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울지역 급성위장관염 환자에서 검출된 노로바이러스의 유전자형 분포

        김은정,박상훈,송미옥,김무상,김민영,천두성,정혜숙,김철중,Kim, Eun-Jeung,Park, Sang-Hun,Song, Mi-Ok,Kim, Moo-Sang,Kim, Min-Young,Cheon, Doo-Sung,Jeong, Hae-Sook,Kim, Chul-Joong 한국미생물학회 2008 미생물학회지 Vol.44 No.2

        2004년부터 207년까지 서울지역에서 산발적으로 발생한 급성위장관염 환자에 대하여 RT-PCR을 이용하여 노로바이러스를 검출하였다. 검출된 노로바이러스 258건에 대하여 염기서열분석을 실시한 결과 GII.1, GII.2, GII.3, GII.4, GII.5, GII.6, GII.8, GII.10, GII.12, GII.13, GII.15, GII.16, GII.17 등 13가지 유전자형이 검출되었으며 산발적으로 발생한 급성위장관염 환자에서 가장 많이 검출된 유전자형은 GII.4(76.7%)로 나타났다. 노로바이러스 유전자형의 다양성에 대한 연구로 서울지역 노로바이러스성 질환의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Fecal specimens from acute gastroenteritis in Seoul from 2004 to 2007 were collected and then tested for the presence of norovirus by RT-PCR. 258 noroviruses were subjected to be futher characterized to sequencing analysis. The sequencing analysis showed that thirteen genotypes were detected (GII.1, GII.2, GII.3, GII.4, GII.5, GII.6, GII.8, GII.10, GII.l2, GII.13, GII.l5, GII.l6, GII.l7) and predominant genotype was GII.4 (76.7%) in the cases of norovirus detected sporadic acute gastroenteritis in Seoul. By this molecular investigation, genotypic distribution associated with norovirus infections will be used for control and prevention of norovirus related diseases.

      • KCI등재

        서울지역 집단식중독 환자에서 검출된 노로바이러스의 유행양상

        김은정,김무상,채영주,천두성,Kim, Eun-Jeung,Kim, Moo-Sang,Chae, Young-Zoo,Cheon, Doo-Sung 한국미생물학회 2012 미생물학회지 Vol.48 No.2

        Fecal specimens from acute gastroenteritis in Seoul from 2003 to 2007 were collected and then tested for the presence of Norovirus by RT-PCR. Among a total of 4,685 samples investigated, 383 samples (8.2%) were positive. The analysis of outbreaks related norovirus contamination occurred from 2003 to 2007 in Seoul revealed 57 cases happened during investigated period. Seasonal prevalence showed winter season predominant characteristics of pattern of epidemics by long term investigation for norovirus infections. The incidence of norovirus infection in the case of acute gastroenteritis by catering food in school were 32%, by food in general restaurant were 29%. This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in Seoul was strongly needed for control and prevention of outbreaks related with norovirus by forecasting disease epidemics. 2003년부터 2007년까지 서울지역 집단식중독 환자에 대하여 RT-PCR을 이용하여 노로바이러스를 검출하였으며, 총 4,685건 중 노로바이러스가 383건(8.2%)이 검출되었다. 식중독 발생 사례는 2003년부터 2007년까지 57사례가 발생하였다. 계절별 유행양상은 겨울철에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섭취장소별 유행양상은 학교급식 중 위탁경영에 의한 발생이 32%로 나타났으며, 일반음식점에 의한 발생이 29%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서울지역 노로바이러스성 식중독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서울지역 급성위장관염 환자 및 지하수에서 분리한 A형 로타바이러스의 유전자형

        김은정,김무상,채영주,천두성,Kim, Eun-Jeung,Kim, Moo-Sang,Chae, Young-Zoo,Cheon, Doo-Sung 한국미생물학회 2011 미생물학회지 Vol.47 No.4

        2009년부터 2010년까지 서울지역에서 산발적으로 발생한 급성위장관염 환자에 대하여 효소면역측정법(ELISA)을 이용하여 로타바이러스를 검출하였다. 총 1,916건 중 로타바이러스는 354건(18.4%)이 검출되었다. RT-PCR을 이용하여 유전자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P6G[4] (35%), P8G[3] (28%), P8G[1] (24%), P4G[2] (10%), P8G[9] (3%)로 나타났다. 서울지역 지하수 70지점을 대상으로 효소면역측정법을 이용하여 로타바이러스를 조사한 결과 2 지점에서 양성으로 검출되었으며, RT-PCR을 이용하여 유전자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P8G[3]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서울지역 로타바이러스 질환의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Fecal specimens from acute gastroenteritis in Seoul from 2009 to 2010 were collected and then tested for the presence of Group A Rotavirus by ELISA. Among a total of 1,916 samples investigated, 354 samples (18.4%) were positive. The predominant genotypes of positive samples were confirmed as P6G[4] (35%), P8G[3] (28%), P8G[1] (24%), P4G[2] (10%), P8G[9] (3%), respectively. Among a total of 70 ground water samples investigated, 2 samples (2.8%) were positive. The genotypes of positive samples were confirmed as P8G[3] (100%). By this molecular investigation, genotypic distribution associated with rotavirus will be used for control and prevention of rotavirus related diseases.

      • KCI등재

        건설근로자의 개인적 특성에 맞는 안전교육 모델

        김은정,신동우,김경래,Kim, Eun-Jeung,Shin, Dong-Woo,Kim, Kyung-Rai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9 No.5

        안전지식 함양, 안전기능 체득, 안전태도 향상을 목표로 하는 안전교육은 별다른 제한 없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중요한 안전대책일 뿐만 아니라 재해를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 중에 제일 큰 우선도를 갖는다. 그러나 건설현장에서의 안전교육은 매우 형식에 치우쳐 교육을 위한 교육일 뿐이며 근로자들에게 안전교육 시간은 지루하고 따분한 시간일 뿐이다. 이러한 이유는 자기와 상관없는 교육내용과 개인적 특성을 무시한 일괄교육에서 기인하며 이는 더 이상 근로자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지 못한다. 따라서 건설근로자들의 개인적 특성에 맞는 다양한 안전교육 모델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건설근로자의 개인적 특성에 맞는 안전교육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건설현장에서 종사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통계분석을 실시하여 개인적 특성에 맞는 안전교육 모델을 제시하였다. Safety education, which aims to cultivate an understanding of safety, to help acquire safety skills, and to improve attitude toward safety, is an important safety measure that doesn't entail restrictions to be carried out efficiently. Furthermore, safety education is perceived to be the most preferred measure in reducing the occurrence of accident. The current practice of safety education In construction sites, however, is all formal and has no substance. Safety education became a mere boring time to workers since the material is not related to them, and does not reflect the individual personalities, which cannot induce voluntary participation of workers. Thus, it is vital to develop various safety education models suitable for individual personalities of construction workers.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to establish safety education models according to individual personalities of construction workers. On this, the study seeks to present a model for safety education complying with individual personality of construction workers by a survey using questionnaires and statistical analyses to workers on the construction sites.

      • KCI등재

        건설근로자의 개인적 특성을 고려한 안전교육 개선방향

        김은정,김경래,신동우,Kim, Eun-Jeung,Kim, Kyung-Rai,Shin, Dong-Woo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9 No.3

        안전교육은 작업장 위험에 대해 자기 스스로 보호할 수 있는 기본적인 방법이라고 안전교육 전문가들이 언급한 것처럼 안전교육은 재해예방에 별다른 제한 없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중요한 안전대책이다. 그러나 건설현장에서의 안전교육은 매우 형식에 치우쳐 교육을 위한 교육일 뿐이며 근로자들에게 안전교육 시간은 지루하고 따분한 시간일 뿐이다. 이러한 이유는 자기와 상관없는 교육내용과 개인적 특성을 무시한 일괄교육에서 기인하며 이는 더 이상 근로자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지 못한다. 따라서 건설근로자들의 개인적 특성에 맞는 다양한 안전교육모델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건설근로자의 개인적 특성에 맞는 안전교육 모델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선행연구 분석 및 면담조사를 통해 건설근로자들의 대표적인 개인적 특성 요소와 안전교육 요소를 도출하여 각각의 분류체계를 구축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건설현장의 근로자에 대한 사례적용을 통해 건설 안전교육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As defined by the experts, safety education is the basic method through which people can protect themselves from the dangers in workplace. Therefore, safety education is an important safety measure that can be effectively utilized in disaster prevention without any certain limit. The current practice of safety education in construction sites, however, is all formal and has no substance. Safety education became a mere boring time to workers since the material is not related to them, and does not reflect the individual personalities, which cannot induce voluntary participation of workers. Thus, it is vital to develop various safety education models suitable for individual personalities of construction workers.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to establish safety education models according to individual personalities of construction worker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reliminary stuff and interviews, the typical individual personalities of construction workers and safety education factors were examined, and the frameworks for each were established. Based on results of applying them to actual cases, directions to improve safety education in construction sites are presented.

      • KCI등재

        질적 내용분석을 통한 주생활교육 교수학습 연구 동향 분석

        김은정(Kim Eun Je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6

        본 연구는 주생활교육의 교수학습과정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들을 대상으로 질적 내용분석을 실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6년부터 2020년 9월 현재까지의 질적 논문 8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생활교육 교수학습과정 프로그램 개발 연구들의 핵심어(키워드)는 ‘주생활’, ‘주거와 거주환경’, ‘지속 가능한 주생활’, ‘주생활 문화’, ‘주거 안전교육’ 등 이었다. 교수학습방법으로는 ADDIE교수설계 모형을 적용한 연구와 문제중심모형을 적용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둘째, 연구들은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을 주로 하였으며, 프로그램 개발 단원은 주생활 일반이었다. 교수학습 프로그램에는 교수설계안과 학생 평가항목, 사전/ 사후 검사 및 평가가 포함되었다. 셋째, 프로그램 개발 자료로는 2~4차시에 적용 가능한 수업자료, 학생활동지와 평가지, 수업일지 등을 제시하고 있다. 분석 방법으로는 기술적 통계를 주로 사용했으며, 수업 기법으로는 문제해결 혹은 추론학습 모형과 비주얼씽킹을 주로 활용하고 있었다. 넷째, 교수학습과정 프로그램 개발 자료의 통계적 유의미한 효과를 검증하여 제시한 연구들이 있었다. 다섯째. 연구 대상자와 지역적 특성에 따른 일반화의 어려움을 가장 많이 제시하였다. 후속연구로는 주생활교육 전반의 연구 경향에 미치는 내재적 요인과 주생활교육 연구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한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the qualitative content-analysis targeting the researches on the development of housing education teaching/learning program. For this, this study analyzed total eight qualitative theses from 2016 to september(present) 202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of the researches on the development of housing education teaching/learning program were ‘housing’, ‘dwelling and residential environment’, ‘sustainable housing’, ‘housing culture’, and ‘dwelling safety education’. In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most of the researches applied the ADDIE instructional design model and the problem-based model. Second, those researches mostly analyzed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and the unit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 was general housing. The teaching/learning program included the instructional design plan, student evaluation items, pre/post tests, and evaluation. Third, as the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 they presented the lesson materials applicable to the 2nd-4th sessions, student activity sheets, evaluation sheets, and teaching log. In the analysis methods, the descriptive statistics was mostly used. In the teaching techniques, the problem-solving or inferential learning model, and the visual thinking were mostly utilized. Fourth, there were some researches that verified and present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f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program. Fifth, the difficulty in the generalization according to research subject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was presented the most. In the future,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follow-up researches on the intrinsic factors having effects on the overall tendency of researches on housing education, and the measures for increasing the interest in researches on housing education.

      • KCI등재

        초등 실과교육에서의 교과통합 진로교육 방향 탐색

        김은정(Kim Eun Je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0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실과교육을 통해 진로교육을 어떻게 수행할 것인가를 탐색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실과교육에서의 진로교육의 연구 동향 및 교육 과정에 나타난 실과교육에서의 진로교육 현황을 분석하고, 마지막으로 실과교육에서의 교과통합 진로교육의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교육에서의 진로교육 관련 연구는 2015년 이후부터 점차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실과교육을 통한 진로교육의 가능성에 대한 탐구가 필요함을 나타내준다. 둘째, 실과교육과 진로교육의 교육과정 문서를 비교 분석하였을 때 내용적인 측면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실과교육이 여전히 진로교육의 중핵교과임을 알 수 있다. 셋째, 실과교육에서의 진로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교과통합 진로 교육 교수 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시행되기 이전에 이루어진 연구로 교수·학습 과정 모형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확인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ways of how elementary practical arts education can perform integrated subject career education. To achieve the research aim, this research analyzed research trends in career education in elementary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the situation of integrated subject career education in practical arts education revealed in curriculum. And, finally, it explored the direc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as integrated subject career education.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150 researches on career education in practical arts education revealed that, while there had been active researches on it from 2011 to 2014, such researches have slowly decreased after that. Second, comparative analysis of curricular document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career education did not reveal any discernable differences in contents related with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From such a finding, we can recognize that practical arts education should play the core course as career education. Third, this research suggested an exemplary idea on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on integrated subject career education focusing career education in elementary practical arts education. By integrating the 2015 revised curriculum on Practical Arts(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an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im of school career education, this research implicitly suggested the performance standard in integrated subjects career education, aim of integrated subject career education, capacity of integrated subject career education, model of career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evaluative methods. This research has a limit that, as it was performed before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in 2015 revised curriculum would be applied to schools, the suggestions of this research could not applied.

      • KCI등재

        목차 : 추락재해의 효과적인 위험관리 방안

        김은정 ( Eun Jeung Kim ),안홍섭 ( Hong Seob Ahn ) 한국안전학회(구-한국산업안전학회) 2012 한국안전학회지 Vol.27 No.2

        The present study was motivated by the needs to make diversified scientific approaches toward influential factors like human, technical, organization, policy and environmental on the basis of the specialized information concerning the cause for industrial accidents in a measure to prevent the falling accident which has the biggest priority among the three major frequent industrial accidents. In this connection, diverse policies have been practiced in the meantime, with little effects in fact to reduce occurrence of industrial accidents, seemingly because such policies have been practiced on the direct dimension, instead of tries to nip in the bud of fundamental causes, This study was thus conducted with a view to determine the causes that have influence on falling accidents from the overall context and unearth the factors requiring management with priority, For this aim, "Fall from Height" (2003), a study by HSE, UK was applied to various conditions of korea as an experiment to search for fundamental causes for falling acciden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might be summed up as exploring a main critical path that has influence upon falling accidents and suggesting effective ways to cut down through the critical path.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