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종삼의 시 「園丁」과 미다스 신화의 상동성

        김정배(Kim Jeong-bae) 국어문학회 2016 국어문학 Vol.62 No.-

        본고는 기본적으로 미다스 신화의 서사 구조와 김종삼의 시 「園丁」의 의미 구조의 상동성을 고찰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그리스 로마신화 속 미다스의 이야기와 김종삼의 시 「園丁」은 모티프와 내용 전개가 유사하고, 김종삼의 시적 편력이 서양의 문화와 예술에 집중되어 있음을 착안하여 그의 시세계의 정서적 확장과 문학적 공명의 시적 영향력을 넓히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園丁」과 미다스 신화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죄의식’과 ‘물신성’이 김종삼의 시세계 전반에 또 다른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특징은 물신성의 극복이라는 새로운 시적 과제를 김종삼에게 안겨줌과 동시에 시적 주체성의 회복이라는 문제의식과도 귀결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 과정에서 도출되는 ‘내용 없는 가난함’과 ‘순수 예술 지향’의 모습은 김종삼의 시 「園丁」과 그리스 로마신화 속 미다스의 이야기가 형성해 내는 독특한 상동성에서 기인한다고 본고는 고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homology of semantic structure between the poem 「The Gardener」 by Kim Jong-sam and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Midas mythology. More specifically, 「The Gardener」 and the story of Midas in Greek mythology have similar motifs and plot developments. Also, by observing the poetic journey of Kim Jong-sam that focused on the culture and art of the West, in this paper tried to widen the emotional expansion of his poetic world as well as his poetic influence of literary resonance. The author of this paper determined that ‘a sense of guilt’ and ‘fetishism’ commonly found in the 「The Gardener」 and Midas mythology present an alternative direction to Kim‘s poetic world. It was concluded that these characteristics, while posing a new poetic challenge of overcoming fetishism to Kim, have be boiled down to the issue of recovering poetic independence. In regards to the ‘poverty with no content’ and ‘pure art-oriented’ images derived from within, we considered them to be attributed to the unique homology generated by 「The Gardener」 and the story of Midas mythology.

      • KCI등재후보

        『화사집』에 나타난 구어적 상상력

        김정배 ( Jeong Bae Kim ) 영주어문학회 2012 영주어문 Vol.23 No.-

        This paper considered a colloquial imagination in Seo, Jeong-Joo`s first book of poems, ?Hwasajip? from the following four perspectives. Firstly, it ``accepts an oral language through a body language``. It proves that an oral language is ``a straightforward(Jikjeong) language emphasizing and reflecting physical phenomena``, beyond the concept of a simple and individual dialect. Seo, Jeong-Joo``s poetic language has spontaneous properties and intactly shows properties of spoken language. This is worthy of notice as a poetic language unique to Seo, Jeong-Joo. Secondly, it ``repeats and expands a colloquial language``. Repeated effects of sound and a conscious repetition of a poetic language are recognized as media to exteriorize poet``s inner state. It was found that this process was helpful for the poetic narrator to express his poetic consciousness more solidly. Thirdly, it ``discovers ecriture and a poetic will``. Seo, Jeong-Joo releazed ecriture`s aesthetic beauty using non-sensuous similiarity and his own unique sense of language. Particularly, he frankly conveyed his mental state to readers, by using punctuation marks intensively. Lastly, it ``expresses the feelings of despair based on poetic self-consciousness``. As a result, a colloquial language used in Seo, Jeong-Joo`s poems is associated with the feelings of despair. It represents that the poet`s personal experience promoted using the colloquial language. It was also found that the poetic selfconsciousness inside him was embodied in a literary way.

      • KCI등재

        안정동위원소를 이용한 서해연안 실뱀장어의 먹이 습성

        김정배,이원찬,김대중,성기백,최희구,최우정,황학빈,홍석진,김형철,박성은,심정희,강창근,Kim, Jeong Bae,Lee, Won-Chan,Kim, Dae-Jung,Seong, Ki Baik,Choi, Hee-Gu,Choi, Woo-Jeung,Hwang, Hak Bin,Hong, Sokjin,Kim, Hyung Chul,Park, Sung-Eun,Shim, 한국해양학회 2013 바다 Vol.18 No.4

        실뱀장어는 산란장인 마리아나해구에서 산란 및 부화과정을 거쳐, 뱀장어 자어인 렙토세팔루스 단계에서 북적도 해류와 쿠로시오 해류를 따라 회유하면서 변태과정을 거치게 된다. 변태된 실뱀장어는 동중국해를 지나 우리나라 연안으로 올라오는데 실뱀장어의 먹이원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었다. 실뱀장어 먹이원은 안정동위원소 비값을 측정하여 수서 생태계에 존재하는 먹이망에 의한 단계별 증가율을 해석함으로써 가능하다. 2012년 4월에 채집된 자연산 실뱀장어의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를 측정하여 먹이원을 밝히기 위하여 실뱀장어 ${\delta}^{13}C$과 ${\delta}^{15}N$를 분석하고 서해안 및 동중국해 북부해역의 가용 가능한 입자유기물질에 대한 값들을 분석, 비교하였다. 우리나라 서해안에서 채집된 실뱀장어의 ${\delta}^{13}C$값은 $-20.7{\pm}0.1$‰, ${\delta}^{15}N$값은 $5.0{\pm}0.2$‰로 나타났다. 실뱀장어의 가용 먹이원으로 추정되는 입자유기물질 중 서해안의 ${\delta}^{13}C$값은 $-24.0{\pm}0.3$‰이고, ${\delta}^{15}N$값은 $2.8{\pm}0.4$‰이었고, 동중국해 북부해역의 ${\delta}^{13}C$값은 $-24.5{\pm}0.5$‰이고, ${\delta}^{15}N$값은 $0.8{\pm}0.3$‰이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영양단계에 따른 동위원소 분별 비값 증가율을 고려할 때, 본 연구에서 나타난 서해안과 동중국해의 POM과 서해안에서 채집된 실뱀장어의 ${\delta}^{13}C$과 ${\delta}^{15}N$값의 차이는 서해안과 동중국해의 입자유기물질이 자연산 실뱀장어의 먹이원으로써 이용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우리나라 연안에서 채집되는 실뱀장어는 뱀장어 자어인 렙토세팔루스에서 변태과정을 거친 이후에는 먹이를 섭이하지 않고 회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lass eels (Anguilla japonica) are caught in the west coast of Korea on their migratory route from the breeding grounds in the Mariana Trench along the North Equatorial Current and the Kuroshio Current. To identify the food source of natural glass eels, we analyzed the stable C and N isotopes of glass eels caught in April 2012 and investigated possible food sources in the survey area. In particular, with respect to the stable C and N isotopes of particulate organic matter, we extended the surveying area to the northern parts of East China Sea as well as the west coast of Korea. The stable C and N isotope ratios of the glass eels caught in the west coast were found to be $-20.7{\pm}0.1$‰ and $5.0{\pm}0.2$‰, respectively. The stable C and N isotope ratios of the particulate organic matter in the west coast of Korea, in which the glass eels are assumed to eat the particulate organic matter as food source, were estimated to be $-24.0{\pm}0.3$‰ and $2.8{\pm}0.4$‰, respectively. Similar data were obtained from the northern part of the East China Sea, $-24.5{\pm}0.5$‰ and $0.8{\pm}0.3$‰. The stable isotope ratios showed values differing from the stepwise increasing rates up the food web in natural aquatic ecosystem, showing that particulate organic matter in the west coast of Korea and East China Sea was not served as the glass eels food source. This result suggested that the glass eels caught in the west coast might not assimilate nutrition from the marine environment during long migration.

      • KCI등재

        아시아 몬순특성을 고려한 다중 GCMs 선정방법 개발 및 평가

        김정배,김진훈,배덕효,Kim, Jeong-Bae,Kim, Jin-Hoon,Bae, Deg-Hyo 한국수자원학회 2020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3 No.9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a framework for selecting multi-GCMs considering Asia monsoon characteristics and assess it's applicability. 12 climate variables related to monsoon climates are selected for GCM selection. The framework for selecting multi-GCMs includes the evaluation matrix of GCM performance based on their capability to simulate historical climate features. The climatological patterns of 12 variables derived from individual GCM over the summer monsoon season during the past period (1976-2005) and they are compared against observations to evaluate GCM performance. For objective evaluation, a rigorous scoring rule is implemented by comparing the GCM performance based on the results of statistics between historical simulation derived from individual GCM and observations. Finally, appropriate 5 GCMs (NorESM1-M, bcc-csm1-m, CNRM-CM5, CMCC-CMS, and CanESM2) a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ranking of GCM and precipitation performance of each GCM. The selected 5 GCMs are compared with the historical observations in terms of monsoon season and monthly mean to validate their applicability. The 5 GCMs well capture the observational climate characteristics of Asia for the 12 climate variables also they reduce the bias between the entire GCM simulations and the observational data.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various climate variables for GCM selection and, the method introduc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select more reliable climate change scenarios for climate change assessment in the Asia region.

      • KCI등재

        연안 양식장 퇴적물의 비료화를 위한 알카리 안정화 공법의 적용

        김정배,최우정,이필용,김창숙,이희정,김형철,KIM Jeong Bae,CHOI Woo Jeung,LEE Pil Yong,KIM Chang Sook,LEE Hee Jung,KIM Hyung Chul 한국수산과학회 2000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3 No.6

        In an attempt to evaluate the fertilizer of sediments obtained from coastal farming areas, chemical composition, bacteriological quality and heavy metals in the sediments alkalized by quicklime and magnesium hydroxide were analyzed. The optimum conditions of alkalization were also measured. A perfect reaction was possible by the addition of quicklime of $30{\%}$ at the rate of $25{\%}$ of sediment and $100{\%}$ of livestock waste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standard for compost constituent by Higgins, all composts had the intermediate or high grade in $T-N, K_2O,\;CaO\;and\;MgO$, but below the low grade in $P_2O_5$, Stabilization by quicklime and magnesium hydroxide has been known to inhibit bacterial decomposition of organic matter and activity of pathogenic organisms. In this study, raising pH of stabilized sediments to 12 for 2 hours (PSRP rriteria of EPA) allowed $99.9{\%}$ of coliform group, fecal group and viable cell count to be reduced. As a result, sediments of coastal farming areas are likely to be used to produce the organic fertilizer by alkaline stabilization. 알카리 안정화방법에 의거하여 양식장 퇴적물을 농업용 유기질 비료로 사용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제조과정에 따른 비료의 유효성분 및 중금속농도를 분석하고, 비료의 유해성 여부를 평가하였다. 퇴적물과 축산분뇨 혼합율 및 첨가제의 양을 달리하여 비료를 제조한 결과 생석회 $30{\%}$ 첨가시 건중량비 1 : 4 이었을 때가 최적의 반응조건 이었다. 또한, 알카리 안정화제로서 수산화 마그네슘도 영양분의 보강제 측면에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제조된 퇴적물 조비료는 질소 및 칼륨 함량을 기준으로 할 때 중급 내지 고급 비료로 평가되었으며, 칼슘과 마그네슘의 함량은 고급 비료에 속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알카리 안정화 방법으로 양식장 퇴적물을 유기질 비료로 전환 생산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또한 알카리 안정화에 의해 제조된 비료내의 중금속 및 병원성균에 의한 유해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안정동위원소를 이용한 낙동강 하구 실뱀장어의 먹이 습성 분석

        김정배,이원찬,김형철,홍석진,박경동,KIM, JEONG BAE,LEE, WON-CHAN,KIM, HYUNG CHUL,HONG, SOKJIN,PARK, KYEONG DONG 한국해양학회 2016 바다 Vol.21 No.1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자연산 실뱀장어는 마리아나 해구에서 산란 및 부화의 과정을 거친후 북적도 해류를 따라 회유한다. 자연산 미성어인 실뱀장어는 우리나라의 남 서해안에서 채집되어 양식용 종묘로 이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산 실뱀장어의 섭식과정을 알아보기 위하여 2014년 3월과 4월 낙동강 하구에서 실뱀장어를 채집하여 전장, 습중량, 건중량, 탄소 및 질소 함량, 안정동위원소비를 분석하였으며, 아울러 수온과 염분을 측정하였다. 낙동강 하구의 수온은 $13.2{\pm}1.0$(평균 ${\pm}$ 1SE; 범위는 $10.1{\sim}15.7)^{\circ}C$ 이었고, 염분은 $24.8{\pm}2.4$(13.2~34.0)이었으며, 수문 개방시 염분은 13.2~30.0(평균 21.2)로 낮은 값을 보였다. 실뱀장어의 전장은 $56.5{\pm}0.2$(51.0~63.6) mm, 습중량은 $70.9{\pm}1.4$(33.6~133.2) mg, 건중량은 $16.5{\pm}0.3$(10.1~29.1) mg이었다. 실뱀장어의 탄소와 질소 함량은 각각 $51.0{\pm}0.8%$ 및 $13.9{\pm}0.1%$ 이었다. 낙동강 하구에서 채집된 실뱀장어의 ${\delta}^{13}C$ 및 ${\delta}^{15}N$값은 각각 -20.9±0.2‰, 6.1±0.1‰로 북적도 해류에서 채집된 뱀장어 자어인 렙토세팔루스와 유사한 값을 보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낙동강 하구에서 채집된 실뱀장어는 뱀장어 자어에서 실뱀장어로의 변태과정을 거친 이후 회유하는 동안 먹이를 섭이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Wild glass eels found in the Korean peninsula are thought to migrate along the North Equatorial Current and undergo the processes of spawning and incubation in the Mariana Trench. Juveniles of the wild glass eels are collected from the southern and western coasts of the Korean peninsula and used as seeds for aquaculture. To investigate the feeding behavior of wild glass eels, we collected glass eels from the Nakdong River estuary during March and April 2014 and analyzed the total length, wet weight, dry weight, carbon and nitrogen contents, and stable isotope ratio of eels as well as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Water temperature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was $13.2{\pm}1.0$ (mean ${\pm}$ 1SE; range, $10.1{\sim}15.7)^{\circ}C$ and salinity was $24.8{\pm}2.4$ (13.2~34.0), showed a lower range from 13.2 to 30.0 (a mean of 21.2) when the floodgates were opened. The total length of glass eels was $56.5{\pm}0.2$ (51.0~63.6) mm, wet weight was $70.9{\pm}1.4$ (33.6~133.2) mg, and dry weight was $16.5{\pm}0.3$ (10.1~29.1) mg. Carbon and nitrogen contents of glass eels were $51.0{\pm}0.8%$ and $13.9{\pm}0.1%$, respectively. Mean ${\delta}^{13}C$ and ${\delta}^{15}N$ values of glass eels collected from the Nakdong River estuary were -20.9±0.2‰ and 6.1±0.1‰, displaying similar values to those of leptocephalus, glass eel larvae collected from the North Equatorial Current. Therefore, this result suggest that the glass eels collected from the Nakdong River estuary do not feed on prey after metamorphosis from eel larvae to glass eels their migration.

      • KCI등재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ingle Bubble Growth Behavior and Bubble Shape Assumption in Pool and low-He Flow Boiling

        김정배,Kim, Jeong-Bae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2009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Vol.29 No.3

        포화상태 핵비등과 저 Re수의 흐름비등에서 얻어진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기포가 성장하는 동안의 등가 기포 직경과 열전단율의 거동에 대한 기포 형상 가정의 효과를 제시하기 위한 해석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등가 기포 반경이 기포가 성장하는 동안 촬영된 기포의 이미지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형상 가정을 이용하여 계산되었다. 그리고 열전달율을 포화상태 핵비등 동안 미세크기의 히터와 휘스톤브리지 회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리고, 기포 형상 가정의 효과를 실험결과와 비교하였고, 이를 통해 단일 기포의 성장 거동을 분석하기 위한 기포 형상 가정이 매우 중요함을 보였다.

      • KCI등재

        이중편파 레이더의 홍수예보 활용성 평가

        김정배,최우석,배덕효,Kim, Jeong-Bae,Choi, Woo-Seok,Bae, Deg-Hyo 한국수자원학회 2015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8 No.4

        본 연구에서는 이중편파 레이더 추정강우의 홍수예보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비슬산 강우레이더 100 km 반경 내 AWS (Automatic Weather System) 123개 관측소를 대상으로 레이더 추정강우의 오차를 레이더 반경 및 강우강도의 증가에 따라 평가하였다. 이중편파 레이더 추정강우가 단일편파 레이더 추정강우에 비해 오차가 작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중편파 레이더 추정강우의 홍수예보 활용성 평가 및 적용을 위해 유역평균강우량을 산정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이중편파 레이더 추정강우가 단일편파 레이더 추정강우에 비해 관측치에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강우형태에 관계없이 강우 강도가 강한 부분에서 이중편파 레이더의 정확도가 향상됨을 보였다. 그러나 차등반사도를 통해 산정된 강우는 과대추정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연속형 저류함수모형인 SURR 모형에 적용하여 남강댐 유역에 대한 유출해석을 수행하였다. 이중편파 레이더 추정강우를 통한 유출량이 단일편파 레이더 추정강우에 비해 유출용적오차는 약 12~63%, 첨두유량오차는 약 30~42% 감소하였으며, 평균제곱근오차 또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중편파 레이더에 의해 산정된 유역평균강우량을 유출모형에 적용할 경우 AWS 강우로부터 추정된 유출결과보다 더 우수한 경우가 있어 향후 홍수예보 활용 시 예보의 정확도 향상에 기여하리라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dual-polarization radar for flood forecasting. First, radar rainfall has temporal and spatial errors, so estimated radar rainfall was compared with ground observation rainfall to assess accuracy improvement, especially, considering the radar range of observation and increase of the rainfall intens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error for estimated dual-polarization radar rainfall was less than single-polarization radar rainfall. And in this study, dual-polarization radar rainfall for flood forecasting was assessed using MAP (Mean Areal Precipitation) and SURR (Sejong University Rainfall Runoff) model in Namkang dam watershed. The results of MAP are more accurate using dual-polarization radar. And the results of runoff using dual-polarization radar rainfall showed that peak flow error was reduced approximately 12~63%, runoff volumes error was reduced by approximately 30~42%, and also the root mean square error decreased compared to the result of runoff using single-polarization radar rainfall. The results revealed that dual-polarization radar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the accuracy of the flood forecas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