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50~60년대 外來語 表記 政策 樹立과 普及에 관한 一考察 –문교부(1958), “로마자의 한글화 표기법”과 편수 자료를 中心으로–

        김아영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3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1 No.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stablishment and dissemination of loanword transcription policy in the 1950s and 1960s by reviewing printed materials such as “Koreanization of Roman Characters” ena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1958 and editing materials No. 1 and No. 3. The “Koreanization of Roman Characters” is a revision of the loanword writing norm ena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1948, and is an orthography that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urrent loanword writing rules. In the 1950s, there was no institution or department dedicated to Korean language policy; therefore, the Korean language related committee performed research and discussed the revision of the orthography itself. At the time of enactment, this norm mainly considered only the transcription of English loanwords, but later supplemented the detailed rules of various languages through editing materials. In addition, a memo from the reviewer in the book makes it possible to check the discussions of policymakers at that time, such as regarding long vowel writing. The fact that loanword orthography was supplemented, and examples of loanword usage were disseminated through editing materials reveals that when the Ministry of Education was in charge of Korean language policy, the dissemination of language regulations was emphasized in the public domain, especially in the field of education. 김아영, 2023, 1950~60년대 외래어 표기 정책 수립과 보급에 관한 일고찰, 어문연구, 197 : 81~106 이 연구에서는 문교부에서 1958년 제정한 “로마자의 한글화 표기법”과 편수 자료 제1호(1959), 제3호(1960) 등의 실물 자료를 검토하여 1950~60년대 당시 외래어 표기 정책의 수립과 보급 양상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로마자의 한글화 표기법”은 문교부에서 1948년 제정한 “들온말 적는 법”을 개정한 것으로, 현행 “외래어 표기법”에도 큰 영향을 끼친 표기법이다. 1950년대에는 국어정책 전담 기관이나 부서가 없어 국어 관련 위원회에서 표기법의 개정을 직접 논의하였다. 이 표기법은 명칭에 ‘로마자’를 사용한 것이 특징이며, 제정 당시 영어 외래어 표기만을 주로 고려하였으나 이후 편수 자료 를 통하여 다양한 언어의 세칙을 보완하였다. 실물 자료에 남아 있는 당시 검토자의 기록을 통해 장모음 표기 등에 대한 정책 입안자들의 논의 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편수 자료 를 통해 외래어 표기법이 보완되고 외래어 용례가 보급되었다는 점은 문교부가 국어정책을 주관하던 당시에는 공공 영역 중 특히 교육 분야에서 어문규정의 보급이 중시되었다는 일면을 보여준다.

      • KCI등재

        Investigating the Effectiveness of Computer-Assisted Language Learning (CALL) in Improving Pronunciation: A Case Study

        김아영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012 멀티미디어 언어교육 Vol.15 No.3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incorporating computer-assisted language learning in instructing pronunciation to adult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ESL) learners. The Technology Enhanced Accent Modification (TEAM) program, a computer software, was used to enhance the pronunciation of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at a U.S. university hoping to become certified international teaching assistants. Special emphasis was given to improving suprasegmentals (e.g., stress, rhythm, and intonation) in addition to segmentals (e.g., vowels and consonants). This case study focused on two male Korean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science, and investigated how these individuals enhanced their pronunciation and oral English proficiency in terms of native-like quality and fluency. Data from two months of direct observation, an oral interview, and the VARK questionnaire (an instrument that measures learning preference)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long with pre-test and post-test audio speech samples. The visual feedback of the TEAM program and participants’individual learning preferences for a visual mode were found to enhance their self-awareness and self-monitoring of pronunciation. Furthermore, visual feedback and visual preference for learning led to improved pronunciation,native-like quality, and fluency.

      • KCI등재

        역량중심교육관점 범교과학습주제 연구의 도덕교육적 의의

        김아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4 敎員敎育 Vol.40 No.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범교과 학습주제 교육 내용을 2022 개정교육과정의 주요 구성 원리인 '역량중심교육관점'에 기반하여 체계화할 것을 제안하고, 이 체계화 과정이 도덕교육적으로 갖는 의의와 과제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교육과정상 진술된 범교과 학습주제의 특성과 그에 따른 제한점을 분석하고 그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역량중심교육관점에서 범교과 학습주제를 진술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2022개정 교육과정의 선행 연구가 된 OECD Education2030 역량 관점의 세 가지 특성을 밝혀, 범교과 학습주제를 역량의 세 측면으로 진술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범교과 학습 주제가 도덕교육과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밝히고 역량중심교육관점에서 범교과 학습주제를 진술하는 것이 도덕교육적으로어떤 의의를 갖는지 보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범교과 학습주제는 그 특성상 가치 ⋅ 태도와 관련된 교육내용을 다수 포함하고, 도덕과 교육 내용과 유사도가 높은 주제들을 다루기 때문에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의 역량중심 진술 방식의 세 측면이 각 범교과 학습주제 역량을 연구하는 것에 참고가 된다. 결론 역량중심교육관점으로 범교과 학습주제를 진술하는 것은 범교과 교육과정의 체계성을 강화하고 현장 적합도를 높이는 것에 기여한다. 또한 도덕과는 학교 가치 ⋅ 태도 교육의 중핵 교과이기에 범교과 학습주제의 체계성 강화와 더불어 도덕과 교과 기능과 학습자 주체성을 강화할 것이 요구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o systematize the educational content on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from the perspective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which was important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to reveal the significance and task it leaves behind in moral education. Methods: For this, it was proposed to state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from a competency-based education perspective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stated in the curriculum and to supplement those limitations. In addition, the three characteristics revealed in OECD Education 2030, which is the basis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competency-based education perspective, were revealed, and concrete measures were proposed to state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in three aspects of competence. Finally, it was intended to reveal how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are related to moral education and to show the significance of moral education to state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from a competency-based education perspective. Results: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can be stated in three aspects of competence by referring to the competency-based statement method of the 2022 revised moral curriculum because they include many educational content related to values and attitudes. Conclusion: Statement of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from a competency-based education perspective contributes to strengthening the systematicity of the cross-curricular curriculum. In addition, since morality is a core subject of school value and attitude education, it is required to strengthen the system of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strengthen morality and subject functions, and restore learner identity.

      • KCI등재

        현대 중국어에서 명사적으로 쓰이는 절의 구조와 특징

        김아영 한국중국어문학회 2012 中國文學 Vol.73 No.-

        在現代漢語中, 名詞性小句通常分爲VP結構(如動詞性小句)和NP結構(如名詞性短語)。 爲了揭示複句中充當名詞性成分的VP結構小句和NP結構小句的特徵和差異, 本論文整理了社論和報道中出現的一些例句, 幷對名詞性小句的內部和外部情況進行分析。 第一、 VP結構小句作爲名詞性成分時, 句內動詞的句法特徵與動詞性小句基本相似, 但NP結構小句的動詞特徵微乎其微。 第二、 表示判斷、 解釋、 說明、 評價、 提示、 發生等意思的非動作性動詞、 一部分形容詞、 兼語動詞把小句當作話題或主語來組成複句, 此時VP結構小句和NP結構小句均可選用。 而諸類動詞把小句作爲賓語來組成複句時, 對NP結構小句的選擇則受?大的限制。 第三、 VP結構小句主要用於表示未現的情況, 而NP結構小句主要用於表示已現的情況。 ?外, NP結構小句可以提高文章的連貫性和正式度, 在特定類型的篇章中頻現。 但是, 通過先行硏究和語料調査可以看出, 受語法的限制在現代漢語中VP結構小句比NP結構小句更常用。

      • KCI등재

        건설적 사고 모델의 도덕교육적 의의-세이어베이컨의 논의를 중심으로-

        김아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2 敎員敎育 Vol.38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세이어베이컨의 건설적 사고 모델이 도덕 교육의 방향과 과제를 모색하는것에 어떤 시사점을 제공하는지 밝히는 데 있다. 연구방법 세이어베이컨의 저작물과 그가 참고한 벤하비브, 길리건, 나딩스, 플랙스, 러딕 등 학자들의논의를 중심으로 비판적 사고의 전환으로 제안된 건설적 사고 모델이 갖는 의미를 밝히는 것에 주안점을둔다. 연구결과 건설적 사고 모델은 배려 윤리 관점의 관계적 인식론에 기반하여, 비판적 사고의 과정에 이성뿐만아니라 다양한 도구와 기능을 활용하도록 제안하는 비판적 사고의 대안적 모델이다. 건설적 사고 모델관점에서는 이성에 기반한 추론뿐만 아니라 감정, 상상, 직관 등도 지식을 구축하는 과정에 활용될 수있는 유용한 도구로 인식될 수 있다. 이러한 도구들은 관계맺음과 의사소통의 기술을 통해 더 유용하게활용될 수 있기에 도덕 교육적 관점에서 이러한 도구와 기술의 계발과 관련한 논의는 도덕적 앎을 구축하는과정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결론 건설적 사고 모델은 도덕 교육의 상황에서 학생을 도덕적 앎 구축의 능동적 인식 주체로 여기도록한다. 이에 학생의 경험과 이야기는 도덕 교육의 가장 중요한 소재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감정, 상상,직관 등의 건설적 사고의 도구와 의사소통 및 관계맺음 기술을 강화하는 도덕 교육의 가능성을 시사함으로서 도덕 교육의 통합적 기능을 강화하는 것에 기여한다.

      • KCI등재

        인성교육으로서 정보윤리교육의 핵심 주제 및 관련 교육과정 성취기준 탐색

        김아영,차우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1 敎員敎育 Vol.3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ategorize various educational contents related to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ersonality education and to contribute to strengthening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by exploring relevant curriculum achievement criteria. Education related to information ethics should be strengthened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ccelerates the information society and spreads the categories of the cyber world so that it is meaningless to distinguish the real world from the cyber world. However, information education in the current curriculum is mainly focused on improving informatization functions, and information ethics is mainly focused on elementary school or middle school information subjects, so only topics directly related to information life are covered. For this reason, in this work, we propose topic categorization that can explore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as personality education to cover human relationships in the cyber world and a wide range of ethical issues resulting from them. To this end, the “Value Relationship Expansion Act”, which was used as the 2015 revised ethics and curriculum, was intended to present “media usage habits”, “privacy protection”,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copyright protection”, and “development of desirable digital culture” as a social and community relationship. 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physical environment in which the number of classes for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is significantly insufficient in the current curriculum, th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each key topic are proposed to realize practical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윤리교육과 관련한 다양한 교육 내용을 인성교육의 관점에서 범주화 하고, 그와관련한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탐색하여 정보윤리교육의 강화에 기여하는 것이다. 4차 산업 혁명(the 4thIndustrial Revolution)으로 정보화 사회가 가속화 되고, 현실 세계와 사이버 세계를 구분하는 것이 무의미할 만큼 사이버 세계의 범주가 확산되는 만큼 정보윤리와 관련한 교육은 강화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행 교육과정에서의 정보 교육은 정보화 기능 향상을 위한 교육이 주를 이루는 것이 현실이며, 정보 윤리와 관련한 교육 내용은 초등학교 실과 또는 중학교 정보 교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기에 정보 생활과 직접적으로관련 있는 주제들만 주로 다뤄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인성 교육으로서 정보윤리교육을탐색하여 사이버 세계에서의 인간 관계와 그로부터 비롯된 광범위한 윤리 문제들을 포괄할 수 있는 주제범주화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2015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의 영역 제시법으로 활용된 ‘가치관계확대법’을참고하여, 자신과의 관계 영역으로서 ‘미디어 이용 습관’, ‘개인 정보 보호’, 타인과의 관계 영역으로서 ‘관계와 소통’, ‘저작권 보호’, 사회·공동체 관계로서 ‘바람직한 디지털 문화 형성’을 핵심 주제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현행 교육과정에서 정보윤리교육을 위한 수업 시수가 현저히 부족한 물리적 환경을 고려하여, 각핵심 주제와 관련있는 교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제시하여 실제적인 정보윤리교육의 실현을 도모하고자한다.

      • KCI등재

        한ㆍ중 수교 20년간 통번역 연구의 성과와 과제 - 한국 중국언어학계를 중심으로 -

        김아영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소 2013 통번역학연구 Vol.17 No.3

        This study aims to present and analyze the performance and limits of interpreting and translation studies conducted in the Chinese linguistics field in Korea for the past twenty years since the establishment of Korea-China amity, and to seek future perspectives of study and its tasks. In this period, researchers focused on human translation of various units including lexicons or entire texts in literary, scholarly and complex genre or unknown genre. Researchers carried out qualitative research by contrasting one text of another author in a foreign language as ST with other multiple texts of other authors or his or her own texts in a native language as TT. Diverse interests were touched upon in their studies from not only linguistic but also interpreting and translation perspectives. In addition, descriptive translation studies including linguistic, theoretical, pattern studies and prescribing studies based on descriptive studies were also conducted. Henceforth, extending the boundary of studies on characteristics of various genres and more than sentence units is crucial, and studies recognizing the differences between contrastive studies and interpreting and translation studies as well as supplementing the above mentioned factors should be continued.

      • KCI등재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초등학생의 자기조절학습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자기결정 동기의 매개효과

        김아영,차정은,이다솜,임인혜,탁하얀,송윤아 한국교육개발원 2008 한국교육 Vol.35 No.4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parents' autonomy support on children's self-regulated learning efficac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wo types of children's self-determined motivation, i.e., motivation by autonomous regulation (autonomous motivation) and motivation by controlled regulation (controlled motivation). A total of 1375 4th through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around the nation completed perceived parents' autonomy support, self- regulation in learning, and self-regulated learning efficacy questionnaires.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as used to compare the goodness of fit of the two models: a partial meditation model and a full mediation model that depicted the direct and indirect (through autonomous motivation and controlled motivation) effects of parents' autonomy support on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efficac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al mediation model was better fitted to the data than the full mediation model. Parents' autonomy support - an important home environment factor - had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autonomous motivation. However, it had negative effects on students' controlled motivation. The mediat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relation between parents' autonomy support and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efficacy was partially mediated by autonomous motivation, but the relation between students' controlled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efficacy was not significant. The results indicated that parents' autonomy support might contribute to changes in the type of students' self-determined motivation and in their self-regulated learning efficacy.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e importance of parental education to facilitate an autonomy-supportive home environment. 본 연구는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학생의 자기결정 동기유형인 자율적 조절과 통제적 조절을 통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자기조절학습효능감에 영향을 주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초등학교 4, 5, 6학년 1,375명의 부모의 자율성 지지 척도, 학습유형척도, 자기조절학습효능감 척도에 대한 반응을 분석하였다.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학생들의 자율적 조절과 통제적 조절을 통해 개인들의 자기조절효능감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완전 매개모형과 부분 매개모형을 설정하여, 공변량 구조분석을 통해 모형의 양호도를 비교 검증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부모의 자율성 지지는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효능감에 직접효과와 학생들의 자율적 조절을 통한 간접효과가 다 유의하여 부분 매개모형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 환경의 중요한 요소인 부모의 자율성 지지 정도는 학생들의 자율적 조절에는 긍정적 효과를 보였고, 통제적 조절에는 부정적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학생들의 자율적 조절은 자기조절학습효능감에 직접적인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생들의 통제적 조절은 자기조절학습효능감과는 별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부모의 자율성 지지 효과가 학생들의 자기결정 동기유형과 효능감에 직, 간접적인 영향력을 보인 본 연구결과는 부모의 자율성 지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부모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