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난 20여 년간 서울지역 초등학생 식품알레르기 유병률의 변화와 위험 인자 분석

        김영호 ( Yeong-ho Kim ),이소연 ( So-yeon Lee ),이은 ( Eun Lee ),조현주 ( Hyun-ju Cho ),김효빈 ( Hyo-bin Kim ),권지원 ( Ji-won Kwon ),양송이 ( Song-i Yang ),김은진 ( Eun-jin Kim ),이점규 ( Jeom-kyu Lee ),홍수종 ( Soo-jong Hong )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구 대한알레르기학회) 2016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4 No.4

        Purpose: There are many reports that the prevalence of food allergy (FA) is globally increasing. We investigated the change in FA prevalence since the last 20 year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Seoul, Korea.Methods: A modified International Study of Asthma and Allergies in Childhood questionnaire survey was done to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Seoul, Korea in 1995, 2000, 2005, 2008, and 2012. The numbers of subjects included in the analysis were 7,963, 7,971, 7,131, 3,975, and 3,307, respectively. Blood and skin prick tests were done in 2008 and 2012.Results: The prevalence rates of FA diagnosis ever were 4.6% (95% confidence interval [CI], 4.1-5.1), 5.2% (95% CI, 4.7-5.7), 6.4% (95% CI, 5.9-7.0), 5.5% (95% CI, 4.8-6.3), and 6.6% (95% CI, 5.8-7.6) in 1995, 2000, 2005, 2008, and 2012, respectively (P-value for trend <0.001). Asthma (adjusted odds ratio [aOR], 2.209; 95% CI, 1.589-3.072), allergic rhinitis (aOR, 1.874; 95% CI, 1.473-2.384), and atopic dermatitis (aOR, 4.288; 95% CI, 3.340-5.506) were associated with FA diagnosis. Parental allergic disease history (aOR, 2.191; 95% CI, 1.666-2.881), antibiotics use in infancy (aOR, 1.484; 95% CI, 1.170-1.883), and house mold exposure in infancy (aOR, 1.540; 95% CI, 1.172-2.024) were risk factors for FA diagnosis. Sensitization to inhalant allergens (aOR, 1.867; 95% CI, 1.091-3.194) and increased serum total IgE (aOR, 2.014; 95% CI, 1.081-3.752) were associated with FA diagnosis.Conclusion: The prevalence of FA diagnosis is likely to be increasing since the last 20 years in Seoul. Antibiotics use in infancy and house mold exposure in infancy were risk factors for FA diagnosis. (Allergy Asthma Respir Dis 2016:4:276-283)

      • SCOPUSKCI등재

        50세 미만 인구에서 용종절제술로 제거된 대장선종의 특성: 대한장연구학회 전향적 다기관공동연구

        송현주 ( Hyun Joo Song ),정성애 ( Sung Ae Jung ),김현수 ( Hyun Soo Kim ),김영호 ( Young Ho Kim ),김원호 ( Won Ho Kim ),김태일 ( Tae Il Kim ),김효종 ( Hyo Jong Kim ),양석균 ( Suk Kyun Yang ),명승재 ( Seung Jae Myung ),변정식 ( Jeon 대한장연구학회 2005 Intestinal Research Vol.3 No.1

        목적: 대장암의 전구병변인 대장선종을 제거하는 것은 대장암을 예방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아직까지 평균위험 연령 미만인 50세 미만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대장선종에 대한 연구는 아직 많지 않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대한장연구학회 산하 용종연구회에서 전향적으로 진행하였다. 2003년 7월부터 2004년 6월까지 11개 대학병원에서 대장내시경을 시행받은 환자 19,28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용종절제술 후 선종으로 확인된 3,366명의 환자를 50세를 기준으로 나누어 50세 미만인 831명의 환자들의 대장내시경의 적응증, 만성질환의 동반여부, 전신상태, 선종의 크기와 위치 및 병리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용종절제술로 절제된 선종은 50세 미만 환자군에서는 10.7% (831/7,789), 50세 이상에서는 22.0% (2,535/11,499)로 50세 이상의 연령층에서 많았고(p<0.001), 진행성 선종은 젊은 연령층에서 유의하게 적었다(17.7% vs. 21.9%, p<0.0050). 대장에 선종이 있었던 50세 미만의 환자들의 대장내시경을 시행받은 적응증은 무증상(32.7%)이 가장 많았고, 대변습관의 변화(24.0%), 복부통증(16.8%), 잠혈반응을 포함하는 혈변(9.2%), 대변 굵기의 변화(4.8%) 등의 순이었다. 50세 미만 환자에서 진행성 선종의 위험인자는 잠혈반응을 포함한 혈변(교차비 1.9, 95% 신뢰구간 1.1-3.3)과 일차기관에서 의뢰된 경우(교차비 2.0, 95% 신뢰구간 1.3-3.0)였다. 결론: 50세 미만의 젊은 연령에서 용종절제술로 확인된 선종의 경우 진행성 선종의 비율이 낮았고, 용종절제술을 요하는 정도의 선종도 50세 이상의 환자군에 비해 적음을 알 수 있었다. 젊은 연령의 환자들에서 혈변을 호소하거나 일차기관에서 의뢰된 환자들의 경우 대장내시경 검사시에 진행성 선종의 가능성이 높으므로 보다 신중한 검사를 요한다. Background/Aims: The current practice of colonoscopic polypectomy reduce the risk of colorectal cancer. However, clinicopathologic charateristics of colorectal adenoma in population under 50 years old are uncertai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colorectal adenoma and to determine colonoscopic indication of advanced adenoma in this population. Methods: A large scale, multicenter, p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from July 2003 through June 2004. Of the total 19,288 patients performed colonoscopy at 11 tertiary medical centers, we analysed 3,366 patients who undergone polypectomy and divided two groups by age of 50. Results: Among colonoscopic polypectomy, 10.7 percent (831/7,789) was younger patients and 22.0 percent (2.535/11,499) was older patients (p< 0.001), and the detection rate of advanced adenoma was significantly lower in younger patients than older patients (17.7% vs. 21.1%, p< 0.0050). In younger patients, the indications of colonoscopy were asymptomatic screening (32.7%), bowel habit change (24.0%), abdominal pain (16.8%), hematochezia (9.2%) and so on. The risk factors for advanced adenoma as colonoscopic indications in younger patients were hematochezia (OR 1.9, 95% CI 1.1-3.3) and referred patients from primary clinic (OR 2.0, 95% CI 1.3-3.0). Conclusions: This study documents lower prevalence of adenoma requiring polypectomy in younger patients compared with older patients and the low detection rate of advanced adenoma. Also, in this younger population, the colonoscopic polypectomy should be the first consideration in polyps with hamatochezia patients or referred patients from primary clinic. (Intest Res 2005;3:18-26)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폴리메틸페닐실란계 전도성 고분자의 합성과 구조 특성

        양현수,강필현,김정수,류해일,김영호 ( Hyun Soo Yang,Phil Hyun Kang,Jeong Soo Kim,Hae il Ryu,Young Ho Kim ) 한국공업화학회 1996 공업화학 Vol.7 No.5

        측쇄가 메틸, 페닐 혹은 이들이 혼합된 구조인 4종의 폴리실란계 고분자를 합성하고, 이어서이들에 요오드를 도핑하여 변형된 폴리실란/I₂고분자들을 얻었다. 그들의 구조적, 열적, 전기적 특성을 FT-IR, UV/VIS, TGA/DTG, DSC, 전기전도도 측정을 통하여 체계적으로 관찰하였다. FT-IR 스펙트럼들에 의하여 원하는 측쇄를 함유한 폴리실란계 고분자의 합성을 확인하였다. 열분석에 의하여 측쇄그룹이 메틸기에서 페닐기로 치환됨에 따라 열안정성이 증가함을 확인 하였다. UV/VIS 분석에서는 메틸기의 치환체에서 나타나는 350nm의 실리콘 결합의 σ-σ^* 전이는 페닐기가 치환되면서 장파장쪽으로 이동하였으며 이는 π 전자의 비편재화에 의한 띠간격의 감소가 발생함을 나타내었다. 요오드로 도핑된 고분자들은 도핑되지 않은 고분자들에 비하여 다단계의 열분해가 일어나며 잔기의 함량도 높았다. 전도도는 폴리실란 고분자에서는 10^(-5) S/cm 범위의 값을 가지고 도핑 폴리실란에서 10^(-4) S/cm 범위의 값들을 나타내었다. Four kinds of polysilanes which had side chains of methyl, phenyl, and mixed structures, were synthesized and modified by doping with iodine. The structural, thermal, and electric characteristics of obtained polymers were systematically observed with FT-IR, UV/VIS, TGA/DTG, DSC, and measurement of electric conductivity. From FT-IR spectra, it was confirmed that the synthesized polysilanes had side chains of methyl, phenyl, and mixed structures. The thermal stabilities of the polymers were found to increase with phenyl substituents. The polysilanes with phenyl side groups showed σ-σ^* transition absorption at wavelengths longer than 350 nm. The bathochromic shift of polysilanes with phenyl substituents relates probably to the narrowed band gap caused by delocalization of π-electron. The polymers doped with iodine showed multi-step pyrolysis behavior and higher residue compared with that of the undoped polymers. The electric conductivities of the undoped and doped polysilanes were 10^(-5) S/cm and 10^(-4) S/cm, respectively.

      • SCOPUSKCI등재

        대장 폴립형 선종과 비교한 편평 선종의 임상 및 병리학적 특성과 악성화 빈도

        지명관 ( Myeong Gwan Jee ),김현수 ( Hyun Soo Kim ),김원호 ( Won Ho Kim ),김태일 ( Tae Il Kim ),박동일 ( Dong Il Park ),김영호 ( Young Ho Kim ),김효종 ( Hyo Jong Kim ),변정식 ( Jeong Sik Byeon ),양석균 ( Suk Kyun Yang ),이문성 ( Mo 대한장연구학회 2005 Intestinal Research Vol.3 No.2

        목적: 대장 선종의 육안형태에 따른 악성화 가능성은 초기 연구에 있어 편평 선종이 폴립형 선종에 비해 조기 대장암이나 고도 이형성의 동반율이 높다고 보고되었으나 최근 연구들은 육안형태에 따른 차이가 없음을 보고해 논란이 있다. 본 연구는 전향적 다기관 연구를 통하여 국내 대장 편평 선종의 임상병리학적 특성을 폴립형 선종과 비교하고 악성화 가능성의 지표인 고도 이형성이나 조기암의 동반을 결정하는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7월부터 2004년 7월 까지 국내 11개 대학병원에서 전 대장내시경 및 폴립 절제술을 받은 4,412명 중 선종으로 진단된 3,360명(평균 나이:57.3세, 남자:2,383명, 여자:977명)을 대상으로 육안 형태 및 병리학적 기준에 따라 대장의 편평 선종군과 폴립형 선종군으로 구분하였다. 양 군에서 임상병리학적 특성을 비교하였고 악성화 가능성의 지표로 고도 이형성과 조기 암의 동반에 관련된 위험 인자를 알아보고자 성별, 연령, 대장 선종의 크기, 위치, 융모 선종의 함유여부, 육안 형태의 여러 요인에 대한 다변량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3,360명의 선종 환자 중 편평 선종은 207명으로 6.2%를 차지하였다. 편평 선종은 폴립형 선종에 비해 크기가 컸으며(10.6 mm vs. 9.2 mm, p<0.01) 고령에서(59.6세 vs. 57.1세, p<0.01) 우측 대장(49% vs. 32%, p<0.01)에 호발하였다. 그러나 성별, 체질량 지수, 동반 선종의 개수나 분포는 양 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육안형태에 따른 진행성 선종이나 암의 동반빈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5.4% vs. 4.6%, p=0.36). 다변량분석 결과 대장 선종의 악성화 가능성은 육안형태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대장 선종의 크기가 11 mm 이상인 경우(OR 6.8, 95% [CI], 4.8-9.7)와 좌측 대장에 위치한 경우(OR 1.6, 95% [CI], 1.1-2.5) 위험도가 증가하였다. 결론: 국내에서 대장의 편평 선종은 고령의 환자에서 우측 대장에 호발하므로 선별검사로서 대장내시경이 유리하며 악성화 가능성을 결정하는 위험인자는 대장 선종의 육안형태가 아니라 선종의 크기와 위치임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Aims: Colorectal flat adenomas have been a topic of debate in the view of malignant potential.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of flat adenomas compared to that of polypoid adenomas and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for malignant transformation in colorectal flat and polypoid adenomas. Methods: This was a prospective, cross sectional study of 3,360 patients who diagnosed as adenomas via total colonoscopy and polypectomy at 13 tertiary medical centers between July 2003 and July 2004. Potential risk factors for malignant transformation were analyzed. Results: Out of 3,360 adenomas, 207 (6.2%) were flat adenomas and 3,153 (93.8%) were polypoid adenomas. The patients with flat adenoma were older (59.6 vs. 57.1, p<0.01) and more frequently located in the right colon than polypoid adenomas (49.3% vs. 32.0%, p<0.01). The incidence of high grade dysplasia or cancer in flat adenomas was similar to that of polypoid adenomas (5.4% vs. 4.6%, p=0.36). Multivariate analysis revealed that the size ≥11 mm (OR 6.8; 95% CI 4.8-9.7) and location of adenoma in the left colon (OR 1.6; 95% CI 1.07-2.38)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for malignant potential of colonic adenoma. Conclusions: Clinicopathological determinants for malignant potential in colorectal adenomas were not gross morphology but size and location of adenoma. (Intestinal Research 2005;3:127-132)

      • SCOPUSKCI등재

        노인에서 대장 내시경 선별 검사의 임상적 효용성: 대한장연구학회 다기관 공동연구

        박성근 ( Sung Geun Park ),박동일 ( Dong Il Park ),김영호 ( Young Ho Kim ),김현수 ( Hyun Soo Kim ),김원호 ( Won Ho Kim ),김태일 ( Tae Il Kim ),김효종 ( Hyo Jong Kim ),양석균 ( Suk Kyun Yang ),변정식 ( Jeong Sik Byeon ),이문성 ( Moo 대한장연구학회 2008 Intestinal Research Vol.6 No.1

        Background/Aims: Currently, screening colonscopy is widely performed in the medical field. The initial time of screening is recommended at an age of 50 years, but the age to cease screening is unknown. Accordingly, we have investigated the diagnostic yield of colonoscopy according to indications in the elderly, and we evaluated if screening colonoscopy is useful in the elderly. Methods: We recruited asymptomatic individuals undergoing screening colonoscopy according to age (2830 subjects aged 50-74 years and 111 subjects ≥75 years-old), The colonoscopy findings of the study subjects were compared. In addition, colonoscopy findings of asymptomatic subjects more than 75 years-old were compared with the findings of symptomatic subjects with the same age. Results: The yield for overall neoplasia and advanced adenoma was higher in the group of subjects ≥75 years-old than in the 50-74 years age group (overall adenoma: 49.54% versus 24.98%, p<0.001; advanced adenoma: 16.2% versus 8.23%, p=0.003). The overall frequency of neoplasms was higher in asymptomatic subjects ≥75 years-old than in symptomatic subjects ≥75 years-old (49.54% versus 28.19%, p<0.001). Conclusions: The prevalence of advanced adenoma increased with age. Screening colonoscopy was still significantly effective in elderly subjects ≥75 years-old. The lack of a decline in the frequency of adenoma, including advanced adenoma, justifies continuing screening colonoscopy in the elderly. (Intest Res 2008;6:25-30)

      • KCI등재

        대장암 선별과 대장폴립 진단검사 가이드라인

        이보인 ( Bo In Lee ),홍성필 ( Sung Pil Hong ),김성은 ( Seong Eun Kim ),김세형 ( Se Hyung Kim ),김현수 ( Hyun Soo Kim ),홍성노 ( Sung Noh Hong ),양동훈 ( Dong Hoon Yang ),신성재 ( Sung Jae Shin ),이석호 ( Suck Ho Lee ),김영호 ( You 대한소화기학회 2012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9 No.2

        1. 한국에서 대장암과 대장샘종의 역학 (1) 한국에서 대장암의 발생률은 증가하고 있다. (2) 한국에서 대장샘종의 발생률은 증가하고 있다. 2. 대장암 선별과 대장폴립 진단검사 가이드라인 1) 선별검사 시행 시기 (1) 평균위험군에서 대장암 선별과 대장샘종 진단검사는 50세부터 시작하는 것을 권고한다. 단, 대장암 증상이나 징후가 있는 경우 50세 이전에 시행할 수 있다. 2) 대변잠혈검사 (1) 50세 이상의 평균위험군에서 대변잠혈검사는 대장암으로 인한 사망률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므로 대규모 인구집단에서 대장암의 선별검사로 권고한다. 이는 검사 양성일 때 대장내시경검사가 수행되어야 함을 전제로 한다. (2) 50세 이상의 평균위험군에서 대장암의 선별검사로 기존의 guaiac 대변잠혈검사에 비해 대변 면역화학검사를 우선적으로 권고한다. 3) CT 대장조영술 (1) 50세 이상의 평균위험군에서 CT 대장조영술을 대장암 선별과 대장폴립 진단검사 중 하나로 권고한다. (2) CT 대장조영술에서 6 mm 이상의 폴립이 발견된 경우 대장내시경검사를 권고한다. 4) 이중조영바륨관장술 (1) 50세 이상의 평균위험군에서 이중조영바륨관장술을 대장암 선별검사 중 하나로 권고한다. (2) 이중조영바륨관장술에서 6 mm 이상의 폴립이 발견된 경우 대장내시경검사를 권고한다. 5) 대장내시경검사 (1) 50세 이상 평균위험군에서 대장암 선별과 대장샘종 진단검사로 대장내시경검사를 우선적으로 권고한다. (2) 50세 이상 평균위험군에서 첫 선별대장내시경검사가 일정 질 수준 이상으로 이루어졌다면 대장암이나 대장샘종이 발견되지 않은 경우 5년 이후 추적대장내시경검사를 권고한다. 단, 대장암 경고증상이 새롭게 발생한 환자를 포함하여 추적기간 내 중간암의 우려가 있다고 의사가 판단하는 경우 5년 이내라도 추적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Colorectal cancer is the second most common cancer in males and the fourth most common in females in Korea. Since the most of colorectal cancer occur through the prolonged transformation of adenomas into carcinomas, early detection and removal of colorectal adenomas are one of the most effective methods to prevent colorectal cancer. Considering the increasing incidence of colorectal cancer and polyps in Korea, it is very important to establish Korean guideline for colorectal cancer screening and polyp detection. Korean Multi-Society Take Force developed the guidelines with evidence-based methods, Parts of the statements drawn by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Herein we discussed the epidemiology of colorectal cancers and adenomas in Korea, optimal screening methods for colorectal cancer, and detection for adenomas including fecal occult blood tests, radiologic tests, and endoscopic examinations.

      • SCOPUSKCI등재

        국내 대장폴립절제 시 치료 행태에 대한 설문조사

        신성재 ( Sung Jae Shin ),이석호 ( Suck Ho Lee ),박동일 ( Dong Il Park ),홍성노 ( Sung Noh Hong ),김성은 ( Seong Eun Kim ),양동훈 ( Dong Hoon Yang ),홍성필 ( Sung Pil Hong ),이보인 ( Bo In Lee ),김현수 ( Hyun Soo Kim ),김영호 ( You 대한장연구학회 2011 Intestinal Research Vol.9 No.3

        Background/Aims: There are no evidence-based, procedural guidelines to appropriately perform a colon polypectomy. Thus, we investigated the treatment modality for colon polypectomy in Korea, using a web-based e-mail survey. Methods: A questionnaire of preferred treatment modality for colon polypectomy was sent via e-mail to members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Intestinal Diseases and primary care physicians who performed colonoscopies as a screening or surveillance program nationwide. Among 425 colonoscopists who were sent the e-mail, 263 replied. We analysed data from 252 colonoscopists who had performed colon polypectomies. Results: The stopping time for antiplatelet and anticoagulation therapy before a colon polypectomy had a tendency to increase and the restarting time for these drugs was delayed as polyp size increased. Colonoscopists preferred cold biopsy removal for polyps <5 mm in size and a hot snare polypectomy after injecting normal saline and epinephrine mixture for polyps ≥5 mm in size. More than half of colonoscopists preferred observation rather than additional procedures for adenomas with incomplete resection. In contrast, most colonoscopists recommended additional procedures, such as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or surgery for an advanced adenoma with incomplete resection. The most preferred prophylactic treatment for immediate postpolypectomy bleeding was hemoclipping. Conclusions: Various treatment modalities were used for a colon polypectomy because there are few guidelines for performing a colon polypectomy based on a critical review of the available data. Further well-designed, prospective studies are needed to develop evidence-based guidelines for colon polypectomy. (Intest Res 2011;9:196-20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