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증 자폐 아동의 음성 및 비음성 의사소통 기술 습득과 관련 변인

        김응범,김영욱 한국특수교육학회 2007 특수교육학연구 Vol.42 No.3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Acquisitionand Its Correlates in Children with Severe Autistic Disorders 이 연구에서는 자폐 장애 정도가 중증이며 음성 언어를 사용하지 못하는 아동이 비음성 의사소통 체계인 그림 교환 의사소통 기술을 습득할 수 있으며, 어떤 요인이 그림 교환 의사소통 기술 습득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그림 교환 의사소통 기술 훈련이 중증 자폐 아동의 음성 의사소통 기술 습득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어떤 것이 음성 의사소통 기술 습득과 관련이 있는지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음성 언어를 사용하지 못하고 아동기 자폐증 평정 척도(CARS)에서 중증 자폐 장애로 분류되는 아동 20명에게 1년 동안 주 5일 매일 10회씩 그림 교환 의사소통 훈련을 하였다. 그 결과 아동기 자폐증 평정 척도 점수에 따라 그림 교환 의사소통 기술 습득 여부에 차이가 있으며, 그 기술을 습득하는데 소요되는 일수도 개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기 자폐증 평정 척도를 구성하는 요인 중 대인관계, 모방, 시각 반응, 비음성 의사소통, 활동성, 지적 반응 수준 및 항상성 등 6개 요인이 그림 교환 의사소통 기술 습득과 관련이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그림 교환 의사소통 기술 훈련 전후의 음성 의사소통 점수를 비교 분석한 결과 이들 중 9명이 그림 교환 의사소통 훈련을 받고 나서 음성 의사소통 기술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방, 사물 취급, 시각 반응, 비음성 의사소통, 지적 반응 수준 및 항상성 등 5개 요인이 음성 의사소통 기술 습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자폐 아동의 분노 발작 행동과 의사소통 능력의 관계에 대한 종단 연구

        김응범 한국자폐학회 2010 자폐성 장애연구 Vol.10 No.1

        We investigated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skills with age among autistic children and how it affects the occurrence of temper tantrum in those children. Four autistic children with regular tantrums were monitored over a period of four years and their communication activities and temper tantrums were studie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skills reduces temper tantrums; 2) improved ability to look at others and to understand instructions and carry out activities reduces the tantrums; 3) improved ability to answer questions also reduce the tantrums; and 4) Acquiring an ability to express their needs, even in a nonverbal form, reduces the occurrences, and the effect is greater when they use more verbal means. 이 연구에서는 자폐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과 분노 발작 행동이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자폐 아동 4명을 대상으로 의사소통 행동과 분노 발작 행동을 4년간 관찰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의사소통 능력과 분노 발작 행동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사람을 바라보는 능력이 향상되면 분노 발작 행동이 감소하며, 지시를 했을 때 그것을 이해하고 이행하는 수준이 높아질수록 그 행동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질문에 적절하게 대답할 수 있는 능력이 좋아질수록 분노 발작 행동은 감소하였다. 비록 비음성 의사소통 형태라도 적절하게 요구하는 능력을 갖게 되면 분노 발작 행동이 감소하였으며, 요구할 때 음성 언어를 많이 사용하게 될수록 그 행동은 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관찰 기간이 장기간이었기 때문에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만으로 분노 발작 행동이 감소되었다고는 말할 수 없다. 그렇지만 분노 발작 행동이 의사소통 능력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볼 때, 의사소통 능력에 따른 분노 발작 행동의 변화를 예측해 보는 것만으로도 이 연구의 결과가 의미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보행관련근육의 운동재활테이핑요법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과 보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응범,정광조 대전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12 自然科學 Vol.23 No.-

        In this study, several tests and exercises were performed over the patients with the hemiplegia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Remedial Exercise Taping on the improvement of the balance and posture.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tests and exercises were compared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n the 10m walking time test, there was a change in time on both the test group and comparing group, but the test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t = - 3.53, p <.01) than the comparing group. Moreover, distributional results of the plantar pressure also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 = 5.01, p<.01 from the left and t = 6.58, p <.001 from the right. On the other hand, the movement range of patients was increased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the 3NS remedial exercise taping; left -anterior(t = 4.28, p <.01) and right-anterior(t = 5.33, p <.001). The left-posterior and right -posterior also showed increasement on the movement rang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inally, the total distance of the test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each directions; anterior(t = 3.15, p <.05), posterior(t = 3.36, p <.01), left(t = 2.47, p <.05), and right(t = 2.86, p <.05).

      • 그림 교환 의사소통 기술 훈련이 경도 및 중등도 자폐 아동의 음성 의사소통 기술 향상에 미치는 영향

        김응범 檀國大學校 特殊敎育硏究所 2006 特殊敎育要求 兒童硏究 Vol.17 No.-

        이 연구에서는 경도 및 중등도 자폐 아동이 그림 교환 의사소통 기술을 습득할 수 있으며, 그 기술 습득 소요일에 개인차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그림 교환 의사소통 기술 습득일과 자폐 장애 정도의 상관도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그림 교환 의사소통 훈련이 경도 및 중등도 자폐 아동의 음성 의사소통 기술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음성 의사소통 기술의 향상이 그림 교환 의사소통 기술 습득 소요일 및 자폐 장애 정도와 상관이 있는지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CARS 척도에서 경도 및 중등도 자폐 장애로 분류되는 아동 8명에게 1년간 주 5일 하루 10회씩 그림 교환 의사소통 훈련을 하였다. 그 훈련 효과를 분석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인 경도 및 중등도 자폐 아동은 모두 그림 교환 의사소통 체계를 5단계까지 습득하였으며 그 습득에는 평균 34.3일이 소요되었다. 그러나 그 습득 소요일에는 개인차가 많았으며, 그 차이는 46일이나 되었다. 이러한 차이는 자폐 장애의 정도와는 상관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음성 의사소통 기술은 그림 교환 의사소통 훈련을 받기 전에 비해서 1년 동안 그림 교환 의사소통 기술을 받고 난 후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자폐 장애 정도와는 상관이 거의 없으나 그림 교환 의사소통 기술 습득 소요일과는 확실히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picture communication skills of mildly and moderately autistic children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he severity of autism. Also examined are how the picture communication training may improve verbal communication skills. The sample consisted of eight mildly and moderately autistic children who received the picture exchange communication training 10 times daily for five days a week over one year. All autistic children acquired the picture exchange communication system up to phase V in 34.3 days on average. The aquisition time varied greatly among the participants and differed by as large as 46 days. However, this variation was found to be almost independent of the autistic severity. The verbal communication skills also improved significantly post-training, which was strongly dependent on the acquisition time regardless of the severity of autism.

      • KCI등재

        한국수화에 의한 한국어 문장 지도 효과

        김응범 ( Eung Bum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0 No.2

        이 연구에서는 수화를 사용하는 농 학생이 한국수화로 한국어 문장 지도를 받았을 때 한국어 문장력이 향상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농 학교에 재학 중인 중등부 학생 30명에게 한국수화로 한국어 문장지도를 하였다. 그 결과 이들 농 학생의 문장력이 전반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로 볼 때, 농 학생이 국어 문장을 국어 문법에 알맞게 쓸 수있도록 가르치기 위해서는 (1) 수화를 사용하여 국어 문법을 가르치되, 표준화된 수화 단어와 수화 문장을 사용하도록 하고, (2) 단어와 어순, 문형 등에서 국어와 수화의 차이점을 알게 하고, (3) 문장 성분, 시제 표시, 문장 만들기에서 국어와 수화의 차이점을 알게 하며, (4) 단어를 적은 문자와 그 단어를 표시한 수화를 연계하여 알게 하고, (5) 조사와 어미를 적은 문자와 그것의 수화 또는 지문자를 연계하여 알게 하고, 조사와 어미의 기능을 알게 하며, (6) 국어에서는 동사가 서술어나 관형어로 쓰일 때 어미변화를 하고, 형용사는 관형어로 쓰일 때 어미변화를 하지만, 수화에서는 동사와 형용사의 기본형이 서술어와 관형어로 쓰인다는 것을 알게 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와 같이 지도를 한다면 농 학생의문장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We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using sign language in teachingwriting in the Korean language to deaf students who are regular users of sign language. 3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enrolled in deaf schools were given writing skill sessions through the use of sign language and it was found that their overall writing skills improved. Based on our findings, we provide the following as guidelines for teachers to help students learn to compose grammatically correct sentences: (1) use sign language as a means of teaching and, importantly, use standardized sign words and sentences; (2) help understand the difference in words, word order, and sentence pattern between the spoken and sign languages; (3) help understand the difference in sentence elements, tense,and composition of sentence between two languages; (4) help understand a word by relating its written form and the corresponding sign; (5) help understand the functions of postpositions and word endings and relate their written forms to the corresponding signs or fingerspells; and (6) help understand that words in spoken language are inflective unlike in sign language.

      • KCI등재
      • KCI등재

        홀이 있는 WSN 환경에서 에너지 효율적인 라우팅 프로토콜

        김응범(Eung-Bum Kim),권태욱(Tae-Wook Kwon) 한국전자통신학회 2023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8 No.5

        다양한 환경에 배치된 센서 노드(Sensor Node)로부터 획득한 정보들을 무선으로 수집하여 감시 및 제어 등의 용도로 활용되고 있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에너지 효율적인 라우팅 프로토콜은 중요한 과제이다. 이에 대한 다양한 라우팅 기법이 연구가 되었으나, 특정 상황과 조건이 있는 WSN 환경에 대한 고려 또한 필요하다. 특히, 지형적 특성이나 특정 장애물로 인해 센서 노드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장소(Hole)는 대다수의 WSN 환경에서 존재할 수 있고 이는 비효율적인 라우팅 또는 라우팅 실패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GPS 기능을 활용한 지리적 라우팅 기반의 홀 우회 라우팅 방식이 가장 효율적인 경로를 형성하겠지만 GPS 기능을 가지고 있는 센서는 비용이 많이 들고 에너지 소모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소한의 센서 기능을 통해 홀이 있는 WSN 환경에서 홀의 경계 노드를 찾아 경계선 형성을 통한 홀 우회 라우팅을 제안하고자 한다. Energy-efficient routing protocol is an important task in a wireless sensor network that is used for monitoring and control by wirelessly collect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sensor nodes deployed in various environments. Various routing techniques have been studied for this, but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WSN environments with specific situations and conditions. In particular, due to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r specific obstacles, a hole where sensor nodes are not deployed may exist in most WSN environments, which may result in inefficient routing or routing failures. In this case, the geographical routing-based hall bypass routing method using GPS functions will form the most efficient path, but sensors with GPS functions have the disadvantage of being expensive and consuming energy. Therefore, we would like to find the boundary node of the hole in a WSN environment with holes through minimal sensor function and propose hole bypass routing through boundary line formation.

      • 교수 활동 평정척 표준화 연구 : 특수교육용

        김승국,김응범 단국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1997 교과교육연구 Vol.- No.1

        교수 활동 평정척의' 활용 결과를 요약한다. 이 과정에서 평정 대상 교사와 행정가(관찰자/면접자)는 교수 향상에 평정 대상 교사와 관찰자/면접자 간의 수용과 지원이 필요하며, 교수 능력의 향상은 교사에게 그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동기가 있을 때에만 가능하고, '교수 활동 평정척'은 교수 능력 향상의 수단이 된다는 것을 알게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