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The Diagnostic Value of Clinical and Radiologic Findings in Children after the First Episode of Acute Pyelonephritis

        김지혜,김미정,최병민,유기환,홍영숙,이주원,Kim Ji Hae,Kim Mi Jung,Choi Byung Min,Yoo Kee Hwan,Hong Young Sook,Lee Joo Won Korean Society of Pediatric Nephrology 2005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9 No.2

        목 적 : 본 연구에서는 급성 신우신염으로 진단 받은 환아에서 여러 임상 증상 및 검사 결과와 방사선학적 검사에서 확인된 신실질 손상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DMSA 신 스캔, 신장 초음파, IVP, VCUG 등의 방사선학적 검사의 유용성과 방사선학적 검사의 결과에 따른 환아들의 임상 증상 및 검사 소견을 비교 분석하였다. 방 법 : 1998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열성요로 감염으로 처음 진단되어 입원 치료받았던 환아 11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들은 DMSA 신 스캔, 신장 초음파, IVP, VCUG를 포함한 방사선학적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각 검사의 양성률을 통하여 그 유용성을 비교하였다. 또한, 환아들의 연령, 성별, 발열 기간, 원인 균, 혈액학적 소견(백혈구 수, CRP, ESR)을 방사선학적 검사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연령에 따라 1군(1세 미만)과 2군(1세 이상)으로 분류하였으며, 각 군간의 검사 양성률 비교를 위해 chi-square test를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결 과 : 방사선학적 검사 중 DMSA 신 스캔이 가장 높은 양성률을 보였다(DMSA 신 스캔 46$\%$, 신장 초음파 32$\%$, IVP 28$\%$, VCUG 22$\%$, P<0.05). 환아의 발열 기간, 백혈구 수, 원인균은 방사선학적 검사 결과와 관련이 없었으나 CRP, ESR이 DMSA 신 스캔의 양성률과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연령별로 비교했을 때 1군에 비해 2군에서 DMSA 신 스캔 양성률이 증가하였으며 (1군 40$\%$, 2군 79$\%$, P<0.05), VCUG 역시 2군에서 녹은 양성률을 보였다(1군 16$\%$, 2군 50$\%$, P<0.05). 그러나 신장 초음파와 IVP는 각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성별로 비교했을 때 남아에 비하여 여아에서 DMSA 신 스캔 및 VCUG의 양성률이 높았으나(DMSA; 남아 39$\%$, 여아 67$\%$, VCUG; 남아 15$\%$, 여아 43$\%$, P<0.05) 신장 초음파와 IVP는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급성 요로 감염에 이환된 환아는 신손상 여부의 확인을 위하여 DMSA 신 스캔을 시행하는 것이 가장 도움이 되며, DMSA 신 스캔과 VCUG의 이상은 여아와 2세 이상에서 양성률이 높으므로, 이와 같은 경우에는 이 두 가지 검사를 반드시 시행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Acute pyelonephritis is one of the most common causes of unexplained fever in children. It may lead to the development of progressive renal damage. However, the deteclion of acute pyelonephritis can be difficult, especially in infan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agnostic value of various lab tests and imaging studies for acute renal parenchymal changes in children with APN. We correlated the clinical and laboratory manifestations of acute pyelonephritis with the Imaging studies. Methods : We reviewed the records of 115 children (85 males and 30 females) who were hospitalized Outing the period of January 1998 to December 2002 with initial clinical symptoms suggestive of pyelonephritis. The patients' age, sex, duration of fever, laboratory findings, and causative organisms were compared with the findings of imaging studies (Technetium-99m dimercaptosuccinic acid renal scan, renal ultrasonography, intravenous pyelography, voiding cystourethrography). Results : No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febrile days, leukocyte count, causative organism, and the renal abnormalities in the imaging studies were observed. On the other hand, both C-reactive protein and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levels were significantly elevated in children with positive dimercaptosuccinic acid renal scan. Furthermore, females and children older than 1 year presented with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abnormal dimercaptosuccinic acid renal scan findings and vesicoureteral reflux presented by voiding cystourethrography. Conclusion : We recommend females and children older than 1 year who are suspected of acute pyelonephritis be evaluated carefully for renal involvement by performing imaging studies including dimercaptosuccinic acid renal scan and voiding cystourethrography. (J Koroan Soc Pediatr Nephrol 2005;9:201-212)

      • KCI등재

        기업과 사회복지기관의 파트너십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김지혜(Kim, Ji-Hae)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1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37

        21세기에 들어서면서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은 경영활동의 필수적 요소로 인식되고 있으며, 특히 사회복지기관과 파트너십을 맺고 사업을 전개하는 방식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과 사회복지 기관간의 파트너십 경험에서 관계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기업 사회공헌 담당자와 복지기관 실무자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여, 주제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기업 사회공헌 담당자가 사회복지기관과의 파트너십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요인은 전문성을 보여주는 파트너 기관, 미흡한 사후관리, 기업의 특성에 대한 이해 부족, 원활한 사적/공적 커뮤니케이션 등이었다. 사회복지기관 실무자가 기업과의 파트너십의 유지에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생각하는 것은 기업 담당자의 비영리사업에 대한 마인드, 기업의 일방적인 요청, 비전과 사업에 대한 솔직한 의사소통, 실무자들간 공식적/비공식적 만남의 기회, 동등한 파트너십에 대한 이상과 현실의 괴리 등이었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기업과 사회복지기관간의 파트너십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In the 21st century,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s considered essential elements of business administration, and social contribution in partnership with social welfare institutions is drawing increasing attention. In this sense, this study conducted a thematic analysis on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relationship between companies and social welfare institutions in the partnership. To this aim,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social workers and company staff in charge of corporate philanthropy. According to the study, what the company staff thought important in their partnership with social welfare institutions were: expertise of partner institutions, insufficient aftercar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the company, and smooth communication at both private and public levels. Meanwhile, what the social workers thought critical in maintaining their partnership with companies were: mind-set of corporate counterparts about nonprofit business, unilateral requests from companies, honest communication about vision and business, opportunities for official and casual working-level meetings, and gap between reality and ideals of equal partnership.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partnership between companies and social welfare institutions.

      • KCI등재후보

        코로나19 팬데믹(Pandemic) 상황에서 시각장애인의 경험과 서비스 욕구에 대한 질적연구

        김지혜(Kim, Ji-Hae),오충원(Oh, Chung-Weon),남이해(Nam, Yi-Hae) 사회복지정책실천회 2021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Vol.7 No.1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시각장애인의 생활경험을 탐색함으로써 사회적 재난 속에서 시각장애인이 겪고 있는 어려움과 욕구를 확인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되어야 하는 서비스와 정책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코로나19 상황에서 시각장애인들의 경험을 밝혀내기 위하여 시각장애인3집단을 대상으로 초점집단인터뷰(FGI)를 실시하였으며, 주제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시각장애인은 코로나19 상황에서 감염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 정서적 어려움을 경험하였고, 정보접근의 어려움과 경제적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코로나19라는 사회적 재난 속에서 시각장애인들은맞춤형 재난 지원 서비스가 제공되고, 정보접근성이 강화되기를 바라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감염병과 재난상황에서 장애인 권리보장의원칙과 방향이 재정립되어야 하며, 장애유형별 특징에 따른 감염병 대응에대한 구체적 지침과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것과 장애인들의 감염병 정보접근성이 강화되어야 한다는 것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ifficulties that the visually impaired suffers amid social disasters, by exploring the life experiences of the visually impaired under the COVID-19 pandemic circumstances, and proposes services and policies that must be provided to resolve them. In order to figure out the experiences of the visually impaired under the COVID-19 circumstances, a focus group interview (FGI) was conducted, targeting 3 groups of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subject analysis method was used for analysis. The visually impaired has experienced fear, anxiety, and emotional difficulties regarding infection under the COVID-19 circumstances, in addition to the difficulties in accessing information and financial difficulties. Amid the social disaster of COVID-19, the visually impaired were hoping that the customized disaster support services would be provided and their access to information would be enhanced. Based on this, this study suggest the principles and directions of securing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regard to the infectious diseases and disastrous circumstances should be re-established, and specific guidelines and services for responding to infectious diseas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disability are in need. Moreover, access to information on infectious diseases should be reinforced for the disabl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부모요인, 친구요인, 개인요인이 청소년의 휴대전화 사용용도를 매개로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

        김지혜 ( Ji Hae Kim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2 청소년복지연구 Vol.14 No.3

        정보와 커뮤니케이션 기술이 삶의 중심이 되고 있는 청소년에게 휴대전화는 삶의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도구가 되었다. 이로 인해 휴대전화에 과도하게 몰입하고 휴대전화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 불안하고 초초해지는 등 휴대전화 의존현상을 보이는 청소년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신체, 정신건강상의 문제와 학교부적응 등 다양한 문제의 원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부모요인, 친구요인, 개인요인이 청소년의 휴대전화 사용용도를 매개로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 중1패널 1차년도의 청소년 2,351명의 자료를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태도는 가족과 연락을 위해 통화를 하는데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친구와 연락하거나 오락을 위해 혼자 사용하는 데에는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또래애착은 친구와 연락하거나 혼자 사용하는데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혼자사용을 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 분석결과, 휴대전화 사용용도는 부모양육태도와 또래애착이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하고 있으며, 자아존중감이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은 부분매개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을 줄이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For youth of whom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s in the center of life, mobile phones are important tools which have influence on their general lifestyles. Therefore, the number of youth is increasing who show mobile phone dependency as they feel nervous and anxious when they don`t have it and are immersed in it too much, and this is causing various problems including physical and mental problems and school-maladjust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ental factors, friend`s factors and personal factors on the mobile phone dependency of youth mediated by mobile phone uses. Data were obtained from the Korean Child-Youth Panel Survey(KCYP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for statistical analyses. On the results of the study, positive parenting attitude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the mobile phone uses to the family, and otherwise, significantly negative influence on the mobile phone uses to the friends or usage for fun alone. Besides, keeping in touch with friends or using for alon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affected by peer attachment. and the higher level of self-esteem came out to be related to the less usage of phone for fun alone. On the analysis results of mediation effect, the mobile phone uses are completely full mediating the influence of the parenting attitude and the peer attachment on the mobile phone dependency and is partially mediating the influence of self-esteem on the mobile phone dependency.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the method to decrease the mobile phone dependency of youth.

      • KCI등재

        저소득 청소년 대상 멘토링 봉사활동이 기업직원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혼합연구

        김지혜 ( Ji Hae Kim ),정익중 ( Ick Joong Chung ),김미옥 ( Mi Ok Kim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5 사회복지연구 Vol.46 No.3

        기업사회공헌활동에서 직원 참여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사회공헌활동의 성과를 측정하고자 하는 기업의 욕구도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저소득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기업 직원의 멘토링 봉사활동이 직원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혼합연구를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멘토링 봉사활동은 직원 개인의 변화와 성장에 효과가 있었으며, 조직관련 성과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멘토 활동이 어떠한 경로를 통해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 결과,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등 조직관련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직원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기업에서 봉사활동에 참여하는 직원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importance of employee participation in corporate philanthropy has increased and there are needs to measure the performance of corporate philanthropy these day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mentoring service activities targeted at low-income youth affect corporate employees through the mixed methods research. The results are as follows: mentoring service activities were effective in the employees`` personal growth and change; and performance related to the organization were also affected. Mentoring service activities did not have a direct impa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such a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had an indirect impact through improved self-esteem of employees. Finally, the suggestions were discussed based up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employee participation in corporate philanthropy.

      • KCI등재

        한국에 거주하는 조선족 청년의 삶에 대한 생애사 연구

        김지혜(Ji-Hae Kim)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0 다문화사회연구 Vol.13 No.2

        2018년 말 기준으로 한국사회에는 약 72만 8천 명의 조선족 중국동포가 이주하여 살아가고 있다. 1992년 한중수교를 계기로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오랜 기간에 걸쳐 한국으로 귀환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3세대인 조선족 청년층의 이주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조선족 3세대의 중국에서의 경험과 한국에서의 경험을 생애사적 측면에서 확인함으로써 역사적, 문화적 맥락에서 그들이 살아온 삶에 대해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조선족 청년 9명을 대상으로 개별심층면접을 진행하였으며, 질적연구방법 중 생애사 이야기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중국에서 조선족으로 살았던 경험은 ‘나를 위해 이별을 택한 부모와 홀로 남겨진 외롭고 슬픈 나’, ‘소수민족으로 살면서 겪는 무시와 차별’, ‘정체성에 대한 고민으로 혼란스러움’이었다. 한국사회에서 조선족으로 살고 있는 경험은 ‘내가 선택한 한국’, ‘조선족에 대한 한국사회의 편견과 차별’, ‘또 다시 정체성에 대한 고민’이었다. 미래의 꿈과 관련하여서는 ‘살고 싶은 곳’, ‘미래를 위한 준비’, ‘미래 나의 모습’이라는 주제를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조선족 3세대 가족에 대한 지원과 다양한 조선족 3세대의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지원 및 한국 사회 인식의 변화에 대해 제언하였다. As of the end of 2018, there were approximately 728,000 Korean-Chinese people, residing in Korea.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ties between Korea and China in 1992, Korean-Chinese people have gradually returned to Korea. More 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migration of young, third-generation Korean-Chinese.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lives of this population in both a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by learning about their subjective experiences in both China and Korea.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Korean-Chinese young adults. The interview materials were analyzed using the life history approach. As a result, the experiences of living as a Korean-Chinese person in China included: ‘Lonely and sad childhood, left alone due to parents who chose to stay apart for the children’s sake’, ‘Ignorance and discrimination while living as a minority’, and ‘Confusion regarding one’s identity’. On the other hand, the experiences of such individuals living as Korean-Chinese people in Korea included: ‘Korea, the country where I chose to live’,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in Korean society against Korean-Chinese people’, and ‘Concerns about one’s identity again’. In regard to the participants’ hopes for the future, analysis of the interviews identified, the topics ‘Where to live’, ‘Preparation for the future’, and ‘My future’. Based on the life history analysis of these interviews, this study aims to propose how Korean society should respond to Korean-Chinese people and to identify necessary changes in behavior and attitude.

      • KCI등재
      • KCI등재

        민들레 화분항원의 교차반응과 주요 알레르겐에 대한 IgE 결합 성분의 규명

        김지혜 ( Ji Hye Kim ),윤문경 ( Moon Kyung Yoon ),김미애 ( Mi Ae Kim ),신유섭 ( Yoo Seob Shin ),예영민 ( Young Min Ye ),박해심 ( Hae Sim Park )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2015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3 No.5

        Purpose: The prevalence of pollinosis is increasing, and it is expected to increase further with climate change. Mugwort and ragweed pollens are well known as prevalent allergenic weed pollens in Korea. However,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dandelion pollen as an inhalant allergen has not yet been stud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significance and cross-allergenicity between dandelion and major weed pollens. Methods: Ninety-seven patients with allergic rhinitis and asthma or with allergic rhinitis alone who were sensitized to dandelion pollens on skin prick tests (allergen/histamine ratio>3) were enrolled between December, 2012 and November, 2013. Serum specific IgE levels to dandelion pollen extracts were measured by usin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ELISA inhibition tests were performed to evaluate cross allergenecity with other weed pollens. Results: When the positive cutoff value for serum specific IgE was set at the mean±3 standard deviation of absorbance values, 52 patients (53.6%) had a high serum specific IgE antibody level. ELISA inhibition tests showed significant inhibitions with serial addition of dandelion pollen extracts, and 5 different inhibition patterns were noted with addition of 4 weed pollen extracts: significant inhibitions with pollens of mugwort, ragweed, chenopodium and Hop J (25%, 13 of 52), inhibitions with pollens of mugwort, ragweed and chenopodium (17.3%, 9 of 52), inhibitions with 2 pollens of mugwort and ragweed (32.6%, 17 of 52), inhibitions with mugwort pollen (21.1%, 11 of 52), and inhibitions with dandelion pollen alone (4%, 2 of 52).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andelion pollen may be a causative inhalant allergen to induce pollinosis in the autumn season. Cross-allergenicity with other weed pollens showed individual differences; most patients had cross-reactivity with mugwort, ragweed, and chenopodium pollens, while some with Hop J pollen. Few patients were sensitized to dandelion pollen alone. (Allergy Asthma Respir Dis 2015;3:358-36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