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백의 역설적 발언 -김종삼 시의 근저

        김영미 ( Kim Young-mee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3 국제어문 Vol.57 No.-

        전쟁의 상흔과 기억 속에 김종삼의 시는 놓여 있다. 하지만 그는 이를 정확히 그리고 제대로 말할 수 없었다. 전쟁과의 밀착된 거리에서 벗어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김종삼의 시쓰기는 전쟁의 광포한 폭력 앞에서 말더듬과 실어, 혹은 다른 말로 드러내기이다. 이런 이유로 그를 절제와 고전주의자, 혹은 유미주의자로 일컫는 학계 또는 문단의 지배적 논의에 대한 의문에서 본고는 시작한다. 김종삼의 시는 말하고 싶지만 말할 수 없는 것으로 가득 차 있다. 그 내적 동인은 전쟁으로 비롯된 세계에 대한 공포다. 그는 과작의 시인이었다. 작품의 길이도 대체로 짧으며, 작품의 양도 많지 않다. 침묵의 세계를 거느리고 있다. 이 침묵은 그의 시에서 여백으로 구체화되어 되어 드러난다. 김종삼 시는 최소한의 언어만 남겨둔 채 여백으로 차 있다. 밀집된 언어로 의미를 구축해 나가는 시가 아니다. 그리고 그 여백은 적막하다. 노장(老莊)이나 선(禪)의 고답적인 것과는 다르다. 그가 현실을 드러내는 데에는 공포와 무력의 정신적 실어증이 작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김종삼은 말하지 않음(또는 못함)의 말함, 곧 `불언(不言)의 언(言)`의 세계에 갇혀 있었던 시인이다. 그러나 그의 시가 주는 감동은 불행한 시대와 대면해야 했던 그의 고통이 그의 배면으로부터 언어를 뚫고 스며나오고 있다. 말하지 못한 바들이 그의 시 이면에서 되살아나는 것이다. 대상 또는 세계에 대한 그의 거부는 공포를 낳았고, 그것의 조심스러운 세상과의 말걸기가 그의 시라는 점에서 그 아픔을 공유할 수 있다는 사실은 역사의 한 위안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김종삼 시와 역사의 상관성 문제는 보다 면밀한 검토를 요한다. 하지만 그의 닫힌 언어는 그런 점에서 하나의 한계다. 그로 말미암아 왜소한 형식과 난해의 관문이 소통을 막고 있기 때문이다. Kim, Jong-sam`s poems are placed within the scars and memories of war. Kim, however, could not directly express this because he could not escape the war laden streets. Kim, in the context of outrages of war, expresses poetry as if to stutter or to experience language loss, or express his feelings with incongruent words. For such reasons, the academic and literary circles` predominant consensus is that Kim is a moderate, a classicist, or an aestheticist. I would like to begin my paper by raising skepticism towards such overwhelming consensus. Kim`s poems overflow with the desire to express what is unexpressable. Such inner chaos is rooted in the fear of the world which is generated by war. He was an un-prolific poet in that he did not produce many works and of the few most were short. He wandered in the land of silence. In his poetry, the silence is expressed as empty space. The poet was overly frugal with words. Words were replaced with empty spaces. They filled the places where words did not. The emptiness manifests as a desolate space. His is unlike that of Lao-tzu and Zhuangzi or Dhyana. He is not concerned with the transcendent. It seems that a psychological mutism towards fear and violence played a major part in Kim`s manifesting reality in his work. The poet was imprisoned in a world of not-speaking(or rather unable to speak), in other words in a world of speaking in silence. Nevertheless, the afflictions of an unfortunate era pours out from the depths of his soul in the language of poetry. The things he could not express directly comes alive from the hidden side of his work. The rejection of objects or the world created fear. His poems are apprehensive attempts at starting a conversation with the world he rejected. In this regard, readers are able to share the historic scars with the poet, providing solace for the broken past. On the other hand, however, his confined language is a barrier to his work. The short length and convoluted content of his poetry causes obstruction to communication.

      • KCI등재
      • KCI등재

        안서의 시학과 일본 체험

        김영미(Kim Young-mee) 한국시학회 2010 한국시학연구 Vol.- No.29

        Anseo (Kim-uk) showed adventures and collapses in beginning modem Korean poems. The adventures was deeply related to experiences in Japan. To him, Japan was the space that he was able to meet three languages. This experience was cubic and dynamic. He experienced meeting with Korean, Japanese, and other languages(English, French, Esperanto etc.) in Japan. Japan was the space that many languages were mixed, and therefore diverse chemical reactions were able to happen with other languages. To Anseo, Japan was the space that eastern languages and western languages were crash with, and come into being. Anseo's poetic wandering was begin with the ross of established linguistic system. This was strengthened the external space, Japan. From experiences in Japan, Anseo was able to produce his poetics. But he was shown to accept poetic experiences in japan, and at the same time to get out of them. This was the very difficult process. This process means groping for poetic possibility of Korean. The pursuit of beauty in poetic language, female voice for it, and the attainment of music by rhythm were strengthened in Japan. Anseo's poetics got accomplished at the point of contact that was the reception and refusal though the external space. Thus he was able to leave many poems and poetic theories. They are meaningful up today. To Anseo, Japan was the space of despair and suffering for finding poetic language. In there eastern and western poems met with each other, a poet experienced the agony or delight together.

      • KCI등재

        스포츠 경기의 특성에 따른 스포츠 감정 유형 분석 : 소셜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김영미,양재식,Kim, Young-Mee,Yang, Jae-Sik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1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9 No.7

        본 연구는 스포츠 경기의 특성에 따른 스포츠 감정 유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아시안게임 중, 대한민국 대표팀이 출전한 축구 7경기, 야구 6경기를 선정한 후, 이에 대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상 기사와 그 댓글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Python을 이용하여 수집된 댓글은 전문가 회의를 통해 해당 감정을 분석하였다. 스포츠 경기의 승패, 상대 팀의 수준 및 대한민국 대표팀의 경기력에 따른 스포츠 감정을 분석한 결과, 첫째, 승패와 상대 팀 수준은 특정한 유형의 스포츠 감정을 형성한다고 보기 어려웠다. 둘째, 스포츠 경기의 경기력은 좋다는 평가를 받을 경우 만족, 열광, 기쁨 등의 긍정적 감정을, 나쁘다는 평가를 받을 경우 실망, 분노, 창피의 부정적 감정을 형성하였다. 셋째, 스포츠 경기와 연관된 사회·문화적 배경이나 해당 경기의 특정한 사건 또한 스포츠 감정의 유형에 영향을 미쳤다. 추후,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다양한 스포츠 경기의 특성을 추가하여 보다 많은 스포츠 경기를 대상으로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types of sport emotion by sport game characteristics. For that, 7 soccer games and 6 baseball games of Korean team in 2018 Asian Games were selected, and the articles and their replies about those on social network services were collected as study materials. Python was used for the collecting and expert group meeting was held for the emotion analysis.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sport emotion types by win or lose, the level of opponents and the performance of Korean team as game characteristic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it was hard to say that win or lose and opponent's level make certain sport emotion type. Second, The performance could made contended, enthusiastic and joyful emotions when judged good, but frustrated, angry, humiliated emotions when bad. Third, social·cultural background or certain event of the games also could effect on the sport emotion types. Follow-up studies with the other game characteristics and more game cases were needed to find out more clear causal relationship.

      • 유기인계 및 카바메이트계 농약의 고감수성 아세틸콜린에스테라이즈의 대량생산

        김영미,김소미,조문제,Kim, Young-Mee,K., Cho,Cho, Moon-Jae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03 한국농화학회지 Vol.46 No.4

        본 실험에서는 acetylcholinesterase(AChE, EC 3.1.1.7)를 이용한 간이 잔류농약 검사법에 필요한, 유기인계 및 카바메이트계 살충제에 대한 감수성이 증가된 AChE(MAChE)를 baculovirus를 이용하여 대량으로 생산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생산된 효소의 특성을 관찰하였다. 한라산에서 채취한 초파리에서 AChE의 cDNA를 합성한 후 PCR을 이용하여 AChE의 lipid anchor부분을 제거하고 site directed mutagenesis에 의해 E107Y, F368L, L408E의 염기서열을 변화시켜 재조합된 MAChE cDNA를 합성하였고 baculovirus vector에 삽입하여 대량생산을 시도하였다. 대량 증식에 필요한 조건으로 감염횟수가 네 번일 때, 그리고 세포수가 $2{\times}10^6$ cell/ml일 때 세포의 증식과 효소의 활성이 극대화됨을 알 수 있었다. His tag을 붙여 Ni-NTA affinity column을 이용하여 MAChE를 정제하였으며, 정제된 효소는 실험조건하에서는 pH(3-10)와 온도$(20-50^{\circ}C)$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농약 추출액으로 methanol을 사용했을 때가 ethanol을 사용할 때 보다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대표적인 유기인계와 카바메이트계 농약에 대한 저해율을 조사한 결과 재조합된 MAChE는 대만의 집파리 및 변형되지 않은 AChE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농약에 대한 감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For the simple rapid bioassay of organophosphorus and carbamate pesticide residues, a mass-production system of acetycholinesterase (AChE, EC 3.1.1.7, MAChE) using baculovirus and insect cell culture was constructed. The cDNA for AChE was synthesized from Drosophila melanogaster in Halla Mountain, the lipid anchor tail was removed by PCR and was used for the site-directed mutagenesis of three amino acid residues (E107Y, F368L, L408F). The mutated cDNA was inserted into the baculovirus vector and expressed in insect cells. Maximum cell growth and enzyme activity were reached when the cells $(2{\times}10^6\;cell/ml)$ were infected four times at four-day-intervals. His-tag containing MAChE was purified using Ni-NTA column and used for characterization. The activity was maintained under various pHs (3-10) and temperatures $(20-50^{\circ}C)$ under experimental conditions. As an extraction solution for pesticides, methanol is more effective than ethanol. Against major organophosphate and carbamate pesticides, the MAChE showed better sensitivity than AChE and AChE from housefly (Taiwan).

      • KCI등재

        예비음악교사들의 교과교육에 대한 이해 향상과 통합적·수렴적 사고 개발을 위한 PBL 교육 사례

        김영미 ( Kim Young Mee ),조대현 ( Cho Dae Hyun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9 예술교육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음악교사가 되고자 하는 예비음악교사들의 교과교육에 대한 이해 향상과 실제 교육에 적용 가능한 통합적이고 수렴적인 사고 개발을 목표하는 PBL 교육 사례를 분석하고 소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PBL 교육은 교수자 주도의 일방적인 교육방식을 지양하고 학습자 중심의 PBL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 스스로가 사고하고 문제 해결을 위해 고민하며, 궁극적으로는 이를 통해 자연스러운 내용 원리의 습득을 유도하고 있다. 본 PBL 교육 사례는 PBL 보고서를 작성하고 발표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습자의 포괄적 이해와 현장 적용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introduce a PBL case study regarding music education theory classes. The instructors expect to improve prospective and music teachers’ understanding of music education theory classes. Furthermore, we attempt to develop students’ ability to apply theoretical concepts into real classroom settings, hence through the study to develop integrative and convergent thinking skills. This study builds a PBL educational environment for student-centered learning, and not the traditional one-sided lectures given by instructors. Accordingly, The instructors guide student-teachers to independently seek solutions to problems and naturally understand learning principles and learning contents. This PBL case study demonstrates student-teachers’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nd ability to apply to school music education through writing and presenting PBL reports.

      • KCI등재

        사회과학분야 : 여자 무용전공 대학생의 가치유형과 정치적 태도의 관계

        김영미 ( Young Mee Kim ),조상혁 ( Sang Hyeok Cho ),홍혜전 ( Hye Jeon Hong ) 한국무용과학회 2015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2 No.1

        이 연구는 여자 무용전공 대학생의 가치유형과 정치적 태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유의표집 방법을 이용하여 서울시와 경기도, 2개 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 중 현재 무용학과가 있는 총 6개교를 선정, 여자 무용전공 대학생 총 202명 을 표집 하였다. 조사도구는 Inglehart(1971)가 고안한 가치유형과 임문수(2005), 남영주(2000), 곽진영(1989)의 정치적 태 도 설문지를 연구 대상에 맞도록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분석, 교차분석,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여자 무용전공 대학생은 학 년과 상관없이 전체의 절반 이상이 물질주의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무용, 발레, 현대무용전공 여자 대학생 모두 물질주의자가 가장 많았으며, 혼합주의자, 탈물질주의자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1, 4학년은 탈물질주 의자, 2, 3학년은 물질주의자가 정치신뢰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1, 2학년은 혼합주의자, 3, 4학년은 탈물질주의자 가 정치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 4학년은 탈물질주의자, 2학년은 물질주의자, 그리고 3학년은 혼합주의 자가 정치적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1, 2학년은 물질주의자, 3, 4학년은 탈물질주의자가 민주적 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년에 따른 가치유형과 정치적 태도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 았다. 또한 한국무용과 발레전공 여자 대학생의 물질주의자와 현대무용전공 여자 대학생의 탈물질주의자는 정치신뢰감 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무용전공 여자 대학생의 물질주의자와 발레, 현대무용전공 여자 대학생의 탈물질주의 자는 정치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용전공 여자 대학생의 탈물질주의자와 발레, 현대무용전공 여자 대학 생의 혼합주의자는 정치적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무용전공 여자 대학생의 물질주의자와 발레, 현대무용 전공 여자 대학생의 탈물질주의자는 민주적 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공에 따른 가치유형과 정치적 태도 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This study purposively sampled total 202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 had been majoring in dance from 6 universities with dance department at Seoul and Gyeonggi-do are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alue type and political attitude of them. As a survey instrument, value measurement of Inglehart(1971) and political attitude questionnaires of Lim(2005), Nam(2000), and Gwak(1989) were modified and used. As the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educted. First, The more than half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dance had materialistic propensity in all school years, and all majors(Korean dance, ballet, and modern dance) had materialism, mixed type, and post-materialism in order of written. Second, 1stㆍ4th graders of post-materialism and 2ndㆍ3rd graders of materialism had high scores in political confidence, and, 1stㆍ2nd graders of mixed type and 3rdㆍ4th graders of post-materialism had in political efficiency, and, 1stㆍ4th graders of post-materialism, 2nd graders of materialism, and 3rd graders of mixed type had in political interest, and, 1stㆍ2nd graders of materialism and 3rdㆍ4th graders of post-materialism had in Democratic manner. But according to the school yea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olitical attitude by value type, statistically. Also, materialists of Korean danceㆍballet and post-materialist of modern dance had high political confidence, and, materialist of Korean dance and post-materialist of balletㆍmodern dance had high political efficiency, and, post-materialist of Korean dance and mixed type of balletㆍmodern dance had high political interest, and, materialist of Korean dance and post-materialist of balletㆍmodern dance had high democratic manner. But according to the majo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olitical attitude by value type, statistically.

      • KCI등재
      • KCI등재

        사회과학분야 : 중학생의 방과후 무용수업 재미요인이 무용활동만족과 무용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영미 ( Young Mee Kim ),조진영 ( Jin Young Cho ) 한국무용과학회 2012 한국무용과학회지 Vol.28 No.-

        이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방과후 무용수업 재미요인이 무용활동만족과 무용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 하기 위해 유의표집 방법을 이용하여 서울시,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 등 4개 지역에 소재한 중학교 중 현재 방과후 무용수업을 하고 있는 중학교를 지역별로 각 2개교씩 총 8개교를 선정하여 각 학교에서 주 1회 이상 방과후 무용수업에 참가하고 있는 학생 총 273명을 표집 하였다. 조사도구는 김영미, 한혜원(2005)의 재미요인 과 김주희(2001)의 무용활동만족, 최윤영(2007)의 무용소비행동 설문지를 연구 대상에 맞도록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상관분석, t-test, ANOVA,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연구 문제를 해결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무용활동만족과 무용소비행동이 높다. 또한 3학년 학생들이 1,2학년 학생들에 비해 무용활동만족이 높으며, 무용관람 및 참가소비행동과 무용용품소비행동이 높다. 둘째, 한국무용에 참여하는 학생 보다는 현대무용, 재즈 댄스나 스포츠댄스 같은 생활무용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무용활동만족과 무용소비행동이 높다. 무용수업 횟수 와 시간, 기간에 따라 무용활동만족과 무용소비행동은 유의한 차이가 있다. 무용수업 횟수는 2회가, 무용수업 시간은 1시간~1시간 30분 사이가, 무용참가 기간은 6개월 미만일 경우 무용활동만족과 무용소비행동이 높다. 셋째, 무용수업 재미요인 중 기술향상과 건강 그리고 성취감 요인은 무용활동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넷째, 무용수업 재미요인 중 건강과 과시 요인은 무용소비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fun factors of afterschool dance classes on dance activity satisfaction and dance consumption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a purposive sampling method, 273 students selected from randomly selected 8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Gyeounggi, Chungcheong, and Gangwon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self-administrated 76 questionnair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solve problems of the study with statistical methods such a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nalyzed, the conclusion were drawn as follows. First, female students are the higher dance activity satisfaction and dance consumption behavior than males. Third grade students are the higher dance activity satisfaction and dance consumption behavior than other grade ones. Second, student participate in jazz and dancesports are the higher dance activity satisfaction and dance consumption behavior than participate in Korean dance.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dance activity satisfaction and dance consumption behavior according to dance class frequency, time, and duration. Third, there is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f all fun factors of dance participation on dance activity satisfaction. Forth, there is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f health and self-display fun factors of dance participation on consumption behavior.

      • KCI등재

        식민지기 `오락 부재(不在)` 담론의 양상

        김영미 ( Kim Young-mee ) 한국사회사학회 2016 사회와 역사 Vol.0 No.112

        본고의 목적은 식민지기 조선인의 오락문제를 둘러싼 일련의 사회적 논의 가운데 `오락 不在`라는 담론이 어떻게 정형화되고 그에 관한 언설이 어떤 양상으로 전개되었는지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일국사적 관점과 `저항/협력`이라는 단순한 이분법적 도식에서 벗어나, 근대사회와 오락문제의 보편적 성격에 관한 이해를 바탕으로 그에 대한 접근을 시도하였다. `오락의 근대성`은 `非노동시간`으로 구분된 오락개념의 성립과 더불어 그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일반화되는 것, 나아가 그것을 사회적 기준으로 공유해 가는 과정 그 자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본고에서 `오락`(또는 여가)이라는 용어에 대해 노동시간에서 분리된 `非노동시간`을 총칭하는 명사로 사용하고 있는 것은 이러한 맥락에 따른 것이다. 식민지기 조선의 경우, 공장과 도시의 성장에서 오락산업의 독자적인 발전과 오락문제의 대두라는 근대사회의 보편적 배경을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이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것은 그러한 물질적 성취와 무관하게 `근대`라는 틀 속에서 구축된 이데올로기가 당대 조선사회를 추동하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근대성`을 토대로 한 삶이 전 지구적으로 유포됨으로써 그것이 일종의 사회·문화 제도로 작동하였던 식민지기 조선의 식자들은 타자의 시선을 내면화하고 타자의 언어를 구사하면서 자기 구성의 층위를 형성해 간다. 오락문제에 한해서 보자면 조선에서는 비록 `오락`이라는 용어 그 자체에 관한 논의는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취미`와 혼용된 상태로 통용되고 있었지만, `도서관·음악당·공원` 등으로 표상된 오락기관의 부재를 의식하는 문제 틀은 명백히 전통사회와는 다른 개념을 전제로 한 것이었다. 이러한 흐름과 맞물려 식민지기 조선의 오락문제를 둘러싼 일련의 사회적 논의는 `오락 不在`라는 담론을 양산했다. 조선인의 일상적 맥락에서 그간 특별히 의식하지 않았을 오락의 실체가 `근대성`을 내면화한 타자의 시선을 통해 저울질되고 평가된 것을 기점으로 이러한 문제인식은 고착화하고 정형화된다. 오락문제에 대한 조선인 식자의 언설도 그와 동일한 선상에서 전개되는 것이었지만, 지배담론의 그것보다 복잡한 감정이 중첩된 양상을 볼 수 있다. 요컨대 일상의 맥락에서 오락·취미가 결핍된 조선인의 궁핍한 처지를 동정하는 한편으로는 식민지 현실을 의식하게 됨에 따라 오락의 공적 의미를 불가피하게 강조할 수밖에 없는 혹은 그러한 처지를 망각해서는 안 된다는 경계심을 내포한 것이었다. This paper examines discourse on the “absence of entertainment,” how it was standardized, and what forms it takes in social discussions on entertainment issues particularly during Korea`s colonial period. For this reason, this paper approaches alternative understandings of modern society and the universal character of entertainment, the latter of which deviates from the viewpoint of a country`s history and from the simple dichotomy of “resistance / cooperation.” “Modernity of entertainment” can be defined as the generalized change in perception as well as the establishing of entertainment as a concept separate from the purview of “non-working hours.” By extension, it is also the process of sharing itself as a social standard. The term `entertainment`(or leisure), defined as a collective noun denoting `non-working hours` and separated from working hours in this paper, can also be understood in a similar context ― i.e. as a shared social standard. In the case of colonial period Joseon, applying the universal background of modern society with the independent development of entertainment industry is difficult. This is particularly the case with the emergence of entertainment as a social issue in the growth of factories and cities. What is important here is that the ideology constructed in the framework of `modernity` is shared irrespective of material achievements. With the distribution of life, based on `modernity` across the globe functioning as the socio-cultural system in colonial, the learnedmen in Joseon internalized the gaze of others and spoke the languages of the others, eventually forming the layers of self-composition. As far as entertainment issues were concerned, the term `entertainment` itself had not been discussed, but rather circulated within the frame of relevant issues and was assumed to be a concept separate from that of traditional society. Social discussions on the entertainment issue of Joseon in the colonial period encouraged discourse on “absence of entertainment” in line with this trend. Awareness of the substance of entertainment, which had primarily been overlook in the context of the daily lives of Koreans, was fixed and stereotyped, while the internalized `modernity` grew more apparent to the gaze of others. Although the statements of the learned men of Joseon and entertainment as a social issue developed in parallel to one another, emotions overlapped and were more complex than those of the dominant discourse. In short, more attention needs to be placed on the circumstantial needs of Korean, who were deprived of entertainment and hobbies in the context of their daily lives. The public significance of entertainment inevitably grew more consciously salient in light of colonial realities and due to a social refusal to forget colonial rea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