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박경동 지역사회학회 2010 지역사회학 Vol.11 No.2
본 연구는 소록대교 개통으로 인한 ‘공간’의 의미변화가 소록도에 거주하는 한센인들의 일상적인 삶을 어떻게 바꾸었는가에 주목한다. 따라서 소록대교 개통 이전의 장소성의 변화과정을 통시적으로 고찰하며, 국가권력과 주체의 관계를 설명한다. 또한 소록대교 개통 과정에서 구성되는 담론과 소록대교 개통 전·후 지역민의 일상변화를 분석하였다. 소록대교 개통 후 관광객은 급증한다. 이는 기존의 병원 및 고립된 섬의 이미지가 개방된 공간, 역사문화 관광지로 공간적 특성이 변화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장소성에 대한 변화는 주체와 객체의 관계를 전도시키고, 사회와 단절된 채 살아온 한센인 공동체의 일상에 충격을 가한다. 결과적으로 한센인들은 외부인을 경계하며, 자신의 활동 공간을 축소하는 전략을 취한다. 그들은 주객의 전도를 한탄하면서도 관광객을 규제하기 위해 주차비를 받아야 할지 말아야 할지 고민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한센인 스스로도 소록도의 공간적 정체성들이 흔들리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현재 소록도란 공간은 개방되었지만 아직까지는 이윤창출의 도구로 활용되진 않는다. 하지만 자연스럽게 국립병원의 장소성에서 서서히 관광지로 의미가 변화하고 있음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朴卿東 釜山工業大學校 1980 論文集 Vol.21 No.-
The author has experimentally studied the effect of tempering temperature and aging on the fatigue strength of carbon steel(S20C) under the repeat bending fatigue test.
朴慶東,崔俸準,李東久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83 慶北醫大誌 Vol.24 No.2
胃潰瘍과 胃癌의 周邊粘膜變化의 差異를 알아보기 위하여 96例의 胃癌標本과 53例의 胃潰瘍標本을 對象으로 組織構築學的 觀察을 한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胃內 部位別로 癌이나 潰瘍 모두 小彎의 中央部에 가장 흔하였으며 幽門部에서는 癌의 頻度가 더 높았다. 潰瘍에 隣接한 粘膜에는 주로 腸上皮化生이 나타나고 그 주위로 萎縮性胃炎이 둘러싸고 있었으며 이들 變化는 潰瘍의 크기가 클수록 더 넓게 分布하였다. Atypical hyperplasia는 潰瘍이 4㎝ 이상인 때 주로 나타났으며 大部分 潰瘍에 密着하고 있었다. 癌에서도 역시 癌組織에 隣接하여 腸上皮化生, 萎縮性胃炎의 順으로 나타났으며 潰瘍에 比해 그 分布가 넓었으며 atypical hyperplasia는 癌塊의 크기에 關係없이 癌細胞周圍에서 潰瘍보다 더 흔히 觀察되었다. 以上의 成績으로 보아 形態學的으로 胃癌의 形成은 萎縮性胃炎이나 腸上皮化生에서 直接 誘發되는 것이 아니라 어떤 方法으로든 atypical hyperplasia의 過程을 거치는 것으로 推定된다. Authors studied the differences of surrounding mucosal changes between gastric ulcer and cancer by use of tissue reconstructive technique, so called stomach mapping. The examinations were done on 149 gastrectomized specimens, 53 were ulcer and 96 were cancer case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The most common location of ulcer and/or cancer was mid portion of lesser curvature. At the antral portion, gastric cancer was more prevalent. The mucosa around gastric ulcer showed metaplastic change of intestinal type and was surrounded by atrophic gastritis. As the size of ulcer increased, the area of metaplastic changes increased. Atypical hyperplastic changes were mostly noted on the cases with ulcer larger than 4㎝ in diameter. This change was seen adjacent mucosal area around the ulcer margin. The changes of the gastric cancer cases were similar with those of ulcer cases. But distributed area of gastric cancer was wilder than those of ulcer. And atypical hyperplasia was more commonly presented, regardless of mass of mass siz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gastric cancer may not be directly arisen from intestinal metaplastic lesion but may be formed through the atypical hyperplastic 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