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간경호·경비원의 갈등관리가 리더신뢰 및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

        김은정,박영민,고병현,Kim, Eunjung,Park, Youngman,Ko, Byunghyun 한국재난정보학회 2011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7 No.2

        본 연구는 민간 경호 경비원의 갈등관리 유형에 따라 민간 경호 경비원들이 인식하는 갈등 관리가 리더신뢰 및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민간경비 종사자들에 대한 효율적인 갈등관리 방안 유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10년 서울 경찰청에 등록된 민간경비회사에 다니는 경호 경비원을 대상으로 선정한 후 유의표집법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이 연구에 설문한 총250명 중 234명의 표본을 회수하여 최종분석에 사용된 사례수는 210 명이다. 입력된 자료는 SPSS WIN 17.0 Version을 이용하여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설문지의 선뢰도 분석결과 Cronbach's ${\alpha}$값이 0.838~0.859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첫째 민간경호 경비원의 갈등관리 하위요인인 통합 타협 은혜는 리더신뢰에 영향을 미치고, 둘째 민간경호 경비원의 갈등관리의 하위요인인 통합 타협 은혜 지배는 이직의사에 부적영향을 미치며, 셋째 리더신뢰는 이직의사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method for an effective conflict management to private security workers by investigating the impact of complicit management that recognized by private security, guard on trust for leader and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the complicit management type of private security, guard. The subjects was sampled by using purposive sampling method after selecting security, guard who work in private guard company registered in the Police Department in Seoul in 2010. Respondents of this study was sampled a total of 250 people and collected the sample of 234 people, and the number of cases used in the final analysis was 210 people. The entered data was processed by using SPSSWIN 17.0 Version to appl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reliability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was Cronbach's ${\alpha}$ value of 0.838~0.859. First, combination, compromise, and grace the sub factors of the conflict management of private security, guard affect on trust for leader. Second, compromise, grace, and rule the sub factors of the conflict management of private security, guard has a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ird, the trust to leader has a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 KCI등재

        3차원 수리모델을 이용한 한강 상수원구간 지류영향 분석 및 수질오염사고 시나리오 모의

        김은정 ( Eunjung Kim ),박창민 ( Changmin Park ),나미정 ( Mijeong Na ),박현 ( Hyeon Park ),김복순 ( Bogsoon Kim ) 한국물환경학회(구 한국수질보전학회) 2018 한국물환경학회지 Vol.34 No.4

        The Han River serves as an important water resource for the city of Seoul, Korea and in the neighboring metropolitan areas. From the Paldang dam to the Jamsil submerged weir, the 4 water intake stations that are located for the Seoul metropolitan population were under review in this study. Therefore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in this section is very important to monitor, analyze and review to rule out any safety concerns. In this study, a 3-D hydrodynamic model, EFDC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was applied to the downstream of the Paldang Dam in the Han River, which is about 23 km in length, to determine issues related to water resource management. The 3-D grid was composed of 2,168 horizontal grids and three vertical layers. In this case, the hydrodynamic model was calibrated and verified with an observed average daily water surface elevation, water temperature and flow rate data for 3 years (2013~2015). The developed EFDC model proved to reproduce the hydrodynamics of the Han River well. The composition ratios of the noted incoming flows at the monitored intake stations for 3 years and their flow patterns in the river were analyzed using the validated model. It was found that the flow of the Wangsuk Stream depended on the Paldnag dam discharge, and it was noted that the composition ratios of the stream at the intake stations changed accordingly. In a word, the Wangsuk Stream moved mainly along the right bank of the Han River under the condition of a normal dam flow. As can be seen, when the dam discharge rate was low, the incidence of lateral mixing was often seen. The scenario analyses were also conducted to predict the transport of conservative pollutants as in the case of a chemical spill accident. Generally speaking, when scenarios were applied, the arrival time and concentration of pollutants at each intake station was thus predicted.

      • XML 문서의 효율적인 저장구조와 색인 모델의 설계

        김은정(EunJung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2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2Ⅰ

        XML 문서는 문서의 내용뿐 아니라, 의미를 가지는 구조 정보, 그리고 다양한 의미를 부과할 수 있는 링크 정보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XML 문서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DTD와 XML 문서에 대한 새로운 저장 방법과 이를 이용한 색인 모델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하나의 XML 문서를 저장함에 있어, 엘리먼트 구조 정보, 애트리뷰트 정보, 링크 정보의 구성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링크 정보를 이용한 내용 검색 색인 모델과 구조 검색, 애트리뷰트 검색을 위한 색인 모델을 설계한다. 또한 제안된 모델에서의 사용자들의 다양한 질의 유형의 처리 과정을 설명한다.

      • KCI등재

        조직 평판의 역동적 특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은정 ( Eunjung Kim ),김도현 ( Tohyun Kim ),김민지 ( Minji Kim ),유혜경 ( Yu Hye Kyung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8 中小企業硏究 Vol.40 No.1

        본 연구는 조직 평판의 역동적인 특성인 추세와 변동성이 조직의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한다. 조직의 평판은 그 조직의 제품/서비스의 질에 대한 판단을 돕는 신호를 제공하므로, 잠재적 파트너들은 조직 평판의 여러 특성을 중요하게 고려한다. 본 연구는 조직 평판의 수준뿐만 아니라 추세 또한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변동성은 간접적으로 평판의 수준과 추세의 성과에 대한 효과를 조절한다는 것을 미국 벤처캐피털 회사들을 대상으로 한 실증연구를 통해 밝혔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결과가 어떻게 학문적으로 기여하고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는지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 dynamics of the firm’s reputation on performance. Particularly, we argued that not only the level of reputation but also the trend and volatility of reput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formulating the stakeholders’ perception about the firm. From our empirical analysis of the U.S. venture capital firms between 1990 and 2010, we found that the level and trend of reputation are positively related to performance and that these relationships are weakened when the volatility of reputation increases. This paper discusses the theoretical contribu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 KCI등재

        새로운 생애 발달 단계로서의 성인모색기(Emerging Adulthood)

        김은정(Kim, Eunjung) 한국이론사회학회 2011 사회와 이론 Vol.19 No.-

        교육기간의 확대, 결혼과 출산연령의 고령화를 통해 확인되는 사회구조의 변화에 의해 20대를 성인기로 취급 하는 전통적인 시각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 이에, 아네트(Arnett, 2004)는 현재의 20대가 과거의 20대와는 달리, 성인기과업을 지체하고 있다고 보며, 이러한 연령기를 분석하는 개념으로, ‘성인모색기(emerging adulthood)’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아네트의 개념을 기반으로 하여, 한국사회의 여대생을 통해 현재 20대여성의 성인기 모색 작업을 분석하였다. 20대와 관련한 중요 키워드(교육과 취업, 의미 있는 타자들과의 관계, 성/연애/결혼)를 중심으로 반구조화된 설문지 내용을 작성하여, 14명의 여대생들을 심층 면접 하였다. 개별 면접을 마친 후에는 면접 참가자를 대상으로 그룹을 형성하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3회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현재의 20대 여성은 과거 20대 여성이 결혼을 하여 가정을 이루면서 성인기 진입을 했던 것과는 달리, 교육과학업 시기를 연장하고, 직업을 모색하며, 결혼을 연기하고 있어서, 경제적/사회적/주거적 독립을 기반으로 하는 성인기 진입을 하지 못한 상태에 머물러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산업구조의 변화에 따라 개인적으로 이러한 시기를 피하는 것이 불가능해진 만큼, 이제 20대는 아네트가 논의한 것처럼 과거와는 달리 성인기 진입을 하지 못한 채, 성인기 진입을 위해 준비하고 모색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The rise in the ages of entering marriage and parenthood, the lengthening of higher education and the prolonged job instability during the twenties has made young people experience the development of a new period of life, which is called “Emerging Adulthood” by Arnett(2004). This study described the characteristics of this new period of life with Korean women in their early twenties. Young women of the past were supposed to marry and care for children. This study found that young women in the present, are unlikely to marry, become parents and find a long-term job until at least their late twenties. They live in a long moratorium in their twenties before entering the period of the real adulthood. In conclusion, they explore a wide range of different possible future paths, postponing their roles as adults. In other words, young women in the 21st century experience the emerging adulthood, which was unprecedented.

      • KCI등재

        唐代 譯經事業과 監護

        김은정(Kim, EunJ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20 역사문화연구 Vol.76 No.-

        본 논문에서는 唐代에 譯經事業이 전성기를 이룰 수 있었던 배경으로 국가의 후원과 감독의 역할에 주목해보았다. 貞觀年間을 시작으로 당 정부는 역경사업에 적극적으로 후원하였고 유교 관료로 구성된 監護大使를 파견하였다. 당 태종 시기 승관제도가 鴻臚寺와 祠部로 예속되면서 역경사업 역시 자연스럽게 국가권력 아래 감독을 받게 되었다. 정관연간 사서와 유교 경전의 대규모 편찬사업이 진행된 바 있는데, 당시 편찬사업에서 감수국사를 담당했던 관원들이 대체로 역경사업에도 파견되었다. 당 전기 황제는 국가권력의 정당성을 강화하고, 중후기 황제는 내우외환의 시기에 호국이라는 정치적 목적을 현창하기 위해서 역경사업을 활용하였다. 감호는 前秦 시기부터 형성되었지만 당대에 이르러 국가권력의 적극적인 후원 아래 그 역할이 확립되었다. 監護大使의 명칭은 매 역장마다 차이가 있었지만, 공통적으로 역장을 관리하고 경전을 검열한 후 황제에게 진상하는 업무를 담당하고 있었다. 감호대사의 직무는 당 중후기에 이르러 전문화되었다. 그들은 주로 황제의 측근 인물, 문관학사 출신, 불교와 친연한 관료들로 구성되었다. 황제는 측근을 감호대사로 파견함으로써 자신의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고자 했다. 또한 학술 능력이 뛰어난 감호대사를 통해 불경 번역의 완성도를 높이면서 정치적으로 유불도 화합을 추구하였다. 당대 국가권력의 개입, 후원과 감독으로 인해 역경사업은 정점에 달하였고, 대량의 불경이 번역되고 전파되면서 중국불교가 토착화되는 요인 가운데 하나로 작용했던 것이다. This paper discusses why Buddhist Scriptures Translation reaches its peak in the Tang Dynasty and argues that it is the active patronage and supervision of the imperial family that made the Buddhist scriptural translation project(譯經事業) at its peak. It also explores the background,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ntinuous support for the project from the royal family. The Tang Dynasty Buddhist scripture translation project was mainly influenced by the political implications to establish the legitimacy of the imperial power and to pray for national peace. Institutionally, a system of monk officials, was incorporated into the Hong Lu Si(鴻臚寺) and Ci Bu(祠部) to supervise Buddhist affairs under national orders. The Buddhist scriptural translation as a continuation of the series of compilation work by history book and Wujing Zhengyi(五經正義) during the King Tang Tai-zong implies the nature of the national project. Moreover, from Tai-zong to De-zong the emperor himself participated in the Buddhist scripture project to write the preface of the scriptures. The emperor also dispatched Guardian ambassador(監護大使) who were the closest aides to the emperor to the Buddhist scripture translation centers to manage and supervise the operation of the project. As the Tang imperial family regarded the Buddhist Scriptural translation projects as the national project, the translations of Buddhist scriptures from the Tang Dynasty are relatively accurate and in large amounts. With active sponsorship and management, the Tang family sought to legitimate imperial power and the political orientation of the emperor.

      • KCI등재

        초등학생의 사회정서역량 향상을 위한 도덕과 통합전략 개발

        김은정(Kim, Eunjung),이상수(Lee, Sangs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사회정서역량 향상을 위한 도덕과 통합전략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B시 초등학교 3학년 두 개 학급 48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2015년 9월부터 3개월 동안 10차시에 걸쳐 전략 개발을 완성하였다. 연구절차는 첫째, 사회정서역량을 재 개념화한다. 둘째, 사회정서역량에 따른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을 검토한다. 셋째, 사회정서역량에 따른 초등 도덕과 내용을 검토한다. 넷째, 1차 전략을 개발한다. 다섯째, 내적 타당화를 위해 전문가검토 및 수정·보완한다. 여섯째, 외적 타당화를 위해 현장적용 및 수정·보완한다. 일곱째, 수정된 전략을 완성한다. 자료는 학생으로부터 구조화된 설문과 개방형 설문결과를, 교사로부터 인터뷰와 수업동영상, 성찰일지 결과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10가지의 도덕과 사회정서학습 전략이 개발되었으며 이에 대한 활용방법, 활용범위, 효과 등에 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Moral Education to improve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y (SEC) of Elementary students. For this, two classes of 48 elementary students participated for three months during fifteen lessons. The research process is as follows: In the first place, the concept of SEC is reorganized according to theoretical background. Second, SEL programs are examined based on SEC. Third, the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 is reviewed related to SEC. Forth, The first strategies are created. Fifth, the expert review is executed, and the strategies are revised for external validation, Sixth, the strategies are applied to students and these are modified by the feedback from students and teachers for internal validation. Seventh, the modified strategies are completed. The data is collected by interview, open questionnaire, and reflective paper from students and teachers. Consequently ten strategies are made, and their sub areas, guidelines, and effects are discussed.

      • KCI등재

        동아시아 칠공예와 나전의 교류와 확산

        김은정(Kim Eunjung) 백산학회 2017 白山學報 Vol.- No.109

        칠기는 동아시아 고유의 지역성을 반영하는 대표적인 문화 중의 하나로 이른 시기부터 사용되 었다. 동양의 칠공예는 생산도구의 접합과 고정을 위한 접착제로 쓰였던 것이 그 시초가 된것으로 여겨진다. 칠공예의 기원지는 중국으로 수천년에 걸쳐 단일한 양식에서 채회, 전칠, 상감, 조칠, 묘금, 창금, 칠화, 나전 등 상당한 발전을 기록했다. 이렇듯 수천 년에 걸쳐 지속적으로 발전한 칠기는 중국 전통문화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한국, 일본 및 중국과 연결된 대륙부 동남아시아의 칠기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다. 중국에서 다양한 경위를 거쳐 동아시아 각지로 확산되면서 각 지역의 기호나 상업상의 이유, 생태적 환경 등의 요인에 따라 기종·문양·기법적 전개의 측면에서 지역의 독자적인 특성을 형성해 갔다. 또한 이러한 전파(傳播)의 움직임은 중심지역에서 주변지역으로의 일방적인 전파가 아닌 주변에서 중심으로의 움직임과 함께 주변지역 상호간의 교류를 동반했다. 이러한 상호교류에 의해 칠공예는 기원지인 중국에서 동아시아 각지로 전파되어 독자적인 발전을 이룩했던 것이다. 한국, 일본 등 동아시아 각국은 중국의 칠공예를 주체적으로 수용하여 한국은 나전칠기, 일본은 마키에라는 자국만의 조형적 특징으로 발달시켰으며, 역으로 중국에 영향을 끼치기도 하였다. 하지만 동남아시아에서는 대나무를 이용하여 칠기의 형태를 만드는 기본적인 방법이 중국 남서부의 칠기 제작의 영향을 받았다는 사실만을 확인할 수 있다. Lacquerware has been one of the representative cultures reflecting the unique regional character of East Asia. It is believed that oriental lacquerware was originated from an adhesive for bonding and fixing production tools. As China is the origin of the oriental lacquerware handicraft, it has made considerable progress over thousands of years from a single form to Chaehui, Jeonchil, inlaid work, Jochil, Myogeum, Changgeum, lacquer painting, mother-of-pearl, etc. Such lacquerware, which has developed continuously for thousands of years, is one of the important elements of traditional Chinese culture and influenced on lacquerware of Southeastern Asia where Korea, Japan, and China are connected with one continent. As Chinese lacquerware spread to various parts of East Asia through a variety of processes, each region has formed its own characteristics in terms of models, patterns, and technical developments depending on factors such as local preferences, commercial reasons, and ecological environment. In addition, the movement of the propagation(傳播) accompanied the interchange between the surrounding areas along with the movement from the periphery to the center, not the one-sided propagation from the central area to the surrounding area. Through these interactions, lacquerware handicraft was spread from China, which is its origin, to various parts of East Asia and achieved each unique development. Korea, Japan, and other East Asian countries accepted the Chinese art of lacquer with subjectivity and lacquerware inlaid with mother-of-pearl of Korea and Macie of Japan developed into each country’s own figurative feature. Conversely, they has also influenced China. In Southeast Asia,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basic method of making lacquerware using bamboo was influenced by the lacquerware-making process in southwestern China.

      • KCI등재

        1930-40년대 서비스직 여성의 노동경험을 통한 ‘직업여성’의 근대적 주체성 형성과 갈등에 관한 연구

        김은정(Eunjung Kim) 한국사회학회 2012 韓國社會學 Vol.46 No.1

        본 연구에서는 1930-40년대 서비스직 여성이 근대적 주체성을 형성해 가는 노동경험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노동과 여성, 그리고 근대성에 관련한 연구의 지평을 넓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그 당시 대표적인 서비스직종 중 하나인 미용업에 종사했던 미용사 L의 노동경험을 중심으로한 생애구술을 분석하였다. 근대화가 진행됨에 따라 여성들도 노동시장에 참여하여 공적 영역에서 활동하기 시작했다. L도 근대적 직업인 미용사로 일하면서 다양한 근대 경험을 하였으며, 또한 제한적이나마 경제력을 갖출 수 있어서 자신의 일에 대해 자부심을 갖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 당시 사회적으로 확산되었던 현모양처 이데올로기는 공적 영역에서 일하는 여성으로서의 자부심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였으며, 서비스직의 열악한 근무조건/작업환경은 직업여성으로서의 삶에 의문을 갖게 하는 요소로 작용하였다. 이에 L은 중산층 전업주부가 되고자 하는 욕망을 드러내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 또한 실패하게 되며, 다시 일을 할 수 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생애과정을 통해 L은 일에 대해 긍정적이며, 동시에 부정적인 감정을 갖게 된다. 즉, L은 근대를 경험하는 여성주체로서 ‘근대화된 공적 영역에 노동하면서 경제적 힘을 갖추어 일정정도 (유사) 권력을 갖는데 대해 자부심을 갖는’ 동시에 ‘근대화와 함께 진행된 사적 영역의 이상화된 여성상을 욕망하는’ 여성 주체로서 내면의 갈등을 겪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이를 통해서 볼 때, 근대가 시작함에 따라 전개된 여성에 대한 근대적인 담론과 이데올로기들은 개인 내에서 서로 상충하고 경합하면서 개인의 주체 형성에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life story of Mrs. L, who had worked in the newly developed service sector during the 1930"s-40’s, in which industrialization and modernization began in colonial Korea. Mrs. L as a hair dresser, acquired some economic power and social attention. She took pride in “being a working woman” in the newly developed industrial sector since she had discovered that woman"s working outside family was considered to be very modern. Meanwhile, she could not help but being ashamed of working outside family, under the influence of “Good Wife, Nice Mother ideology”, which had been promoted and even enforc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Mrs. L elaborated herself as an agonizing self, being afflicted with the conflicting messages and voices on women’s roles in the modern colonial period.

      • KCI등재

        초기 청소년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가정 내 사회자본의 역할과 특성에 관한 연구

        김은정(Kim Eunjung) 한국가족학회 2006 가족과 문화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자녀관계로 표출되는 비가시적인 사회자본이 가시적 자본인 가정 내 물질적(가정소득)ㆍ인적 자본(부모의 교육수준)과 자녀의 자아존중감 사이의 관계를 어떻게 매개하는가를 분석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한국청소년 개발원에서 2003년에서 2008년까지 실시하는 종단적 연구인 청소년패널조사(KYPS) 2004년 1차년도 패널인 중학교 2학년생 3509명이다. 사회자본, 즉 부모의 자녀교육관여(Parental involvement)를 다차원변수로 상정하고, 청소년 패널 문항중 ‘부모의 기대’, ‘부모와 자녀 의사소통’, ‘부모관리감독’에 대한 문항 8개를 선택하여 부모자녀 관계라는 개념을 분석하였다. 자아존중감은 긍정적ㆍ부정적 자기평가에 대한 문항 8개를 선정하여 구성하였다. 자료분석방법은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요인분석,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BR>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기 자녀들의 자아존중감에 끼치는 사회자본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사회자본, 즉 부모자녀관계 변수가 포함된 모델과 이들 변수를 포함하지 않은 두 모델을 비교한 결과, 경제사회적 지위 즉 물적ㆍ인적자본은 청소년기 자녀의 자아존중감 형성에 긍정적인 영항을 끼치지만, 이들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항은 직접적이라기보다는 부모와 자녀 사이의 밀접한 상호작용, 다시 말하면 사회자본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간접적 효과를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사회자본 변수 중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자녀의 자아 존중감 형성에 비교적 큰 영향력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초기 청소년기에는 부모와의 의사소통을 통해서 부모의 애정과 관심을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신에 대한 반응을 즉각적으로 인식하고 이를 통해서 자신에 대해 고찰 할 기회를 갖게 되므로, 자아존중감을 포함한 개인의 성격과 행동양식을 형성하는데 부모-자녀 의사소통은 매우 중요한 사회자본 변수라고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human capitals and children"s self-esteem. Social capital was measured into three factors: "Parental expectation",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parental supervision". Participants were 3509 middle school juniors participating in the 2004 panel of Korea Youth Panel Study by Korea Institute for Youth Development.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capital variables (parental expectation,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parental supervision) were positively related to financial(family income) and human capital(parents" education level). Second, social capital played a filter through which the financial and human capitals of parents is transmitted to increase the level of children"s self-esteem. The results also suggested that self-esteem needs to be measured by two different spheres: positive and negative evaluation of sel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