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어휘의 노출빈도와 과제 관여도 수준이 한국인 영어학습자의 어휘 발달에 미치는 영향

        김지원(Kim, Jeewon),임현우(Lim, Hyun-Woo)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12 Foreign languages education Vol.19 No.4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interaction effects of exposure frequency and task-induced involvement on vocabulary development. Ninety female Korean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were all in their second year of high school and possessed approximately intermediate level of English vocabulary knowledge.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each was assigned one of the following three post-reading tasks: (a) high exposure frequency × low involvement, (b) moderate exposure frequency × moderate involvement, and (c) low exposure frequency × high involvement.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the [low exposure frequency × high involvement] group outperformed the other two groups in terms of their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were found in their receptive vocabulary knowledge. A delayed test, on the other hand, showed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both productive and receptive knowledge. Overall,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the high-level of task-induced involvement has no less positive effect on receptive vocabulary knowledge development and more positive effect on productive knowledge development than the high exposure frequency. Further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discussion are provided as well.

      • KCI등재

        국민건강·안전을 목적으로 하는 수출규제의 WTO 합치성 : EU의 역외국에 대한 개인의료용품 수출허가 조치를 중심으로

        김지원(Kim, Jeewon),김종범(Kim, Jong Bum) 한국국제경제법학회 2020 국제경제법연구 Vol.18 No.3

        높은 전염성으로 인하여 세계공중보건에 위협을 가하고 있는 코로나 19(COVID-19)에 대한 대응책 중 하나로 EU는 EU 역내 의료용품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잠정적 조치인 수출허가에 대한 시행규칙 2020/402를 발표하였다. 당해 시행규칙은 지정된 개인의료용품 품목수출 시 EU 역내 국가에 한해 허가를 면제하며, 제3국에 대해서는 허가 등의 규제적 행정절차를 요구하였다. 이후 시행규칙 2020/426을 통한 개정으로 EU 회원국 및 EFTA 회원 4개국, 그 외 EU 회원국들과 특별한 관계를 유지하는 해외영역 지정 국가들을 예외적으로 특정하여 수출허가 요건을 면제하였다. 해당 시행규칙은 수출 및 수입 품목에 대한 수량제한 조치를 금지하고 있는 GATT 제11조 위반이 문제되나, 이는 제11조 제2항 (a)에서 불가결한 상품의 중대한 부족을 방지하기 위한 일시적 제한 조치로서 예외가 인정될 여지가 있다. 그러나 해당 조치가 일률적인 제한이 아니며, 허가 면제국가가 아닌 역외 제3국에 대한 차별적 제한 규정임에 따라 수량제한의 무차별금지 제13조 위반에 해당한다. 또한, 이러한 위반조치는 일반적 예외 사유인 제20조 (b)의 공중보건조치 예외 범위에 포함될 수는 있으나, 제3국에 대한 차별적 조치가 자의적이고 정당화될 수 없는 차별에 해당하여 제 20조 일반 예외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한다. 따라서, 범유행성전염질병 확산을 막기 위한 국가 혹은 관세동맹의 수출규제는 국민 생명을 보호하는데 필요한 조치임에도 불구하고 같은 상황에 처한 다른 국가에 대해 일률적이지 아니하며 “자의적 또는 정당화할 수 없는” 차별적 조치일 경우 WTO 법에 합치된다고 보기 어렵다. 한편, 동 조치에 대해 EU가 EFTA 회원국 및 다른 국가들과 체결한 FTA 협정을 허용하는 지역무역협정의 예외에 관한 GATT 제24조를 적용할 경우, 해당 수출규제가 협정체결 이후 추가적으로 제3국에 적용되는 차별적 규제로 판단되기 때문에 정당화될 수 없을 것이다. WTO 체제에서 정당화되기 어려운 이러한 차별적 조치가 빈번해질 경우 WTO 체제의 균열은 가속화될 것이다. In response to the highly contagious COVID-19 that has posed a grave threat to public health, the EU announced Implementing Regulation 2020/402 which is a temporary measure requiring export authorization to ensure a constant supply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PPE) within the EU. The regulation indicates that only EU member states are exempted from the authorization requirement when listed PPE are exported to the other states, whereas non-EU members must follow restrictive administrative procedures such as a valid export authorization. By revising the regulation through Implementing Regulation 2020/426, it expands the exemption to include the four EFTA members and listed overseas countries and territories which have a special relation with the EU members on the exemption list. First of all, the regulation is likely inconsistent with the GATT Article XI which prohibits quantitative import and export restrictions, but it is also likely justified as a temporary measure applied to prevent or relieve critical shortages of essential products under the Article XI:2 (a). However, the regulatory measure is not similarly restricted to all third states, and it is also discriminatorily imposed upon the non-exempted states. It would constitute violation of the Article XIII, non‐discriminatory application of quantitative restrictions. Also, the violatory measure can be likely justified under Article XX(b), which provides an explicit exception to protect human health. Nevertheless, as the discriminatory measure constitutes a means of arbitrary or unjustifiable discrimination, it cannot meet the criteria of the Article XX, general exceptions. Therefore, the restrictive export control by the individual state or Customs Union implemented to prevent the transmission of pandemic disease is not compatible with the WTO law, when it is considered as a mean of uneven and "arbitrary or unjustifiable" discrimination against the other states. Lastly, on the analysis of whether the measure can be justified under the GATT Article 24 which establishes the exception, it should be scrutinized based on the EU"s regional trade agreements with EFTA members and other states. However, as the measure is considered as a more limited discriminatory restriction after the formation of RTA, it cannot be justified. If the discriminatory and inconsistent measures under the WTO become more prevalent worldwide, it would deepen the fissures of the WTO system.

      • KCI등재

        다문화 청소년의 지각된 차별감이 민족정체성 혼란에 미치는 영향: 이중문화역량을 통한 부모-자녀 개방형 의사소통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지원 ( Jeewon Kim ),강민주 ( Min Ju Kang ) 대한가정학회 2024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62 No.1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erceived discrimination on multicultural adolescents regarding feelings of conflict over their ethnic identity by investigating the moderating role of father-child open communication and mother-child open communication mediated by bicultural competence. A total of 234 middle school students (grades 7-8; 139 girls and 95 boy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rom which the father is Korean and the mother is not,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as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elf-report questionnaire and was analyzed via SPSS 26.0 and Process (Version 4.1) MACRO.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icultural competence mediated the effects of perceived discrimination on feelings of conflict over one’s ethnic identity. Enhanced bicultural competence resulting from a lower perception of discrimination contributed to a reduction in feelings of conflict over one’s ethnic identity. Seco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fatherchild open communication was significant, while the effect of mother-child open communication was not. Thus, the mediation relationship (lower perceived discrimination increased bicultural competence and, thus, reduced conflict over one’s ethnic identity) grew stronger as the level of father-child open communication increas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uncovering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contribute to ethnic identity development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particularly highlighting the important role of Korean fathers within multicultural household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Impacts of TBT and SPS Measures on Trade: Evidence from South Korean Exports to RCEP Economies

        왕지영(Jiyeong Wang),김동훈(Donghun Kim),김지원(Jeewon Kim)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20 동서연구 Vol.32 No.4

        현재 논의 중인 RCEP 무역협정에 대한 최종 타결이 2020년으로 예정됨에 따라, 보다 심도 있는 지역 통합을 추진하려고 하는 RCEP 회원국들 사이에서 비관세장벽(NTM)은 가장 논쟁이 될 만한 사안 중 하나로 인식된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각국은 국내 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무역의 수단으로 관세 대신 비관세조치를 도입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논문은 주요 RCEP 참여국의 비관세조치가 한국의 수출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과 주요 RCEP 참여국의 역내 무역 현황을 파악하고, 비관세장벽 중 기술적 조치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TBT와 SPS가 무역에 미치는 효과를 이론적으로 살펴보고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TBT와 SPS가 무역 및 소비자 효용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를 생산자와 소비자 관점으로 구분하여 이론적으로 살펴보았으며, 한국의 주요 교역국인 10개의 RCEP 참여국이 최근 10년 동안 (2007-2016) 도입해 온 기술적 조치인 TBT와 SPS의 국가별·산업별 WTO통보문 수를 이용하여 한국의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실증연구와 같이 전체 산업에 대한 RCEP 회원국의 TBT 도입은 한국의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SPS의 영향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둘째, TBT 영향은 산업별로 각각 다르게 나타났으며 특히 고기술집약산업인 일반기계 및 전기/전자산업에서는 부정적인 영향이 다른 산업에 비해 더욱 크게 나타났다. 셋째, TBT와 달리 SPS는 농업 분야에서 한국의 수출을 촉진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고기술집약산업과 TBT의 교차항을 고려한 결과, 고기술집약산업들은 저기술집약산업들에 비해 TBT가 무역에 미치는 부정적인 효과가 상대적으로 적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RCEP 교역국들이 주로 개도국으로 구성된 바, 한국은 상대 교역국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술수준이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As the 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RCEP) trade deal being negotiated is slated to be finalized no later than 2020, non-tariff measures(NTMs) appear to have become one of the most contentious issues among RCEP’s member states in achieving deeper regional integration.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growing trend of technical NTMs, which seem to be adopted as protective trade instruments so that they hinder intra-regional trade in the new protectionist era. The study is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South Korea in the context of RCEP. It analyzes the potential impacts of regulatory measures, namely Technical Barriers to Trade(TBT) and Sanitary and Phytosanitary measures(SPS), on trade between South Korea and RCEP’s major trading partners. This is an empirical study where a gravity model is used to assess the impacts of TBT and SPS measures imposed by the 10 member states of RCEP on South Korea’s primary exports aggregated at the two-digit level of the Harmonized System(HS) from 2007 to 2016.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1) Consistent with existing studies, the TBT imposed by RCEP’s trading partners have a negative impact on South Korea’s export values while SPS measures have an insignificant effect on the whole industry. 2) The industry-wise regression results also show the negative impacts of technical regulations on trade in majority of the industries. 3) The SPS measures imposed by the RCEP members on South Korea’s export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agricultural commodities, but insignificant impact on manufactured goods. 4) The negative impact of TBT is less significant in high-technology industries.

      • KCI등재

        사회공학 사이버작전 개념정립 연구

        신규용(Kyuyong Shin),강정호(Jungho Kang),유진철(Jincheol Yoo),김지원(Jeewon Kim),강성록(Sungrok Kang),임현명(Hyunmyung Lim),김용주(Yongju Kim) 한국정보보호학회 2018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28 No.3

        최근 사이버 공격기술을 활용해 목표시스템을 직접 공격하는 기술적 사이버작전 대신 목표시스템을 관리하는 사람의 취약점을 이용해 목표시스템에 침입하는 사회공학 기법이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도 불구하고 사이버작전과 사회공학 기법 사이의 연관관계에 대한 명확한 개념이 정립되어 있지 않아 많은 혼란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회공학 사이버작전에 대한 명확한 개념정립을 통해 향후 사회공학 사이버작전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Recently, instead of technical cyber operations that directly attack the target information system by using cyber attack techniques, social engineering techniques that indirectly invade the system by exploiting the vulnerabilities of persons who manage the system are being watched. Despite this trend, there is a lot of confusion because there is no clear concept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cyber operations and social engineering techniques. Therefore, this paper aims at establishing a clear concept of a social engineering cyber operation, helping future researchers in this literature.

      • KCI등재

        국방 IPv4 관리 체계 현황 분석 및 발전 방향

        신규용(Kyuyong Shin),강정호(Jungho Kang),유진철(Jincheol Yoo),김지원(Jeewon Kim)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18 한국군사학논집 Vol.74 No.2

        The depletion of IPv4 addresses is a global phenomenon and it can accelerate the transition from the IPv4 address system to IPv6 address system. This trend may also require a smooth IPv4 to IPv6 migration of the Defense Information System. To facilitate this migration, we ne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military IPv4 address management system and then understand what need to be done to prepare the migration. In this paper, we deeply investigated the current military IPv4 address management system for the Defense Information System and identified some issues. Then we propose efficient IP address management schemes to cope with the identified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