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식물기반 치료용 항체생산

        김영관,소양강,박다영,김현순,전재흥,추영국,고기성,Kim, Young-Kwan,So, Yang-Kang,Park, Da-Young,Kim, Hyun-Soon,Jeon, Jae-Heung,Choo, Young-Kug,Ko, Ki-Sung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10 식물생명공학회지 Vol.37 No.3

        Antibodies are powerful and versatile tools to play a critical role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many diseases. Their application has been enhanced significantly with the advanced recombinant DNA and heterologonous expression technologies, allowing to produce immunotherapeutic proteins with improved biofunctional properties. However, with currently available technologies, mammalian cell-based therapeutic antibody production, as an alternative for production in humans and animals, is often not plentiful for passive immunotherapeutics in treatment of many diseases. Recently, plant expression systems for therapeutic antibodies have become well-established. Thus, plants have been considered to provide an attractive alternative production system for therapeutic antibodies, as plants have several advantages such as the lack of human pathogens, and low cost of upstream production and flexible scale-up of highly valuable recombinant glycoproteins. Recent advances in modification of posttranslational processing for human-like glycosylation in transgenic plants will make it possible that plant can become a suitable protein expression system over the animal cellbased current production system. This review will discuss recent advances in plant expression technology and issues for their application to therapeutic antibody production.

      • KCI등재

        정현파로 구동되는 PZT 광경로 지연기를 이용한 광 간섭 단층촬영시스템

        김영관,김용평,Kim, Young-Kwan,Kim, Yong-Pyung 한국광학회 2007 한국광학회지 Vol.18 No.4

        We fabricated and characterized an optical delay line for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The delay line was composed of a cylindrical piezoelectric transduce (PZT) and a single mode optical fiber. The OCT system used a duplex scanning optical delay line which was symmetrically driven in the reference and sample arms. We showed that the sinusoidal-wave was superior to a triangular-wave for driving the optical delay line for scanning depth and repeatability. 광간섭 단층촬영(OCT)용으로 원통형 압전소자(PZT)와 단일모드 광섬유를 이용한 광경로 지연기를 제작하여 정현파로 구동하고 특성을 분석하였다. 제작한 OCT 시스템은 검침단과 기준단을 대칭 구동하는 이중 광경로 지연방식을 사용하였다. 정현파 구동을 통한 PZT 광경로 지연 방식은 삼각파 구동과 비교하여 입력파형의 첨두 부분에서의 비선형현상을 제거하여 높은 반복성을 나타냄을 보였고, 삼각파 구동으로는 불가능했던 부분을 영상화 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시간영역 광 간섭 단층촬영 시스템의 소형 엔도스코프 제작 및 영상구현

        김영관,이성헌,김용평,Kim, Young-Kwan,Lee, Sung-Hun,Kim, Yong-Pyung 한국광학회 2010 한국광학회지 Vol.21 No.5

        We fabricated and characterized a compact endoscopic catheter for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The optical delay line (ODL), composed of a cylindrical piezoelectric transducer (PZT) and an optical fiber, was operated with a 1 kHz sinusoidal driving wave in the time-domain. When the ODL was driven with a sinusoidal wave function, the axial scanning speed was 6 m/s and the axial acquisition rate was 2000 line/s at a depth of about 3 mm. Endoscopic OCT images of a human finger and earhole were successfully obtained with an image rate of ten frames per second. 광 간섭 단층촬영 시스템(OCT)을 위한 소형의 광섬유 도관형 주사장치인 엔도스코프(endoscope catheter)를 제작하였다. 깊이방향 주사장치인 원통형 압전소자(PZT)를 이용한 광경로 지연기는 정현파 1 kHz로 구동하여 시간영역에서 엔도스코프 OCT 영상을 구현하였다. 정현파로 구동한 광경로 지연기의 속도는 6 m/s 이고, 깊이방향 스캐닝의 데이터 획득은 3 mm 기준에서 초당 2000 라인이다. 제작한 엔도스코프로 사람의 손가락 및 귀에 대한 초당 10프레임의 OCT 영상을 성공적으로 획득하였다.

      • KCI등재

        광간섭 단층촬영(OCT)용 PZT 광경로 지연기에서의 편광모드 분산 및 열요동 보상

        김영관,박성진,김용평,Kim, Young-Kwan,Park, Sung-Jin,Kim, Yong-Pyung 한국광학회 2005 한국광학회지 Vol.16 No.6

        광간섭 단층촬영(OCT)용으로 원통형 압전소자(PZT)와 단일모드 광섬유를 이용한 광경로 지연기를 제작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광경로 지연기에서 발생하는 편광모드 분산은 편광조절기로 조절하였고, 열요동을 2중 광경로 지연기를 구성하여 최소화하였다. 이중 광경로 지연기는 단일 광경로 지연기에 비해 2배의 측정 깊이와 속도를 구현하여 $18.6\pm0.5{\mu}m$의 해상도. 측정 깊이 1.68 mm, 측정 녹도 360.4 mm/s를 각각 얻었다. We have fabricated and characterized optical delay lines for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which is composed of cylindrical PZT(piezoelectric transducer) and single mode optical fiber. The polarization mode dispersion from the optical delay lines was compensated by the polarization controllers. By applying the duplex optical delay line, we minimized the thermal drift due to optical delay lines and obtained the scan range of 2 times that of a single optical delay line. The OCT system showed resolution of $18.6\pm0.5{\mu}m$, scanning range of 1.68mm, and scanning speed of 360.4mm/s.

      • KCI등재

        백제(百濟)의자왕(義慈王) 외손(外孫) 이제(李濟) 묘지명(墓誌銘)에 대한 연구

        김영관 ( Young Kwan Kim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3 백제문화 Vol.1 No.49

        중국 섬서성 서안시 장안구에 있는 장안박물관에 소장된 이제 묘지명은 당으로 끌려간 백제 유민의 흔적을 살피는데 도움이 된다. 이제는 776년에 부여태비의 손자인 이망지의 아들로 태어나서 문관으로 활동하였고, 큰누이인 진국대부인을 따라 성덕군절도사 왕무준 휘하의 막료로 활동하였고, 종정 소경을 역임하였다. 그는 825년 외재종질인 봉상절도사 왕승원의 휘하에서 활동하다가 향년 50세에 병을 얻어 생을 마감했고 장안성 남쪽에 묻혔다.이제 묘지명은 그의 활동뿐만 아니라 의자왕의 증손녀 부여태비 후손들의 가계와 활동상을 알려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이제는 당 황실의 후손이기는 하지만, 의자왕의 외손 가문이다. 이제의 활동은 백제 외손들이 당 말기까지도 세력을 유지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백제 외손들의 꾸준한 활동은 당의 개방적인 인재등용정책의 결과만으로 볼 수는 없다. 이제의 큰누이 진국대부인이 거란 출신의 왕무준과 혼인한 것도 단순히 당 종실의 일원이었기 때문만은 아니다. 당시의 실력자 집단과 혼인하여 세력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던 것이다.이제 묘지명에는 백제와 무관할 것 같은 내용으로 가득 차 있지만 당으로 이주한 백제 유민의 흔적을 엿볼 수있는 작은 조각이다. 이러한 조각들이 지속적으로 모여진다면 백제유민사 연구에 보탬이 될 것이다. The focus of this study is an epitaph tablet of Li Ji (Yi Je in Korean) 李濟, who was a descendant of king Uija 義慈王, the last king of Baekje, and of the Tang 唐 imperial family as well ; it is a good source for the former Baekje people 百濟遺民 who were taken to Tang when the Baekje fell. The tablet is housed in Chang`an Museum 長安博物館 in Xi`an, Shanxi province, China and its historic value has been newly evaluated in this paper by the author. According to the tablet, Li Ji was born in 776 C.E. as a son of Li Wangzhi 李望之 who was a grandson of Buyeotaebi 扶餘太妃(“Queen dowager Buyeo”), a great-granddaughter of king Uija. Li Ji died in 825 C.E. due to a disease while working for the Fengxiang jiedushi 鳳翔節度使(“Governor of Fengxiang province”) Wang Chengyuan 王承元, a grandson of Li Ji`s cousin on his mother`s side. He is buried south of Chang`an`s walled city. He, as a civil official in Tang court, was an aid and advisor of top officials under Wang Wujun 王武俊, the Chengdejunjiedushe 成德軍節度使(“Military governor of Chengde Circuit”), and was Zongzhengshaoqing 宗正少卿 (“Director shaoqing of the Imperial Clan”) as well. The tablet provides not only the career of Li Ji, but also the genealogy and activities of Buyeotaebi`s descendants in Tang China. His career and activities suggest that the descendants of the former Baekje royal family maintained their power in China at least until late Tang period ; they played an active role in Tang court. The reason why descendants of the former Baekje royal family played an active role in Tang court is not only because of the open employment policy of Tang but also their effort to maintain their power as seen in the fact that his elder sister, Jinguodafuren 晉國大夫人(“Great Lady Jinguo”), got married to Wang Wujun, one of the powerful clans in Tang, from Qidan 契丹. Even though a majority of Li Ji`s epitaph tablet seems to tell something unrelated to Baekje, it is an important piece through which the Baekje immigrants can be traced back. If these kind of pieces will be gathered, studies on the history of the Baekje immigrants will be improved.

      • KCI우수등재

        MOCVD 법에 의해 성장시킨 PZT박막의 XPS 분석

        김영관(Young Kwan Kim),추정우(Jung Woo Choo),손병청(Byoung Chung Sohn),황찬용(Chanyong Hwang),김태송(Tae Song Kim),오영희(Young Hee Oh) 한국진공학회(ASCT) 1996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5 No.2

        유기금속화학증착법에 의해 Pb(Zr_xTi_(1-x))O₃(PZT) 박막을 Pt/SiO₂/Si(100) 기판위에 성장시켰다. 이들 박막의 조성과 화학적 결합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X-ray Photoemission Spectroscopy(XPS)를 이용하여 성장 시킨 박막을 분석하였다. 박막표면에서의 조성 및 화학적 결합특성은 박막 내부의 그 것과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박막내부의 Ti 이온의 산화수는 박막표면의 그 것보다 더 작았으며 한편 표면에서의 Pb 농도가 내부에서보다 더 큼을 알 수 있었다. 박막 표면에서의 Pb 이온의 산화상태는 PbO_(흡착)의 형태로 존재하나 박막 내부의 Pb 이온의 그 것은 PbO와 PbTiO₃의 혼합물 형태로 존재한다. Thin films of Lead Zirconate Titanate, Pb(Zr_xTi_(1-x))O₃(PZT), were grown on Pt/SiO₂Si(100) by metal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MOCVD). These films were analyzed with X-ray Photoemission Spectroscopy(XPS) for determining their chemical composition and chemical bonding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the chemical compositions and chemical bondings of ions in the near surface are different from those in the bulk region of the films. The oxidation state of Ti ions in the bulk region is reduced in comparison to that of Ti ions in the surface region of the films and Pb enrichment in the surface region was also observed. Pb ions in the surface region exists mainly in the form of PbO_(ads) (oxygen-chemisorbed lead), but Pb ions in the bulk region exists in the form of mixture of PbO and PbTiO₃.

      • KCI등재

        隋 宇文述 墓誌銘 考察

        金榮官(Kim, Young-Kwan)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2 한국고대사탐구 Vol.10 No.-

        宇文述 墓誌銘은 2006년 중국 陝西省 咸陽市 涇陽縣 雲陽鎭에서 출토되었고, 誌와 蓋를 모두 갖추고 있다. 묘지명의 재질은 靑石이고, 크기는 대략 개석이 75×75.5㎝, 지석이 74×74㎝의 방형이다. 개석은 사신도를 양각한 녹정형으로 정상부에 陽刻의 篆書로 “隋故司徒宇文公墓誌”라고 행당 3자씩 9字를 새겨 넣어 墓主를 밝히고 있다. 그리고 지석에는 4면에 線刻으로 12支神像 문양이 있고, 誌文은 39行에 걸쳐 1,505자를 隸書體로 새겨 넣었다. 묘지명은 다른 묘지명들과 마찬가지로 묘주인 우문술의 가계와 인품, 능력, 이력, 명 등을 기록하였다. 묘지명은 우문술 사망 후 8년 뒤인 당 고조 무덕 8년인 625년에 만들어졌다. 묘지명의 撰者와 書者는 알 수 없으나 次子 우문사급이 嗣子로서 묘지명 작성에 참여하였고 직접銘을 지었다. 묘지명의 작성시기가 우문술 열전이 실린 『北史』와 『隋書』가 편찬되기 이전에 해당하므로 사료적인 가치가 매우 높다. 우문술 묘지명을 통하여 열전에는 기록되지 않은 그의 생몰연도를 정확히 알 수 있었다. 또한 『隋書』와 『資治通鑑』의 기록이 잘못됐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우문술이 사망한 해는 『隋書』와 『資治通鑑』에 616년이라고 되어 있지만, 묘지명에는 617년 9월 71세를 일기로 죽었다고 기록함으로써 지금까지 불분명했던 생몰연도를 알려 주었다. 결국 우문술은 546년에 태어나서 617년에 죽었고, 고구려 원정에 참여할 당시인 612년과 613년에 그의 宇文述 墓誌銘은 2006년 중국 陝西省 咸陽市 涇陽縣 雲陽鎭에서 출토되었고, 誌와 蓋를 모두 갖추고 있다. 묘지명의 재질은 靑石이고, 크기는 대략 개석이 75×75.5㎝, 지석이 74×74㎝의 방형이다. 개석은 사신도를 양각한 녹정형으로 정상부에 陽刻의 篆書로 “隋故司徒宇文公墓誌”라고 행당 3자씩 9字를 새겨 넣어 墓主를 밝히고 있다. 그리고 지석에는 4면에 線刻으로 12支神像 문양이 있고, 誌文은 39行에 걸쳐 1,505자를 隸書體로 새겨 넣었다. 묘지명은 다른 묘지명들과 마찬가지로 묘주인 우문술의 가계와 인품, 능력, 이력, 명 등을 기록하였다. 묘지명은 우문술 사망 후 8년 뒤인 당 고조 무덕 8년인 625년에 만들어졌다. 묘지명의 撰者와 書者는 알 수 없으나 次子 우문사급이 嗣子로서 묘지명 작성에 참여하였고 직접銘을 지었다. 묘지명의 작성시기가 우문술 열전이 실린 『北史』와 『隋書』가 편찬되기 이전에 해당하므로 사료적인 가치가 매우 높다. 우문술 묘지명을 통하여 열전에는 기록되지 않은 그의 생몰연도를 정확히 알 수 있었다. 또한 『隋書』와 『資治通鑑』의 기록이 잘못됐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우문술이 사망한 해는 『隋書』와 『資治通鑑』에 616년이라고 되어 있지만, 묘지명에는 617년 9월 71세를 일기로 죽었다고 기록함으로써 지금까지 불분명했던 생몰연도를 알려 주었다. 결국 우문술은 546년에 태어나서 617년에 죽었고, 고구려 원정에 참여할 당시인 612년과 613년에 그의 나이는 66세와 67세의 고령이었다는 것도 더불어 알려주었다. 우문술의 출신지를 遼西 月城人이라고 하여, 『北史』와 『隋書』 열전에 代郡 武川人이라고 기록된 것과 차이가 나는 것은 묘지명에는 실제 출생지를 기록하였기 때문이다. 우문술의 고구려 원정에 대해서는 매우 소략한데 그것은 묘지명의 작성이 묘주의 위신을 가급적 헤치지 않으려는 묘지명 제작전통에 따른 일반적인 현상으로 이해된다.

      • KCI우수등재

        SPUTTERING법에 의해 성장시킨 PZT박막의 표면 분석

        김영관(Young Kwan Kim),박주상(Ju Sang Park),추정우(Jung Woo Choo),손병청(Byoung Chung Sohn),이전국(Jeon Kook Lee) 한국진공학회(ASCT) 1996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5 No.2

        RF magnetron sputtering 법에 의해 Pb(Zr_xTi_(1-x))O₃(PZT) 박막을 Pt/SiO₂/Si(100) 기판위에 다양한 온도에서 성장시켰다. Atomic Force Microscopy(AFM)을 이용하여 이들 박막의 표면 형상과 기판형성 온도와의 관계를 조사하였으며 한편 X-ray Photoemission Spectroscopy(XPS)를 이용하여 성장시킨 박막의 조성과 그 depth profile을 조사하였다. 300℃의 기판온도에서 성장시킨 경우가 실온에서 성장시킨 경우보다 거칠기가 적었으며 이것은 Pb와 같은 흡착 원자의 온도에 따른 표면 이동도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박막의 성장 온도가 더 높을수록 박막표면에서의 Pb의 농도가 박막내부보다 큰 경향이 더 심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n films of Pb(Zr_xTi_(1-x))O₃(PZT) were grown on Pt/SiO₂/Si(100) at various temperatures by RF magnetron sputtering method. Surface morphology of these films were studied by using Atomic Force Microscopy(AFM). These films were also analyzed by using X-ray photoemission spectroscopy (XPS) for determining their chemical composition and their depth profile. It was found that the films grown at the substrate temperature of 300℃ have much more smooth surface characteristics in comparison to those films grown at room temperature, which may be explained in terms of surface mobility of ad-atoms such as Pb. It was also found that Pb enrichment in the near surface region was enhanced for the films grown at higher substrate temp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