別 稈長, 穗長을 보면 稈長, 穗長 공히 완절이 가장 짧았고, 꺾기가 가장 길었다. 3. 葉處理가 登熟에 미치는 影響을 보면 반절과 꺾기는 비슷한 水準이었으나 완절의 경우는 收量, 千粒重, 登熟率 모두가 타處理에 比해 낮은 傾向을 나타내었다. 4. 완절의 경우 登熟比率이 낮은 것은 止葉의 除去로 인해 光合成能力이 낮아진 것으로 생각 되어진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ipeness by the different treatment of rices leaves, this experiment was carried. The applied variety in this experiment was Milyang 23, the treatment of paddy's leaves were three methods (full cutting, half cutting, bending), and the treated dates were Aug.6, Aut. 16 and Aug. 26 in 1982. This results obtained in present experiment were follows: 1. Milyang 23 has an erect plant type, slightly rolling leaves, medium culm lenght, optimal tiller angle and good photosynthetic capacity. 2. The culm length and paniele length by the different treated dat in full cutting plot of the paddy's leaves were the shortest, besides those of in bending plot of the paddy's leaves were the logest. 3. In the effects of ripeness by the leaves, treatment, the level of half cutting plot and bending plot were a similiar, but the total yield, thousand grain weight and ripened grain ratio were tended the lower in with other treated plots. 4. In full cutting plot of the paddy's leaves, the ripened grain ration was show a low. But I think that the photosynthetic capacity was made lower by the cutting of the fallen leaves.

      • 分蘗肥 水準과 栽植密度가 水稻의 生育 및 收量에 미치는 影響

        金鎭雨 진주산업대학교 1988 論文集 Vol.26 No.-

        晋州農林專門大學 水稻作 實習團場에서 1988年 4月부터 10月까지 供試品種 東律(dong jin)을 갖고 分蘗肥 水準 N 1.5㎏, 3.0㎏, 4.5㎏을 栽稙密度를 72株, 82株, 92株, 102株를 細區로 하여 生育 및 收量을 조사 한바 결론을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分壁數는 4.5㎏區, 栽稙密度는 72株區에서 가장 많았다. 2. 登熱率은 1.5㎏區에서 높았고 栽稙本數의 차이에는 비슷한 경향이었다. 3. 栽稙密度가 높을수록 穗數 확보률은 낮았으며 4.5kg區가 다른 수준의 肥料區보다 높았다. 4. 千粒重은 分蘗肥에 큰影響을 받지 않았으며 栽稙密度가 높을수록 가벼워졌다. 5. 分蘗肥와 栽稙密度의 水準에 따라 去來의 無機質함량은 큰 차이가 없었고 T-N함량만은 施肥量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6. 正組數量은 分蘗肥 4.5㎏區 栽稙密度 92株區에서 높았으나 去來重은 1.5㎏을 제외한 3㎏, 4.5㎏區는 비슷한 경향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to the effects of tillering fertilizing and planting density upon the growth and yield of paddy rice. The experiment for this study was carried out during the tillering stage, from April till October, 1988 at the experimental farm of Chinju National Agricultural and Foresty Junior College. The levels of fertilizing were Nitrogen 1.5㎏, 3.0㎏ and 4.5㎏. And the planting densities were 72, 82, 92 and 102 panicles. The result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yield was most in the sub-plots of N.4.5 ㎏ and 72 panicles. 2. The percentage of ripeness was highest in the sub-plot of N.1.5 ㎏; it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lanting densities. 3. The higher density of planting showed the smaller number of panicles per plant. The sub-plot of N.4.5 ㎏ gave larger yield than the others. 4. The tillering fertilizing didn't exercise great influence upon the 1,000 grain weight. It became lighter in the higher planting density. 5. The inorganic substance content of uncleaned ric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illering fertilizing level and the planting densities. Only the T-N content showed a tendency of becoming larger as the fertilizing level increased. 6. The weight of winnowed rice(containing the husk) was heaviest in the sub-plots of N.4.5 ㎏ and 92 panicles. The weight of uncleaned rice was similar in the sub-plots of N.3.0 ㎏ and 4.5 ㎏ except in the 1.5 ㎏ sub-plot.

      • KCI등재

        Vibrio 균에 대한 뱀장어(Anguilla japonica) 의 면역반응

        김진우,전세규 한국수산학회 1985 한국수산과학회지 Vol.18 No.5

        경남 김해 명지 養魚場에서 飼育中이던 뱀장어(平均體重 20g)에 Vibrio anguillarum vaccine을 注射하여 일정기간이 경과한 뒤 生菌을 感染시켜 뱀장어의 免疫效果를 調査하였다. 이 實驗에서 使用된 vaccine은 25℃로 조절된 0.3%의 formalin에 24시간 방치하여 死菌化시킨 formalin-killed vaccine, 121℃에서 3分 및 15分間 가열한 vaccine等 3種類의 vaccine이다. 이 3種類의 vaccine을 接種했을때 效果의 차이와 formalin-killed vaccine의 接種 時 溫度와 接種濃度에 따른 效果를 조사했으며 booster 接種의 必要與否도 검토했다. 1984年 12月 4日부터 85年 4月 30日까지 실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水溫 15℃에서 23℃의 범위까지 抗體生産에의한 凝集力價는 水溫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고, 23℃와 28℃에서는 凝集力價는 별차이가 없었다. 2. 死菌 vaccine接種量을 10^7cells/尾로 注射하면 免疫能力이 아주 미비하였고, 10^8cells/尾에서 强한 免疫能力을 獲得했다. 그러나 10^9 cells/尾로 증가시켜도 10^8cells/尾 때와 유사하였다. 3. 10^8 ce11s/尾를 2回 接種시켰을 때 1回만 接種 시켰을 때보다 效果가 훨씬 좋았으나 3回 接種시켰을 때는 2回 接種區와 免疫效果의 차이가 없었다. 4. formalin으로 처리된 死菌 vaccine이 完全免疫을 나타내었으며 121℃로 열처리한 vaccine의 경우는 免疫效果가 약했다. Some eels Anguilla japonica, ranging from 16 to 23 g in their weight(average:20 g), were sampled at the private eel farming company equipped with water recycling system, located at Kimhae city, Kyungnam province, Korea. Three kinds of vaccine were prepared with Vibrio anguillarum (EPM-8406) isolated at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in Korea for the immune response experiment against eels; those vaccines were made by inactivating the strain with 0.3% formalin for 24hrs at 25℃, heating for 3mins or for 15mins at 121℃, respectively. The various optimal vaccination conditions for the control of vibriosis in the fish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cultivation temperature, vaccination concentration and booster effect. The maximum titer rapidly increased with higher temperature up to 23℃, but there were little differences between 23℃ and 28℃. The formalin-killed vaccine showed good efficacy at the injection concentration of above 10^8 cells per fish and little effect at the below 10^7 cells. The booster effect on the vaccination showed good efficacy above twice-injection with little-difference between the numbers of injection.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