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드론 소음 환경에서 심층 신경망 기반 음성 향상 기법 적용에 관한 연구

        김지민,정재희,여찬은,김우일,Kim, Jimin,Jung, Jaehee,Yeo, Chaneun,Kim, Wooil 한국음향학회 2022 韓國音響學會誌 Vol.41 No.3

        In this paper, actual drone noise samples are collected for speech processing in disaster environments to build noise-corrupted speech database, and speech enhancement performance is evaluated by applying spectrum subtraction and mask-based speech enhancement technique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VoiceFilter (VF), an existing deep neural network-based speech enhancement model, we apply the Self-Attention operation and use the estimated noise information as input to the Attention model. Compared to existing VF model technique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3.77%, 1.66% and 0.32% improvements for Source to Distortion Ratio (SDR), Perceptual Evaluation of Speech Quality (PESQ), and Short-Time Objective Intelligence (STOI), respectively. When trained with a 75% mix of speech data with drone sounds collected from the Internet, the relative performance drop rates for SDR, PESQ, and STOI are 3.18%, 2.79% and 0.96%, respectively, compared to using only actual drone noise. This confirms that data similar to real data can be collected and effectively used for model training for speech enhancement in environments where real data is difficult to obtain.

      • KCI등재

        열산화법을 이용한 산화구리 나노선 수직성장

        김지민,정혁,김도진,Kim, Jimin,Jung, Hyuck,Kim, Dojin 한국재료학회 2013 한국재료학회지 Vol.23 No.1

        A simple thermal oxidation of Cu thin films deposited on planar substrates established a growth of vertically aligned copper oxide (CuO) nanorods. DC sputter-deposited Cu thin films with various thicknesses were oxidized in environments of various oxygen partial pressures to control the kinetics of oxidation. This is a method to synthesize vertically aligned CuO nanorods in a relatively shorter time and at a lower cost than those of other methods such as the popular hydrothermal synthesis. Also, this is a method that does not require a catalyst to synthesize CuO nanorods. The grown CuO nanorods had diameters of ~100 nm and lengths of $1{\sim}25{\mu}m$. We examined the morphology of the synthesized CuO nanorods as a function of the thickness of the Cu films, the gas environment, the oxidation time, the oxidation temperature, the oxygen gas flow rate, etc. The parameters all influence the kinetics of the oxidation, and consequently, the volume expansion in the films. Patterned growth was also carried out to confirm the hypothesis of the CuO nanorod protrusion and growth mechanism. It was found that the compressive stress built up in the Cu film while oxygen molecules incorporated into the film drove CuO nanorods out of the film.

      • KCI등재

        할리우드의 한국전쟁 영화에 나타난 한국인상(象)에 대한 역사적 분석

        김지민 ( Kim¸ Jimin ) 국제비교한국학회 2021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9 No.1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새로운 질서로 재편되고 있던 세계는 불확실성, 모순, 우려가 뒤섞인 채 냉전이라는 새로운 시대를 맞이했다. 1950년에 발발한 한국전쟁(1950-1953)은 여러 가지 면에서 새로운 냉전시대의 질서가 자리 잡히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한국전쟁을 전후로 제작된 미국 할리우드의 전쟁영화들은 오락의 대상인 동시에, 미국 대중들에게 새로이 시작된 냉전시대에 미국의 국가적 정체성을 확인시키고 전쟁 수행의 중요성을 설파하는 중요한 매개체 역할을 했다. 특히 이 시기전쟁 영화들은 아시아에 대한 오리엔탈리즘적인 시각과 냉전시대의 수사학이 어떻게 상호 작용했는지를 잘 보여준다. 미국 대중문화와 사회에서 아시아에 대한 오리엔탈리즘적인 시선은 이전부터 존재했지만 한국전쟁을 계기로 진화했는데, 특히 영화 상에서 한국을 아군 (남한)과 적군 (북한)으로 구분하게 되면서 그 이미지가 더욱 분화되었다. 다른 한편 한국전쟁 영화들은 냉전 초기 미국 사회에서 유효하게 작용한 두 가지 상(象)을 통해 냉전시대 미국의 역할과 한국과의 관계에 대해 미국 대중들에게 전파하는 유용한 도구였다. 그 두 이미지는 봉쇄 (containment)와 통합 (integration)으로, 각각 대내적, 대외적인 차원에서 구체화되었다. 요컨대 한국전쟁을 다룬 할리우드의 전쟁영화들은 어떻게 당시 미국인들이 대중문화를 통해 냉전시기 세계질서 초기에 새로이 규정된 한미관계를 이해해 갔는지를 잘 보여준다. The 1950s marked a time of uncertainty, contradiction, and anxiety in the post-World War II years as the Cold War started and the Korean War broke out. During the Korean War years (1950-1953), Hollywood war films provided entertainment as well as a medium helping the United States to construct a national identity and to redefine its relations with Korea. In particular, those films reflected interplays between Orientalism and the Cold War rhetoric. On one hand, Orientalistic gaze on Asia evolved during the Korean War, informing the ways in which those war films depicted both allies (South Korea) and enemies (North Korea). On the other hand, those Korean war films sought to educate the American public about their relationships with other nations in the Cold War with two imaginaries― one of containment and the other of integration―both internal and external. The Hollywood legacy of the Korean War shows how American culture was politicized and the U.S.-Korea relations would be received in the American society during the Cold War.

      • 급격한 사육환경의 변화가 가금의 생산성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김지민,윤형숙,황보종,김상호,최양호,Kim, Jimin,Yoon, Hyung-sook,Hwangbo, Jong,Kim, Sang-Ho,Choi, Yang-Ho 한국축산환경학회 2012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급격한 사육환경의 변화가 가금의 생산성과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한달 이상 사육실에서 방사된 하이라인 갈색 산란계를 무작위로 두 집단으로 나누어 반을 계속해서 같은 방사환경에서, 다른 나머지 반을 관행 케이지에서 수용하여 사육하였다. 이러한 갑작스런 사육환경의 변화는 산란율 그리고 농후난백의 높이를 증가시켰고 (P<0.05), Haugh unit를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었다 (P<0.061). 그러나 난각두께는 감소되었고 (P<0.05), 난각색은 감소되는 경향이 있었다. 환경변화 후 5일간산란계의 체중에는 변화가 없었으며 실험 종료시에 측정된 간의 색도에도 차이가 없었다. 관행 케이지로 이동된 다음날 혈장 corticosterone 농도는 급격하게 증가하였지만 (P<0.05), 5일째에는 대조구의 수준과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급격한 사육환경의 변화는 스트레스 호르몬의 분비를 증가시킨다는 것을 사사한다. 그러나 제한된 실험조건 때문에 생산성에 관한 결과의 해석에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n unexpected change in housing environment on stress in poultry. Laying hens (Hy-line Brown), adapted to a free-range housing system for more than a month,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to be subjected to an unexpected change of their housing environment: one half of them were individually housed into conventional battery cages and the other continually left in the same housing system throughout the entire period of the study. The sudden change resulted in an increase in egg production and albumen height (P<0.05), but decrease in eggshell thickness (P<0.05). The change had tendency to increase Haugh unit ($P{\leq}0.061$) and to decrease eggshell color ($P{\leq}0.074$), but did not affect body weight for 5 days thereafter. No significant changes were detected in liver color. Plasma concentrations of corticosterone was acutely increased one day after the change (P<0.05), then returned to similar control level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unexpected changes in housing environment cause acute increase in stress hormone concentrations, but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should be cautious due to the experimental conditions.

      • KCI등재

        피트모스 첨가사료가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김지민,강석민,양영록,윤정용,조권호,최양호,Kim, Jimin,Kang, Seokmin,Yang, Young-Rok,Yoon, Jeong-Yong,Jo, Kwonho,Choi, Yang-Ho 한국가금학회 2015 韓國家禽學會誌 Vol.42 No.3

        최근까지 피트모스에 대한 연구는 식물 생장촉진제, 비료대체제 및 토양오염 복원제로서의 기능에 관한 분야가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사료첨가제로서 피트모스 추출물을 이용하여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 1에서는 14일령의 Ross 150수를 각 10수씩 5개의 처리구(0.0%, 0.2%, 0.4%, 0.8% 및 1.6% PM)로 3번 무작위로 반복 배치되었고, 28일령까지 2주 동안 5개의 피트모스 첨가사료를 급여하였다. 실험 2에서는 7일령의 Ross 198수를 각 22수씩 3개의 처리구(0.0%, 0.2% 및 0.4% PM)로 3번 무작위로 반복 배치되었고, 28일령까지 3주 동안 3개의 피트모스 첨가사료를 급여하였다. 그 결과, 피트모스 함량이 0.2% 또는 0.4%가 첨가된 사료를 2주 동안 급여하였을 때, 대조구에 비해 음수량, 체중, 증체량 및 사료효율이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사료섭취량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피트모스 첨가 사료를 3주 이상 급여하였을 경우 그 효과는 감소하였다. 사료 피트모스 함량이 0.8% 이상 급여되면 사료섭취량, 체중 그리고 증체량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피트모스의 적정 첨가 비율과 급여 기간은 각각 0.4% 및 2주이며, 사료첨가제로서의 피트모스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Peat moss has been found to be useful as a plant growth substance, fertilizer, and soil solution. It is not known, however, whether dietary peat moss affects performance in broiler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etary peat moss as a feed ingredient in broilers. Experimental diets were prepared by mixing basal feed with PM at 0.0, 0.2, 0.4, 0.8, and 1.6%. In experiment 1, 150 14-day-old Ross broiler chicks were housed for 2 weeks in 15 pens that were randomly assigned into five groups (0.0%, 0.2%, 0.4%, 0.8% and 1.6% PM). Dietary peat moss at 0.2% and 0.4% significantly increased the water intake, body weight,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compared with the control (0.0% PM, P<0.05) but did not affect feed intake. Higher levels of PM (0.8 and 1.6%) significantly decreased feed intake, body weight and weight gain. In experiment 2, 198 7-day-old Ross chicks were housed for 3 weeks in nine pens that were randomly assigned into three groups (0.0%, 0.2% and 0.4% PM). When the broilers were fed with dietary peat moss for 3 weeks, the peat moss effects disappeared.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how that low amounts of dietary peat moss may exert beneficial effects on performance in broilers.

      • KCI등재

        녹차의 급여가 스트레스하의 산란계가 생산한 계란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김지민,윤형숙,최양호,Kim, Jimin,Yoon, Hyung-Sook,Choi, Yang-Ho 한국유기농업학회 2014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2 No.4

        Green tea has been known to show beneficial effects on alleviating stres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etary green tea on quality of eggs, during storage, laid by laying hens treated with corticosterone in order to mimic the current practice of the egg market. Hens were fed for 2 weeks one of three diets containing green tea at 0.0, 0.4 or 1.0%. Each dietary group was divided into two subgroups receiving corticosterone at 0 or 30 mg/kg for 1 week. Eggs, laid at 5-7 days following the initiation of corticosterone treatment, were stored at $10^{\circ}C$ for 1 or 5 weeks and then analyzed for egg quality. After 1 week of storage, egg weigh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green tea (p<0.025) but decreased by corticosterone (p<0.0001), but no interaction was observed between both. Corticosterone decreased shell color (p<0.0001) but green tea significantly decreased shell strength (p<0.006). Yolk color, albumen height and Haugh unit were not affected by both treatments. After 5 weeks of storage, corticosterone resulted in reduced egg weight (p<0.01) and eggshell color (p<0.001) and increased shell strength, which were not attenuated by green tea. Taken together,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how that dietary corticosterone reduces egg quality during storage, which are attenuated in part by dietary green tea. 본 연구의 목적은, 녹차의 급여가 스트레스 하에 있는 산란계가 생산한 계란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특히 농장에서 계란의 출하와 시장에서 계란이 유통되는 기간을 고려하여 산란 후 1주 그리고 5주에 계란의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하이라인 브라운 레그혼 산란계를 3개의 처리구로 나누고, 녹차가 0.0, 0.4 및 1.0% 첨가된 사료를 2주 동안, 그 후 이들 각각의 사료에 kg 당 corticosterone 30 mg의 첨가 또는 무첨가 사료를 1 주동안 급여하였다. 급여 5~7일에 채란된 계란을 냉장 보관하였고, 그 후 1주 및 5주째에 계란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난중, 난각색, 난각강도, 난황색, 난각두께, 난각무게 난백높이 및 호유니트(Haugh unit)가 측정되었다. 저장 1주째에 녹차는 난중을 증가시켰고(p<0.025) corticosterone은 난중을 감소시켰지만(p<0.0001), 녹차는 이러한 난중 감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Corticosterone에 의해 난각색은 유의적으로 감소된 반면(p<0.0001), 녹차는 난각강도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p<0.006). 그러나 난황색, 농후난백고 및 HU는 두 처리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Corticosterone의 처리로 5주간의 저장기간 동안 난중(p<0.01)과 난각색(p<0.001)은 감소되었고 난각강도는 높아졌지만(p<0.035), 녹차가 이러한 영향을 변화시키지는 못했고 녹차 그 자체의 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녹차의 급여는 계란의 저장기간이 단기간인 경우 난중의 저하를 지연시키는데 기여하지만 저장기간이 길어질 경우 녹차의 효과는 인정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 유기성폐기물 유래 암모니아로부터 바이오수소 생산 가능성 평가

        김지민 ( Jimin Kim ),김경철 ( Kyeong Choel Kim ),임성원 ( Seongwon Im ),이창규 ( Chang-kyu Lee ),안용태 ( Yongtae Ahn ),김동훈 ( Dong-hoon Kim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21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

        수소는 연소시 이산화탄소 등의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청정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어 현재 국가정책으로 2040년까지 수소 공급량 연간 5백만톤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존하는 다양한 수소 제조 방법 중 유기성폐기물로부터 생물학적 암발효와 혐기성소화를 통해 생산된 바이오가스 내 메탄을 수증기 개질법을 통해 수소 생산을 하는 방법을 현재 국가적인 차원으로 이용하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유기성폐기물중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가축분뇨와 하수슬러지는 총질소 농도가 약 5~30 kg/ton정도로 매우 높은 값을 가지고 있으며 혐기성 소화와 암모니아 스트리핑을 거치고 나면 연간 약 7백만톤의 암모니아 가스 생산이 가능하며, 암모니아는 미래의 수소저장체로서 각광을 받고 있기에 수소 생산량에 추가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기성폐기물에서 생성되는 암모니아를 이용해 수소를 추출하는 공정을 추가적으로 고려해 기존 공정(암발효와 수증기 개질 공정)과 비교하여 수소 생산에 있어서의 양적ㆍ에너지 효율적 이익을 산정하였다. 유기성폐기물은 음식물쓰레기, 가축분뇨, 슬러지의 연간 발생량과 일반적인 국내 성상을 기준으로 수소 생산량을 계산하였다. 암발효공정과 수증기 개질 공정을 통해 생산할 수 있는 수소는 연간 50만톤으로 계산되며, 유기성폐기물로부터 생성된 암모니아를 이용해 수소를 생산하는 공정에서 수소발생량이 연간 115,000톤으로 기존 공정의 약 23%를 추가로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전체 에너지 소모효율을 약 13%가량(기존 공정 : 9.0 kWh/kg H<sub>2</sub>, 추가공정포함 : 7.8 kWh/kg H<sub>2</sub>) 낮출 수 있어 유기성폐기물 유래 암모니아를 이용한 수소 생산을 수소생산 공정에 추가하게 된다면 유의미한 수소 발생량 증가와 에너지 효율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KCI등재

        국내 유기성폐기물의 바이오수소 잠재량 분석

        김지민(Jimin Kim),임성원(Seongwon Im),알사예드(Alsayed Mostafa),프라카시옴(Om Prakash),김동훈(Dong-Hoon Kim) 대한환경공학회 2021 대한환경공학회지 Vol.43 No.9

        목적: 우리나라는 지구온난화의 가속을 줄이기 위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저감시키는 방법 중 하나로 화석연료 사용량의 일부를 수소 에너지로 대체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수소는 천연가스, 석탄 등의 다른 에너지원에 비해 높은 발열량(122 MJ/kg)을 가지고 있으며 연소 시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청정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현재 국내의 그린수소 생산방법인 재생에너지원을 이용한 수전해 방식은 기후조건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공급량이 불안정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소 생산량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폐자원·바이오매스 중 기존 바이오가스화 시설과 연계할 수 있는 유기성폐기물(음식물류폐기물, 가축분뇨, 하수슬러지)로부터 회수 가능한 수소 잠재량을 산정하였고, 이에 따른 온실가스 저감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유기성폐기물로부터 생산할 수 있는 수소 잠재량을 산정하기 위해 유기성폐기물의 국내 연간 발생량과 일반적인 유기물 성상을 이용하여 암발효와 바이오가스 개질 공정을 통해 생산될 수 있는 연간 수소 잠재량을 산정하였으며, 생산된 수소를 화석연료 대체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였을 때 저감시킬 수 있는 온실가스양을 산출하였다. 결과 및 토의 : 유기성폐기물의 연간 발생량과 기초 성상을 이용하여 암발효와 바이오가스 개질공정을 통해 생산될 수 있는 수소양은 각각 연간 4만톤, 67만톤이며, 유기성폐기물 종류별 수소 생산량은 가축분뇨 86%, 음식물류폐기물 10%, 하수슬러지 4%순으로 산정되었다. 총 수소 생산량은 연간 72만톤으로 2040년도 국내 수소생산 목표량의 약 14%를 차지할 수 있다. 생산된 바이오수소의 온실가스 저감으로서의 가치는 총 500만톤 CO₂-eq이다. 수소 제조 공정 시 소모되는 전력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을 고려하면, 암발효의 경우 수소생산전력의 7%, 바이오가스 개질은 60%가 전력으로 소비되어 저감 가능한 온실가스 양은 연간 211만톤 CO₂-eq으로 파악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국내 대표적 유기성폐기물로부터 생산 가능한 바이오수소 잠재량을 분석한 최초의 결과로서, 향후 폐자원/바이오매스 활용 그린수소 정책 계획에 적극적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Objectives : To mitigate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our country is trying to replace fossil fuel to hydrogen (H₂). H₂ has higher energy yield (122 MJ/kg) than other energy sources (natural gas, coal, etc.), and is considered a clean fuel that produces only water upon combustion. The water electrolysis using renewable energy is one of the green-H₂ producing methods, but its unstable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weather condition impede its practical application. Therefore, to establish green-H₂ society, the use of waste and biomass is essential to fulfil the demand. Methods : In this study, we estimated the biohydrogen potential of organic solid wastes: food waste, livestock manure, and sewage sludge, which are the main feedstock of domestic biogas plant. For the H₂ generation process, dark fermentation (DF) and steam biogas reforming (SBR) were considered. Results and Discussion : The potential amount of H₂ through DF and SBR was 44,000 ton/y and 675,000 ton/y, respectively. The GHG reducing potential was estimated to be 5 million tons CO₂-eq/year, but it can be lowered down to 2 million tons CO₂-eq/year, considering the energy consumption during H₂ generation process. Among the energy potential of produced H₂, 7% and 60% is required for H₂ production in DF and SBR, respectively. Conclusion : The expected biohydrogen production was 718,000 ton/y which can account for about 14% of the domestic H₂ production target in 2040 (526 million tons). The main source was livestock manure (86%), and minor fraction was from food waste (10%), and sewage sludge (4%). The GHG reducing potential was estimated to be 2 million tons CO₂-eq/year, considering the energy consumption during H₂ generation process.

      • KCI등재

        미국 시민사회의 일본군‘위안부’ 문제 인식과 램지어 논문을 둘러싼 논란

        김지민(Jimin Kim) 역사비평사 2021 역사비평 Vol.- No.135

        Recently, Harvard law school professor Mark Ramseyer’s article denying the history of ‘comfort women’ during World War II caused a great deal of controversy in the academia. Since the House Resolution 121 on ‘comfort women’ was passed in 2007, the ‘comfort women’ redress movement has ensured many supporters in different cities in the United States. The ‘comfort women’ activists have effectively presented this problem as a universal women’s rights issue, which is relevant to today’s sexual violence and human trafficking crimes in the American society. Meanwhile, Japan’s ultra-rightists declared their nationalistic “history war”, aiming to remove the ‘comfort women’ history from the U.S. and other countries. However, their denialism has rather led American public and scholars to empathize with and support ‘comfort women.’ Despite some disagreements on methods of activism, the activists and scholars have confirmed the truthfulness of the ‘comfort women’ history and agreed on the ultimate goal of restoring justice for the victims. Controversy regarding the Ramseyer’s article has revealed important features of the ‘comfort women’ redress movement in the U.S. and how the American public and scholars have understood this issue.

      • 개인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 맥락에 관한 연구

        김지민(Jimin Kim),최고야(Goya Choi),박명철(Myeong-Cheol Park) 한국경영학회 2016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8

        본 연구는 5가지 (데스크톱, 노트북, 넷북, 태블릿PC, 스마트폰) 개인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자 맥락에 대한 연구로, 특히 컴퓨팅 사용 맥락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어떤 세부 사용 맥락에서 그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지를 살펴보았다. 개인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 맥락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비조작적 환경에서의 맥락 정보 수집에 사용되는 다이어리 기록법을 사용하였고,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독립성 검정을 통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개인용 컴퓨팅 디바이스의 사용 맥락을 증명하였다. 또한 실제 스마트폰 사용자를 대상으로 사용 맥락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선행요인들을 설문조사기법을 통해 알아보았으며, 밝혀진 요인들과 스마트폰 사용 맥락 변화간의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도래하는 사물 인터넷 시대에 발맞추어, 사용맥락이라는 중요한 개념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한 초기 연구라는 것에 큰 학문적 시사점이 있다. 또한 앞으로 등장할 다양한 사물인터넷 기반 통신 서비스에 사용자에 대한 이해와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