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흰쥐 가슴샘 재생과정에서 CD70의 발현 특성

        김성민(Sung-Min Kim),김미나(Mi-Na Kim),이희우(Hee-Woo Lee),김봉선(Bong-Seon Kim),김재봉(Jae-Bong Kim),윤 식(Sik Yoon) 대한해부학회 2006 Anatomy & Cell Biology Vol.39 No.6

        CD70은 TNF superfamily에 속하는 제2형 막당단백질로써 주로 큰포식세포, 활성화된 T 세포 그리고 B 세포에서 발현된다. CD70은 T 및 B 세포와 NK 세포에서 주로 발현되는 TNF receptor superfamily에 속하는 CD27과 결합함으로써 면역반응 동안에 림프구의 증식, 분화, 성숙 그리고 이동을 조절한다. 본 연구에서는 흰쥐에 cyclophosphamide (CY)를 투여하여 가슴샘의 급성 퇴축을 유발시킨 후, 가슴샘 재생과정 동안에 면역조직화학, 이중면역형광조직화학 및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법을 이용하여 CD70의 발현 특성을 관찰하였다.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 분석 결과, 가슴샘속질수지상세포주, DC2.4 세포주 및 RAW264.7 세포주에서 CD70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면역조직화학염색 결과, 정상 및 재생중의 흰쥐 가슴샘에서는 CD70이 큰 포식세포에서 발현되었고, 이들은 주로 가슴샘겉질에 분포하였을 뿐만 아니라 가슴샘 재생과정 동안 CD70 양성반응 세포들의 수와 크기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재생중의 가슴샘으로부터 분리한 가슴샘세포와 가슴샘 바탕질세포에서 CD70 mRNA 발현이 정상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가슴샘 재생과정 동안 CD70이 그 수용체인 CD27을 통해 가슴샘 재생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는 사실을 시사해준다 The thymus is the central lymphoid organ for development of bone marrow-derived precursor cells into mature T-cells. The thymic stroma provides the specialized microenvironment for the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maturation of the immature T-cells, thymocytes. The CD27 is a tumor necrosis factor (TNF) receptor family member whose expression is limited to cells of the lymphoid lineage. CD70, the ligand of CD27, is a TNF related trans-membrane protein induced upon activation on T and B cells, dendritic cells and macrophages. CD70/CD27 interaction plays a key role in T dependent B cell responses and is responsible for plasma cell differentia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of CD70 during regeneration following acute involution induced by cyclophosphamide (CY) in the rat thymus using RT-PCR analysis and single and double immunohistochemistry. The results from RT-PCR analysis showed that CD70 is expressed in mouse thymic medullary interdigitating (IDC)-like cells (MDC), DC2.4 and Raw264.7 but not expressed in the mouse thymic epithelial cells (subcapsular/cortex epithelial cells, cortical epithelial cells and medullary epithelial cells). Interestingly, upregulation of CD70 expression was observed in the thymic stromal cells and thymocytes isolated from rat thymus during thymus regeneration. Furthermore, immunohistochemistry demonstrated that CD70 was mainly expressed in the ED1 positive macrophages predominantly in the thymic cortex both in the normal thymus and during thymus regeneration. In line with the data obtained by biochemical analysis, CD70 immunoreactive macrophages is increased both in number and in size during thymus regeneration. Thu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CD70 expressed on the thymic macrophages could play a role in the development of new T cells to replace T cells damaged by cyclophosphamide treatment during thymus regeneration.

      • KCI등재후보

        파킨슨병 모델 동물에서 GDNF 아데노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한 유전자치료

        성기한(Ki-Han Sung),윤인규(In-Gyu Yoon),정현실(Hyun-Sil Jung),김을선(Eul-Seon Kim),김현주(Hyun-Joo Kim),김양호(Yang-Ho Kim),윤 식(Sik Yoon),김봉선(Bong-Seon Kim),김재봉(Jae-Bong Kim),백선용(Sun-Yong Baek) 대한해부학회 2002 Anatomy & Cell Biology Vol.35 No.6

        6-OHDA를 이용하여 실험적으로 유발한 파킨슨병 모델 동물을 대상으로 유전자 치료 목적으로 GDNF 유전자를 포함 하는 아데노바이러스 벡터(Ad-GDNF)를 주사하여 행동 변화와 줄무늬체와 흑색질의 tyrosine hydroxylase (TH) 면역반응양성의 도파민성 세포의 형태학적 변화를 연구하였다. 성숙한 수컷 Sprague-Dawley계 흰쥐의 줄무늬체에 6-OHDA를 주사하고, 1주 후에 apomorphine에 의한 회전 운동 양상 을 측정하여 분당 7회 이상 회전하는 동물은 파킨슨병 모델 동물에 해당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들 동물의 줄무늬체에 Ad-GDNF를 주사하고 1주 후에 apomorphine에 의한 행동 양상을 다시 측정하고, 이어서 심장 관류고정을 실시하여 형태 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Ad-GDNF 대신에 LacZ 유전자를 포함하는 아데노바이러스 벡터(Ad-LacZ)를 주사한 것을 대조 군으로 이용하였다. 1. 파킨슨병 모델 동물의 줄무늬체에 Ad-GDNF를 주사한 동물에서 apomorphine에 의한 회전 운동 수가 유의하게 감소 하였다. 그러나 Ad-LacZ를 주사한 대조군에서는 회전 운동 수의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2. 회전 운동 수가 감소한 동물의 줄무늬체에 존재하는 TH 면역반응 양성의 축삭 종말은 대조군의 75% 수준으로 Ad- LacZ를 주사한 37%에 비하여 현저히 증가하여 TH 면역반응 양성 축삭종말의 퇴행성 변화가 방지되었다. 3. 흑색질의 TH 면역반응 양성 신경세포의 수는 Ad-GDNF를 주사한 군에서는 대조군의 82% 수준으로 Ad-LacZ를 주사한 군의 60% 수준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어서 6-OHDA에 의한 신경세포의 사멸이 방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파킨슨병 모델 흰쥐의 줄무늬체에 Ad-GDNF를 한차례 주사하여 1주 후에 줄무늬체와 흑색질의 도파민성 세포의 사멸이 방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A recombinant adenoviral vector encoding human GDNF gene (Ad-GDNF) was develop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DNF gene in 6-OHDA-induced Parkinson’s disease rat. The changes of rotatory behavior and density of THimmunoreactive axon terminals and number of cell bodies were observed by the GDNF expression. Adult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used. Parkinson’s disease (PD) rat models were prepared by the injection of 6-OHDA into the striatum. After 1 week, the animals showing apomorphine-induced rotatory behavior above 7 turns/ min were defined as PD rat model. Ad-GDNF was injected into the striatum of animal model and tested the apomorphine- induced rotatory behavior at 1 week after injection. These animals were perfused with Zamboni fixative to investigate the morphological changes after rotatory behavior test. Instead of Ad-GDNF, Ad-LacZ injected PD rats were used as a control. Th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1. The apomorphine-induced rotational behavior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the treatment of PD rat by the injection of Ad-GDNF. The Ad-LacZ injected PD rat showed no change in rotatory behavior. 2. The density of TH-ir axon terminals in the striatum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the Ad-GDNF injection (75% of normal side), but there was no change in the density by the Ad-LacZ injection (37% of normal side) compared to 6-OHDA lesioned striatum. This means the Ad-GDNF injection prevented the degenerative change of TH-ir axon terminals in the stritum of the PD rat. 3. The number of TH-ir cell body was significantly recovered by the Ad-GDNF (82% of normal side), but there was not recovered by the Ad-LacZ injection (60% of normal side) compared to 6-OHDA lesion. This means the retrogradely transported Ad-GDNF induced the TH expression in the dopaminergic neurons of the substantia nigra. Gene therapy with Ad-GDNF prevented the degeneration of dopaminergic neurons and axon terminals in the 6- OHDA-induced PD rat.

      • KCI등재
      • KCI등재

        긴급구조상황에서 고문의 허용 여부-고문행위의 형사법적 정당화와 면책 가능성을 중심으로-

        김재봉 ( Jae Bong Kim ) 한국경찰법학회 2014 경찰법연구 Vol.12 No.2

        The Sept. 11 terrorist attacks awakened people to the dangers of terrorism, and many countries take strong measures against terrorism. In this context, it is being actively discussed, whether torture against suspected terroists or hostage takers is criminally justified or excused. Traditionally, torture is absolutely forbidden and has been considered taboo. However, it is argued in some papers that torture should be allowed and justified as a preventive action for saving life in the life threatening emergency situation, especially, ticking time bomb scenario. According to them, prohibition against torture is not any more absolute principle, it can get relative meaning in exceptional conditions. They say, human dignity or autonomy can be one of the elements under balancing test. According to them, torture for saving life should be justified, because life of the innocent people has higher value than dignity of the terrorists or hostage takers. In this paper, it is examined, whether the supporting argument for torture is proper or reasonable, and torture for saving life in emergency situation satisfy the requirements of self defense, justified necessity, conflict of duties, justifiable act. In my opinion, torture can not be justified under any justification catalogues. We can not set the reasonable limits of torture, and the officers can misuse or abuse their legal authorities to torture. Once the door is open to torture, it can be slippery slope. This is the main reason of negative attitude towards torture. But a denial of justification does not mean the punishment of torturer. There is still room for excuse under strict requirements. If it is impossible to expect not to use torture in the extreme situation, we can treat the conscientious decision as an excuse.

      • 사기죄와 배임죄의 죄수·경합 관계 - 대법원 2017. 2. 15. 선고 2016도15226 판결 -

        김재봉 ( Kim Jae-bong ) 법조협회 2018 최신판례분석 Vol.67 No.3

        사기죄와 배임죄의 죄수·경합이 문제되는 사례유형으로는, 본인에 대한 배임행위와 본인에 대한 기망행위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제1유형), 본인에 대한 배임행위와 제3자에 대한 기망행위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제2유형), 본인에 대한 기망행위에 본인에 대한 배임행위가 수반되는 경우(제3유형)가 있다. 이제까지 이들에 대하여 통일적인 설명이 없이 각각 논의가 이루어졌다. 본고에서는 어느 경우에나 상상적 경합을 인정하여 혼란스러운 논의상황을 해소하고자 하였다. 우선 사기죄와 배임죄의 죄수관계에 있어서 양자는 우리 형법상 법규정 체계나 행위반가치의 측면에서 이질적인 것이기 때문에 배임죄는 사기죄의 불가벌적 사후행위가 아니라 양자는 각각 성립하 것으로 파악하였다. 그리고 경합관계에 있어서는 적정한 처단형과 형평성의 확보에 착안하여 상상적 경합관계를 인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보았다. 형법 제40조의 ‘1개의 행위’의 의미는 규범적 관점에서 파악하여야 한다. 그 구체적 기준으로는 자연적 행위동일성과 규범적 행위단일성을 들 수 있다. 자연적 행위동일성은 자연적 행위가 완전히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완전한 동일성) 또는 부분적으로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부분적 동일설)에 인정된다. 규범적 행위단일성에는 수죄가 인정되는 접속범의 경우와 수 개의 행위가 목적과 수단의 관계 등 기능적으로 긴밀하게 연관되는 기능적 긴밀성이 인정되는 경우가 포함된다. 사기죄와 배임죄의 경합이 문제되는 경우에 우선 자연적 행위동일성기준에 따라 제1유형과 제2유형의 사례에서 상상적 경합을 인정할 수 있다. 그리고 기능적 긴밀성의 기준에 따라 제3유형의 사례에서 상상적 경합을 인정할 수 있다. Es ist hinsichtlich des materialles Rechts und Prozessrechts sehr wichtig, den Tattyp und den Konkurreztyp zu betimmen. Das gleiche gilt fur den Betrug und Untreue. Es gibt deri Arten, der Betrug mit der Untreus in Zusammenhag zu stehen. (1) Vornahme des Betrugs gleichzeitig mit der Untreue gegen dem Treugeber, (2) Vorhanme des Betrugs gegen dem Dritter und der Untrue gegen dem Treuger, (3) Begehung Betrug nachfolgende Untreue. In obigem jedem Fall sind das Tattyp und das Konkurrenztyp zu bestimmt. Weil der Betrug heterogen von Standpunkt des Handlungsunwerts mit der Untreue ist, der Letzte ist nicht als die mitbestrafte Nachtat, sondern als die selbstständige Tat zu verstehen. Zu dieser Zeit muss die Rolle, die die Idealkonkurrez spielt, d.h. die Karstellungsfunktion und die Genugtungsfunktion, muss ebenfalls berucksichtigt werden. Bei der Bestimmung des Konkurrenztyps, geht es um ‘dieselbe Handlung’, die in § 40 des koreanischen StGB lautet. Es ist im normatischen Sinn zu verstehen. Dazu gehören die Identität der naturliche Handlungen und die normative Einheit der Handlungen. Nach diesem Maßsab ist in der obigen drei Fälle nicht die Realkonkurrenz, sondern die Idealkonkurrez anzuneh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