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王陽明의 실천론과 萬物一體 사상을 기반으로 한 武道의 道德性 탐색

        김시연,김동규 한국체육철학회 2010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8 No.2

        This study is a follow-up of "An Explorative Study of Morality in Mu-do grounded in Wang, Yang-Ming's 'Ideology of Knowledge - Action Unity'(Kim, Si-yeon and Kim, Dong-kyu, 2009)." which was conducted for conceptual unification of knowledge and action. Through this research, I intend to unify knowledge and action to enhance theory of practice. For this purpose, I explored how ‘Everyday life-Training(事上磨鍊)'and 'Cut root-Hole in pond(拔本塞源)', unified action theory of Wang Yang-ming's, can be realized as 'Mu-Do'`s action theory and I tried to figure out eventual meaning of 'Mu-Do' through 'all thing as one body(萬物一體)' which is the final destination of theory of practice. As a result, I came to the conclusion as follows. First, 事上磨鍊 is reached regardless of living and breathing instances, namely time, space, form and method. Even though 'Training(磨鍊)' of 'movement time(動時)' is more important than 'no movement time(靜時)', these two cannot be divided, and should be conducted pleasantly. Second, 拔本塞源 of martial artist is to reveal innate knowledge by removing selfish interest and desire. Thus the beginning of 'Mu' is 'Do', and the completion of 'Do' is 'Mu', which can bring us 'Ideology of Knowledge - Action Unity (知行合一)' of 'Mu-Do'. This is an action to become aware of Existence, which is a training method to distinguish true and false of 'Mu-Do'. Third, 萬物一體 means that morality of 'Mu-Do' is morally connected to all the living creature in the organic network of universe for co-existence. Moreover, 萬物一體 of 'Mu-Do' means that the reason of universe circulates in the form of intangibility and form repeatedly through 'Noumenon(本體)', by which morality of 'Mu-Do' is revealed. 본 연구는 내적으로 앎과 행위의 관념적 일원화를 위해 시행되었던「王陽明의 지행합일 사상에 비춰진 무도의 도덕성 탐색(김시연·김동규, 2009)」의 후속연구로서 앎과 행위의 관계를 실천적으로 일원화하기 위해 구상되었다. 이를 위해서 王陽明의 앎과 행위에 있어서의 일원적 실천론인 ‘事上磨鍊’과 ‘拔本塞源’이 무도의 실천론으로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 실천론의 궁극적 종착점인 萬物一體사상을 통해 무도가 갖는 궁극적 의미가 무엇인지 탐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무도의 사상마련은 살아 숨 쉬는 모든 순간, 즉 시간·장소·형태·방식과 무관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靜時’보다는 ‘動時’의 마련이 중요하지만 이 둘은 분리될 수 없는 하나이며 항상 쾌활한 마음으로 행해야 한다. 둘째, 무도의 발본색원은 私慾과 物慾을 제거하여 良知를 발현시키는 것이며, 이로써 武의 시작이 道이며, 道의 완성이 武가 되는 무도의 지행합일이 일어나게 된다. 이는 實存의 내적 깨달음을 위한 행위로서 무도의 진위를 구별하게 하는 수양방법이 된다. 셋째, 무도의 만물일체사상은 사상마련과 발본색원을 통해서 구현된 무도의 도덕성이 우주의 모든 생명체와 유기적인 관계망 내에서 도덕적으로 연결되어 공존․공생하고 있음을 말한다. 또한 무도의 만물일체 사상은 우주의 이치가 본체를 통해 무형과 유형이 반복적으로 순환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로써 무도의 도덕성이 발현하게 된다.

      • KCI등재

        조리 방법에 따른 자색 당근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능의 변화 - 조리 방법에 따른 항산화 잔존량 -

        김시연,오현빈,이휘림,김영순,Kim, Si Yeon,O, Hyeonbin,Lee, Phyrim,Kim, Young Soon 한국식품영양학회 2019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32 No.2

        In this paper, quality propertie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cooked black carrot has been studied. Five different cooking methods have been applied: microwave (45 sec), boiling ($100^{\circ}C$, 14 min), steaming ($100^{\circ}C$, 20 min), sous vide ($75^{\circ}C$, 80 min), sous-vide ($95^{\circ}C$, 30 min). The color value was slightly different (p<0.05), the boiling method was the highest in L-value and Sous vide $75^{\circ}C$ method was the lowest. The steaming method indicated the highest a-value at 5.50. The b-valu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samples (p<0.05). The microwave method was the highest at 3.49 while the sous vide $95^{\circ}C$ method was the lowest at -0.34.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samples when only the moisture content results were considered. The highest pH was observed in samples cooked using the boiling method. The softening (%) was higher when the cooking water was in contact with samples and it was dependent on the temperatures. In addition, this study shows that not only temperature but also cooking time and cooking media are very crucial in the preparation and cooking of black carrot to prevent the loss of the antioxidant compound. In conclusion, the comparison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black carrots indicated that the most appropriate cooking method is sous-vide method.

      • KCI등재
      • 정책 분석 및 평가의 일관성 제고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기반 지속가능발전의 현상학적 정의

        김시연,문혜정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18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학술대회발표논문집 Vol.2018 No.4

        본 연구는 ‘지속가능’이라는 개념의 포괄적이고 모호한 정의가 정책 분석 및 평가의 일관성에 어려움을 준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런 혼란을 줄이기 위해 선행연구를 분석함으로써 지속가능성의 학문별 및 시대별 동향을 파악하여 용어에 대한 현상학적 정의를 내리고자 한다. 먼저, 전 세계전 학문 분야 핵심저널 데이터베이스 Web of Science에서 2017년까지 ‘sustainability’ 또는 ‘sustainable’이라는 키워드로 등재된 12만 건 이상의 논문 데이터를 수집한 후, MySQL을 사용하여 전처리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Higuchi(2016)의 의미망 분석 방법론을 기반으로 KH coder를 활용하여 연구의 깊이와 넓이, 시간에 따른 변화, 동시출현성 및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더나아가 NodeXL을 활용하여 학제 간, 지역 간 연계성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지속가능성 담론은 환경문제가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며, 정책이 경제와 사회를 포괄하여 연구의 축을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지속가능성의 3대 축을 잇는 주요 단어들은 정책, 국가, 인간의 욕구이었다. 학문 분야 별로 보면, 에너지, 토양, 물과 생물의 다양성 분야에서 가장 활발히 연구되고 있었다. 하위 학문분야를 들여다보면, 에너지는 재생 에너지, 물은 수질, 토양은 비료, 곡물 수확량과 농업이 주된 연구 테마였다. UN이 제시한 17개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중에서는 2번 기아 종식, 6번 물과 위생, 7번 지속가능한 에너지가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는 분야였다. 시대별로 보면 1990년대까지 농업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던 반면에, 2000년대부터는 에너지 및 기술에 대한 연구가 탄력을 얻고 있다. 학제 간 연구에는 환경과학, 농업, 영양학, 에너지 간의 연결성이 가장 뚜렷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지속가능개발의 정의를 재정립하고, 연결성이 부족한 학문들 간의 학제적 접근방법을 촉진할 것이다. 또한, 일관성 있는 지속가능발전 정책 분석 및 평가에 일조하며 향후 지속가능 담론의 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시각커뮤니케이션의 발생 및 변천 과정과 현재 문화 속에서의 시각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김시연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5 조형미디어학 Vol.18 No.4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original purpose of visualizing contents. It looks at how information and stories were expressed visually throughout the ages, in order to understand where we stand and why. Additionally it also leads to foresee and prepare for the future flow. With changes of the society and thoughts, and also with changes in technology and techniques, it is crucial that designers today acknowledge the functional purpose being at the origin of visualizing contents, and applying it accordingly to today's culture and society. Knowing and learning the flow in order to construct contents and visualize them, will be the area that designers today will be facing and absorbing. 본 연구는 정보와 컨텐츠를 시각화하기 시작한 근본에 초점을 둔다. 과거에 정보를 소통하고 이야기를 표현하는 시각적인 방법들을 살펴봄으로써 현재 우리가 처한 상황과 직면해 있는 과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흐름을 예측하고 준비해나가는 기초를 동시에 제공할 것이다. 새로운 사회 환경과 생각의 변화, 그리고 무엇보다 기술의 급변하는 이 시대에 정보 시각화의 기능적 측면과 시각적 체계에 대한 기초를 다시 한 번 잡고 ,현재 사회와 문화에 적절한 방법론으로 적용시켜 나가도록 해야 한다. 컨텐츠 자체를 만들어내는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시각화하는 흐름을 이해하고 배우는 것이야말로, 앞으로 디자이너들이 직면하게 될, 또 감당해야할 사회에서의 역할인 것이다.

      • KCI등재

        미래 사회와 지리적 기반 정보의 시각화에 관한 연구

        김시연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8 조형미디어학 Vol.21 No.4

        This research focuses on visualizing geography based information and explores to apply it to future designs in order to enhance better communication between the information giver and the receiver(user). In <2.Visual elements of geography based information>, visual elements used to inform quantitative information, such as color and value is discussed, followed by the importance of visually layering information and using other shaped symbols when necessary. Because chapter two focuses on basic visual elements, static geography based information is dealt deeply. In <3. Geography based information visualization in future society> interactivity is dealt, applying the basics dealt in chapter two. Chapter three focuses on fluid data and designing fluid data so that it will be easier for the giver to give and the receiver(user) to understand. Information that is designed so that more information addition and deletion can be made easily and efficiently is also dealt. Overall, chapter three looks at ever-changing fluid mass of data and proposes how it can be visualized into a meaningful information that is effective. 본 논문은 지리적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디자인의 시각적 표현 방법에 대해 연구하고 앞으로의 적용 방법을 제안하여 정보의 융합과 사용자와의 소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바지하고자 한다. <2.지리적 기반 정보 시각화의 요소>에서는 색, 명도 등으로 지리적 기반 정보의 정량적 시각화를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논한 후, 지리적 기반 정보의 시각적 계층화 layering 의 중요성과 지리적 기반 정보의 시각적 기호화에서 다양한 정보를 형태화하여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논한다. 2장에서는 기 초적 시각 요소에 집중한다는 의미에서 인터렉티브한 요소가 들어가기 전의 정적인 지도에서 적용되는 시각적 기본 요소들을 살펴본다. 이후 3장에서 이러한 요소들이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며 적용되는 방법을 알아본다. <3.미래 사회의 지리적 기반 정보 의 요건>에서는 인터렉션이 중요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디자인의 상호작용과 정보의 추가 및 삭제 용이성에 대하여 살펴본다. 실시간 업데이트되는 데이터가 정보로써 의미를 갖기 위해서 효과적인 시각화 방법을 알아본다. 지리적 기반의 정보 디자인이 가진 기초적 시각 요소를 활용하며 지리적 기반의 데이터를 상호소통 가능한 가변적 정보로 만들어나가는데 효과적인 시각화 방법을 제안한다.

      • KCI등재

        설탕 대체 감미료로 제조한 커스터드 푸딩의 품질 특성 및 소비자 기호도 조사

        김시연,오현빈,이휘림,김영순 (사)한국조리학회 2019 한국조리학회지 Vol.25 No.3

        In the present study, we substituted sugar with artificial sweeteners (erythritol, fracto-oligosaccharide, tagatose, erythritol with stevia (erythritol: stevia leaf extract = 90:10)) in custard pudding, and compared to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ensory properties of custard puddings with various artificial sweeteners; these samples were designated as the control (prepared with sugar), EP(custard pudding with erythritol), FP(custard pudding with fracto-oligosaccharide), TP(custard pudding with tagatose), and ESP(custard pudding with erythritol with stevia). The moisture content and water holding capacity of custard pudding were the highest on FP at 77.76, 252.60 respectively. The pH of custard pudding was slightly different that the SP was the lowest at 5.78 and the TP was the highest at 6.47. The brix of custard pudding was the highest on SP and EP at 24.13. The turbidity of custard pudding was highest on FP at 3.49 and lowest on EP at 3.30. The L-value of custard pudding was the highest on FP (78.24) and the a-value of custard pudding was the highest on TP (−1.34). The b-value of custard pudding was the highest on FP (23.17). The hardness and gumminess were highest on EP and SP, FP, TP, ESP were similar. The cohesiveness, springiness and chewiness were highest on SP. Syneresis differs according to the type of sweeteners. The overall acceptability of the sensory properties revealed that FP was the highes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ddition of fracto-oligosaccaride instead of sugar is suitable for improving the consumer acceptability and quality of custard pudding.

      • KCI등재

        2010년대에 ‘학생운동’ 말하기—1990년대와 2010년대의 학생운동 경험 구술과 ‘우리’의 구성

        김시연 대중서사학회 2020 대중서사연구 Vol.26 No.1

        이 글은 2010년대에 이루어진 1990년대와 2010년대의 학생운동 경험 구술을 대상으로, 각 구술에서 ‘우리’가 그려지는 양상의 차이와 그 차이를 만들어낸 배경으로 2010년대의 조건이 만들어낸 일상적 경험의 누적을 주목한다. 2010년대에 채록된 1990년대 학생운동 경험에 관한 구술에서 두드러지는 것은 당시의 학생운동 문화에 대한 거리감이다. 1990년대에 대학생활을 경험한 구술자들의 말 속에서 당시 대학의 학생운동 문화는 사적 관계를 타고 이루어지며 굳이 설명할 필요도 없이 ‘자연스러운’ 것으로 여겨졌는데, 동시에 그 ‘자연스러움’은 그것이 구술되고 있는 2010년대의 맥락에서는 ‘부자연’스럽거나 ‘이상한’ 것으로 이야기되며 현재의 구술자와는 일정한 거리감을 지닌 경험으로 의미화되었다. 이러한 양상은 90년대의 경험이 2010년대에 구술되고 있는 조건과 결부되어있다. 구술자들에게 과거의 경험을 구술하는 ‘현재’는 ‘촛불’ 이후이자 ‘강남역’ 이후로 설명되었고, 그 이전과는 질적으로 다른 세계인 듯 묘사되며 자신의 과거 경험으로부터 비판적 거리를 발생케 한 계기로서 위치했다. 균질한 ‘우리’를 의심케 하는 이 질적 변화는 무엇보다 한국사회에서 젠더 이슈가 가장 커다란 화두였던 2010년대 중반 이후를 살며 새로이 체득된 젠더적 감각에 기반을 둔다. 2010년대의 사회운동 경험에 관한 구술에서는 ‘우리’의 구성이 더 이상 어떤 공통성을 공유하는 이들의 공동체가 아니라 수많은 다름에도 불구하고 결집한 개인들과 같이 이해된다. 그리하여 2010년대의 학생운동 구술은 이런 것을 이미 일상의 감각으로 체화한 이들의 경험이 드러난다. 이들이 구성한 ‘우리’는 사적 관계와는 무관하거나 무관해야 하는 것이었고, 동질성이 가장 두드러진 집단으로 여겨지지도 않았으며, 그래서 시위 당시와 그 자리 바깥에서까지의 ‘나’를 설명할 수 있는 무엇도 아니었다. 관련 경험이 내내 조심스러운 태도로 구술되었던 것도 그런 맥락에서였다. 이는 결국 ‘학생운동’, 나아가 사회운동과 ‘우리’로 결집하는 감각을 새로이 질문하고 이해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운동의 주체가 과연 ‘누구’인가를 묻는 일의 효용을 질문한다. 곧, 운동에서 고정된 ‘우리’라는 정체성을 규정하는 일의 필요성과 의미를 질문한다. 그리하여, 어떤 고정된 위치나 좌표가 과연 누군가의 입장을 대변할 수 있는 것인가를 질문한다.

      • KCI등재

        창의적 문제 해결 과정에서의 사고의 흐름에 관한 연구

        김시연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7 조형미디어학 Vol.20 No.2

        This research aims to research creative thought process and propose an effective, comprehensive and applicable way of thinking that may help the process of design. Importance of creative thinking has been in the center of attention for the past decade, but in-depth research and application approach was less actively conducted. In the midst of this gap there has been misunderstandings. The most common misunderstanding is that creativity and impulsiveness have similar roots, or that logical way of thinking and creative way of thinking is at the opposite end. This research arouses the meaning of creativity and also creative thought process. It proposes macroscopic viewpoint in today’s situation where a lot of misleading information is taking place. Mihaly Csikszentmihalyi’s flow theory is used as the bases of creative flow. Ultimately it proposes actualization in carrying out creative process by enhancing the richness of the experience. Additionally it looks at how the creative process can be expanded progressively in the Digital Native’s perspective for the future. 본 연구는 창의적 사고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효과적이고 활용 가능한 창의적 문제 해결 과정을 제안하고자 한다. 창의적 사고의 중요성에 관해서는 수 년 동안 이야기되어 왔다. 하지만 논의의 중심에 서서 이목을 받은 만큼 깊이 있는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이렇듯 관심도와 연구의 깊이 사이의 간극이 멀어지면서 많은 오해와 잘못된 해석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오해가 두 가지는 창의성과 즉흥성을 일맥상통하는 개념으로 바라보는 시각과, 창의성과 논리성이 반대의 개념이라고 이해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렇게 흐려져 있는 창의적 사고와 창의 문제 해결 과정에 대하여 명확하게 하고자 하며, 수많은 오해 속에서 거시적인 관점의 사고의 흐름을 살펴본다. 미하이 칙센미하이의 몰입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창의적 몰입의 과정을 풀어나간다. 궁극적으로 창의적 작업에 실질적으로 적용되어 창의적 문제 해결 과정에 활용되는 모습과, 디지털 원주민의 시대에 이러한 사고의 과정을 발전적으로 응용해 나갈 수 있는 방향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