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자아성찰 프로젝트 "Who?"

        대용(Dae-Yong Kim),지인(Ji-In Park)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3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1

        본 어플은 사회적 문제를 기술적 패러다임에 맞춰 해결하고자 기획되었다. 일반적으로 자기 자신의 문제점보다 다른 사람의 문제점이 더 쉽게 보이고 인식하게 된다. 작은 문제로 볼 수 있지만 최근 사회적 문제로 발생하고 있는 "따돌림" 문제는 인간의 존엄성마저 잃어버리게 하고 있다. 친구들의 문제뿐 아니라 부모와 자식, 형제, 자매 등 가족들과의 의사 단절 등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위하여 많은 노력들을 하고 있지만, 실제 치료의 시간도 오래 걸리고 많은 금전도 필요하게 된다. 이렇기에 최근 트랜드의 축이 되고 있는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최소화하고 더불어 수익성을 고려하여 "WHO"의 어플을 기획하게 되었다. 특히, 사후문제 처리가 아닌 "예방"의 목적으로 상대방의 문제점을 파악하는 것과 자신의 문제점을 인지하고 해결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내가 아닌 지인이 나에 대한 평가를 보다 객관적인 평가를 하기 위하여 대상자를 자신의 스마트폰 주소록에 한정하였으며, 악위적인 댓글 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금지어, 입력글자 개수제한 등을 추가하였다. 평점을 줄 수 있게 하여 상대적이고 객관적인 점수로 자신의 평점을 알 수 있게 하였고 보다 빠른 인지를 위하여 별모양의 그래픽을 사용하여 평가하도록 하였다. 특히, 본 어플은 설치자만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주소록에 있는 명단에서 "초대하기"기능으로 설치를 유도하였다. 본 어플을 개발 후 2주간의 테스트를 통하여 어플의 기대효과에 대한 가능성에 대해 확인할 수 있었으며 추가로 개발될 어플에는 분야별 항목을 추가하여 보다 섬세한 자아평가를 가능하도록 기획하고 있다.

      • KCI등재

        디자인 대학원 작품논문 표절방지를 위한 교육 체계 및 콘텐츠 개발

        김지인(Kim, Ji In),박혜신(Park, Hye Sin),서인숙(Seo, Ihn Sook)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5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5 No.3

        연구윤리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연구윤리 교육이 확산추세에 있다. 그러나 현재의 연구윤리 교육은 단발성 특강형의 교육 중심으로 실행되고 있으며, 학과 특성에 적합한 교육 체계가 미비하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디자인 석사학위 과정에 있는 학생의 논문 지도에 있어 표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연구윤리 교육체계를 구축하되 특히 예술계에서만 존재하는 작품논문이라는 형식에 적합한 교육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는 디자인학부 석사학위 과정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총 17개월 걸친 참여관찰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연구윤리 교육 콘텐츠의 제작, 교육 및 자료수집, 교육 결과의 피드백 및 기존 콘텐츠의 수정보완, 수정 보완 된 콘텐츠를 적용한 연구 시행, 결과 분석 총 5단계에 걸쳐 단계적으로 이루어졌다. 각각의 단계에서는 교육을 통한 콘텐츠 활용도 검증, 심층면접을 통한 연구 결과의 학계검증, 연구윤리 교육 참여자들의 논문 작성 및 표절률 검사라는 객관적 검증 장치를 두었다. 연구 과정에서 학술연구윤리 교육 콘텐츠, 디자인 연구윤리 교육 콘텐츠 두 종류의 교육 콘텐츠가 개발되었으며 논문리스트 작성노트, 디자인 연구노트, 인용연습노트 총 3개의 활용 콘텐츠가 개발되었다. 결과적으로 연구주제의 구체화 과정에서 논문리스트 작성노트를 활용한 논문 주제 독창성 검증, 논문 텍스트 작성 과정에서 인용노트 활용을 통한 인용 관련 표절여부 검증 및 디자인 연구노트 활용을 통한 작품 표절여부 검증, 최종적으로 카피검사 시스템 활용을 통한 정량적 표절률 검사의 3단계에 걸친 작품논문의 표절 예방 검증 교육체계가 구축되었다. With the growing awareness of research ethics, the education for it is being disseminated. However, it is having a limitation given that the current education of research ethics is centered on special lectures in short-term period, and department-specific educational system is lack. In respect of teaching students about thesis in graduate school,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n educational system to prevent plagiarism in advance, matching the environment where there is thesis portfolio for graduation only in art school. Th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with ten graduate school students in design department for 17 months in total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s consisted of five stages: making educational contents of research ethics, collecting data, giving feedback of the education and evaluating or revising existing contents, conducting a research after applying the correction, and analyzing the result. We put objective verification tools at each stage such as verification of contents utilization through education, academic verification of the research result through in-depth interview, and inspection of thesis portfolio production and plagiarism rate by educational participants in research ethics. In the process of the research, educational contents of academic research and design research ethics were developed and three kinds of utilization contents, thesis list-writing note, design research note, and reference note, were made. As a result, it has become to set up three phases of plagiarism prevention measures: verifying creativity of thesis subject by utilizing thesis list-writing note in the embodiment process, verifying plagiarism relating to reference and artwork by utilizing reference note and design research note in the process of making thesis artwork, and verifying quantitatively through copy inspection system.

      • 비정형 멤브레인의 형상 탐색과 인터페이스 기법

        김지인(Kim Jee-In),이재홍(Lee Jae-Hong) 대한건축학회 2011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31 No.2(구조계)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ree-form membrane based on nonlinear analysis for form-finding and to propose the interface method between commercial CAD and CAE. As the numerical example, the hexagon free-form membrane is designed by commercial CAD. According to the free-form membrane that is obtained by loading a horizontal, flexible membrane with self-weight, it is deformed with large displacements. The VRML format and IGES format interact on each other to visualize the accurate geometry of form-finding result. Namely, this study proposes the interface method to express the form-finding result due to the nonlinear analysis of membrane exactly.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 : AHP를 이용한 섬관광어메니티 평가요인의 우선순위 분석

        김지인 ( Ji In Kim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5 인문사회 21 Vol.6 No.2

        해양과 섬 관광개발정책에 대한 논의와 실행 증가와 달리 섬관광 활성화를 위한 섬 어메니티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도시나 농촌과 달리 섬이 관광요소로서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섬 어메니티가 지니고 있는 구성요소를 제대로 연구할 필요가있다. 본 연구에서는 섬관광 어메니티 평가요인의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분석하고자 AHP 분석방법을 사용해 섬관광 어메니티 평가의 내.외적영향요인들을 유사한 속성끼리 분류하여 구조화한 의사결정 모형을 설계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우선순위 선정에 필요한 최종요인을 추출하기 위한 선행연구 결과, 5개 평가영역과 17개 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AHP 분석 결과, 5개 평가영역에서 고유성(0.308)이 가장 높았으며, 심미성(0.238), 친환경성(0.212). 기능성(0.125), 문화사회성(0.117)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섬관광 어메니티 평가 요인에 대한 표준과 기준을 제시하여 향후 섬관광 활성화 정책 및 사업의 계획 수립에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섬관광개발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다양한 후속연구와 정책자료로 활용 될 수 있다. The Study on island amenity to facilitate island tourism seem much to be desired although much effort to develop the marine and island tourism policies has been exerted.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importance and priority when the policy on island amenity is assessed. Analyzing preceeding papers shows that five assesment aspects and sixteen evaluation indexes are considered to be accountable. The results of AHP are as follows: uniqueness(0.308), esthetics(0.238), environment-f riendly(0.212), functionality(0.125) and cultural sociality(0.117). It is expected that this s tudy can be used for follow-up research and policy data in terms of sustainability of development of island tourism.

      • KCI등재

        논문 : 실내 디자인 요소와 서비스 환경 추론과의 관계 연구 -리조트 호텔 로비를 중심으로-

        김지인 ( Ji In Kim ),강혜승 ( Hae Seung Kang ),진기남 ( Ki Nam Jin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3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2 No.6

        대 사회의 많은 고객들은 인터넷을 통해 여행지와 숙박지에 대한 정보를 탐색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본 연구는 호텔 웹사이트에 제공된 로비의 실내디자인의 구성 요소와 서비스 환경에 대한 추론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은 리조트 호텔의 로비로 삼았다. 실내디자인의 구성요소는 컬러, 조명, 레이아웃, 가구 및 장식을 포함했으며, 서비스 환경의 추론은 종업원의 서비스, 객실환경 및 예약, 여가 시설 및 안전에 대한 서비스 추론의 요소를 포함해 측정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호텔로비의 실내디자인의 요소와 서비스 환경 추론은 모든 요소에서 정(+) 의 상관관계를 보여줬다. 실내디자인 요소 중에서도 컬러의 심미성, 조명의 적절성, 가구 및 장식의 심미성이 종업원 서비스 추론과 여가 시설 및 안전에 대한 추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객실 및 예약 서비스의 추론에는 컬러의 심미성과 가구 및 장식의 심미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는 실내디자인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고객들의 지각이 해당 환경에서 받을 수 있는 서비스의 추론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호텔 웹사이트에서 호텔의 실내 디자인에 대한 적절한 정보를 제공한다면 호텔에 대한 긍정적 추론과 기대를 형성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In contemporary society, many customers search on the Internet for travel destinations and accommodations. The aim of this study is at this tim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lements of interior design on customers` inferences about the service environment by using images posted on hotel websites.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a resort hotel lobby. The components of interior design are color, lighting, spatial arrangement, furniture, and decorations. Customers` inferences about the service environment were measured by inferences about service of hotel staff, room environment and reservations, recreation facilities and security. The result of study are as follows; The perception of the interior design of the hotel lobby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ll the elements of inferences about the service environment. Among elements in interior design, the perceptions of aesthetic colors, furniture, and decorations had an impact on the inference about the service staff, recreation and security facilities. Aesthetic colors, appropriateness of lighting, and elements of furniture and decorations influenced inferences about the rooms and reservation servi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 correlation between elements of interior design and inferences about service environment. This implies that if the hotel website provides appropriate information about the interior design of the hotel, it will help build positive inferences about and expectations of the hot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